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Genetic Counseling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5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전상담이 왜 국내 의료 현장에서는 필요한 의료서비스로 제공되고 잇지 않은 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미국과 일본에서 유전상담이 필요한 유전 의료 서비스의 일환으로 ...

      유전상담이 왜 국내 의료 현장에서는 필요한 의료서비스로 제공되고 잇지 않은 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미국과 일본에서 유전상담이 필요한 유전 의료 서비스의 일환으로 정착되는 배경과 과정을 비교 고찰하였다. 동시에 국내 유전 의료서비스의 현황과 유전상담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경우에는 1970년대 초에 산전 진단이 보편화 되면서 유전상담의 수요가 늘게 되어 새로운 직종의 전문 유전상담사를 양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재 29개의 양성 과정의 교육을 통해서 3,000명에 가까운 전문 유전상담사가 배출되어 임상 유전의 료팀의 일원으로 임상유전학 전문의의 감독 하에 유전상담을 제공하고 있으며, 21세 유전의료 시대에 요구되는 생명 유전 정보 관리를 위해서 유전상담의 필요성과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정부주도하에 HGP 유전체 연구사업 이후 21세기 유전의료시대의 도래를 준비하는 밀레니엄 프로젝트 차원에서 〈유전의료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및 〈유전 카운슬링 체제의 구축〉을 위한 대규모의 연구단을 구성하여 임상유전 전문의의 제도화와 본격적인 임상유전 전문 분야의 서비스가 의료기관에 개설되는 동시에 비의사를 위한 인정 유전카운슬러의 양성과 자격에 대한 연구를 거쳐서 2003년 7개의 대학원에서 유전상담사 양성 과정이 인정되어 2012년까지 110명의 유전카운슬러 배출을 목표로 현재 100명이 넘는 유전상담사가 인증되었다.
      사회적 의료 수요에 부응하는 의학유전 유관학회와 교육기관의 전문가 그룹이 선도한 미국의 유전상담사 양성 프로그램과 정부 주도 하의 시대적 의료 변화에 부응하는 연구에 전문가들의 참여로 체계적인 유전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정착시킨 일본의 경우, 모두 비의사 유전상담사에 의한 유전상담 서비스에 대한 보험급여 등의 제도적인 보완 없이 선행되었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본다.
      한국의료 현장에서 유전상담 서비스가 시도되지 않는 주 장애요소로는 유전상담에 대한 이해부족과 무관심, 국내 의료 제도 하에서 의사의 진료 수가가 너무 낮아서 그 결과 외래에서 한 환자의 진료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을 초가 할 수 없는데, 유전상담서비스는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최소 30분 이상). 또한, 건강보험 급여 제도에서 ‘유전상담’을 필요한 의료 행위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서 아직 code 조차 생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요인으로 유전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상유전 전문의가 절대 부족하고, 최근까지도 국내 의과대학 교육 curriculum에 유전상담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 의료인에게는 유전상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무관심 등이 유전상담 서비스의 걸림돌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 2007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 조사 연구에서 유전의료 현장과 연구 부분에서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가 매우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부는 희귀난치성질환센터 Help Line의 유전질환 정보 제공을 통해서 유전상담을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로 의료 현장에서는 유전상담이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근육장애인협회, 저신장장애인협회, 코헴회 등, 유전성 환자들로 구성된 국내 자조회 등에서는 유전상담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서비스를 요구해오고 있다. 최근 한국희귀질환재단에서 유전성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들에게 유전상담 교육 강좌를 제공한 후 설문조사에 응한 283명의 81%가 이전에 유전상담에 대해서 접해 본 적이 없었고, 96%에서 유전상담이 희귀난치성질환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2009년 실시한 국내 실정에 맞는 유전상담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기관의 인정 및 전문 자격 인증제도 수립에 대한 연구에서 관련 업무 전문 종사자 총 117명(의사 52명, 전문연구원 30명, 간호대학 교수 26명 포함) 중 설문조사에 응한 88%가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 주관하고 유전상담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증제도를 구체화 할 것을 촉구하였다.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수련 및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는 것은 전문학회의 역할인 동시에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분야(신기술)의 전문 임상 인력을 양성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유전상담사의 경우, 2년의 대학원 과정과 1년의 clerkship, 임상수련과정 등으로 적어도 3년)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는 전문 유전상담사 양성을 위한 선 교육, 후 제도적 보완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ver the years Korean health care system has improved in delivery of quality care to the general population for many areas of the health problems. The system is now being recognized in the world as the most cost effective one. It is covered by the uni...

      Over the years Korean health care system has improved in delivery of quality care to the general population for many areas of the health problems. The system is now being recognized in the world as the most cost effective one. It is covered by the uniform national health insurance policy for which most people in Korea are mandatory policy holders. Genetic counseling service, however, which is well recognized as an integral part of clinical genetics service deals with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enetic condition as well as genetic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family support, is yet to be delivered in comprehensive way for the patients and families in need. Two major obstacles in providing genetic counseling service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are identified; One is the lack of recognition for the need for genetic counseling service as necessary service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Genetic counseling consumes a significant time in delivery and the current very low-fee schedule for physician service makes it very difficult to provide meaningful service. Second is the critical shortage of qualified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medical genetics and genetic counseling who can provide the service of genetic counseling in clinical setting. However,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act that the scope and role of genetic counseling is expanding in post genomic era of personalized medicine for delivery of quality health care, will lead to the efforts to overcome obstacles in providing genetic counseling service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Only concerted efforts from health care policy makers of government on clinical genetics service and genetic counseling for establishing adequate reimbursement coverage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and certification process for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s, are necessary for the delivery of much needed clinical genetic counseling service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국문초록
      • 감사의 글
      • References
      • 서론
      • 국문초록
      • 감사의 글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주,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의학유전학회 7 (7): 125-132, 2010

      2 Marks JH, "Teaching human genetics to nonphysician health personnel" 103 : 499-507, 1982

      3 Dailey JV, "Role of the genetic counselor: an overview" 9 : 32-44, 1995

      4 Unesco, "Report on genetic counseling by Michel Reve"

      5 Epstein CJ, "Organized medical genetics at a crossroad" 51 : 231-234, 1992

      6 Chung YS, "National survey for genetic counseling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4 : 167-178, 2007

      7 NICHD National Registry for Amniocentesis Study Group,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Safety and Accuracy" 236 : 1471-1476, 1976

      8 "Kyoto University Hospital"

      9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10 "Korean Foundation for Rare Disease"

      1 김현주,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의학유전학회 7 (7): 125-132, 2010

      2 Marks JH, "Teaching human genetics to nonphysician health personnel" 103 : 499-507, 1982

      3 Dailey JV, "Role of the genetic counselor: an overview" 9 : 32-44, 1995

      4 Unesco, "Report on genetic counseling by Michel Reve"

      5 Epstein CJ, "Organized medical genetics at a crossroad" 51 : 231-234, 1992

      6 Chung YS, "National survey for genetic counseling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4 : 167-178, 2007

      7 NICHD National Registry for Amniocentesis Study Group,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Safety and Accuracy" 236 : 1471-1476, 1976

      8 "Kyoto University Hospital"

      9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10 "Korean Foundation for Rare Disease"

      11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12 "Japanese Society for genetic Counseling"

      13 "Helpline"

      14 Kim HJ, "Genetic testing and genetic counseling" 49 : 603-611, 2006

      15 Scott JA, "Genetic counselor training: a review and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42 : 191-199, 1988

      16 Hampel H, "Genetic counseling practice analysis" 18 : 205-216, 2009

      17 Kim HJ, "Genetic counseling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4 : 1-5, 2007

      18 Fraser FC, "Genetic counseling" 26 : 636-659, 1974

      19 Kim HJ, "Genetic counseling" 21 : 65-69, 2003

      20 American Board of Genetic Counseling, "Establishing a New Graduate Program inGenetic Counseling"

      21 "Division of Clinical and Molecular Genetics. Shinshu University Hospital"

      22 Yoo HW, "Development of medical genetics training program and certification process for medical geneticist as a specialist in Korea" 4 : 142-159, 2007

      23 Chiyo H, "Currents state and future prospects of certified genetic counselor in Japan" 63 (63): 22-28, 2005

      24 Choi JY, "Controversial issues in the legal restriction for pernatal genetic testing in Korea" 4 : 186-189, 2007

      25 Kim HJ, "Challenge of personalized medicine in the genomic era" 5 : 89-93, 2008

      26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

      27 "American Board of Medical Genetics(ABMG)"

      28 Heimler A, "American Board of Medical Genetics restructuring: make an informed decision" 51 : 5-7, 1992

      29 Department of Medical Genetics, "Ajou University Medical School"

      30 Choi JY, "A study on genetic counseling curriculum, accredit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ertification process of genetic counselors in Korea" 6 : 38-55, 2009

      31 Stern AM, "A quiet revolution: the birth of the genetic counselor at Sarah Lawrence College" 18 : 1-11,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3 0.05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