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Global Movement of Narrative based VR Moving Image Contents Productions and The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01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도에 영화 〈아바타〉의 세계시장 강타를 전후로 3D 영상의 세계적 관심은 뜨거웠고 대한민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3D 영상이 마치 차세대 영상시장을 대체할 유일한 포맷인 듯 전 세계...

      2009년도에 영화 〈아바타〉의 세계시장 강타를 전후로 3D 영상의 세계적 관심은 뜨거웠고 대한민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3D 영상이 마치 차세대 영상시장을 대체할 유일한 포맷인 듯 전 세계는 3D관련 장비와 시설에 대한 투자와 콘텐츠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로부터 불과 7년여가 지난 현재 3D를 거론하는 영상업계종사자는 극히 드물고 360도 3D VR을 거론하는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 페이스북(Facebook)의 창시자 마크 주커버그(Mark Zukerberg)가 VR 헤드셋 개발업체인 오큘러스(Oculus)를 이십억 달러라는 거금을 주고 인수한데에는 이유가 있다. 2015년도 중국의 VR업계 시장규모가 한화로 약 2618억 원이나 되는 데에도 이유가 있다.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열풍이 사그라졌다. 기업들은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할 차세대 영상시장이 필요한데 3D는 그것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은 이제 VR시장에 주목한다. VR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지 3D처럼 침체기를 맞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미래 영상시장점유를 위해서는 그것에 대비해야만 한다. 현재 스포츠, 게임, 쇼핑, 여행, 부동산, 건축, 의료 등의 분야에서 VR은 상당히 자리를 잡고 있고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도 내러티브를 베이스로 한 360도 VR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과 동반되는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한다. 그것을 위해 이 논문은 최신의 VR 촬영과 디스플레이장비의 소개와 함께 장단점을 기술하고 현재까지 제작된 내러티브베이스 VR콘텐츠의 결과분석을 토대로 무엇이 최선인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기술적인 대안은 기술의 진보와 개발이 선행되어야만 해결되는 것들도 있지만 현시점에서도 해결할 수 있는 연출적인 부분들이 있기에 그것들에 대해 짚어보고 미래 영상시장의 흐름에 대비하자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Up to Date VR Equipment and Their Pros and Cons
      • Ⅲ. Up to Date Narrative Based 360° VR Contents and the Problems They Face
      • Ⅳ.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 Ⅴ.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 Ⅱ. Up to Date VR Equipment and Their Pros and Cons
      • Ⅲ. Up to Date Narrative Based 360° VR Contents and the Problems They Face
      • Ⅳ.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 Ⅴ. Conclusion
      • Reference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ong Min Seo, "Your VR image is not true VR" Korean Economics

      2 Wikipedia, "Virtual reality" Wikimedia Foundation Inc.

      3 Jin Ah Shin, "Science, Four Cutting Edge Short Films" Newsis

      4 Suck Min Kang, "Korean Ocean in World’s Largest Dome Screen, Public Policy Broadcasting Service"

      5 Chris Welch, "Facebook buying Oculus VR for $2 billion" Vox Media

      6 Platum, "China’s VR Industry" Platum 2016

      1 Dong Min Seo, "Your VR image is not true VR" Korean Economics

      2 Wikipedia, "Virtual reality" Wikimedia Foundation Inc.

      3 Jin Ah Shin, "Science, Four Cutting Edge Short Films" Newsis

      4 Suck Min Kang, "Korean Ocean in World’s Largest Dome Screen, Public Policy Broadcasting Service"

      5 Chris Welch, "Facebook buying Oculus VR for $2 billion" Vox Media

      6 Platum, "China’s VR Industry" Platum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3-05-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영상기술학회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2 0.36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