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2 여수세계박람회 전시시설 사후활용 방안 제안 : 지역박물관 건립제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30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ground where a multitude of people gather to show culture and things and to exchange information, the World Expo has driven human civilization to evolve. Since its commencement in London in 1851, the World Expo has signified modernity after indus...

      As a ground where a multitude of people gather to show culture and things and to exchange information, the World Expo has driven human civilization to evolve. Since its commencement in London in 1851, the World Expo has signified modernit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 successful World Expo has become a means of Western superpowers to boast of national strength and assumed a status as the most efficient medium for exchanging information on the latest things and culture. However,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has diminished such a status of the World Expo, which in turn has been considered a political means for local development. Due to such changes in the status and characters of the World Expo, recent World Expos tend to be organized in a way that local developmental orientation or application of facilities are determined first so that the facilities can be used properly after the event. That is, a successful World Expo now implies that the event itself is a success to the extent that it takes effects on local development and sustainable activation with its relevant facilities used properly after the event.
      The past 20th century was the century of nations, whereas the present 21st century is the century of cities. World-class cities are in pursuit of transformation through diverse strategies with a view to a 'city of creation' fitted with self-sustained creativity.
      In May 2012, the World Expo is held in Yeosu Jeollanamdo a second time in Korea. For Yeosu City to soar up as a 'city of creation for marine culture and art' after the Expo, a cultural space needs building for creative human resources. If Yeosu World Expo becomes a chance to present a discourse on such a futuristic city, utilizing Expo-related facilities after the event is to help adopt new cultural assets, which will revive the city and lay a ground for its rebirth as a creative city.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nto a futuristic city, a successful Expo and further application of its facilities would first require a plan to use such facilities after the event. In that sense, the present study suggests building a local museum succeeding to the theme and influence of 2012 Yeosu World Expo as a way to successfully use the event and relevant facilities, and seeks other measures to develop the local society in Yeosu City through building cultural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suggestion, the values of the strategy to turn the event facilities into a museum are analyzed here, and the current state of Yeosu City's cultural resources and its policy for cultural development are also analyzed. Besides, a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o find out the status of cultural nostalgia among local citizens and their opinions on building a museum using the facilities after the event is ov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박람회는 다중이 모여 문물을 전시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장으로서 인류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산업 혁명 이후 근대적 의미를 갖는 세계박람회는 1851년 개최된 런던박람회로부터 ...

      세계박람회는 다중이 모여 문물을 전시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장으로서 인류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산업 혁명 이후 근대적 의미를 갖는 세계박람회는 1851년 개최된 런던박람회로부터 시작된다. 이 박람회의 성공으로 세계박람회는 서구 열강의 국력과시 수단이 되었고 최신 문물의 정보를 교류하는 가장 효율적인 매체로서 위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교통과 통신, 대중매체의 발달 등에 의해 세계박람회는 그 위상을 상실하게 되고 지역개발을 위한 정책 수단의 하나로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세계박람회의 위상과 성격변화로 최근 개최된 세계박람회들을 살펴보면, 지역의 개발방향이나 용도를 먼저 설정 한 후 그에 부합하는 사후활용을 전제로 박람회 시설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 요건이 이벤트 자체로서의 성공여부와 지역개발의 효과, 그리고 사후활용에 따른 지속적인 지역 활성화 등으로 변화·확대되어진 것이다.
      지난 20세기가 국가의 세기였다면 지금 시작된 21세기는 ‘도시의 세기’이다. 세계적 도시들은 자생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가진‘창조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 전략의 기반에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2012년 5월, 전라남도 여수에서 우리나라 두 번째 세계박람회인 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된다. 박람회 이후 여수시가 지속적인 유효가치를 창출하는‘해양문화예술의 창조도시’로 웅비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인재들을 위한 문화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여수세계박람회의 개최가 이러한 미래도시의 담론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면, 박람회의 사후활용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자산을 도입하는 것은 도시를 재생시키고, 창조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미래 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와 사후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전에 사후활용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 이후 세계박람회의 주제와 효과를 계승하는 성공적인 사후활용 방안의 한 가지로, 전시시설 사후활용을 통한 지역박물관 건립을 제안하고, 문화기반시설 확보를 통한 여수시의 지역사회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안의 타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박물관화 전략의 가치 분석하였으며, 여수시 문화자원 현황 조사와 문화개발 정책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문화향수 실태와 사후활용을 통한 지역박물관 건립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4
      • 제2장 세계박람회의 변화 동향과 미래도시의 방향성 6
      • 제1장 서론 1
      •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4
      • 제2장 세계박람회의 변화 동향과 미래도시의 방향성 6
      • 1절 세계박람회의 위상과 성격 변화 6
      • 1. 세계박람회의 시대적 위상과 성격 변화 6
      • 제2절 세계박람회 사후활용 사례 분석 11
      • 1. 20세기 후반 이후 세계박람회 11
      • 가. 최근 개최된 세계박람회의 경우 12
      • 나. ‘해양’주제 세계박람회의 경우 17
      • 다. 대전 세계박람회의 경우 22
      • 2. 종합분석 및 시사점 24
      • 제3절 창조도시이론과 미래도시의 방향성 26
      • 1. 창조적 도시 성장과 문화의 중요성 26
      • 2. 문화시설 도입으로 도시재생에 성공한 창조도시 27
      • 3. 미래도시 발전을 위한 창조적 공간 조성 28
      • 제3장 2012 여수세계박람회 사후활용 계획 분석 29
      • 제1절 2012 여수세계박람회 분석 29
      • 1. 여수세계박람회 개요 29
      • 2. 여수세계박람회 비전 및 목표 29
      • 3. 여수세계박람회 주제 30
      • 4. 박람회장 주요시설 및 전시시설 31
      • 5. 여수세계박람회 기대효과 39
      • 제2절 2012 여수세계박람회 기존 사후활용계획 분석 43
      • 1. 2012 여수세계박람회 사후활용 계획의 방향 43
      • 2. 주요도입기능 43
      • 3. 전시시설별 사후활용 기능 및 운영주체 45
      • 4. 기존 사후활용계획의 분석 종합 47
      • 제4장 사후 활용방안의 전략으로 지역박물관 건립제안 50
      • 제1절 지역박물관화 전략의 가치 50
      • 1. 지역의 정체성 확보의 가치 50
      • 2. 지역의 경제적·사회문화적 가치 53
      • 제2절 지역박물관화 전략의 타당성 분석 59
      • 1. 여수시 문화자원 현황과 문화개발 정책 59
      • 2.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지역박물관화의 타당성 검토 76
      • 3. 타당성 분석의 종합 91
      • 제5장 결론 및 제언 95
      • 참고문헌 98
      • 부 록 101
      • <부록1>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의 서면질의 답변 102
      • <부록2> 2012 여수세계박람회 전시시설 사후활용을 통한 지역박물관 건립의견 설문 조사 103
      • Abstract 1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