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태준 <화관>의 상징성 연구 = The study of Symbolism of Hwagwan by Lee Tae-j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9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태준의 을 고대 '화관'의 두 가지 상징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 보여주는 복합적인 세계를 '화관'의 상징성이라는 기제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는 의 상징성을'신부가 ...

      본고는 이태준의 을 고대 '화관'의 두 가지 상징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 보여주는 복합적인 세계를 '화관'의 상징성이라는 기제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는 의 상징성을'신부가 쓰는 결혼 예식의 화관'의 모습과'예수의 고난의 가시관'으로 형상화된 화관의 두 가지 모습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이 두 가지 모습은 서로 상반되는 이미지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두 이미지 모두 '숭배의 상징'이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한 상징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본고가 추출한 '화관'의 상징성은 '족쇄'로서의 상징이다. 이 상징성은 악인형 인물인 배일현의 서사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배일현이 임동옥에게 선물했던 시계나 반지의 상징성을 통해 이를 추출하였다. 본고는 이 물건들을 의미를 '돈의 족쇄'라는 상징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족쇄의 의미를 통해 '생활의 발견과 수용'이라는 이태준의 변모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점을 통해 본고는 이 불안정한 텍스트로 남은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Hwagwan(the Coronet) by Lee Tae-jun on the basis of two symbolisms of the ancient coronets, and to explain the complex world of this work on the basis of the coronet's symbolism. The frame of authority is the theory of Frank...

      This study aims to analyze Hwagwan(the Coronet) by Lee Tae-jun on the basis of two symbolisms of the ancient coronets, and to explain the complex world of this work on the basis of the coronet's symbolism. The frame of authority is the theory of Frank Kermode, who claimed that there are two plots, the plot as foreground and the plot of secret as background. The symbolism of Hwagwan which is possible to be understood as the plot as foreground was derived from the two images, the coronet of bride and the crown of thorns of Jesus. These two images are contradictory each other, but have the same properties in that they all are the objects of admiration. The image of coronet as the plot as background is a symbol of restriction. This symbolism appears centering around the narration of Bae Il-hyeon, the character of villain type. So we drew this symbolism from the images of the watch or ring which Bae Il-hyeon presented to Im Dong-uk. We regarded their meaning as the images of restriction of money, and from the meaning of this restriction, we were possible to extract the transfiguration of Lee Tae-jun, that is, the accommodation and discovery of life. Moreover, we can find the reason why Hwagwan is left as incomplete 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숭배의 상징으로서의 '화관'
      • 1. 신부의 '화관'과 육체의 숭배
      • 2. 고난의 '가시관'과 정신의 숭배
      • Ⅲ. 족쇄의 상징으로서의 '화관'
      • Ⅰ. 서론
      • Ⅱ. 숭배의 상징으로서의 '화관'
      • 1. 신부의 '화관'과 육체의 숭배
      • 2. 고난의 '가시관'과 정신의 숭배
      • Ⅲ. 족쇄의 상징으로서의 '화관'
      • 1. 배일현의 서사와 족쇄 상징으로서의 '화관'
      • 2. 족쇄 상징의 의미와 작가 의식의 변모
      •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惠鈴, "李泰俊 長篇小說 硏究 : 「제2의 운명」과 「청춘무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1996

      2 김한식, "화관" 깊은샘 363-375, 2001

      3 이태준, "화관" 깊은샘 2001

      4 김주리, "해변과 항구 -바다의 근대적 공간표상과 이태준의<화관>-" 한국현대문학회 (28) : 173-204, 2009

      5 Roberto Calasso,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결혼" 동연 1999

      6 김택호, "이태준의 정신적 문화주의" 월인 2003

      7 황순재, "이태준의 소설 <화관>론-현실대응 논리를 중심으로" 50 : 173-188, 1997

      8 최현희, "이태준의 <화관」 연구–좌절된 사랑과 왜곡되는 육체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23) : 291-316, 2004

      9 송인화,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43-70, 2004

      10 김한식,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75-296, 2004

      1 李惠鈴, "李泰俊 長篇小說 硏究 : 「제2의 운명」과 「청춘무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1996

      2 김한식, "화관" 깊은샘 363-375, 2001

      3 이태준, "화관" 깊은샘 2001

      4 김주리, "해변과 항구 -바다의 근대적 공간표상과 이태준의<화관>-" 한국현대문학회 (28) : 173-204, 2009

      5 Roberto Calasso,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결혼" 동연 1999

      6 김택호, "이태준의 정신적 문화주의" 월인 2003

      7 황순재, "이태준의 소설 <화관>론-현실대응 논리를 중심으로" 50 : 173-188, 1997

      8 최현희, "이태준의 <화관」 연구–좌절된 사랑과 왜곡되는 육체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23) : 291-316, 2004

      9 송인화,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43-70, 2004

      10 김한식,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75-296, 2004

      11 강진호,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13-42, 2004

      12 채호석,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91-114, 2004

      13 이호숙,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195-226, 2004

      14 윤지영, "이태준 장편소설의 이념적 지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5 김은정,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 : 욕망의 서사적 구성화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16 김종균, "이태준 장편소설 <화관> 연구" (34) : 399-419, 1995

      17 이호숙, "이태준 소설의 이중 욕망 연구" 이화여대 2002

      18 송인화, "이태준 소설 연구" 연세대 1999

      19 朴憲虎, "이태준 문학의 소설사적 위상" 성균관대 1997

      20 송인화, "근대소설과 여성 주체" 예림기획 2006

      21 Frank Kermode, "Secrets and Narrative Sequence" 7 (7): 1980

      22 엄상희, "1930년대 장편소설의 멜로드라마적 구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