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교계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와 성격 = Korean Buddhist Community’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nd Its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907, a large number of Korean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20% of the monk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which indicates that the Buddhist communi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his p...

      In 1907, a large number of Korean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20% of the monk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which indicates that the Buddhist communi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his paper analyzes the participation status of Buddhist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nd analyzes the reasons why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ovement.
      The first, on March 3, 1907, paid attention to the speech resolution of the Buddhist Study Group. The Buddhist Study Group wa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the Buddhist era at the time, and their determination prompted monks throughout the country. Second, the social atmosphere that defined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the ‘obligation of the people’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of the monks. The monks, who had been oppres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revealing themselves as dignified citize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언론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전국에서 남녀노소 신분고하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였다. 불교계에서도 적극적으로 의연에 참여하였...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언론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전국에서 남녀노소 신분고하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였다. 불교계에서도 적극적으로 의연에 참여하였다. 신문을 통해 확인되는 불교계의 참여 사례는 51건으로, 총 50개 사찰에서 1,277명이 동참했다. 의연에 참여한 대다수가 승려라는 점을 감안하면 전국 승려 중 약 20%가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것이다.
      이렇게 승려들이 국채보상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1907년 3월 3일 불교연구회에서 승려들의 운동 참여를 독려하였기에 가능했다. 이 날의 결의는 승려들을 자극하여 각 지역 유력 사찰을 중심으로 의연 활동을 전개하였다. 교계를 대표하는 조직에서 국채보상운동 참여를 공식적으로 결의한 것은 불교계가 유일하다.
      한편 국채보상운동 참여를 ‘국민의 당당한 의무’로 규정하는 분위기 속에서 승려들은 적극적으로 의연에 참여했다. 오랫동안 천시를 견뎌온 승려들이 국채보상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이들도 당당한 국민임을 드러내는 과정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橋亨, "李朝佛敎"

      2 "황성신문"

      3 김광식, "홍월초의 꿈 ; 그의 교육관에 나타난 민족불교" 한민족문화학회 (29) : 369-403, 2009

      4 정광호, "한국불교최근백년사편년" 인하대학교출판부 1999

      5 김형목, "충청도 국채보상운동" 도서출판 선인 2016

      6 임혜봉, "일제하 불교계의 항일운동" 민족사 2001

      7 김순석,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경인문화사 2003

      8 김광식,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서출판 도피안사 2002

      9 "사찰령시행규칙개정서류철(1924)"

      10 김광식, "불교근대화의 이상과 현실" 도서출판선인 2014

      1 高橋亨, "李朝佛敎"

      2 "황성신문"

      3 김광식, "홍월초의 꿈 ; 그의 교육관에 나타난 민족불교" 한민족문화학회 (29) : 369-403, 2009

      4 정광호, "한국불교최근백년사편년" 인하대학교출판부 1999

      5 김형목, "충청도 국채보상운동" 도서출판 선인 2016

      6 임혜봉, "일제하 불교계의 항일운동" 민족사 2001

      7 김순석,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경인문화사 2003

      8 김광식,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서출판 도피안사 2002

      9 "사찰령시행규칙개정서류철(1924)"

      10 김광식, "불교근대화의 이상과 현실" 도서출판선인 2014

      11 "만세보"

      12 한동민, "대한제국기 일본 淨土宗의 침투와 불교계의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4) : 161-204, 2009

      13 이승윤, "대한제국기 불교계 학교의 설립과 운영" 11 : 2005

      14 "대한자강회월보"

      15 "대한매일신보"

      16 동산법문 전국만일염불회, "금강산 건봉사 사적"

      17 정광호, "근대한일불교관계사연구" 인하대학교 출판부 1994

      18 한동민, "근대 불교계의 변화와 奉先寺 주지 洪月初" 18 : 2003

      19 한규무, "국채보상운동과 한국 개신교계" 숭실사학회 (26) : 43-74, 2011

      20 한보광, "건봉사의 만일염불결사" 33 : 1996

      21 김형목, "강원도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지역운동사에서 위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2) : 5-44, 2015

      22 이용창, "東學敎團과 (合同)一進會의 일본 유학생 파견과 '斷指同盟'" 동학학회 (22) : 163-211, 2011

      23 靑柳南冥, "朝鮮宗敎史"

      24 李能和, "朝鮮佛敎通史"

      25 박용옥, "國債報償運動에의 女性參與" (12·13) : 1968

      26 한상구,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전국적 전개양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75) : 121-156, 2015

      27 한동민, "'사찰령' 체제하 본산제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1.6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