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남자(淮南子)』의 음양오행 사상과 명리학의 연관성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0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회남자』는 중국 한대(漢代) 초기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한무제(漢武帝)에게 헌상한 책으로서, 제자백가 사상이 집결된 백과사전적인 작품이다. 『회남자』의 사상 배경은 황로...

      『회남자』는 중국 한대(漢代) 초기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한무제(漢武帝)에게 헌상한 책으로서, 제자백가 사상이 집결된 백과사전적인 작품이다.
      『회남자』의 사상 배경은 황로학(黃老學)이고, 황로학의 중심사상은 황제(黃帝)사상과 노자(老子)사상이다. 그러나 황로사상의 저변에는 기화우주론(氣化宇宙論)·천인감응론(天人感應論)과 더불어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 전국 말기부터 성행하던 음양오행사상이 한대 초기에는 정치·사회·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이 음양오행 사상을 발전할 수 있게 하였다.
      『회남자에 내재된 음양오행 관념은 이미 성숙하여 자연현상으로서의 음양오행의 범주를 넘어 정령(政令)이나 제도(制度) 등을 시행할 때 통치 활동의 방편으로서 활용되었고, 우주간의 사물을 분류하고 구분할 때 유비체계(類比體系)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사주명리(四柱命理)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사주팔자(四柱八字)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건이 먼저 준비되어야 한다. 『회남자』에서 천간(天干)·지지(地支)가 오행에 배속됨으로써 간지(干支)가 술수적(術數的)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육십갑자(六十甲子) 간지력(干支曆)의 확립으로 사주팔자를 정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 해의 시작이 되고 명조(命造)구성의 기준이 되는 인월세수(寅月歲首)가 정해짐에 따라 사주팔자를 성립하는 바탕이 마련되었고, 24절기(節氣)의 완성으로 월주(月柱)를 세우고 조후(調候)를 판단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사주명리의 구성 기반이 확립되었다.
      그리고 음양오행 이론이 정립되어야 올바른 간명(看命)을 할 수 있다. 『회남자』에서 오행의 상생(相生)·상극(相剋) 관계가 완성되었고, 현대명리학과 상이한 부분이 다소 있으나 지지(地支)의 합충(合沖) 관계가 언급되었으며,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와 12운성법(運星法)을 통하여 오행의 성쇠(盛衰)를 논하였고, 간지의 생극(生剋) 관계에서 오행의 길흉(吉凶) 등을 설명함으로써 제반 음양오행 이론이 『회남자』에서 만들어져 산명(算命)의 기틀이 성립되었다.
      『회남자』의 음양오행 이론이 현대명리학의 이론과 대부분 일치한다. 그러나 육합(六合) 부분에서 인신(寅申)·묘유(卯酉)·진술(辰戌)·사해(巳亥)·자오(子午)·축미(丑未)를 『회남자』에서는 육합이라 칭하고 현대명리학에서는 육충(六沖)이라 칭한다. 그리고 지지(地支) 삼합(三合) 이론에서 현대명리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오술인(午戌寅) 합토(合土)를 첨입하였는데, 이론적으로도 다른 삼합과 모순이 있다. 이는 한대 초기 토를 중시하는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회남자』의 시대적·사상적 배경
      • 3. 『회남자』에 내재된 음양오행 관념
      • 4. 『회남자』의 음양오행 사상과 명리학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회남자』의 시대적·사상적 배경
      • 3. 『회남자』에 내재된 음양오행 관념
      • 4. 『회남자』의 음양오행 사상과 명리학
      • 5. 맺음말
      • 참고문헌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關賢柱, "呂氏春秋全譯" 貴州人民出版社 1990

      2 "呂氏春秋"

      3 성백효,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1

      4 "論語"

      5 이석명, "회남자 1,2" 소망출판 2013

      6 김성환, "회남자" 살림 2010

      7 이석명, "회남자" 사계절 2012

      8 김만태,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 안동대학교 2010

      9 김만태, "한국 사주 명리 연구" 민속원 2011

      10 김근, "여씨춘추" 글항아리 2012

      1 關賢柱, "呂氏春秋全譯" 貴州人民出版社 1990

      2 "呂氏春秋"

      3 성백효,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1

      4 "論語"

      5 이석명, "회남자 1,2" 소망출판 2013

      6 김성환, "회남자" 살림 2010

      7 이석명, "회남자" 사계절 2012

      8 김만태,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 안동대학교 2010

      9 김만태, "한국 사주 명리 연구" 민속원 2011

      10 김근, "여씨춘추" 글항아리 2012

      11 홍성국, "사주 궁합의 비밀을 밝힌다" 한솜 2010

      12 신정근, "백호통의" 소망출판 2005

      13 "管子"

      14 "白虎通"

      15 劉文典, "淮南洪烈集解" 中華書局出版 1989

      16 劉康德, "淮南子鑑賞辭典" 上海辭書出版社 2002

      17 許匡一, "淮南子全譯" 贵州人民出版社 1993

      18 馬慶洲, "淮南子今注" 鳳凰出版社 2013

      19 안길환, "淮南子 上,中,下" 명문당 2001

      20 "淮南子"

      21 "書經"

      22 문재곤, "時의 철학" 예문지 1993

      23 김만태, "地支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地支合 연구" 철학연구소 31 : 205-241, 2012

      24 林啓彦, "中國學術思想史" 香港敎育圖書公司 1990

      25 이석명, "『회남자』의 時令사상과 음양오행론" 대동문화연구원 (70) : 133-159, 2010

      26 李錫明, "『淮南子』의 無爲論 硏究 : 道事竝重의 理論體系를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1997

      27 윤찬원, "『淮南子』 에 있어서 道家的 契機와 道敎的 契機"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7 : 1989

      28 김동천, "《淮南子》의 ‘原道論’과 ‘經世論’ 연구" 서강대학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66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