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도행전 치유사건의 구속사적 의의: 사도행전 3:1-10을 중심으로 = A Significance of Redemptive History of the Healing Event in Acts : Focusing on Acts 3:1-1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69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edemptive historical meaning of the healing event of ‘a man who had been born lame’ in Acts 3. We can see that there are some expressions that have redemptive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description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edemptive historical meaning of the healing event of ‘a man who had been born lame’ in Acts 3. We can see that there are some expressions that have redemptive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description of this event. First, the gate was the place of judgment, as a kind of judgmental event took place at the Beautiful Gate. Second, this event took place through Peter and John. The apostles of the new covenant, represented by Peter and John, not the priests of the old covenant, proved that they were the apostles sent by God through this event. Third, this event took place in the name of Jesus. God’s salvation did not appear in the temple built of gold and silver, but in the “new covenant church” built by the Holy Spirit who came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urth, because of the coming kingdom of God, citizens of that kingdom will walk, jump, and sing in the joy of restoration. Through all of this, the great significance of this event can be observed in the history of redemption. In other words, this significant incident occurred during the overlapping and transitional period of re- demption history.
      The miracles performed by Jesus and the apostles during the overlapping period of the covenant have a unique status that can- not be generalized in the church today. Likewise, the gifts ex- ercised by the apostles in the apostolic age have a unique status. The apostles represented by Peter and John healed the crippled at the beautiful gate of the temple, a miracle they performed in the name of Jesus, that is, as Jesus' representative. As a result of these miracles, Jesus was the Messiah sent by God, and the apostles confirmed that they were those sent by Jesus. At pres- ent, the era of the old covenant people centered on the Jerusalem temple has come to an end, and it is the era of the new covenant centered on the chu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사도행전 3장의 ‘나면서 못 걷게 된 이’를 치유한 사건 에 대한 구속사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사건에 대 한 묘사 가운데 구속사적 의의를 가지는 몇 가지 표현들을 ...

      이 글은 사도행전 3장의 ‘나면서 못 걷게 된 이’를 치유한 사건 에 대한 구속사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사건에 대 한 묘사 가운데 구속사적 의의를 가지는 몇 가지 표현들을 주목 해야 한다. 문은 심판의 장소였는데, 이 사건은 성전 미문에서 일어난 심판의 사건이다. 이 사건은 베드로와 요한을 통하여 일 어났다. 옛 언약의 제사장들이 아닌 베드로와 요한으로 대표되는 새 언약의 사도들은 이 사건을 통하여 자신들이 하나님이 보내신 사도임을 증명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사건은 예수의 이름으로 일어났다. 금과 은으로 지어진 성전에서 하나님의 구원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오신 성령으로 지어진 새언약 교회에 구원이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이제 도래한 하나님의 나라로 인하여 그 나라 백성들은 걷고 뛰며 회복의 즐거움을 노 래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을 통하여 우리는 이 사건이 구속사적 중요한 의의가 있는 사건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이 사건은 구속사 적 진전의 중첩 기간에 발생한 사건이었다.
      언약의 중첩 기간에 예수님과 사도들이 행한 기적은 오늘날 교 회에서 일반화할 수 없는 독특한 지위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사 도시대에 사도들에 의해서 행해진 은사들도 독특한 지위를 가진 다. 베드로와 요한으로 대표되는 사도들이 성전 미문에서 걷지 못하는 자를 치유한 것은 그들이 예수의 이름으로, 즉 예수의 대 리인으로 행한 기적이다. 이러한 기적의 결과, 예수님은 하나님이 보내신 메시야이고, 사도들은 예수께서 보내신 자들임을 확증하 였다. 그리고 이제는 예루살렘 성전 중심의 옛 언약 백성들의 시 대가 끝나고, 교회 중심의 새 언약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는 역 할을 하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법: 교회정치 4"

      2 이달, "한국장로교총회창립 100주년기념 표준주석: 사도행전" 한국장로교출판사 2013

      3 김영한, "한국교회 성령론의 어제와 오늘: 은사지속론을 중심으로" 75-78, 2014

      4 정원경, "평양신학교 성령론 연구(1910~1931)" 백석대학교 2019

      5 하워드 마샬, "틴데일신약주석 시리즈5: 사도행전" CLC 2016

      6 이덕주, "초기 내한 선교사들의 신앙과 신학" 6 : 1997

      7 매튜 풀, "청교도성경주석: 사도행전, 로마서"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5

      8 변종길, "우리 안에 계신 성령" 말씀사 2012

      9 황창기, "예수님, 교회 그리고 나" 성광문화사 2005

      10 이기흔, "예루살렘 성전 멸망의 종말론적 의미: 마태복음 24장 14절1) 중심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6 : 111-134, 2016

      1 "헌법: 교회정치 4"

      2 이달, "한국장로교총회창립 100주년기념 표준주석: 사도행전" 한국장로교출판사 2013

      3 김영한, "한국교회 성령론의 어제와 오늘: 은사지속론을 중심으로" 75-78, 2014

      4 정원경, "평양신학교 성령론 연구(1910~1931)" 백석대학교 2019

      5 하워드 마샬, "틴데일신약주석 시리즈5: 사도행전" CLC 2016

      6 이덕주, "초기 내한 선교사들의 신앙과 신학" 6 : 1997

      7 매튜 풀, "청교도성경주석: 사도행전, 로마서"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5

      8 변종길, "우리 안에 계신 성령" 말씀사 2012

      9 황창기, "예수님, 교회 그리고 나" 성광문화사 2005

      10 이기흔, "예루살렘 성전 멸망의 종말론적 의미: 마태복음 24장 14절1) 중심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6 : 111-134, 2016

      11 신현우, "안식일과 질병 치유: 마가복음 3:1-6 주해와 역사적 진정성 논증"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7 (17): 283-329, 2018

      12 여인석, "아스클레피오스 신앙과 초기 기독교의관계에서 본 병원의 기원" 대한의사학회 26 (26): 3-28, 2017

      13 장종현, "신학은 학문이 아닙니다" 백석정신아카데미 2021

      14 이동수, "신약의 구속사적 읽기" 그리심 2009

      15 오성종, "신약 시대의 질병과 치유 - 신약신학적 관점에서 (1)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7 (17): 143-179, 2018

      16 스프로울 R. C., "성령" 생명의말씀사 2020

      17 박윤선, "성경신학" 영음사 1971

      18 조르단, 제임스 B., "새로운 시각으로 본 성경적 세계관" 로고스 2002

      19 브루스 F. F., "사도행전(상)" 아가페출판사 1986

      20 브루스 F. F, "사도행전 NICNT" 부흥과개혁사 1988

      21 죠지 래드, "사도행전" 총신대학교출판부 1993

      22 램지 마이클스, "베드로전서, WBC 시리즈 49" 솔로몬 2006

      23 권기현, "방언이란 무엇인가" RnF 2016

      24 코넬리우스 반더발, "반더발의 성경언약 연구" 나침반 1995

      25 바빙크, H., "바빙크 신학의 방법과 원리" 총신대학교 1983

      26 채영삼,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치유와 새 언약 모티프"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6 (16): 75-134, 2017

      27 박윤선, "대한예수교장로회 헌법주석" 영음사 1983

      28 리처드 개핀, "기적의 은사는 오늘날에도 있는가" 부흥과개혁사 2009

      29 황창기, "그리스도중심의 성경이해" 이레서원 2000

      30 한상현, "구·신약에 나타난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관점으로 본 아브라함의 구원 (성령운동의 관점: 여호와의 이름의 인용과 마음의 할례 중심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9 : 107-170, 2017

      31 Rengstorf, "semeion"

      32 Fay, Ron C,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temple in Luke-Acts" 27 (27): 255-270, 2006

      33 Westermann, Claus, "Salvation and healing in the community: the Old Testament understanding" 61 (61): 9-13, 1972

      34 아지스 페르난도, "NIV 적용주석: 사도행전" 솔로몬 2011

      35 Deterding, Paul E, "Exodus Motifs in First Peter" 58-60, 1981

      36 Walaskay, Paul W., "Acts 3:1-10" 42 (42): 171-, 1988

      37 Dennis Hamm, S. J, "Acts 3,1-10: The Healing of the Temple Beggar as Lucan Theology" 67 : 307-308,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