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리스톨로크산 함유 생약제에 대한 안전성평가연구  :  생식·발생독성시험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 Safety Evalu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including Aristolochic Aci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8638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리스톨로크산(ArA)은 Jlristolochia 속 식물에 많이 항유되어있는 성분으로 이 성분이 들어있는 약을 장기복용한 사람들에게서 신장암 등 비뇨기계 암의 발병를이 놀은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

      아리스톨로크산(ArA)은 Jlristolochia 속 식물에 많이 항유되어있는 성분으로 이 성분이 들어있는 약을 장기복용한 사람들에게서 신장암 등 비뇨기계 암의 발병를이 놀은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군에서는 아리스톨로크산 함유 생약제인 마두령의 안전성에 대한 촤학쩍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마두령 단방과 마두령 복방에 대한 생식 ·살생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마두령 단방 건조추출물(0.j, 2, 8mg/kg; ArA 릉도) 및 복방 건조춘출물(0.05, 0.Smg/ifg; ArA 농도)을 젓드에 임신 전 14일부터 기간 항성기인 임신17일까지 경구 투여한 후 잉신 ?0일에 제왕절개하여 모체와 태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아리스톨로크산(2, 8, 16mg/k끄 투여 실험과 비교하였다. 마두령 단방 8mg트 투여군의 체중증가량과 사접춰량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아리스톨로르산은 8m을J'k핑 및 15m료토 투여시 임신 전 ·후의 체중증가량 및 사료섭취량이 모두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옅다. 또한. 마두령 단방의 경우 8mgg으 투여시 잉신이 저해되는 것_근로 나타났으나. 아리스톨로크산은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민 16mgAg 투여군에서 태자 체중이 유의성있게 강소하였다. 마두령 단방 8m9,/kg 투여군곽 아리스톨크산 8mg/kg 및 16mgg 투여군에서 간장의 절대무게 강소, 진장의 장대무게 증가, 비장의 절대무게감소 등이 간찰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검사에서는 마두령 단방 8m9./k9 투여관과 아리스톨로크
      16mgg 투여군에서 신장의 손상이 나타났다. 전배자 배양 실험에서는, 마두령 단방은 Ir끄ml 이상에서 태자발달이 현저히 저해되었고, 마두령 복방의 겅우 0.Ofrg/ml 이상에서, 아리스톨로크산끈 경우 300r9/r리 이상의 농도에서 배자발달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4i 본 연구결과로 띠루어 마두령은 임상용량인 0.03mg (.f.rA)/kg/da)-에서는 생식 · 발생득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pidly progressive interstitial renal fibrosis has recently been reported in young women who have been on a slimming regimen including chinese herbs. Aristolochic acid, suspected as the causal factor of this renal disease, is a well known carcinogen....

      Rapidly progressive interstitial renal fibrosis has recently been reported in young women who have been on a slimming regimen including chinese herbs. Aristolochic acid, suspected as the causal factor of this renal disease, is a well known carcinogen. It has been known that Madouling (Aristolochiae fructus) contains aristolochic aci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douling, Madouling-tang, and aristolochic acid o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Female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the extracts of Madouling (0.5, 2, 8mg/kg;ArA dose). madouling-tang (0.05, 0.5mg/kg), and aristolochic acid(2, 8, 16mg/kg) from 14 days before mating to day 17 of gestation. Madouling(8mg/kg) decreased fertility in the 8mg/kg group, but Madouling-tang and aristolochic acids did not. Significant decrease of mean fetal body weights were observed in the 16mg/kg group of aristolochic acids.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malformation of fetuses were not observed with treatment. There were decrease in the absolute liver weights and the absolute spleen weight and increase in the relative kidney weights in the 8mg/kg group of Madouling and 8 and 16mg/kg groups of Aristolochic aci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discrete damage of kidney in the 8mg/kg group of Madouling and 16mg/kg groups of Aristolochic acid. In whole embryo culture, Madouling and Madouling-tang caused the retard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embryo in the dose of 1㎍/ml and 0.02㎍/kg, respectively while Aristolochic acids showed the similar effect in the dose of 300㎍/k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douling, up to 0.05mg/kg (prescription dose to human) has no adverse effects on the fertility,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prague-Dawley ra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