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평등과 행복: Sen의 역량이론의 관점에서 본 불평등의 작동 메커니즘 = Inequality and Happiness: The Mechanism of Inequality from Sen’s Capability Perspectiv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studies have considered inequalit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happines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inequality on happiness based on the capability perspective introduced by Armatya Sen. Capability is defined...

      Recent studies have considered inequalit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happines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inequality on happiness based on the capability perspective introduced by Armatya Sen. Capability is defined as “what people are able to do or to be,” which can be well-aligned with inequality. The results show that as the level of inequality increases, income plays a more important role as a determinant of happiness. On the other hand, income slowly loses its importance as a determinant of happiness as the level of social mobility increases. These results imply that sustainable improvement of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demands policy efforts to reduce inequality in a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기존 연구들이 불평등을 행복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불평등이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

      많은 기존 연구들이 불평등을 행복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불평등이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소득의 한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불평등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을 Sen의 역량이론과 연결시켜 시도한다. Sen의 역량 개념을 개인이 가치를 두고 있는 행위나 상태를 얼마나 자유롭게 추구하고 달성할 수 있는지라고 정의한다면, 계층 이동이 어려운 구조적 불평등은 바로 역량이론에서 강조하는 개인이 각자의 가치를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이 결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선 한 사회의 불평등 정도가 높아질수록 소득의 중요성이 커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개인의 계층 이동 가능성이 높이 평가되는 평등한 사회일수록 행복 결정요인으로서 소득의 중요성이 줄어드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역량 중심의 접근은 소득과 같은 삶의 상대적 조건의 영향을 감소시켜 보다 지속가능한 행복이 가능하게 해 준다. 불평등이 삶의 역량 수준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라고 한다면, 개인 간, 계층 간 불평등의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사회 전반적으로 지속가능한 행복 수준의 제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승진, "행복의 정치경제학: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한국정당학회 10 (10): 43-66, 2011

      2 구교준,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회 48 (48): 317-339, 2014

      3 김미곤,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 이양호, "불평등과행복: 한국의사례" 한국정치학회 47 (47): 25-43, 2013

      5 Nussbaum, M., "Women, Culture and Development: A Study of Human Capabil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 Easterlin, R., "Will raising the incomes of all increase the happiness of all?" 27 : 35-47, 1995

      7 Diener, E.,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Sage 1999

      8 Diener, 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 Relative or absolute?" 28 : 195-223, 1993

      9 Veenhoven, R., "The four qualities of life : Ordering concepts and measures of the good life" 1 : 1-39, 2000

      10 Robeyns, I., "The capability approach : A theoretical survey" 6 : 93-114, 2005

      1 장승진, "행복의 정치경제학: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한국정당학회 10 (10): 43-66, 2011

      2 구교준,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회 48 (48): 317-339, 2014

      3 김미곤,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 이양호, "불평등과행복: 한국의사례" 한국정치학회 47 (47): 25-43, 2013

      5 Nussbaum, M., "Women, Culture and Development: A Study of Human Capabil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 Easterlin, R., "Will raising the incomes of all increase the happiness of all?" 27 : 35-47, 1995

      7 Diener, E.,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Sage 1999

      8 Diener, 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 Relative or absolute?" 28 : 195-223, 1993

      9 Veenhoven, R., "The four qualities of life : Ordering concepts and measures of the good life" 1 : 1-39, 2000

      10 Robeyns, I., "The capability approach : A theoretical survey" 6 : 93-114, 2005

      11 Sen, A., "The Tanner Lectures of Human Values" Univ of Utah Press 1980

      12 Clark, A., "Relative income, happiness, and utility : An explanation for the Easterlin Paradox and other puzzles" 46 : 95-144, 2008

      13 Ryan, R. M.,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52 : 141-166, 2001

      14 Easterlin, R.,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Essays in Honour of Moses Abramovitz" Academic Press 1974

      15 Inglehart, R.,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e,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 Press 1997

      16 Dorn, D., "Is it culture or democracy? The impact of democracy and culture on happiness" 82 : 505-526, 2007

      17 Clark, A., "Inequality-aversion and income mobility : A direct test" DELTA 2003

      18 Hopkins, E., "Inequality happiness and relative concerns : What actually is their relationship?" 6 : 351-372, 2008

      19 Graham, C., "Inequality and happiness : Insights from Latin America" 4 : 107-122, 2006

      20 Alesina, A., "Inequality and happiness : Are Europeans and Americans different?" 88 : 2009-2042, 2004

      21 Easterlin, R., "Income and happiness : Towards a unified theory" 111 : 465-484, 2001

      22 Bjørnskov, C., "How does social trust affect economic growth?" 78 : 1346-1368, 2012

      23 Hartog, Joop,, "Health, wealth and happiness : Why pursue a higher education?" 17 : 245-256, 1998

      24 Inglehart, R., "Happiness, Economics, and Politics: Toward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Northampton" Edward Elga 2009

      25 Frey, B., "Happiness prospers in democracy" 1 : 79-102, 2000

      26 Michalos, A., "Education, happiness and wellbeing" 87 : 347-366, 2008

      27 Bruni, L., "Economics and Happiness : Framing the Analysis" Oxford Univ Press 2005

      28 Inglehart, R., "Development, freedom, and rising happiness : A global perspective(1981-2007)" 3 : 264-285, 2008

      29 Vallentyne, P., "Debate : Capabilities versus opportunities for well-being" 13 : 359-371, 2005

      30 Subramanian, S. V., "Covariation in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self rated helath and hapiness : A multivariate multilevel analysi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USA" 59 : 664-66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