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20세기 조선 의가들의 ‘『본초강목』 재구성하기’ = ‘Reorganization of 『BenChaoGangMu』’ of medical practitioners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20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6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three kinds of books written by different authors in different regions in the 19th century. These books include 『BonChoYuHam (本草類函)』 (1833), 『BonChoBuBangPyeonRam (本草附方便覽)』 (1855) and 『BonChoBang (本草方)』 ...

      There are three kinds of books written by different authors in different regions in the 19th century. These books include 『BonChoYuHam (本草類函)』 (1833), 『BonChoBuBangPyeonRam (本草附方便覽)』 (1855) and 『BonChoBang (本草方)』 (1860?). However, these books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content and format. They were written in the format of large medical books and they contained prescriptions made up with 1-2 kinds of herbals depending on diseases.
      These three books which could not affect each other appear to have these commons. The reason is that these books were newly edited based on Bubang (附方) in 『BenChaoGangMu』 depending on diseases and 『BenChaoWanFangZhenXien』 (1712) written by Cai, lie Xian (蔡烈先) was used as the reference. Woodblock printed book of 『BenChaoGangMu』 viewed by medical practitioners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mostly had 『BonChoManBangChimSun』 which could be called ‘『BenChaoGangMu』 Bubang index’ as the appendix. All authors of three books tried to make ‘reorganization of 『BenChaoGangMu』’ by using 『BonChoManBangChimSun』 as the important reference. Work of ‘reorganization of 『BenChaoGangMu』’ focusing on symptoms being made in the 19th century was made a few times in the 20th century. 『YangMuSinPyeon』 and 『SuSeBiGyeol』 published in 1928 were outcomes of these works in the 20th century.
      ‘Reorganization of 『BenChaoGangMu』’ being made in 19th-20th centuries showed great interest for 『BenChaoGangMu』 in the medical commu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practical scholarship of Joseon Dynasty gave 『BenChaoGangMu』 the value as the collection of prescriptions rather than the concept of book for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of reorganized 『BenChaoGangMu』 have been spread out to many boo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the impact of 『BenChaoGangMu』 on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ems to be much larger than what has been known so f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머리말
      • Ⅱ.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머리말
      • Ⅱ.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81

      2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원 (47) : 85-136, 2007

      3 오재근, "조선 후기 『본초강목』의 전래와 그 활용: 『본초정화』, 『본초부방편람』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0 (20): 29-51, 2011

      4 이성우, "식경대전" 향문사 1981

      5 김남일, "국역 양무신편, In 양무신편 해제"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6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도서 왕실도서관 장서각디지털 아카이브"

      7 권오민, "東醫寶鑑과本草綱目의 한국적 專有와 조선후기 의학 특징의 형성 :本草類函과本草類函要領을 중심으로" 17 (17): 17-24, 2011

      8 李载荣, "本草纲目 版本流传研究" 北京中医药大学 2005

      9 石长拴, "本草纲目 主要版本的演变图解" 2 (2): 145-147, 1991

      10 김홍균, "本草精華의 解題에 관한 醫史學的 접근" 한국의사학회 24 (24): 25-55, 2011

      1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81

      2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원 (47) : 85-136, 2007

      3 오재근, "조선 후기 『본초강목』의 전래와 그 활용: 『본초정화』, 『본초부방편람』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0 (20): 29-51, 2011

      4 이성우, "식경대전" 향문사 1981

      5 김남일, "국역 양무신편, In 양무신편 해제"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6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도서 왕실도서관 장서각디지털 아카이브"

      7 권오민, "東醫寶鑑과本草綱目의 한국적 專有와 조선후기 의학 특징의 형성 :本草類函과本草類函要領을 중심으로" 17 (17): 17-24, 2011

      8 李载荣, "本草纲目 版本流传研究" 北京中医药大学 2005

      9 石长拴, "本草纲目 主要版本的演变图解" 2 (2): 145-147, 1991

      10 김홍균, "本草精華의 解題에 관한 醫史學的 접근" 한국의사학회 24 (24): 25-55, 2011

      11 국립중앙도서관, "本草方 디브러리"

      12 李云, "中医人名辞典" 国际文化出版公司 924-, 1988

      13 오재근,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 미키 사카에의 『임원경제지』 본초학 성과 서술 비판" 대한의사학회 21 (21): 193-226, 2012

      14 박상영, "<인제지>의 조선후기 의사학적 위상과 의의: 미키 사카에의 ‘재인용[孫引]’ 지적과 ‘학술가치’ 평가에 대한 재검토" 한국실학학회 (25) : 531-575, 2013

      15 황도연, "(한국의학대계 권22)本草附方便覽" 여강출판사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