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 교사 이야기 =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 in Small clas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on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46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에 근무 중인 교사의 유치원 교원능력 개발평가 참여경험에 따른 인식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교사들이 제안하는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에 근무 중인 교사의 유치원 교원능력 개발평가 참여경험에 따른 인식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교사들이 제안하는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현장안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도에 위치한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 담임교사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2018년 7월부터 관련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자료수집은 9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간 총 23회의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시간은 1회당 약 40-50분이 소요되었으며, 빈 교실이나 원무실 등 조용한 공간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면담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코딩-범주화-주제 도출’의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는 ‘평가참여자들의 동상이몽(同床異夢)’, ‘강요된 한단지보(邯鄲之步)’, ‘자강불식(自强不息)하는 소규모학급 교사들’의 모습으로 분석되었으며, 제도의 안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cause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while working in small clas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he stab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cause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while working in small clas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he stable measures on field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by looking at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by teachers. To achieve this goal, seven small class teac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G-do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related literature study from July, 2018,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23 individual interviews for about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The interview time was about 40-50 minutes per session, and it was conducted in a quiet space such as an empty classroom or a staffroom. And then after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 categorization – drawing a themes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was analyzed in forms of ‘Although they work together, they each have different thought(同床異夢) by participant’, ‘fored Handan’s step(邯鄲之步)-If a bird follows the stork, the crotch tears.’, ‘ceaseless endeavors(自强不息) of teachers in small clas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stabilize the system.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안나, "현행 교원평가의 실태와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유아교원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9 (49): 175-204, 2011

      2 윤종혁, "한국의 교육발전과 미래 교육혁신 전망: KEDI-WB 협력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김서연,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4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5 Seidman, I.,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6 교육부, "제4주기 유치원 평가 중앙연수"

      7 조부경,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선방안 연구" 교육부, 충청북도교육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4

      8 조부경,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선방안 연구" 교육부, 강원도교육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4

      9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10 송석례,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 김안나, "현행 교원평가의 실태와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유아교원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9 (49): 175-204, 2011

      2 윤종혁, "한국의 교육발전과 미래 교육혁신 전망: KEDI-WB 협력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김서연,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4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5 Seidman, I.,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6 교육부, "제4주기 유치원 평가 중앙연수"

      7 조부경,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선방안 연구" 교육부, 충청북도교육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4

      8 조부경,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선방안 연구" 교육부, 강원도교육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4

      9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10 송석례,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1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

      12 이석순,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유형 및 선호도" 10 (10): 155-175, 2006

      13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14 김경철,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초등교육연구원 21 (21): 67-83, 2010

      15 이영석,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소고 :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229-254, 2004

      16 김윤희,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5 (5): 60-87, 2017

      17 송미온, "원장과 원감의 유치원교원능력개발평가 참여 경험의 의미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11 (11): 29-56, 2017

      18 홍성우, "원격교원연수 제도 및 운영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권태형, "원격 연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0 이윤식, "외국 교사평가제도의 발전 동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99-145, 2006

      21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22 김이경, "성장중심 교사평가제 탐색: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3 (43): 157-183, 2005

      23 양정인, "동료교사 평가방법 및 절차 개선 요구 조사 연구 : 평가결과의 피드백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4 김지혜, "단일학급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25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6 이종재, "교원평가의 방향과 과제. 교사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교육학회 2004

      27 정수현, "교원의 전문성과 책무성에 근거한 교원평가제도의 타당성 평가"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409-434, 2008

      28 전제상,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29 김승태,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의 운영성과 분석:시범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0 (10): 187-217, 2011

      30 이용웅,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운영타당도, 결과만족도, 피드백수용도 및 교사자기개발동기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21-46, 2013

      31 윤영연,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2 심한숙,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국·공립 유치원 교원의 인식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3 주영효,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쟁점과 과제" 교육문제연구소 30 (30): 203-226, 2017

      34 신미영, "교원능력개발평가 평가지표의 타당도와 적절성에 대한 공립유치원교사들의 인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5 원효헌,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타당성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3 (23): 673-683, 2011

      36 이경호,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43-68, 2010

      37 김도기,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원칙의 비판적 검토: 교직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343-367, 2008

      38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실태 분석:대구지역 교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27-653, 2012

      39 김이경, "교원 자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 2008

      40 이수정, "교사평가의 질 관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41 오선주, "교사로서의 자기 성장 사례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2 오진환, "교사능력개발평가제의 쟁점에 관한 교원 및 학부모의 인식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43 김옥예,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39-160, 2006

      44 옥도경, "교사 전문성과 교사 헌신이 학생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45 오욱환,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교육과학사 2006

      46 이유진,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가 직무수행에서 갖는 어려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7 장지영, "공립병설유치원 교사의 보람과 어려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8 장연주, "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원능력개발평가 이야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271-298, 2016

      49 이혜정,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77-102, 2010

      50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Aldine 1967

      51 Saldaña, J.,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Sage 2013

      52 Ainley, J.,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8 Conceptual Framework" OECD Publishing 2018

      53 Kraft, M. A., "Revisiting The Widget Effect : Teacher Evaluation Reforms and the Distribution of Teacher Effectiveness" 46 (46): 234-249, 2017

      54 경기도교육청, "2018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교사용 매뉴얼"

      55 김경철, "2017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제 기반조성 연구" 교육부, 충청남도교육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8

      56 김경철, "2016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제 기반조성 연구" 교육부, 충청남도교육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