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ender, Sadness, and Anger = 젠더, 슬픔, 그리고 분노 - 엔터테인먼트 소비를 통한 내적 만족감 對 외적 기대감 충족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9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과 남성이 어떻게 (a) 내적인 혹은 주관적인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리고 (b) 외적인 혹은 사회적인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각 슬픔과 분노를 조절하는지 그들의 엔터테...

      본 연구는 여성과 남성이 어떻게 (a) 내적인 혹은 주관적인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리고 (b) 외적인 혹은 사회적인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각 슬픔과 분노를 조절하는지 그들의 엔터테인먼트 메시지의 선택적 노출을 통해 알아보았다. 여성과 남성의 선택적 노출을 예측하기 위해 혼합된 디자인의 실험 (N = 161)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슬픔을 조절하기 위해 슬픔을 곱씹는 메시지 對 슬픔을 잊게 하는 메시지 선택에 있어서 젠더 차이가 부분적으로 발견되었지만, 분노를 조절하기 위해 분노를 곱씹는 메시지 對 분노를 잊게 하는 메시지 선택에 있어서 젠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슬픔과 분노에 대한 사회 규범적 믿음 (즉, 고정관념) 그리고 지속적이고 배타적인 형태의 선택적 노출이 해당 믿음을 더 강화시킬 수 있을 가능성에 의거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females and males regulate sadness and anger on the basis of (a) intrinsically gratifying (i.e., fulfilling inner or subjective motivations) and (b) socially appropriate (i.e., fulfilling external or social expectations)...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females and males regulate sadness and anger on the basis of (a) intrinsically gratifying (i.e., fulfilling inner or subjective motivations) and (b) socially appropriate (i.e., fulfilling external or social expectations) goals, which may lead to distinct selective exposure to entertainment messages. A mixed-design experiment (N = 161)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selective exposure. Results show that although gender differences were partly observed in regulating sadness by selecting ruminating vs. distracting messages, the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regulating anger because both genders selected ruminating over distracting message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escriptive beliefs about sadness and anger that reflect gender stereotypes and effects of persistent selective exposure that may further reinforce the belief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Introduction
      • 2. Literature Review
      • 3. Methods
      • 4. Results
      • Abstract
      • 1. Introduction
      • 2. Literature Review
      • 3. Methods
      • 4. Results
      • 5. Discussion
      • References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