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Inquiry about Culture Teaching Profeesion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7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이 교직생활을 통하여 느끼고 경험한 교직관과 인간관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던 특수학교 교육활동과 업무에 대한 인...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이 교직생활을 통하여 느끼고 경험한 교직관과 인간관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던 특수학교 교육활동과 업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화된 형식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해서 새롭게 제시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얻어진 교직문화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관은 만족감과 겸손의 인식, 존경의 대상, 끊임없는 투자와 노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간관은 친구 같은 관계, 공?사적인 만남의 구분, 분명한 선과 타협, 공적인 만남과 어색함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육활동은 개인차에 맞는 철저한 계획성, 개인차 수업과 학습효과의 교미, 적합성과 현실성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교 교사들의 업무는 자신들의 숙명적인 업무로 받아들이고 있다. 앞으로의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장애영역으로 구성된 특수학교에 대한 교직문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human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felt and experienced through teaching living. And as to inquire of recognitions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and affai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human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felt and experienced through teaching living. And as to inquire of recognitions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and affairs through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part of special teachers' teaching cultures by examining newly their recognition and teaching profession culture of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This study analyzed teaching profession culture, including depth consultation method and targeting on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ly, special school teachers had the views on teaching profession such as the recognition of satisfaction and modesty, the object of respect, and the endless investments and endeavo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have a view on the human relation that the human relation should be similar to that between friends, that it should draw a clear line between public meeting and private meeting, that it should make obvious lines and concessions, and that it is a public and awkward meeting.
      Secondly,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show thorough planning which is suitable to the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car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under individual difference and learning, and difference between suitableness and actuality.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nk of their duty as the important thing related to their life.
      In the future, the study on educational profession culture, constructed with the special areas, in the respective special schools can be presented through the study on special school teachers' teaching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동섭, "한국ㆍ미국ㆍ일본의 교사문화 비교연구" 교육부 52-59, 1995

      2 "한국ㆍ미국ㆍ일본의 교사문화 비교연구" 교육부 52-59, 1995

      3 황기우, "한국 초등학교의 교사문화에 관한 해석적 분석" 1992

      4 "한국 초등학교의 교사문화에 관한 해석적 분석" 1992

      5 남정걸, "특수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1996

      6 "특수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1996

      7 이정선,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교육과학사 2002

      8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교육과학사 2002

      9 유한구. 김승호,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 교육과학사 1998

      10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8

      1 진동섭, "한국ㆍ미국ㆍ일본의 교사문화 비교연구" 교육부 52-59, 1995

      2 "한국ㆍ미국ㆍ일본의 교사문화 비교연구" 교육부 52-59, 1995

      3 황기우, "한국 초등학교의 교사문화에 관한 해석적 분석" 1992

      4 "한국 초등학교의 교사문화에 관한 해석적 분석" 1992

      5 남정걸, "특수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1996

      6 "특수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1996

      7 이정선,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교육과학사 2002

      8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교육과학사 2002

      9 유한구. 김승호,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 교육과학사 1998

      10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8

      11 이혜영,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2002

      12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2002

      13 이관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연구" 2 (2): 229-255, 1997

      14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연구" 2 (2): 229-255, 1997

      15 "인문계 고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1990

      16 이인효, "인문계 고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1990

      17 이인효,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 대백과사전 1998

      18 "교직문화,교육학 대백과사전" 교육학 대백과사전 1998

      19 "교직과 교사의 삶" 1993

      20 진동섭 역, "교직과 교사의 삶" 1993

      21 Lortie, "교직과 교사의 삶" 19751996

      22 오영재, "교단일기를 통해 본 중등교사들의 삶과 문화" 39 (39): 207-230, 2001

      23 "교단일기를 통해 본 중등교사들의 삶과 문화" 39 (39): 207-230, 2001

      24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5

      25 Lorti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5

      26 Boocock, "Sociology of Educati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0

      27 "Sociology of Educati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0

      28 "Schoolteacher:A Sociological Study,교직사회:교직과 교사의 삶" 1996

      29 "Life in the classroom" Inc 1968

      30 Jackson, "Life in the classroom" Inc 1968

      31 "Handbook of Reacher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990

      32 "Handbook of Reacher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990

      33 Gore, "Handbook of Reacher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990

      34 Burden, "Handbook of Reacher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9 0.71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