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슐라르의 흙(terre)의 상상력과 교육의 의미 = G. Bachelard's Imagination of the Earth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2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과 세계에 함께 존재하는 자연은 늘 변함없이 그 공간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사유하는 인간의 의식에 따라 그 가치가 시대마다 변화하였다. 기술 문명의 발달로 이룩된 시각이...

      인간과 세계에 함께 존재하는 자연은 늘 변함없이 그 공간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사유하는 인간의 의식에 따라 그 가치가 시대마다 변화하였다. 기술 문명의 발달로 이룩된 시각이미지의 과잉은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만을 제한적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실재적 자연으로부터 인간을 분리하였다.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가 균형을 이루어 함께 공존하는 삶에 대해 강조한다. 그에게 자연은 상상을 위한 원초적인 공간이며,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공간이다. 그는 자연의 대표적인 물질인 물, 불, 공기, 흙의 사원소를 중심으로 그의 상상력 이론의 토대를 마련한다. 흙은 자연적 원소 중 인간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 기반이 되는 물질이며 공간이다. 흙의 상상력은 내면에 숨겨져 있는 뿌리의 원형과 만나게 하는 상상력이며, 자연과의 교감 속에서 우리의 존재를 자각하고 각성하게 만드는 상상력이다. 즉 겉으로 보여지는 표면화된 속성에서 탈피하여 보이지 않는 내면을 조망하게 함으로써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을 넘어선 승화와 초월에 이르게 해주며, 자연이 주는 느림의 시간성 속에서 내밀의 휴식을 통해 느끼는 생명력과 자기 회복으로 개인의 실존뿐만 아니라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삶에 대해 통찰하게 만들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nature has always coexisted with humans, its value in human consciousness has changed over time. The excess of visual images achieved by technological civilization separated humans from real nature by limiting their recognition to visible bea...

      Although nature has always coexisted with humans, its value in human consciousness has changed over time. The excess of visual images achieved by technological civilization separated humans from real nature by limiting their recognition to visible beauty. The 20th-century French philosopher Gaston Bachelard emphasizes a life in which nature and humans coexist in balance. For him, nature is a primal space for imagination and a space that is the source of all energy. Emphasizing the four elements of matter, he lays the foundation for his theory of imagination, centered on the natural elements of water, fire, air, and earth (soil). Earth is a material, and space is the basis for human life among the natural elements. The imagination of earth is the imagination that allows us to meet the prototype of the root hidden inside, and it is he imagination that awakens, and in turn awakens our existence in communion with nature. In particular, it leads to sublimation and transcendence beyond visible beauty by viewing the invisible. In addition, it gives insight into not only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but also life coexisting with nature through the vitality and self-recovery from inner rest in the slow temporality of n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호, "흙과 건축: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과 흙의 이미지" 36 (36): 62-62, 1992

      2 Call, A. P, "휴식의 철학" 책읽는 귀족 2018

      3 Schnabel, U, "휴식" 걷는나무 2011

      4 Bachelard, G, "풍경" 열화당 1983

      5 Louv, R,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즐거운 상상 2007

      6 Carson, R., "자연, 그 경이로움에대하여" 에코리브르 2002

      7 Kellert, S. R, "잃어버린 본성을 찾아서" 글항아리 2015

      8 서울시교육청,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전환교육"

      9 Bollnow, O. F,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0 "위키백과"

      1 홍성호, "흙과 건축: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과 흙의 이미지" 36 (36): 62-62, 1992

      2 Call, A. P, "휴식의 철학" 책읽는 귀족 2018

      3 Schnabel, U, "휴식" 걷는나무 2011

      4 Bachelard, G, "풍경" 열화당 1983

      5 Louv, R,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즐거운 상상 2007

      6 Carson, R., "자연, 그 경이로움에대하여" 에코리브르 2002

      7 Kellert, S. R, "잃어버린 본성을 찾아서" 글항아리 2015

      8 서울시교육청,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전환교육"

      9 Bollnow, O. F,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0 "위키백과"

      11 이지훈, "예술과 연금술 : 바슐라르에 관한 깊고 느린 몽상" 창비 2004

      12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숲으로, 물길따라, 흙과 함께하는 생태 중심 인성교육 추진"

      13 Bennett, J., "생동하는 물질: 사물에 대한 정치생태학" 현실문화 2020

      14 Egan, K, "상상력을 활용하는교수법" 울력 2008

      15 박치완, "상상력과 문화콘텐츠 : 바슐라르와 뒤랑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16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05

      17 Egan, K, "상상력 교육:미래의 학교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2014

      18 Blake, W., "블레이크의 편지" 민음사 1996

      19 양지원, "바슐라르의 상상력과 이미지가어린이 상상력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과학교육연구소 57 (57): 64-78, 2018

      20 김윤재, "바슐라르의 대지의 시학에 나타난 상상력의 두 축" 동서사상연구소 (17) : 187-217, 2014

      21 곽광수, "바슐라르" 민음사 2010

      22 권오경, "물질적 상상력의 4원소 개념을 통해 본 시적 이미지의 표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1 (21): 49-61, 2020

      23 Bachelard, G, "물과 꿈" 문예출판사 2004

      24 Anderson, J, "문화‧장소‧흔적" 한울 2013

      25 Bachelard, G, "몽상의시학" 동문선 2007

      26 성창규, "땅에 관한 상상력 —바슐라르의 몽상으로 히니와 이재무의 시 읽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2) : 61-90, 2010

      27 Bachelard, G, "대지와 의지의 몽상" 삼성출판사 1992

      28 Bachelard, G,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16

      29 Heidegger, M, "기술과 전향" 서광사 1993

      30 Bachelard, G, "공기와 꿈" 이학사 2001

      31 Bachelard, G,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32 이찬규, "가스통 바슐라르의 질료적 상상력에 나타난 청각적 경험과 소리의 풍경" 한국프랑스학회 97 : 75-100, 2017

      33 이찬규, "가스통 바슐라르의 대지적 상상력과 심층생태학"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46) : 223-243, 2014

      34 May, R, "自我를잃어버린 현대인(現代人)" 문예출판사 1987

      35 Lane, J. F., "Towards a Poetics of Consumerism : Gaston Bachelard's ‘Material Imagination’and a Narratives of Post-War Modernisation" 17 (17): 19-34, 2006

      36 Merleau-Ponty, M.,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Followed by working note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8

      37 Steele, W. E., "Housing and the material imagination–earth, fire, air and water" 31 (31): 76-90, 2014

      38 양지원, "G. Bachelard의 “일상적 공간”의 교육적 의미: 이미지와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72) : 1-27, 2019

      39 The New York Times, "Earth Overshoot Day Is This Week"

      40 교육부, "2021업무계획 「함께 성장하는 포용사회, 내일을 열어가는 미래교육」" 19-,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