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 연구: 성별차이와 젠더규범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27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of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llowing adolescents to receive proper cure, care, and social support when their health is harmed due to risky sexual behavior. Moreover, ethical criticism and stigma o...

      This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of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llowing adolescents to receive proper cure, care, and social support when their health is harmed due to risky sexual behavior. Moreover, ethical criticism and stigma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were more controlled and oppressive for femal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risky sexual behavior as a health risk behavior, diff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sexual behavior as a problem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in adolescents and the role of gender norms in the impact of such behavior on health outcom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the interventions that could provide appropriate social support and treatment were derived as a policy improvement plan.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study used data from the 12th Korea Youth Health Risk Behavior Survey (2016).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complex sampling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 people aged 20 to 24 years and adhered to feminist and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risky sexual behavior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der, allowance, physical activity, drinking, drug use,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time work exper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individual level. At the friend, family, school, and regional levels, having friends who engage in risky health behavior (smoking), family economy-level, school type, and regional size, respective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after controlling for ecological system factors and performing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versely, all relationships with other health outcom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sex in the effects of risky sexual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After checking the model fit, a model including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o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was found suitable.
      Fourth, the role of gender norm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erformance of risky sexual behaviors are as follows. Existing gender norms made information such as sexual knowledge of female adolescents vulnerable, prevented them from securing initiative in sex, and made them perform “risky sexual behaviors.” Therefore, gender norms played a negative role. Further, for male adolescents, the sexist gender norm was to engage in risky sexual behaviors, such as unintentionally not using condoms due to inaccurate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Fifth, regarding the role of gender norms among adolescents in risky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existing gender norms led to unwanted risky sexual behaviors or unintentionally risky behaviors and prevented adolescents from obtaining appropriate information when with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 or unwanted pregnancies. Additionally, access to saf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was blocked, and access to social welfare services was low. Therefore, female adolescents alone bear the risks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existing gender norms discriminate and stigmatize sexual minorities such as AIDS. Access to information from media such as the Internet, where inaccurate information abounds, hinders accurate information on STIs. Consequently, stigma toward and ignorance of STIs make these difficult to treat. Further, the burden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public perception of promiscuity raised the threshold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even minor vaginitis treatment was tolerated without visiting a hospital. Regarding mental health among the female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guilt and health outcomes resulting from internalized gender norms may be more harmful than the risky sexual behavior itself.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unlike most previous domestic studies, the risky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s were treated as risky health behaviors, not deviance or delinquency.
      Second, risky sexual behaviors, not sub-items of risky health behaviors, were independently identified.
      Thir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norms and gender norms on the risky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health outcome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Fourth, mixed methods were used to better explain the complex phenomenon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tends to reproduce existing gender norms, must be comprehensive, as recommended by UNESCO.
      Second, even if changes in school sexuality education take precedence, other alternatives—providing objective and sufficient information to adolescents who are not socially and institutionally students—are also needed.
      Third, various methods to increase access to violence injury treatment for young women must be explored.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s are needed to ensure access to saf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adolescents who wish to abort pregnancies.
      Fifth, condoms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free of charge or at low cost, in an easily accessible location, and in a form wherein they can safely use health care services without worrying about stigma or cost.
      Sixth, social workers and healthcare providers (e.g., doctors, nurses) whom young people receive services from, including counseling, need relevant education to enable feminist counsel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data limitations, there is a theoretical limit to inconsistency. In future, the theoretical consistency must be increased through analysis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data availability.
      Second, due to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only gender differences were reflected, whereas various genders were not reflected. In future studies, policy intervention points for LGBTI youth must be developed by reflecting various genders.
      Third, due to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the quantitative study did not include out-of-school or homeless adolescents. In future studies, an intervention point encompassing these two groups must be developed.
      Fourth, although the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that both adolescent sexual behavior and risky sexual behavior are not unethical, the negative effect on health outcomes of risky sexual behavior in adolescents, as observed in this study, may reinforce stigma.
      Fifth, mixed methods research was used to better analyze the complex phenomenon of risky sexual behavior in adolescents; however, the absence of organic harmonization between each research method was a limitation.
      Sixth, gender norms of adolescents in Korean society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ageism.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ageism. In future studies, the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revealed by the combination of gender norms and ageism must be emphasized in more detail.
      Finally,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s the only national survey to determine the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of adolescents in Korea; therefore, some items must be added and improved. Questions about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sexuality, as well as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adolescents, must be ad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이 위험 성행동으로 인해 건강 위해가 발생하는 경우조차 원활한 치료와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더욱이 청소년 위험 성...

      이 연구는 청소년이 위험 성행동으로 인해 건강 위해가 발생하는 경우조차 원활한 치료와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더욱이 청소년 위험 성행동에 대한 윤리적 비난과 낙인은 여성청소년에게 더 통제적이고 억압적이라는 데 문제의식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성행동을 문제행동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건강위험행동으로서의 위험 성행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체계 요인들,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 건강결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위험 성행동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규범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기반으로 젠더 간 차이를 고려해 적절한 사회적 지원, 치료 등과 연계될 수 있는 개입지점을 정책 개선안으로 도출해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진행했다. 양적연구는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6년) 자료를 이용했다.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했다. 질적연구는 20세부터 24세까지의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접근에 따른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요인이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용돈, 신체활동, 음주, 약물복용경험, 학업성적, 아르바이트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친구수준에서는 건강위험행동(흡연)을 하는 친구 유무가, 가정수준에서는 가정경제수준이, 학교수준에서는 학교유형이, 지역수준에서는 지역규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생태체계요인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통제하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시행한 결과, 위험 성행동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다른 건강결과와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했다. 모형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있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삶에 체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이 위험 성행동 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여성청소년의 성지식 등의 정보를 취약하게 만들었고, 성관계에서 주도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만들었으며, 거부를 거절당함으로써 ‘위험 성행동’을 수행하게 하는 등, 여성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부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청소년에게 역시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성불평등한 성교육으로 이어졌고,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정보습득을 하게 만들었다. 이는 의도하지 않게 콘돔 미사용으로 연결되어 위험 성행동을 하게 만들고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의 삶에 체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이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결과,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여성청소년이 원하지 않는 위험 성행동을 수행하게 만들거나, 성병에 감염되거나 원하지 않은 임신을 했을 때 적절한 정보를 얻지 못하게 막는 장벽을 만들고 있었다. 또한, 안전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막을 뿐 아니라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도 낮아 여성청소년 혼자 오롯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위해를 감당하게 만들었다. 또한,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에이즈와 같은 성소수자를 차별하고 낙인찍는 내용의 학교 성교육과, 부정확하고 불균질한 정보가 난무하는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한 정보 접근은,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차단하는 역할을 했다. 성매개감염병(성병)에 대한 낙인과 무지는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또한 몸에 대한 성적대상화와 문란하다는 주변 시선에 대한 부담감은 산부인과에 대한 문턱마저 높여, 사소한 질염 치료도 병원을 찾지 않고 참는 경우마저 있었다.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위험 성행동 그 자체보다, 연구에 참여한 여성청소년에게 내재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으로 인한 죄책감과 그로 인한 건강결과가 더 해로울 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을 기존 대부분의 국내 선행연구와 달리 일탈이나 비행이 아니라 건강위험행동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둘째, 건강위험행동의 하위항목이 아닌, 위험 성행동을 독립적으로 확인했다.
      셋째, 개인 수준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규범, 젠더규범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건강결과 와의 관계까지를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이 연구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성차별적 젠더규범을 재생산하고 있는 학교 성교육이, 유네스코에서 권고한 포괄적 교육방식으로, 성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성교육의 변화가 선행되더라도 사회제도적으로 학생이 아닌 청소년에게도 객관적이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추가로 필요하다.
      셋째, 여성청소년에게 폭력손상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임신중지를 원하는 청소년에게 안전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에게 콘돔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서, 제공해야 하며, 사람들의 시선 걱정이나 비용 걱정 없이 안전하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를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상담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의료인 등이 여성주의 상담이 가능하도록, 그들에게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한계로, 가용한 변수들로 통합적 생태학적 모형을 재현하다 보니, 이론적으로 정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추후, 자료의 가용성의 한계를 극복한 분석을 통해 이론적 정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양적자료의 한계로 성별 차이만 반영이 되고, 다양한 젠더를 반영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젠더를 반영해 성소수자 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개입 지점의 도출이 필요하다.
      셋째, 양적자료의 한계로 양적 연구에서는 탈학교, 탈가정 청소년을 포함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탈학교, 탈가정 청소년을 아우르는 개입지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소년의 성행동 뿐 아니라 위험 성행동 역시 윤리적으로 비난받을 일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연구이지만,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 건강결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 결과가, 자칫 낙인을 강화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다섯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잘 설명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했으나, 각 연구 방법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여섯째, 한국 사회 청소년의 젠더규범은 나이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드러난다. 반면, 이 연구에서는 나이주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젠더규범과 나이주의가 결합하여 드러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강조해서 드러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국가 단위의 청소년 성행태와 건강결과를 알 수 있는 조사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가 유일하다. 따라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몇 가지 문항이 추가되고 개선될 필요가 있다. 성평등인식과 성체성을 묻는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하연섭, "제도분석", 다산출판사:서울, 2003

      2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나남: 서울, 2000

      3 김신영, "청소년 성행동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2(2), 123-143, 2005

      4 여성가족부, "2019년 성폭력 피해 상담소", 보호시설 등 지원실적 보고, 2020

      5 김명희, "당신이 숭배하든 혐오하든", 낮은산: 서울, 2019

      6 이은영, "청소년의 성경험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3), 624-634, 2019

      7 우베, "플릭(Uwe flick) 질적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서울, 2011

      8 김도연, "우리 그냥 사랑하게 해주세요", 뉴스참.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59269&page=1, 2010

      9 권김현영, "엮음.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서울. p58, 2018

      10 박영숙, 전영민, "고등학생용 성심리검사의 개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891-909, 2002

      1 하연섭, "제도분석", 다산출판사:서울, 2003

      2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나남: 서울, 2000

      3 김신영, "청소년 성행동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2(2), 123-143, 2005

      4 여성가족부, "2019년 성폭력 피해 상담소", 보호시설 등 지원실적 보고, 2020

      5 김명희, "당신이 숭배하든 혐오하든", 낮은산: 서울, 2019

      6 이은영, "청소년의 성경험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3), 624-634, 2019

      7 우베, "플릭(Uwe flick) 질적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서울, 2011

      8 김도연, "우리 그냥 사랑하게 해주세요", 뉴스참.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59269&page=1, 2010

      9 권김현영, "엮음.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서울. p58, 2018

      10 박영숙, 전영민, "고등학생용 성심리검사의 개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891-909, 2002

      11 김상희, 윤우철, "남자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태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2), 248-257, 2012

      12 정옥분,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제3판)", 서울: 학지사, 2015

      13 박현숙, 정선영,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 경로분석", 정신간호학회지, 20(1), 49-60, 2011

      14 홍찬숙, "개인화 – 해방과 위험의 양면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15 라진숙, 조윤희, "청소년의 피임 실천과 영향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지, 31(5), 59-70, 2014

      16 서울시, 아하서울시립청소년문화센터, "2013 서울시청소년성문화연구조사", 2013 서울시청소년성문화연구조사, 2013

      17 이규영, "한국 청소년의 성 행태와 성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2), 71-80, 2016

      18 박현숙, 정선영, "청소년의 위험행동 구조모형 구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64-373, 2011

      1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분석연구",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분석연구, 2016

      20 공현, "나이주의, 왜?, 공현, 오늘의 교육(34호)", 교육공동체 벗. https://communebut.com/Article/?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 YWxsIjtzOjQ6InBhZ2UiO2k6ODt9&bmode=view&idx=6114588&t=board, null

      21 김규곤, 김승현, "복합표본설계 데이터의 분석방법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5), 2469-2480, 2017

      22 박종우, "한국사회의 연령주의(Ageism)와 노인문제", 사회과학,11,51-68, 1999

      23 Haffner , D. W., "Facing facts : Sexual health for American adolescents", 22 ( 6 ) , 453-459 ., 1998

      24 Res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ural Equation Modeling", 4ed, 2016

      25 교육부,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p299, 2019

      26 여성가족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동향 및 추세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동향 및 추세분석, 2020

      27 이은미, "장애여성의 섹슈얼리티: 여성주의적 고찰", 아시아여성연구, 44(1), 97-130, 2005

      28 유정옥, 차승미, "남 여 청소년에서의 성 매개 감염 관련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8(4), 431-439, 2017

      29 정익중, "성역할 고정관념과 청소년비행의 성별 차이", 한국청소년연구, 16(1), 35-76, 2005

      30 Artavia , K., "A Study of Adolescent Risky Sexual Behaviors Among Hispanics", 2012

      31 이기수, "청소년 100명 중 5명꼴 성경험... 13세 전후 시작",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346960&code=6117 1911&cp=nv, 2017

      32 김은정, 백혜정, "청소년 성 의식 및 행동 실태와 대처방안 연구.",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41-43, 2009

      33 김은화, 전귀연,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대한가정 학회지, 45(7), 71-91, 2007

      34 박현숙, 정선영, "청소년의 위험행동 예방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204-213, 2011

      35 김성지, "성경험 평균 연령 12.8세, 자궁 등 건강관리 중요",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730 1205042&code=900303, 2014

      36 오진아, "후기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도, 성지식과 성태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3), 305-314, 2008

      37 박수지, "성소수자 배제한 교육부 성교육 표준안 폐기하라",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1759.html#cs idx21625c2810ff70797d87f95b626fa92, 2017

      38 곽은아, 허명행, 안혜영, 박지영, 김경미, "대학생들의 성행동 및 피임지식 과 태도와의 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3), 267-275, 2007

      39 이미호,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가해 예측요인. 한국학교", 지역보건교육학 회지, 21(3), 35-47, 2020

      40 Bronfenbrenner ,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1979

      41 선미정, 정원미, "장정은, 전종설.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 동향 분석", 한국 사회복지학, 70(2), 275-298, 2018

      42 이상원, "‘나다움 어린이책 논란’ 방황하는 한국의 성교육", 시사인.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2, 2020

      43 김재엽, 황성결, "여자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 사회복지학, 69(4), 75-97, 2017

      44 김문석, "청소년 첫 성경험 연령 평균 13세... 절반은 피임 안 해", 스포츠경향. 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7032216120 03&sec_id=561801&pt=nv, 2017

      45 지그문트, "바우만. 왜 우리는 불평등을 감수하는가?. 안규남 옮김", 동녘:경기, 2013

      46 이재영, "성경험 여자 청소년의 피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3), 259-267, 2017

      47 박선형, "교육행정학의 혼합방법연구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 교육행정 학연구, 28, 27-54, 2010

      48 한인영, "박인선, 백연옥.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소아청소 년정신의학, 12(1), 138-148, 2001

      49 Ploeger , M., "Youth employment and delinquency : Reconsidering a problematic relationship", 35 ( 4 ) , 659-676 ., 1997

      50 김붕년, 홍강의, 이영식, 김은영, "산과 의사가 인지한 10대 임신의 현황, 예방, 정신과 자문",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3(1), 117-128, 2002

      51 윤경자, "청소년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의 발생과 관련 위험요인들", 대한가 정학회지, 40(1), 179-194, 2002

      52 공인식, 차정옥, 정유미, 오은정, "최근 5 년간 (2014∼ 2018) 국내 성매개 감염병 신고 발생 동", 주간 건강과 질병, 13(15), 911-933, 2020

      53 이성식,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접촉실태와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형사정 책연구, 61-114, 2003

      54 김만지, "청소년의 첫 임신 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 년학연구, 9(2), 71-85, 2002

      55 최청숙, "강원지역남자중학생의 성(Sexuality)실태 및 성행동 예측모형", 국 내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56 이나영, 이나영,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섹슈얼리티: 역사와 정치학의 이론화", 경제와 사회, 10-37, 2009

      57 Shoemaker , D. J ., "Theories of delinquency : An examination of explanations of delinquent behavior", 2000

      58 하수영, "여고생에 콘돔 팔자 임신하면 어쩌려고 편의점에 따진 엄마",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8792#home, 2021

      59 한상철,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분석", 미래 청소년학회지, 6, 185-210, 2009

      60 김주연, 양소남, "청소년의 생태체계요인이 성관계 경험 유무에 미치는 영 향", 청소년학연구, 25(1), 31-55, 2018

      61 이효빈, 최윤경, "자극추구 성향과 또래동조성이 청소년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 257-278, 2016

      62 채윤정, "교육부 ‘성교육표준안’, ‘뻔뻔한 성차별주의’ 국제적망신", 여성신문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225, 2019

      63 고동운, 윤은성, 박원우, "연구의 인과성 제고: 통제변수의 의의, 활용 현상 분석 및 제언", Seoul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21, 2010

      64 한치원, "디지털 성폭력?...교육부 '성교육 표준안' 2015년 이후 개정 안 해", 에듀인뉴스.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29, 2019

      65 김석주, 황진섭, 류지인, 김지원, "국가표본조사자료 기반 청소년 성경험 의개인 및 가족 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8(1), 21-28, 2017

      66 이한나, 조해련., "청소년의 성경험 유무에 따른 건강행태 차이에 대한 융복 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3), 145-152, 2020

      67 Varga , C. A, "How gender roles influenc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mong South African adolescents", 34 ( 3 ) , 160-172, 2003

      68 김기숙, 이봉숙, 김지수,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개인적, 심리적, 건강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1), 64-75, 2013

      69 김민경, 조경원, "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과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관련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6(3), 61-71, 2019

      70 김영기, "성 이중기준, 성 주체성, 성 의미가 대학생의 성행동에 미치는 영 향", 청소년문화포럼, 27, 8-37, 2011

      71 서상희, 정진주, "저소득층 아동의 ‘밥’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결식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5), 194-229, 2014

      72 문선순, 홍성애, "중ㆍ고등학교 여학생의 임신경험에 영향을 주는 개인, 가 족요인 탐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4), 105-116, 2009

      73 Satcher , D., "The Surgeon General 's call to action to promote sexual health and responsible sexual behavior .", 32 ( 6 ) , 356-368 ., 2001

      74 김정란, "젠더 정체성은 왜 억압적인가?: 버틀러 (Judith Butler) 의 젠더 해체의 필요성", 한국여성철학, 6, 53-75, 2006

      75 Leech , T. G., "Everything 's better in moderation : Young women 's gender role attitudes and risky sexual behavior", 46 ( 5 ) , 437-443 ., 2010

      76 민가영, "신자유주의 질서의 확산에 따른 십대 여성의 성적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5(2), 5-35, 2009

      77 조은, "젠더 불평등 또는 젠더 패러독스: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모성의 정치 경제학", 한국여성학, 26(1), 69-95, 2010

      78 김현경, 최지은, 박연재, "청소년기부터 성인기 전이 시기 남녀의 건강위험 행동 발달궤적과 영향요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4), 137-160, 2017

      79 김영희, 조주영,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과 관련된 개인. 가족. 주변 환경 체 계요인의 경로모형", 대한가정학회지, 44(3), 181-195, 2006

      80 신그리나, 엄혜진, "학교 성평등교육의 현실과 효과: 젠더 규범의 재/생산,’ 위험한’성평등교육", 페미니즘 연구, 19(1), 51-90, 2019

      81 이지하, "미국 여성의 위험 성행동에 관한 연구: 개인, 가족, 지역사회 요인 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1, 1-37, 2012

      82 김남순, 전진아, 박은자, "성인의 복합적인 건강위험행동과 주관적 건강수 준, 스트레스, 우울감의 관련성", 보건사회연구, 35(1), 136-157, 2015

      83 조은숙,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선호성과 위험 성행동 간의 관계: 성별차 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0), 291-314, 2013

      84 김민영, 조선희, "남자 청소년의 음주, 성교육, 약물 사용, 인터넷 이용이 피임 실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硏究, 20(4), 267-277, 2012

      85 민가영, 변혜정, "청소녀의 가출의미에 대한 연구: 계급정체성에 따른 성역 할과 성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3(1), 5-37, 2007

      86 김정혜, "텔레그램 ‘n 번방’등 온라인 매개 성폭력 사건들을 통해 본 이 시 대 성폭력의 특성.", 텔레그램 ‘n 번방’등 온라인 매개 성폭력 사건들을 통해 본 이 시 대 성폭력의 특성, 2020

      87 윤명숙, 이재경,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 학교 애착,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0, 272-300, 2008

      88 김재엽, "이동은, & 정윤경.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 비행 행동에 미치는 영 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41), 101-123, 2013

      89 김은혜, "청소년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 석. 국내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7

      90 김정규, "청소년들의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통제요인들의 변이에 관한 연 구: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2), 97-128, 2010

      91 김희화, "청소년 초기의 또래동조성과 비행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감독 및 친한 친구 비행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6(7), 127-147, 2009

      92 남미애, 홍봉선,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접촉과 일탈적 성행동과의 관계: 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9(9), 93-124, 2012

      93 권석현, 이정열, "중학생의 성관계 경험 영향요인: 제 8 차 (2012 년) 청소 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를 이용하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1), 76-83, 2015

      94 Luwedde , M., "Determinants of gender inequality in risky sexual behaviours inequality among youth in Uganda : An Oaxaca decomposition analysis", 2019

      95 강희순, 문승태, 김영희,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66-175, 2013

      96 박영원, 서은희, "중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미디어리터러시, 비판적 사고역량 이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139-162, 2019

      97 김형태, "이성교제하면 퇴학 전학...올해 성루서 61명 ‘처벌’.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 CNTN_CD=A 0001926841, 2013

      98 이경주, 이현정,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경험에 따른 자살행동: 제 10~ 12 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8(3), 205-215, 2019

      99 강차선, 박정환,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폭력피해경험과의 관계에 서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제주지역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 지, 17(8), 273-279, 2016

      100 이수진, 이주영,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의 성 학대경험이 성 비행 및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계선 성격 특성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4), 758-770, 2016

      101 윤지원, 황라일, 임민경, "거주지별 고등학생의 성경험 실태 및 영향요인: 제 10 차 (2014 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를 이용하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733-2750, 2015

      102 이원정, 황경균, 최보율,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와 구강질환증상경 험의 상관관계: 2015 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치위 생학회지 (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18(1), 125-138, 2018

      103 안지연, 표은영, 정진옥, 이윤정, "청소년의 음주, 흡연, 약물사용 경험이 성 경험에 미치는 영향: 2010~ 2014 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하 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 29(3), 2016

      104 김현경, 정유희, 이주영, 이수진, 손외철, 변지애, "소년보호관찰 대상자 들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의 성차: 학대경험, 충동성, 약물사용을 중심으로", 보호관찰, 17(2), 109-138, 2017

      105 염미정, 이주영, 이경주, "한국 남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영향요인-이성과 의 성경험을 중심으로: 제 11 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정신간호학회지, 29(3), 195-206, 2020

      106 서수인, 임민경, 오진경, "청소년 폭음과 흡연, 신체활동 부족, 부적절한 체 중조절, 성 행태와의 관련성: 2015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4(1), 1-12, 2017

      107 이윤정,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관계망이 양육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 학, 57, 125-157, 2017

      108 권미영, 정수경, "청소년의 성매개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및 학교 요인: 제 10~ 12 차 (2014~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 31(1), 2018

      109 엄혜진, "신자유시대 한국의 자기계발 담론에 나타난 여성주체성과 젠더관 계: 1990년대 이후 베스트셀러 여성 자기계발서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 학교 여성학 협동과정 박사학위 논문, 2015

      110 염인숙, "청소년 건강위험행동의 동시행위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 성: 2014 년, 2016 년, 2017 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 여", 연세대학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