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뭄관리 종합대책 수립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counterplan for drought, the drought management system must be made when drought occur and the sustainable and comprehensive plan, the drought protection and management, must establish. Terms for the drought management s...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counterplan for drought, the drought management system must be made when drought occur and the sustainable and comprehensive plan, the drought protection and management, must establish. Terms for the drought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are the understanding of drought situation, the presentation of the operation improvement plan which is related to the water supply system during drought, the plan of the drought early warning system establishment and the plan of the long-term and short-term drought managements, etc. Considering the agricultural damages during drought, it is second to the damages during flood. Anytime we have undergone difficulty which is related to the scarcity of water. Severe drought tends to occur in almost every five years in Korea. Drought responses have been well operat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the water management authorities o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However, the responses are usually post-activities to a drought event. The responses often face difficulties in operating and managing process due to an absence of a drought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 trigg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t up drought triggers through a time-spatial interpretation of drought index and the government responses during historical drought events. Drought trigger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dvisory, watch, warning and emergency stage. The range and drought-impacted area of an each stage in triggers have been addressed using drought index. Furthermore, a web-based drought monitoring system is illustrated. Also, the water supply capacity index is made in this study and the operation improvement plan against drought is examined which is based on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뭄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가뭄발생시 실효성 있는 가뭄관리 체제를 구축하여 항구적이고 종합적인 가뭄예방 및 관리대책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가뭄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가뭄발생시 실효성 있는 가뭄관리 체제를 구축하여 항구적이고 종합적인 가뭄예방 및 관리대책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뭄관리체제 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조건들은 가뭄현황의 파악, 가뭄대비 물 공급시설의 운영개선방안제시, 가뭄예경보 체계 구축방안 및 장단기 가뭄관리대책(안) 등이 있다. 가뭄은 농업적 피해액만을 고려해도 우리나라에서 홍수 다음으로 큰 피해를 유발시키는 자연재해이며, 시대를 막론하고 용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어 왔다. 우리나라는 거의 5년마다 심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고 과거에 발생한 많은 가뭄의 경험으로 제도적 측면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물 관리기관의 제휴에 의하여 원활한 가뭄대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가뭄 대책은 가뭄이 심하게 진행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은 체계적인 가뭄 모니터링과 가뭄단계 기준의 미비에서 찾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의 시공간적인 해석과 과거 정부의 가뭄대책을 통하여 경보를 위한 가뭄단계 기준을 설정하였다. 가뭄단계는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의 4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에 해당되는 가뭄지수의 범위 및 가뭄면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Web 기반으로 개발된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또한 물공급시설의 용수공급 능력을 바탕으로 물공급가능지수를 개발하여 가뭄대비 운영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1 연구배경
      • 1.1.1 의의 및 필요성
      • 1.1.2 현안 문제점
      • 1.1.3 기대효과
      • 제1장 서론
      • 1.1 연구배경
      • 1.1.1 의의 및 필요성
      • 1.1.2 현안 문제점
      • 1.1.3 기대효과
      • 1.2 기본방향
      • 1.3 과거 가뭄 관련 과업 조사 및 연구 성과
      • 1.4 자연재해 유형 및 피해 규모
      • 1.4.1 자연재해의 분류
      • 1.4.2 가뭄에 의한 피해 양상
      • 1.4.3 가뭄과 다른 자연재해와의 피해 규모 비교
      • 제2장 국내외 가뭄발생 현황
      • 2.1 가뭄의 정의 및 구분
      • 2.1.1 가뭄의 정의
      • 2.1.2 가뭄의 구분
      • 2.2 우리나라 가뭄발생 원인
      • 2.2.1 자연적인 가뭄 발생 원인
      • 2.2.2 인위적인 가뭄 발생 원인
      • 2.3 국내 가뭄발생 현황
      • 2.3.1 과거 주요 가뭄년
      • 2.3.2 과거 극심가뭄의 가뭄현황 공간분포
      • 2.3.3 시대별 가뭄 현황
      • 2.3.4 국내 가뭄 피해 현황
      • 2.4 국외 가뭄발생 현황
      • 2.4.1 세계 주요 가뭄발생 현황
      • 2.4.2 국가별 가뭄발생 현황
      • 제3장 가뭄우심지역 선정 및 가뭄민감도 분석
      • 3.1 가뭄평가 기법
      • 3.2 가뭄지수 산정
      • 3.2.1 가뭄지수 산정 방법
      • 3.2.2 가뭄지수 산정 결과
      • 3.3 가뭄심도 산정 방법 제시
      • 3.4 가뭄민감도에 따른 우심지역 선정
      • 3.4.1 기상학적 가뭄우심지역
      • 3.4.2 가뭄피해에 의한 가뭄우심지역
      • 3.4.3 용수 공급 시설에 의한 가뭄우심지역
      • 3.4.4 가뭄지수에 의한 최근 가뭄의 특성
      • 제4장 물 공급시설별 용수공급능력 분석
      • 4.1 물 공급시설별 운영현황
      • 4.1.1 용수공급 시설현황
      • 4.1.2 댐 운영 현황
      • 4.1.3 광역 용수 시설
      • 4.1.4 물 공급시설의 운영 기준
      • 4.1.5 갈수기 댐 운영 실태
      • 4.1.6 가뭄발생시 물공급시설의 기여도 평가
      • 4.2 가뭄발생시 비상용수원 개발 현황
      • 4.2.1 비상용수원 일반 현황
      • 4.2.2 과거 가뭄시 비상용수원 개발 현황
      • 제5장 가뭄대비 물공급시설 운영개선 방안
      • 5.1 용수공급 우선순위
      • 5.1.1 용도별 우선순위
      • 5.1.2 가뭄시 용수공급 우선순위 결정 방안 제시
      • 5.2 가뭄예·경보 기준 설정
      • 5.2.1 가뭄 지표에 의한 가뭄단계 설정 방법
      • 5.2.2 국내 가뭄단계 및 가뭄기준 설정
      • 5.3 물공급시설 운영개선 방안
      • 5.3.1 가뭄지수와 다목적댐 저수율의 비교·평가
      • 5.3.2 물공급 가능지수의 개발
      • 제6장 가뭄의 경제적 손실추정기법 개발 및 평가
      • 6.1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6.1.1 가뭄발생에 따른 사회, 경제, 환경적인 요소 파악
      • 6.1.2 물의 가치개념
      • 6.1.3 수자원 이용의 물리적 특수성과 가치측정
      • 6.1.4 수자원 가치측정에서 고려해야 할 경제적 특성
      • 6.1.5 시장가격이 존재하지 않거나 시장실패가 있을 때의 가치측정
      • 6.2 가뭄의 경제적 손실 추정기법(안) 제시
      • 6.2.1 도시용 물의 손실추정
      • 6.2.2 농업용수의 손실추정
      • 6.2.3 산업용 물의 손실추정
      • 6.2.4 레저용 물의 손실추정
      • 제7장 국내외 가뭄관리 계획 조사
      • 7.1 기관별 가뭄대책 추진현황 평가
      • 7.1.1 기관별 가뭄관련 주요 업무
      • 7.1.2 최근 가뭄 기간의 가뭄대책 추진 현황
      • 7.2 국외 가뭄계획 수립체계 조사·분석
      • 7.2.1 국외 가뭄관리 현황
      • 7.2.2 외국의 가뭄 평가 방법과 적용 현황 분석
      • 7.2.3 외국에서 적용된 가뭄지표의 국내 적용성 검토
      • 7.3 가뭄대책 개선방향 제시
      • 제8장 장단기 가뭄관리종합 대책(안) 제시
      • 8.1 가뭄관리(예·경보 등) 체계 구축방안 수립
      • 8.1.1 가뭄관리를 위한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수립
      • 8.1.2 국가가뭄관리 시스템의 구축 방안
      • 8.2 가뭄 관리 대책(안) 제시
      • 8.2.1 가뭄관련 법령 및 제도 개선
      • 8.2.2 통합급수체계 구축
      • 8.2.3 가뭄 위험 요인 해소
      • 8.2.4 가뭄관련조직의 전문화 및 연구기능 강화
      • 8.2.5 가뭄예측과 가뭄관리능력 강화
      • 8.2.6 가뭄정보의 신속한 전달체제 구축
      • 8.2.7 범국민적 가뭄 대응체제 구축
      • 8.2.8 항구적 가뭄대책의 신속한 추진
      • 제9장 결론 및 제언
      • 9.1 결론
      • 9.2 제언
      • ■ 참고문헌
      • 부록
      • 부록 1. 과거 가뭄 발생 현황 기록
      • 부록 2. 1970년 이전 강우량 정리 및 보완
      • 부록 3. 과거 대가뭄년의 예년대비 강수량 공간분포
      • 부록 4. 최근 가뭄시 제한급수지역
      • 부록 5. 과거 가뭄지수 산정 결과
      • 부록 6. 다목적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 부록 7. 다목적댐 저수율과 가뭄지수 상관도
      • 부록 8. 다목적댐 물공급 지수 산정 결과
      • 부록 9. 가뭄정보 Web Site의 소개
      • 부록 10. 자문위원 의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