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위터 메시지 유형이 메시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 Content analysis in the impact of twitter message type on Receiver Respon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2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wo issues related with social media messages. At first, the authors investigate that how they can categorize messages in the social media and how corporate twitters and brand twitters communicate with consumers. Seco...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wo issues related with social media messages. At first, the authors investigate that how they can categorize messages in the social media and how corporate twitters and brand twitters communicate with consumers. Secondly, after dividing messages in the social media into several groups, the authors investigate how each type of messages differ one another in terms of the consumer response. For examining these research issues, the authors gather twitter message data of global top 100 brands and categorize messages into 5 types (i.e., interactivity, diversion, information sharing, promotional, content) based on the motivation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at of the messages. Especially, the authors us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which is normally used as the qualitative approach,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 of messages. Furthermore, the authors present interactivity type of messages can communicate better with consumers and induce more favorable responses from consumers in the social media than any other type of messages. This research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managerial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범, "화장품 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88-320, 2010

      2 윤승욱,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2) : 131-170, 2011

      3 홍재원, "인터넷에서의 확산에서 허브와 브로커의 경로구성원으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18 (18): 113-135, 2007

      4 한상만, "인터넷 정보확산의 성공과 실패에 미치는 사회적 네트워크 영향자의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1 (11): 73-96, 2009

      5 손진아, "인터넷 의류쇼핑에서 온라인 구전정보특성 중 방향성과동의성이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1 (31): 1157-1167, 2007

      6 김종현, "온라인상에서 기업이슈 생성 및 확산" 한국경영학회 14 (14): 81-104, 2010

      7 김지영,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 사용 후기 평가에 미치는 댓글의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7-45, 2010

      8 이원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44-79, 2011

      9 김종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163-186, 2012

      10 이재범, "블로그-트위터 매체 간 특성 차이 및 사용자 제품정보 처리와 평가차이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69-91, 2012

      1 이수범, "화장품 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88-320, 2010

      2 윤승욱,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2) : 131-170, 2011

      3 홍재원, "인터넷에서의 확산에서 허브와 브로커의 경로구성원으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18 (18): 113-135, 2007

      4 한상만, "인터넷 정보확산의 성공과 실패에 미치는 사회적 네트워크 영향자의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1 (11): 73-96, 2009

      5 손진아, "인터넷 의류쇼핑에서 온라인 구전정보특성 중 방향성과동의성이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1 (31): 1157-1167, 2007

      6 김종현, "온라인상에서 기업이슈 생성 및 확산" 한국경영학회 14 (14): 81-104, 2010

      7 김지영,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 사용 후기 평가에 미치는 댓글의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7-45, 2010

      8 이원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44-79, 2011

      9 김종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163-186, 2012

      10 이재범, "블로그-트위터 매체 간 특성 차이 및 사용자 제품정보 처리와 평가차이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69-91, 2012

      11 심재철, "브랜드 자산과 통합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미디어 시너지 효과" 한국PR학회 7 (7): 69-103, 2003

      12 이주양, "메시지 방향성과 유형이 SNS 구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29-135, 2013

      13 심성욱, "기호품 기업광고의 효과과정에서 메시지 유형 및 브랜드 변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4 (24): 75-98, 2013

      14 박성민, "기업의SNS 新활용방식" 삼성경제연구소 2011

      15 황장선, "기업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SNS: 한-미간 주요 기업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내용분석" 한국광고학회 24 (24): 143-178, 2013

      16 윤종훈, "e-CRM 구성요인이 e-쇼핑몰 고객만족과 웹사이트 재방문 및 e-구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7 (17): 63-82, 2008

      17 Hambrick, M. E., "Understanding professional athletes’ use of Twitter : A content analysis of athlete tweets" 3 (3): 454-471, 2010

      18 Kamins, Michael A., "Two-sided versus one-sided appeals: A cognitive perspective on argumentation, source derogation, and the effect of disconfirming trial on belief change" 29-39, 1987

      19 Hsieh, Hsiu-Fang,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5 (15): 1277-1288, 2005

      20 Fernandes, Juliana, "The writing on the wall : A content analysis of college students'Facebook groups for the 2008 presidential election" 13 (13): 653-675, 2010

      21 Johnson, N., "The state of corporate social media in 2011"

      22 Harrison-Walker, "The measurement of word-of-mouth communication and an investigation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commitment as potential antecedents" 4 (4): 60-75, 2001

      23 Edell, Julie A,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pictures in print advertisements" 45-61, 1983

      24 Neuendorf, Kimberly A.,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Sage 2002

      25 Lawrence, D., "The Global Social Media Check-up 2011" Burson-Marstellar 1-43, 2011

      26 조완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관계효익이 e-loyalty에 미치는 영향(소셜커머스에서 만족과 신뢰를 매개역할로)" 한국유통경영학회 15 (15): 73-86, 2012

      27 Morgan, David 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A guide to paths not taken" 3 (3): 112-121, 1993

      28 Garg, Rajiv, "Peer influence and information diffusion in online networks: An empirical analysis" 1-25, 2009

      29 Chatterjee, Patrali, "Online reviews : do consumers use them?" 28 : 129-133, 2001

      30 Gatti, Maıra, "Large-scale multi-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of microblogging-based online social network" 2013

      31 Kim, Hyoungshick, "Influential neighbours selection for information diffusion in online social networks" IEEE 2012

      32 Smith, Robert E., "How advertising can position a brand" 16 (16): 37-43, 1976

      33 Riffe, Daniel, "Diffusion of news of shuttle disaster : what role for emotional response?" 66 (66): 551-556, 1989

      34 Gantz, Walter, "Diffusion of news about the assassination of Olof Palme : A trans-continental, two-city comparison of the process" 2 (2): 197-210, 1987

      35 Rogers, Everett M, "Diffusion of innovations" Simon and Schuster 2010

      36 Cheung, Man Yee, "Credibility of electronic word-of-mouth : Informational and normative determinants of on-line consumer recommendations" 13 (13): 9-38, 2009

      37 Aral, Sinan, "Creating social contagion through viral product design : A randomized trial of peer influence in networks" 57 (57): 1623-1639, 2011

      38 Krippendorff, Klaus,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12

      39 Lombard, Matthew, "Content analysis in mass communication : Assessment and reporting of intercoder reliability" 28 (28): 587-604, 2002

      40 Downe Wamboldt, Barbara, "Content analysis :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13 (13): 313-321, 1992

      41 Barcus, Francis Earle, "Communications Content:Analysis of the Research, 1900-1958 (a Content Analysis of Content Analysis)" University of Illinois 1959

      42 Holbrook, Morris B., "Beyond attitude structure:Toward the informational determinants of attitude" 545-556, 1978

      43 Hayes, Andrew F., "Answering the call for a standard reliability measure for coding data" 1 (1): 77-89, 2007

      44 Marquez, F. T., "Advertising Content : Persuasion, Information or Intimidation?" 1977

      45 DONNA, L., "A new marketing paradigm for electronic commerce" 13 (13): 43-5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1 1.21 1.379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