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촌) 이진순 선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20720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연극과인간, 2010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2.09519 판사항(22)

      • ISBN

        9788957863572(v.1) 94680
        9788957863589(v.2) 94680
        9788957863596(v.3) 94680
        9788957863848(v.4) 94680
        9788957863565(set)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지촌) 이진순 선집 / 이진순; 김의경, 유인경 편

      • 형태사항

        4책 : 삽화, 도판, 초상화 ; 25 cm

      • 총서사항

        공연문화산업연구소 공연문화총서 ; 5, 5-4

      • 일반주기명

        기획: 지촌이진순선집발간위원회
        색인수록
        4. 갈매기 = Чайка / 체홉, 안톤 作 ; 김학수 譯 ; 이진순 演出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삼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도서관(상주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volume. vol.1]----------
      • 목차
      • 발간사 :『지촌 이진순 선집』발간에 즈음하여 / 백성희 = 1
      • 축사
      • 『지촌 이진순 선집』의 발간을 축하합니다 / 유인촌 = 4
      • [volume. vol.1]----------
      • 목차
      • 발간사 :『지촌 이진순 선집』발간에 즈음하여 / 백성희 = 1
      • 축사
      • 『지촌 이진순 선집』의 발간을 축하합니다 / 유인촌 = 4
      • 『지촌 이진순 선집』발간을 축하함 / 여석기 = 6
      • 아름다운 의리에 감격합니다 / 김백봉 = 8
      • 이진순 선생님과 명동의 추억 / 이인영 = 10
      • 지촌 선생의 선집 발간을 축하하며 / 김수용 = 15
      • 한국연극사 Ⅲ(1945∼1970)
      • 서론 = 23
      • 제1장 1945년 8ㆍ15 해방의 감격과 소용돌이 속의 극계상황 = 27
      • 제2장 1946년 급격히 대두한 비민주적 좌익세력 = 40
      • 제3장 1947년 흥행위주 극단창립의 모순점과 사회적 정세 = 51
      • 제4장 1948년 최초의 여성극단 창립과 사상대립의 갈등 = 57
      • 제5장 1949년 입장세(入場稅) 인상의 혼란과 난산 거듭한 국립극장 창설 = 63
      • 제6장 1950년 역사적인 국립극장 개장과 민족예술의 지향 = 80
      • 제7장 1951년 전시 하의 신협의 활동과 극계의 악운(惡運) = 89
      • 제8장 1952년 여전한 창작극 부재와 학생극 진출의 의의 = 93
      • 제9장 1953년 국립극장 재개관과 서라벌 예술학교 창설 = 97
      • 제10장 1954년 국산영화 부상의 흥행계와 대학극경연대회의 본질 = 104
      • 제11장 1955년 극계 부진의 문제점과 타개책 = 116
      • 제12장 1956년 정책적 국산영화 보호육성과 무대예술의 사양(斜陽) = 122
      • 제13장 1957년 국립극장 환도(還都) 촉진과 전통극의 의식화 = 129
      • 제14장 1958년 ITI 한국본부 창립과 소극장운동의 전기(轉機) 모색 = 138
      • 제15장 1959년 극계의 불협화음과 연극성 회복의 진의(眞義) = 147
      • 제16장 1960년 정치적 혼란 속에 50여 회의 공연 양산(量産) = 154
      • 제17장 1961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발족과 연극의 전문화와 기업화 = 160
      • 제18장 1962년 세계문화 교류와 드라마센타 신축의 의의 = 170
      • 제19장 1963년 연극의 대중화와 풍성한 기록만의 허실(虛實) = 179
      • 제20장 1964년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이 극계에 미친 영향 = 190
      • 제21장 1965년 해방 20년을 맞이한 극계의 활동과 결산 = 199
      • 제22장 1966년 성장해가는 극단(劇壇)과 극단 창립 활발 = 210
      • 제23장 1967년 창작극 빈곤의 타개책과 관객과의 상호관계 = 222
      • 제24장 1968년 신연극 60년사의 결산과 신축 국립극장 건립의 문제점 = 231
      • 제25장 1969년 창작극 공연의 고무적 현상과 소극장운동의 기본방향 = 237
      • 제26장 1970년 무대예술과 TV 공존시대의 연극인의 자세 = 244
      • 결론 = 252
      • 한국연극사 자료 = 254
      • 입상단체 및 수상자 일람 = 324
      • 한국연극 연표 = 341
      • 현대연극사 : 국립극단을 중심으로 = 349
      • 찾아보기 = 416
      • [volume. vol.2]----------
      • 목차
      • 발간사 :『지촌 이진순 선집』발간에 즈음하여 / 백성희 = 3
      • 논단 :『한국연극』권두언 모음
      • 연극과 사회의 가교가 되도록 = 13
      • 우리는 극장을 필요로 한다 = 15
      • 연극인의 연극 = 17
      • 4월의 창 너머 연극이 열릴 때 = 19
      • 늘어나는 극장과 우리의 자세 = 21
      • 서울 세종문화회관 개관을 축하하며 = 23
      • 원각사 극장 무대는 회전무대였다 = 26
      • 국제간의 연극문화 교류 = 30
      • 연극의 국제교류의 뜻 = 32
      • 80년대에 바라는 마음 = 34
      • 에세이
      • 평양 동치미 = 39
      • 동경 시절의 이상(李箱) = 42
      • 오영진 형, 형이 가시다니… = 48
      • 호랑이 그리려다 그려진 고양이 = 50
      • 그 시절의 이중섭 = 53
      • 마지막 열차 = 56
      • 자연과 인간 = 59
      • 나의 건강법 = 61
      • 인생이란 이름의 연극 = 63
      • 가짜 = 65
      • 애국 = 67
      • 현대 속의 전통 = 69
      • 소풍 = 71
      • 이상(李箱)과 이중섭(李仲燮) = 72
      • 기차에서 만난 친구 = 75
      • 도생록 = 77
      • 연극과 관객의 사이 = 80
      • 조두남 나 = 83
      • 그 때, 그 무대, 그 작품 = 86
      • 시평ㆍ논평
      • 수난의 연극계 = 91
      • 민족연극의 체계를 세우자 = 94
      • 연극계의 1년 = 96
      • 제3회 연극회고와 금차(今次) 공연감상 = 100
      • 영화《인생의 황혼》 = 102
      • 연출자의 수기 = 105
      • 고민하는 극단 = 109
      • 현역연기자 5인평 = 113
      • 무대예술의 육성(育成) = 123
      • 예년보다 풍성한 질량(質量) = 125
      • 산하(山河) 창립공연《잉여인간(剩餘人間)》 = 127
      • 극단 다리가 보여준 교훈 = 129
      • 창간사 - 계간『연극』 = 131
      • 가교(架橋)를 놓으며 = 133
      • 판소리《심청가》 = 135
      • 새로운 연극풍토 = 138
      • 예술 권장하는 입법(立法)을 = 142
      • 연출 일화 = 143
      • 연출가의 의자 = 147
      • 명작에 비친 부부상 = 149
      • 응접실 "창극의 정립 시급하다" = 155
      • 연극의 발전과 대학극 = 157
      • 무대는 인생의 손거울 = 159
      • 연극 전문지 펴낸 연극 고집쟁이 = 166
      • 외길 40년…새로운 연극하겠다 = 168
      • 홍해성과 신극 = 169
      • 연극전용소극장 양성화를 바란다 = 171
      • 고골리의《검찰관》 = 173
      • 『한국희곡문학대계』발간의 의의 = 176
      • 연극은 나의 스승 = 179
      • 마르지 않는 샘의 정신을 = 182
      • 내가 연출했던 셰익스피어의 희극 = 185
      • 정통성 살린 짜임새 있는 무대 = 187
      • 지촌 논문
      • 연극에 대한 재평가, 재발견, 재인식 = 191
      • 연극 리포트 1967 = 197
      • 전위극운동 = 199
      • 연극개관 - 1969년도 = 207
      • 연출가의 창조활동 = 219
      • 동서 연극의 특징 = 230
      • 연극개관 - 1975년도 = 237
      • 연극개관 - 1976년도 = 246
      • 연극개관 - 1977년도 = 254
      • 한국무용 50년의 회고와 전망 = 266
      • 일본 신극과 소극장 운동의 개요 = 271
      • 연극제의 새로운 창조 작업 = 283
      • 연극지원 10년의 발자취 = 286
      • 배우술 = 292
      • 이진순 론
      • 끝없는 정열과 시도의 화신 / 유민영 = 315
      • 이진순의 생애와 업적 / 김흥우 = 329
      • 전설의 귀환, 연출가 이진순 / 유인경 = 342
      • 지촌 희곡
      • 화연(火煙) = 375
      • 제3족속 = 408
      • 흥보가 = 441
      • 창극연출론 서론 = 487
      • [volume. vol.3]----------
      • 목차
      • 발간사 :『지촌 이진순 선집』발간에 즈음하여 / 백성희 = 3
      • 인간 이진순
      • 연극의 운명 = 15
      • "나는 연습장으로 가야 한다" = 18
      • 잊지 못할 무대 = 35
      • 넘치는 의욕, 샘솟는 정열 / 인터뷰 = 39
      • 나의 신혼시절 = 43
      • 내 눈 속에 인화되어 있는 어머니 상 = 45
      • 이진순과 나 / 박남수 = 47
      • 그의 연극생활 40년을 경하하며 / 서항석 = 50
      • '광장'을 통한 삶의 의표 / 유한철 = 52
      • 열정의 덩어리 이진순 / 김경옥 = 54
      • 계간『연극』에 이은『한국연극』 / 박만규 = 58
      • 통합이력서, 작품목록 / 정리 김의경 = 67
      • 극단 광장 공연연보 1966∼1983 / 정리 류근혜 = 74
      • 뜨거운 영혼이시여 영원하시옵소서 / 백성희 = 93
      • 영원의 세계로 가시옵소서 / 이재현 = 96
      • 아, 芝村, 그의 외길 인생 / 김동훈 = 101
      • 그 정열의 육체가 / 유현목 = 103
      • 연극이란 외길인생 / 장한기 = 105
      • 무대를 사랑하신 분 / 유덕형 = 107
      • 지촌선생을 그리며 / 방헌 = 109
      • 지촌선생의 유산 '광장' / 설상영 = 111
      • 지촌 이진순 선생 10주기 추모공연 준비위원회 = 113
      • 포기 불가능한 연극을 위하여 / 김의경 = 114
      • 이번 공연에 참가한 이진순의 사람들 / 김재형 = 115
      • 선배의 정신을 기리며 / 임영웅 = 118
      • 진순이 떠난 지 벌써 10년 / 김동원 = 119
      • 이진순 선생님의 그림자 / 차범석 = 121
      • 우리들의 술자리, 그리고… / 이근삼 = 123
      • 젊음과 멋이 있는 연출가 / 김정옥 = 125
      • 남도소리의 멋을 아는 분 / 김소희 = 126
      • 오페라계의 공헌을 기리며 / 김자경 = 128
      • 모든 것이 선생님의 광영 / 김백봉 = 130
      • 공연과 연출Ⅰ 극단 광장 공연
      • 윈저의 명랑한 아낙네들 = 135
      • 인간부결 = 136
      • 벚꽃동산 = 138
      • 다시 뵙겠습니다 = 140
      • 학마을 사람들 = 142
      • 죽은 나무 꽃 피우기 = 144
      • 동거인 = 146
      • 바벨탑 무너지다 = 147
      • 천사, 바빌론에 오다 = 149
      • 내 거룩한 땅에 = 152
      • 로물루스 대제 = 154
      • 수전노 = 156
      •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 158
      • 학마을 사람들 = 160
      • 사위감을 구합니다 = 162
      • 군도 = 163
      • 무녀도 = 166
      • 차라리 바라보는 별이 되리 = 168
      • 빵집 마누라 = 170
      • 왜 그러세요? = 172
      • 창립 10주년 - 전쟁과 평화 = 175
      • 그 날 밤은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 = 177
      • 뿌리 = 180
      • 화조 = 182
      • 빵집 마누라 = 185
      • 갈매기 = 188
      • 공연과 연출 Ⅱ 국립극단 공연
      • 붉은 장갑(광고와 사진) = 193
      • 태풍경보 = 194
      • 시라노 드 벨쥬락 = 196
      • 분노의 계절(광고) = 98
      • 여당원 = 199
      • 산불 = 200
      • 세인트 죤 = 202
      • 해풍 = 204
      • 바꼬지 = 205
      • 이순신 = 207
      • 여왕과 기승 = 208
      • 신라인 = 209
      • 꽃상여 = 210
      • 남한산성 = 211
      • 고랑포의 신화 = 213
      • 함성 = 215
      • 페르귄트 = 217
      • 학살의 숲 = 219
      • 에밀레종 = 221
      • 동 쥐앙 = 223
      • 《무언가》를 연출하며 = 226
      • 공녀아실 = 229
      • 공연과 연출 Ⅲ 창극, 오페라, 무용극, 기타 극단
      • 《태양이 그리워》공연을 마치고 = 233
      • 《콩지팟지》를 연출하며 = 235
      • 정대《시라노》상연에 제하여 = 237
      • 나비공주의 비애를 그린《목동과 공주》 = 239
      • 《토스카》를 연출하며 = 240
      • 수치 = 242
      • 갈매기 = 243
      • 자유의 사수(射手) = 244
      • 로미오와 줄리엣 = 246
      • 토스카 = 247
      • 심청가 = 248
      • 원효대사 = 249
      • 흥보가 = 250
      • 배비장전 = 251
      • 왕자호동 = 252
      • 배비장전 = 253
      • 대업 = 255
      • 수궁가 = 257
      • 북벌 = 259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제1부 = 261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제2부 = 263
      • 춘향전 = 266
      • 지촌 회고
      • 선생님을 기억해 내는 일, 참 잘했다! / 백성희 = 271
      • 서사와 스펙터클 / 장민호 = 273
      • 「고대극회」와 이진순 선생 / 최창봉 = 275
      • 이진순과 그의 시대 / 이태주 = 279
      • 창극 연출의 개척자 이진순 / 서연호 = 305
      • 내가 본 이진순의 무대 / 김문환 = 309
      • 이진순의 연극보기 / 구히서 = 320
      • 이진순 선생과《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정중헌 = 330
      • 이진순 선생과의 추억 / 이상만 = 335
      • 지촌 이진순 선생의 열정 / 신봉승 = 341
      • 이진순 선생님 추억 / 권상덕 = 345
      • 이진순 선생님 / 김금지 = 349
      • 이진순 선생님과의 인연 / 강태기 = 353
      • 선생님에 대한 기억과 그리움 / 김덕주 = 354
      • 지촌 이진순 선생과의 인연 / 김문환 = 356
      • 이진순 선생과의 인연 / 김삼일 = 359
      • 꿈과 낭만, 멋과 풍류 / 김성옥 = 363
      • "야 보라우. 야는 연구하는 배우야." / 김성원 = 366
      • 거장 이진순 선생님을 생각하며 / 김학자 = 370
      • 지키지 못한 약속 / 김혁수 = 373
      • 그리운 선생님 "이진순!" / 남해성 = 376
      • 한국 연극계에 신화를 남기시다 / 류근혜 = 378
      • 나의 연출 인생의 초석 / 문고헌 = 382
      • 번쩍이는 기지, 세련된 감각 / 문석봉 = 384
      • 선생님의 유지대로 / 박규채 = 387
      • 여전히 빛나는 원로 이진순 선생님 / 박근형 = 390
      • 바람막이처럼 나를 지켜 주셨던 선생님 / 박상규 = 395
      • 사죄의 말씀 / 백일섭 = 400
      • 연극에 대한 자부심 / 손숙 = 404
      • 배우에 대한 깊은 사랑이 빛나던… / 송승환 = 407
      • 이진순 선생님과 나 / 신명순 = 412
      • "그건 왜 묻소?" / 심양홍 = 418
      • "배우에게 최대의 자유를" / 왕기석 = 424
      • 무대에서 살아갈 수 있는 힘의 근원 / 윤여성 = 426
      • 아아! 그리운 선생님 / 이대로 = 429
      • 지촌, 이야기 샘의 원천 / 이반 = 434
      • 이진순 선생의 재평가를 위하여 / 이순재 = 438
      • 선생님 문하에서 연극인생을 시작하다 / 이영하 = 440
      • 선생님의 서거 25주기를 맞으며 / 이종열 = 443
      • 연출ㆍ연출법ㆍ연출가 그리고 나 / 이창구 = 446
      • 내 연기의 기초를 이뤄주신 선생님 / 임현식 = 448
      • 광활한〈광장〉의 연극에 대하여… / 전세권 = 452
      • 당당한 카리스마로 빛나시던 연극계의 신사 / 전양자 = 463
      • 내게는 더없이 자상했던 할아버지 / 정애리 = 470
      • "쟈는 달콤한 사카린이야요." / 정욱 = 472
      • 선생님에 대한 몇 가지 생각들 / 정일성 = 475
      • 고 이진순 선생님을 기리며 / 조상현 = 479
      • 《갈매기》가 보고 싶다 / 조성현 = 481
      • 배우의 욕심을 심어주신 이진순 선생 / 최불암 = 483
      • 아직도 그 분이 그립습니다 / 최종원 = 486
      • 전문연극의 길을 열어주시다 / 정상철 = 489
      • 이진순 선생 회상 / 하유상 = 491
      • 아버지의 초상 / 이혜림 = 516
      • 아빠 이진순(1976)
      • 아버지를 회상하면서(1994)
      • "혜림이는 나를 많이 닮았어"(2010)
      • 편찬후기
      • 참고서목
      • 지촌 이진순 선집 발간위원회ㆍ임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