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6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한국인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소통 스타일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소통 스타일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면과 예로 대표되는 한국 의 소통 문화적 특성...

      연구는 한국인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소통 스타일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소통 스타일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면과 예로 대표되는 한국 의 소통 문화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격식성과 대인 간 조화 차원을 소통 스 타 일의 하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 두 차원을 다시 세분하여 각각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과 타자체면 높임 격식성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와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세부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총 20개의 소통 행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탐색적 인자 분 석 을 통해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 차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세 차원이 체면지향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및 자기침묵 변인과 갖 는 부분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동반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에서 개발된 기존의 소 통 스타일 척도를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를 극 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and develop a new measure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reflecting unique Korean communicative culture. First, we examined the construct of Korean communication s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and develop a new measure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reflecting unique Korean communicative culture. First, we examined the construct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Second, we identified two major factors, formality and interpersonal harmony. The first dimension had two sub-dimensions, lowering self-face and heightening other-face. The second dimension had also two sub-dimensions, avoiding-conflict and listening. Third, we validated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by relating them with other criterion variables such as sensitivity, face-oriented action, argumentativeness, self-silence, and need for cognition. We proposed one research question and six hypotheses to examine construc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rst, we created a total of 20 statements to measure the four dimensions. After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only three dimensions. They were the lowering self-face formality,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 conflict, and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ing self-fa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face sensitivity and the face-oriented action. Also,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self-silence and argumentativeness.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conflic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sil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The need for cognition had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have substantial validity although these dimensions had low explanatory power in a total variance of the factor analysis. In summary, we sought to overcome some cultur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style measures mostly developed in Western culture. Finally, we discussed some of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1) 소통 스타일
      • 2) 문화 간 차이에 따른 소통 스타일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1) 소통 스타일
      • 2) 문화 간 차이에 따른 소통 스타일
      • 3. 한국형 소통 스타일
      • 1) 격식성: 체면과의 관계 및 하부 차원
      • 2) 대인 간 조화: 예와의 관계 및 하부 차원
      • 4. 한국형 소통 스타일 차원의 타당성 검증
      • 1) 구성타당도 검증
      • 2) 동반타당도 검증
      • 3) 차별타당도 검증: 인지욕구
      • 5.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 2) 주요 변인의 측정
      • 6. 연구결과
      • 1) <연구문제 1>의 결과
      • 2) 연구가설의 검증
      • 7.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정희, "활동중심의 경청기술 훈련이 아동의 경청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박재영, "한미(韓美) 신문의 의견기사에 나타난한국 기자와 미국 기자의 사고습관 차이" 한국언론학회 53 (53): 268-290, 2009

      3 김완석, "한국형 인지욕구 척도 개발 연구" 7 (7): 87-100, 1994

      4 최주호,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태에 관한 연구: 정과 한을 중심으로" 우석 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09

      5 임태섭,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 전통과 변화" 7 : 52-66, 1999

      6 최상진,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6 (6): 137-157, 1992

      7 조용현, "한국인의 문화심리특성이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 체면민감도와 우리성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0 (20): 1689-1715, 2007

      8 문묘순, "한국인과 미국인의 의사소통 차이에 관한 연구: 보다 나은 중, 고영어 지도를 지향하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9 박종호, "한국인과 미국인의 의사소통 차이: 언어와 문화를 중심으로" 6 (6): 193-207, 1989

      10 김숙현, "한국인 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 신정희, "활동중심의 경청기술 훈련이 아동의 경청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박재영, "한미(韓美) 신문의 의견기사에 나타난한국 기자와 미국 기자의 사고습관 차이" 한국언론학회 53 (53): 268-290, 2009

      3 김완석, "한국형 인지욕구 척도 개발 연구" 7 (7): 87-100, 1994

      4 최주호,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태에 관한 연구: 정과 한을 중심으로" 우석 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09

      5 임태섭,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 전통과 변화" 7 : 52-66, 1999

      6 최상진,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6 (6): 137-157, 1992

      7 조용현, "한국인의 문화심리특성이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 체면민감도와 우리성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0 (20): 1689-1715, 2007

      8 문묘순, "한국인과 미국인의 의사소통 차이에 관한 연구: 보다 나은 중, 고영어 지도를 지향하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9 박종호, "한국인과 미국인의 의사소통 차이: 언어와 문화를 중심으로" 6 (6): 193-207, 1989

      10 김숙현, "한국인 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1 김순자, "한국과 미국 광고의 문화적 성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2 박세환, "토론 능력의 개념 구성 및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희 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1

      13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2002

      14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개론" 세영사 17-18, 1995

      15 정현숙,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고찰해 본 한국적 협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과 문제점: 사회구성주의모델을 중심으로" 4 (4): 252-275, 2002

      16 고은숙, "치과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환자 성향에 따른 환자 만족도 연 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17 장해순, "출판사 조직구성원의 체면민감성, 인상관리동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출판학회 34 (34): 293-322, 2008

      18 김용운,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면지향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 창원대학교 2002

      19 이석재, "체면지향행동의 이원구조모델 검증" 15 (15): 65-83, 2001

      20 임태섭, "체면의 구조와 체면욕구의 결정인자에 관한 연구" 30 : 207-247, 1994

      21 임태섭, "체면을 숭배하는 나라, 한국, in 정, 체면, 연줄 그리고 한 국인의 인간관계" 한나래 101-127, 1995

      22 이충원, "체면민감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불안이불확실성 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17-30, 2006

      23 이충원, "체면민감성, 사회적 불안, 자아존중감이 불확실성 회피에 미치는 영 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4 박상룡, "체면감성이 웨딩미용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 9 (9): 589-594, 2007

      25 정명선, "체면 민감성, 과시 소비 성향, 패션 명품 선호도가 패션 명품 복제품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 17 (17): 189-202, 2009

      26 윤방섭, "종업원 임파워먼트 형성에 있어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역 할" 9 : 120-135, 1999

      27 임창희, "조직행동(개정 4판)" 학현사 257-286, 2005

      28 김숙현, "정보의 재조직: 선택, 유형화, 해석, in 한국인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45-63, 2001

      29 이지연, "자기침묵행동이 여고생의 외로움에 미치는영향: 수치심을 매개변인으로"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2 (12): 49-66, 2008

      30 김명화, "자기침묵, 대인관계, 우울의 관계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31 차정은,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의 비전형적 반응과 반응자 적합도 간의 관계 및 부적합 원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5

      32 천명환, "인터넷 쇼핑몰 콘텐츠에서 정보수신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6 (6): 75-84, 2006

      33 이효희, "인지욕구와 자기설명이 학습수행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2010

      34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1998

      35 서판수,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환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7 (7): 57-101, 2002

      36 김영화,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레포,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2010

      37 김민정,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개인적 특성과 환자 중심적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46-172, 2009

      38 임지혜,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질, 의사-환자관계 유형에 따른 환자만족 요인" 한국병원경영학회 14 (14): 83-103, 2009

      39 한운옥, "의사와 환자의 상호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40 신현희,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환자의 자기정보공개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461-486, 2009

      41 이현경, "유사언어가 방송메시지 전달과 설득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소통학 회 69-91, 2006

      42 황재선, "외식업체 서비스 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브랜드 이미지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8 (8): 187-203, 2009

      43 김미진, "여대생의 자기침묵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2008

      44 정현숙, "언어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in 한국인의 문화간 커 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75-204, 2001

      45 양지윤, "애착유형, 자존감, 자기침묵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 학교 2006

      46 Olivier, R, "수사학" 한길사 1989

      47 박성창, "수사학" 문학과지성사 82-116, 2000

      48 나준희, "소비자 인지욕구와 일치성(프로그램 맥락-브랜드)이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26 (26): 59-67, 2008

      49 박명석, "세계화와 동·서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태학사 2000

      50 서문식, "서비스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 5 (5): 123-146, 2000

      51 임성은, "서비스 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 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8

      52 강진석, "샤넬 복식에 나타난 기능주의와 클래식 스타일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 교 대학원 1990

      53 이두원, "부부간 의사소통 형태의 세대별 특성과 변천과정 연구" 17 (17): 129-151, 2009

      54 신인아, "문화간 인간관계, in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97-113, 2001

      55 김숙현, "문화, 가치관, 커뮤니케이션, in 한국인의 문화간 커 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64-96, 2001

      56 Samovar, L. A., "문화 간 커뮤 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57 이지연, "모애착이 여고생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자기침묵과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 (7): 39-53, 2009

      58 신인아, "동서양의 인간관계, in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 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14-140, 2001

      59 강태완, "대학생들의 토론학습동기와 인지욕구가 토론능력,상호작용관여 및 논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7 (47): 10-278, 2003

      60 강태성, "뉴스주목도 및 인지욕구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본 뉴스티커의 효과" 한국방송학회 23 (23): 7-46, 2009

      61 박진경, "국외여행인솔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인적 서비스 품질 지각과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6

      62 박진경, "국외여행인솔자의 소통 스타일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10) : 11-26, 2007

      63 김주환, "구조방정식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64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대경 2002

      65 김진선, "거절 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을 매개변인으로" 아 주대학교 2009

      66 한상필, "개인주의 문화와 집단주의 문화: 한국과 미국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차 이에 대한 비교연구" 225-251, 1990

      67 김상훈, "개인의 논쟁성(argumentativeness)이 비교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9 (9): 31-52, 1998

      68 정수연, "간호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환자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7

      69 Kapoor, S,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ism∼collecitivism and self∼construals to communication styles in India and the United States" 27 : 683-700, 2003

      70 Marsella, A. J, "The measurement of emotional reactions to work: Methodological and research issues" 8 : 166-167, 1994

      71 Gudykunst, W. B., "The influence of cultural individualism-collectivism, self construals, and individual values on communication styles across cultures" 22 : 510-543, 1996

      72 이혁진, "The impact of the communication styles of the restaurant service providers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333-356, 2010

      73 Taylor, C. R., "The impact of information level on the effectiveness of U.S. and Korean television commercials" 16 : 1-18, 1997

      74 Vries, R. E, "The contents and dimensionality of communication styles" 36 : 178-206, 2009

      75 Konishi, E, "The Japanese value of harmony and nursing ethics" 16 : 621-636, 2009

      76 Richmond, V. P, "Sociocommunicative style and sociocommunicative orientation, in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 Hampton Press 133-148, 1998

      77 Jordan-Jackson, F. F, "Perceptions of males and females’ use of aggressive affirming and nonaffirming messages in an interpersonal dispute: You’ve come a long way baby?" 72 : 239-258, 2008

      78 Weaver, J. B., Ⅲ, "Mapping the links between personality and communicator style" 3 : 59-70, 2005

      79 McCallister, L, "I wish I’d said that!: How to talk your way out of trouble and into success" John Wiley & Sons 1994

      80 Singelis, T. M, "Horizontal and vertical de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t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29 : 240-275, 1995

      81 Zhang, Y. B., "Harmony, hierarchy and conservatism: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l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22 : 107-115, 2005

      82 Chang, H, "Harmony as perfornamce: The turbulence under Chines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3 : 155-179, 2001

      83 Leung, K, "Harmony and conflict: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in China and Australia" 20 : 1-22, 2010

      84 Norton, R. W, "Foundation of a communicatior style construct" 4 : 99-112, 1978

      85 Kim, M., "Explaining individualist and collective communication-focusing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nteractive constraints" Paper presented at annual convention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1992

      86 Spotts, H,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cognition and chronological age: Implications for persuasion in consumer research" 21 : 238-243, 1994

      87 Cruz, W, "Differences in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between cultures: The Latino-Anglo perspective" 104 : 51-53, 2001

      88 Kashima, E. S, "Culture and language" 29 : 261-287, 1998

      89 Kang, K,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face in interpersonal interaction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6 : 262-282, 2004

      90 Norton, R. W, "Communicator style: Theory, applications, and measures" Sage 1983

      91 Snavely, W. B, "Communicator style and social style: Testing a theoretical interface" 14 : 219-232, 2008

      92 Street, R. L., Jr, "Communication style: Considerations for measuring consistency, reciprocity, and compensation, in A handbook for the study of human communication: Methods and instruments for observing, measuring, and assessing communication process" Ablex Publishing Coporation Norwood 139-161, 1988

      93 Park, M., "Communication practices in Korea" 40 : 398-425, 1992

      94 Tjosvold, D, "Can Chinese discuss conflicts openly? Field and experimental studies of face dynamics in China" 13 : 351-373, 2004

      95 Han, A. G, "Building a harmonious society and achieving individual harmony" 13 : 143-164, 2008

      96 Horvath, C. W, "Biological origins of communicator style" 43 : 394-407, 1995

      97 Song, Y, "Argumentativeness in context: A comparison of motivations to argue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Americans in the context of age and relationship" Ohio University 1996

      98 Stewart, R. A., "Argumentativeness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46 : 177-193, 1998

      99 김대업,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1

      100 Kotowski, M. R., "A multitraitmultimethod validity assessment of the verbal aggressiveness and argumentativeness scales" 76 : 443-462, 2009

      101 King, S. W,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American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2 : 76-79,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