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韓國) 서원(書院)의 립지(立地)와 경관(景觀)에 대한 독해(讀解) = Reading on the location and landscape of Korean Seow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28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서원의 案對 景觀을 독해하고, 서원 경관에 再現된 天人合一에 대한 해석을 추구하였다. 서원을 발전시킨 신유학은 서원 입지에 大自然과 一體가 된다는 知覺을 얻을...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서원의 案對 景觀을 독해하고, 서원 경관에 再現된 天人合一에 대한 해석을 추구하였다. 서원을 발전시킨 신유학은 서원 입지에 大自然과 一體가 된다는 知覺을 얻을 수 있는 경관을 요구하였다. 서원 설립자들은 입지의 자연지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안대 경관을 구성하고, 그 유교적 의미를 詩文과 記文으로 해석하였다. 한국의 서원 경관은 大自然과 一體感을 知覺할 수 있도록 自然性과 開放性을 중시하였다. 한국서원의 자연성과 개방성은 중국서원과 구별되는 한국서원의 固有性과 眞正性이라 할 수 있고, 이는 背山臨水· 前低後高의 構造로 표현된다. 한국서원의 입지 · 경관에서 지각된 新儒學의 仁은 각 서원의 입지 특성에 따라 다양한 景觀으로 再現되었다. 사례연구의 대상인 7개 한국 서원의 案對 景觀을 입지유형에 따라 野景· 山景· 江景· 漢景 등으로 분류하고, `天人合一의 仁`과 관련하여 解釋을 試圖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reading opposite landscape of representative Korean Seowon(書院) and interpreting representation of ren(仁) thought in Seowon landscape. The Neo-Confucianism, developing Seowon culture, demanded the landscapes, which allow c...

      This article deals with reading opposite landscape of representative Korean Seowon(書院) and interpreting representation of ren(仁) thought in Seowon landscape. The Neo-Confucianism, developing Seowon culture, demanded the landscapes, which allow commanding view for perception of `Being Oneness All things in the Universe(自然合一)`. The establishers of Korean Seowon constructed various opposite landscapes according wi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geography, and interpreted Confucian meaning with poem and documents. The neutrality and open structure were very important features of Korean Seowon. They are the uniqueness and authenticity of Korean Seowon distinguished from Chinese. The topographical character of Korean Seowon could be expressed `Back hill and front stream(背山臨水)` and `Low front and high back(前低後高)`. The perceived `Heaven and human beings in harmony as one(天人合一)` from each Korean Seowon was represented in various opposite landscapes. The opposite landscapes of seven Korean Seowons could be classified such as open field landscape, mountain landscape, river landscape, stream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locational type. The Confucian meaning of each opposite landscapes of seven Korean Seowons were sought understanding as various expressions of ren(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