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자 중심의 지중해전자문화지도(MECA)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diterranean Electronic Cultural Atlas(MECA) for Resear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58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ectronics cultural atlas is a typical methodology for the Digital Humanities. Since electronic cultural atlas could visualize various cultural information based on electronic atlas, that is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users are able to make intuit...

      Electronics cultural atlas is a typical methodology for the Digital Humanities. Since electronic cultural atlas could visualize various cultural information based on electronic atlas, that is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users are able to make intuitive understanding on specific areas. Therefore,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rea Studies and also helps users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information on historic event in particular area with time information, because electronic cultural atlas represents a particular subject and time information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map. In other words, electronic cultural atlas may be considered as a specialized system of Digital Humanities for studying the Humanities and Area Studi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mediterranean electronic cultural atlas(MECA) for researchers of the Mediterranean area that has cultural hybridity formed the exchange of various aspects such as civilization, religion, race and language. In detail, a 'Digital Humanities Research Support System' is constructed to visualize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the Mediterranean area on Electronic Cultural Atlas and to use for resea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자문화지도는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문화정보를 지도를 활용해 시각화, 즉 정보시각화로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

      전자문화지도는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문화정보를 지도를 활용해 시각화, 즉 정보시각화로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역 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와 더불어 특정 주제, 시간 정보를 연계하여 나타내므로 특정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 등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전자문화지도는 특정 지역을 인문·지역학을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특화된 디지털인문학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명, 종교, 지역, 인종, 언어 등의 문화가 다양한 양상의 교류로 인해 혼종되어 있는 지중해 지역을 대상으로 지중해 지역 연구를 위한 지중해전자문화지도(MECA: Mediterranean Electronic Cultural Atlas)를 설계 및 구현한다. 세부적으로 지중해지역과 관련된 연구결과물을 전자문화지도상에 시각화하여 표현하고 이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인문학 연구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지훈, "해외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7 (17): 1174-1180, 2013

      2 김바로,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33) : 229-254, 2014

      3 강지훈, "디지털인문학과 전자문화지도 -도서『지중해 여정 Mediterranean Passages』의 전자문화지도 구현-" 지중해지역원 17 (17): 61-76, 2015

      4 강지훈, "디지털인문학 기반 인문·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 활용방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305-313, 2015

      5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 인문콘텐츠학회 (29) : 9-26, 2013

      6 강지훈, "구글맵스 전자문화지도 기반의 학술지 지도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9 (19): 864-870, 2015

      7 "http://www.imsmr.or.kr"

      8 "http://www.ims.or.kr"

      9 "http://maps.google.co.kr"

      10 "http://anthromap.lib.berkeley.edu/index.htm"

      1 강지훈, "해외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7 (17): 1174-1180, 2013

      2 김바로,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33) : 229-254, 2014

      3 강지훈, "디지털인문학과 전자문화지도 -도서『지중해 여정 Mediterranean Passages』의 전자문화지도 구현-" 지중해지역원 17 (17): 61-76, 2015

      4 강지훈, "디지털인문학 기반 인문·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 활용방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305-313, 2015

      5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 인문콘텐츠학회 (29) : 9-26, 2013

      6 강지훈, "구글맵스 전자문화지도 기반의 학술지 지도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9 (19): 864-870, 2015

      7 "http://www.imsmr.or.kr"

      8 "http://www.ims.or.kr"

      9 "http://maps.google.co.kr"

      10 "http://anthromap.lib.berkeley.edu/index.ht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