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n K-beauty Service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0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for the K-beauty industry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situation. The data used the household trend survey and GDP from 06’ to 16’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cing fac...

      This study aims to propose for the K-beauty industry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situation. The data used the household trend survey and GDP from 06’ to 16’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expenditure on the K-beauty service industry per household resulted in the increase of expenditure on hair and beauty services and their goods when ordinary income decrease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hange of Engel’s coefficient. It was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beauty services account by income quintiles.The increase of the GNI had an effect on that of the consumption of K-beaut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beauty service industry is relevant to the items of households’ income and expenditure. Plans ar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national economic trends and consumption patter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 관련 소비실태를 분석하여 K뷰티 산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06‘-16’ 가계 동향조사 및 GDP 자료를 바탕으로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 관련 소비실태를 분석하여 K뷰티 산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06‘-16’ 가계 동향조사 및 GDP 자료를 바탕으로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구당 K-Beauty 관련 서비스 산업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 결과 이미용 서비스 소비지출과 위생 및 이미용용품 소비지출은 경상소득은 부(-)의 영향을 보여 엥겔지수의 변화와 유사한 소비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득분위별 이미용서비스 소비비중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는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 증가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K-Beauty 산업의 소비는 가계수지 영향요인들의 영향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기반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가 경제동향과 소비패턴을 고려한 근시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은혜, "서비스산업의 혁신활동 및 혁신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activity and performance in service industr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3

      2 서란주, "서비스산업 연구개발지출의 추이 및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보학회 17 (17): 25-46, 2017

      3 Ministry of Science, "Ten years lat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outh Korea" Jisikgonggam 2017

      4 M. S. Park, "Present state and implications of cooperation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major countrie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IET 2017

      5 R. S. Kim., "Policy Networks Analysis about Nurture of Beauty Industry" Hoseo University 2011

      6 KOTRA, "Overseas investment statistics (industry industry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s)" KOTRA

      7 "KOSIS"

      8 J. Y. Kim, "K-Beauty Boom Sustainability checks and suggestions" IBK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7

      9 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Committee, "For job creation for women Measur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Committee 2009

      10 S. R. Kim, "Education by income group-Welfare expenditure behavior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2012

      1 최은혜, "서비스산업의 혁신활동 및 혁신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activity and performance in service industr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3

      2 서란주, "서비스산업 연구개발지출의 추이 및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보학회 17 (17): 25-46, 2017

      3 Ministry of Science, "Ten years lat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outh Korea" Jisikgonggam 2017

      4 M. S. Park, "Present state and implications of cooperation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major countrie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IET 2017

      5 R. S. Kim., "Policy Networks Analysis about Nurture of Beauty Industry" Hoseo University 2011

      6 KOTRA, "Overseas investment statistics (industry industry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s)" KOTRA

      7 "KOSIS"

      8 J. Y. Kim, "K-Beauty Boom Sustainability checks and suggestions" IBK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7

      9 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Committee, "For job creation for women Measur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Committee 2009

      10 S. R. Kim, "Education by income group-Welfare expenditure behavior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2012

      11 "ECOS"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signated only for beauty theme(industry)" KHIDI 2011

      13 KOTRA Globalwindow, "Changes in the beauty market through wearables"

      14 Y. H. Lee, "Beauty service industry workers Study on labor" Woman labor law support center 2015

      15 S. J. Lee., "A study on the states and the prospects of the beauty waxing industry" Kwangwoon University 2015

      16 N. W. Kang.,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Beauty Industry" Hanyang University 2009

      17 K. S. Jeong., "A Study on Modern Beauty Art's Formation and Transition in Our country" 5 (5): 317-339, 1999

      18 김곡미,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뷰티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0) : 221-231,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