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품종별 발아현미의 기능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 =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Var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94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before (BG) and after germinated (AG) brown rice in order to promote the availability of these beneficial factors. The GABA content of BG and AG brown ri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before (BG) and after germinated (AG) brown rice in order to promote the availability of these beneficial factors. The GABA content of BG and AG brown rice were 0.07~6.61 and 11.13~49.72 mg/100 g, respectively.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AG brown rice was 1.77~70.25 unit/g fold higher than it was in BG brown ric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hich are known to be related to antioxidation, were higher in BG brown rice than in AG brown ric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BG and AG brown rice were 10.52~36.38 and 11.38~26.33 mg/100 g,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3.55~13.39 and 3.52~9.78 mg/100 g, respectively. Als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57.64~251.34 and 50.49~213.35 mg TE/100 g, respective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tannin content showed a similar trend t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 expect that this data will be useful in the manufacturing of food produ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미 품종별 발아 전후의 일반성분 분석과 ${\alpha}$-amylase 활성분석, GABA 및 식이섬유 함량분석, 항산화 성분, 라디칼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미 품종별 발아 전후의 일반성분 분석과 ${\alpha}$-amylase 활성분석, GABA 및 식이섬유 함량분석, 항산화 성분, 라디칼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GABA 함량은 일반현미는 0.07~28.2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아현미는 11.13~49.72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어 대체적으로 발아현미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큰눈(KN)과 수원595호(S595)의 발아현미가 일반현미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현미에서 일반현미에 비해 1.77~70.2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에서 각각 10.52~36.38 및 11.38~26.33 mg/100 g으로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55~13.39 및 3.52~9.78 mg/100 g으로 나타났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57.64~251.34 및 50.49~213.35 mg TE/100 g의 범위로 나타났고,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일반현미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항산화 성분 분석 결과에서 발아 후 함량이 감소하는 것은 발아과정에서 살수에 의해 수용성 항산화 성분이 씻겨 내려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일반성분과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검정을 하였으며, 이는 현미와 발아현미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영, "현미 종류별 발아현미의 발아 전 후 생리활성물질 함량의 변화" 한국작물학회 53 : 37-43, 2008

      2 김대중, "품종별 현미 발아 전후의 생리활성물질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81-789, 2011

      3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4 김지은, "용매 종류와 효소 처리에 따른 쓴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89-995, 2009

      5 서선정,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9-135, 2008

      6 김지명, "백미와 발아현미의 혼합비율이 압출성형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813-820, 2012

      7 이경란, "밀의 도정 및 발효 균주에 따른 우리밀 메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858-865, 2012

      8 Duval B,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Pisum sativam)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25 : 361-377, 2001

      9 Kim SM,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33 : 626-632, 2001

      10 Dewanto V,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50 : 4959-4964, 2002

      1 정혜영, "현미 종류별 발아현미의 발아 전 후 생리활성물질 함량의 변화" 한국작물학회 53 : 37-43, 2008

      2 김대중, "품종별 현미 발아 전후의 생리활성물질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81-789, 2011

      3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4 김지은, "용매 종류와 효소 처리에 따른 쓴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89-995, 2009

      5 서선정,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9-135, 2008

      6 김지명, "백미와 발아현미의 혼합비율이 압출성형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813-820, 2012

      7 이경란, "밀의 도정 및 발효 균주에 따른 우리밀 메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858-865, 2012

      8 Duval B,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Pisum sativam)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25 : 361-377, 2001

      9 Kim SM,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33 : 626-632, 2001

      10 Dewanto V,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50 : 4959-4964, 2002

      11 Middleton E,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48 : 115-119, 1994

      12 Woo K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cereal crops in Korea" 27 : 40-47, 2011

      13 Choi Y,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Lentinus edodes)mushroom" 99 : 381-387, 2006

      14 Kim SL,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46 : 221-228, 2001

      15 Nieva MM,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16 정헌상,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한국식품과학회 16 (16): 1006-1010, 2007

      17 송진, "Bacillus subtilis HJ18-9 이용하여 제조한 품종별 청국장의 품질특성과 isoflavone 함량의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535-544, 2015

      18 Rice-Evans CA,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2 : 152-159,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