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교동의 鄕案 입록 전통과 향권 주도 성씨의 추이 = The Tradition of Kyodong Hyangan Regist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Regional Phase of the Power Shif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48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교동향교가 소장한 5종의 향안을 통해 조선후기 교동지역의 향안 작성과정을 전통과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재지사족의 명부인 향안은 당대의 향권 주도층의 명...

      본 논문은 현재 교동향교가 소장한 5종의 향안을 통해 조선후기 교동지역의 향안 작성과정을 전통과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재지사족의 명부인 향안은 당대의 향권 주도층의 명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동향안에 기재된 인물들의 성씨분포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교동지역의 향권 주도층의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다.
      17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교동 향안은 계승과 단절을 거치면서 그 전통을 잇고 있었다. 5종의 향안 가운데 3종은 향안1을 모본으로 작성되어 전통을 같이 하지만, 나머지 2종은 별도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교동지역에서 향안 입록을 둘러싼 신·구향의 갈등양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조선후기 교동지역의 재지사족은 안동전씨·온양방씨·청주한씨·창원황씨·안동권씨 등 5개 성씨가 주류를 형성하였다. 향안에 입록된 성씨의 분포에 따르면 17세기까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전·방씨가 향권을 장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8~19세에는 입록성씨의 분포가 변화되어 황·한씨가 두각을 나타내고, 특히 황씨가 향권의 주도세력으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향안자료를 통해 본 조선후기 교동의 향안입록전통은 섬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었고, 사족층은 강고한 배타적 특성을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hyangan (a list of student of the regional Confucian temple and school) preparation of Kyodong are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light of the local tradition of hyangan and its extinction thr...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hyangan (a list of student of the regional Confucian temple and school) preparation of Kyodong are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light of the local tradition of hyangan and its extin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five hyangan kept in Kyodong Hyaggyo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Hyangan is a list of local literary families, and it can also be read as a list of local authorities at the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hase of the power shift in Kyodong area by analyzing how personnels and their families registered in hyangan were changed at certain times.
      Kyodong Hyangan was made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7th century and mid 20th century. Three hyangan out of five hyangan were made after the tradition of hyangan 1 but the other two hyangan were made by different tradition. This difference can be an evidence of the regional conflict between old and new authoritative fac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five authoritative families in Kyodong area; Andong Joens, Onyang Bangs, Cheongju Hans, Changwon Hwangs, and Andong Kwons. In hyangan which were made till the end of 17th century, personnels from Andong Joens, Onyang Bangs were most distinctive so they must have had stronger authority at the time. However, among hyangan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heongju Hans, Changwon Hwangs stood out the most and the latter should have been the local authority of the time.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tradition of Kyodong Hyangan regist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presents the regional tradition of an island and the tradition lasted for a long time. It also shows the strong exclusivity of local literary famil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향안의 내용과 입록 전통
      • 3. 시기별 향권 주도 성씨
      • 4. 맺음말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향안의 내용과 입록 전통
      • 3. 시기별 향권 주도 성씨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향안1(03-문-1), 향안2(03-문-4), 향안3(03-문-5), 향안4(03-문-2), 향안5(03-문-3)"

      2 "한국근현대인물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정진영, "조선후기 향촌 양반사회의 지속성과 변화상(2)-안동 향안의 입록인물 검토" 38 : 2001

      4 정진영, "조선후기 향촌 양반사회의 지속성과 변화상(1)" 35 : 1999

      5 김무진, "조선시대 향약 및 향안조직에서의 의사결정구조" 32 : 2005

      6 김경옥, "조선시기 喬桐 사람들의 入島와 築筒·堤堰을 통한 토지개간" 도서문화연구원 (32) : 241-272, 2008

      7 김선주, "조선 후기 평안도 정주의 향안 운영과 양반문화" 역사학회 (185) : 65-105, 2005

      8 역주, "여지도서 강도부" 흐름 2009

      9 교동향토지편찬위원회, "교동향토지" 1995

      10 재인교동면민민회, "교동향토지" 1995

      1 "향안1(03-문-1), 향안2(03-문-4), 향안3(03-문-5), 향안4(03-문-2), 향안5(03-문-3)"

      2 "한국근현대인물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정진영, "조선후기 향촌 양반사회의 지속성과 변화상(2)-안동 향안의 입록인물 검토" 38 : 2001

      4 정진영, "조선후기 향촌 양반사회의 지속성과 변화상(1)" 35 : 1999

      5 김무진, "조선시대 향약 및 향안조직에서의 의사결정구조" 32 : 2005

      6 김경옥, "조선시기 喬桐 사람들의 入島와 築筒·堤堰을 통한 토지개간" 도서문화연구원 (32) : 241-272, 2008

      7 김선주, "조선 후기 평안도 정주의 향안 운영과 양반문화" 역사학회 (185) : 65-105, 2005

      8 역주, "여지도서 강도부" 흐름 2009

      9 교동향토지편찬위원회, "교동향토지" 1995

      10 재인교동면민민회, "교동향토지" 1995

      11 박광용, "강화학파의 인물과 사상" 황해문화 1996

      12 인천광역시․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강화군 역사자료 조사 보고서" 2000

      13 江都府, "輿地圖書"

      14 溫陽方氏大同譜編纂委員會, "溫陽方氏大同譜" 1981

      15 淸州韓氏參判公派譜編纂委員會, "淸州韓氏參判公派譜"

      16 洪在賢, "江都人物考"

      17 박진철, "朝鮮後期 鄕校의 靑衿儒生과 在地士族의 動向 ―羅州 『靑衿案』 分析을 中心으로―" 고려사학회 25 (25): 219-246, 2006

      18 黃氏世譜編纂委員會, "昌原(檜山)黃氏世譜" 1979

      19 安東權氏樞密公派大譜編纂委員會, "安東權氏樞密公派大譜"

      20 인천광역시립박물관, "喬桐鄕校 所藏資料 調査報告書" 2007

      21 黃奎烈, "喬桐史" 교동문화연구원 1995

      22 全氏甘泉君派譜編纂委員會, "全氏甘泉君派譜" 1981

      23 박현순, "17~18세기 禮安縣 士族社會와 鄕案院生案校生案" 한국고문서학회 30 : 57-9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