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수립기~1950년대 문화영화와 국가정체성 = National Identity in Culture Films from the Era of Government Establishment to the 195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01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focuses on culture films [ munhwa yeonghwa ], which are visual records that have not been appreciated by academia engaged in historical research.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roduction and screening of films from the era of government e...

      This thesis focuses on culture films [ munhwa yeonghwa ], which are visual records that have not been appreciated by academia engaged in historical research.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roduction and screening of films from the era of government establishment to the 1950s and how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was reflected in the films. Culture films in this study embrace both the broad categories of documentary and dramatically revised docu-dramas, which were directly produced by the government. Culture films were often produced as Japanese war propaganda film from the time of the 1937 Sino-Japanese War. Later, culture films were produced by the film department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military, police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lso produced the films after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1956, the Bureau of Public Information was reorganized into the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which was promoted in status and lead the film department and Daehan film company. They took charge of planning and producing and became the mecca of culture film producing. Operating as a form of social education, culture films were screened all around the country as an audio-visual education program that was officially produced by the government. As seen through culture films,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ROK was gradually formed over time in the course of reconstruction rather than presented as a completed for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1950's, culture films tended to explain their themes through emotion and negativity. However, in the last half of the 1950’s, the focus of the films turned toward promoting capitalist modernization and was marked by an increasing concern for democracy and people’s lives during the Second Republ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influenced the direction of national ident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문화영화의 제작과 상영
      • 2. 문화영화와 국가 정체성
      • 맺음말
      • 참고문헌
      • 머리말
      • 1. 문화영화의 제작과 상영
      • 2. 문화영화와 국가 정체성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기중, "해방정국기 중간파 노선의 경제사상 - 강진국의 산업재건론과 농업개혁론을 중심으로 in: 경제이론과 한국경제" 최호진박사 강단50주년기념논문집간행회 1993

      2 한상도, "해방정국기 민족문화 재건 논의의 내용과 성격" 한국사학회 (89) : 119-158, 2008

      3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 역사비평사 2005

      4 이지연, "한국전쟁과 남한의 국민 형성 : 전쟁 경험을 통한 국민정체성 형성 과정" 연세대학교 2006

      5 김동춘, "한국의 분단국가 형성과 시민권: 한국전쟁, 초기 안보국가하에서 '국민됨'과 시민권" 비판사회학회 (70) : 168-189, 2006

      6 이충직, "한국의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85

      7 박윤재, "한국 근대 의학의 기원" 혜안 2005

      8 강성률, "친일영화" 로크미디어 2006

      9 이영일, "증보판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10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 ‧ 하" 역사비평사 2000

      1 방기중, "해방정국기 중간파 노선의 경제사상 - 강진국의 산업재건론과 농업개혁론을 중심으로 in: 경제이론과 한국경제" 최호진박사 강단50주년기념논문집간행회 1993

      2 한상도, "해방정국기 민족문화 재건 논의의 내용과 성격" 한국사학회 (89) : 119-158, 2008

      3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 역사비평사 2005

      4 이지연, "한국전쟁과 남한의 국민 형성 : 전쟁 경험을 통한 국민정체성 형성 과정" 연세대학교 2006

      5 김동춘, "한국의 분단국가 형성과 시민권: 한국전쟁, 초기 안보국가하에서 '국민됨'과 시민권" 비판사회학회 (70) : 168-189, 2006

      6 이충직, "한국의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85

      7 박윤재, "한국 근대 의학의 기원" 혜안 2005

      8 강성률, "친일영화" 로크미디어 2006

      9 이영일, "증보판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10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 ‧ 하" 역사비평사 2000

      11 정진아, "제1공화국기(1948~1960) 이승만정권의 경제정책론 연구" 연세대학교 2007

      12 박태균, "원형과 변용 :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기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3 임종명, "여순'반란'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역사문제연구소 64 : 304-334, 2003

      14 박지연, "박정희 근대화 체제의 영화정책 : 영화법 개정과 기업화정책을 중심으로 in: 한국영화와 근대성 <자유부인>에서 <안개>까지" 소도

      15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16 김성보, "남북국가 수립기 인민과 국민 개념의 분화" 한국사연구회 (144) : 69-95, 2009

      17 이우석, "광복에서 1960년까지의 영화정책 in: 한국영화정책사" 나남 2005

      18 ボール ルーター, "文化映畵論" 第一藝文社 1938

      19 久保田辰雄, "文化映畵の方法論" 1940

      20 Chong-myong Im, "The Making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Modern Nation-State, August 1948~May 1950" University of Chicago 2004

      21 Alan Rosenthal, "New Challenges For Documentar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22 허은, "1950년대 후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미국의 한국 농촌사회 개편 구상" 고려사학회 (17) : 275-312, 2004

      23 박형준, "1950년대 반공교과서의 서술 전략 연구 ―『반공독본』과 『애국독본』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3) : 269-287, 2009

      24 이순진, "1950년대 공산주의자의 재현과 냉전의식 - <정의의 진격>, <피아골>, <운명의 손>을 중심으로 in: 매혹과 혼돈의 시대 - 50년대의 한국영화" 소도 2003

      25 이하나, "1950~60년대 ‘대한민국’의 문화재건과 영화 서사" 연세대학교 2009

      26 복환모,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24) : 249-278, 2004

      27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여순사건과 반공 국가의 형성" 선인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
      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