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the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of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9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시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시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이다. 연구는 사전검사,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순으로 총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8주 16회 실시한 결과,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추론 모두 실시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점차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며,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재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children s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children s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8 students ages 5 of the H kindergarten in D city.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wee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move on to moral behavior. Seco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can help young children be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ecome creativity-character pers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미, "활동중심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 중학교 도덕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조은혜,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도덕과 중심의 융합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3 김은숙, "초등 도덕과에서 인성교육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이영미, "창의적인 모둠대화 활동을 통한 도덕수업 활성화"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조이현, "창의적 체험활동과 고등학교 도덕교육과의 연계 가능성 고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 방안" 교육과학 기술부 2009

      7 최현주,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위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5, 2017

      8 주소영,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도덕, 영어 통합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9 이인재, "창의,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지능의 함양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2010

      10 최순호,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11 서현정,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173-203, 2018

      12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길잡이"

      13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SD) 국가 보고서 작성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3

      14 조창현, "지속가능발전 추진동향과 정부의 대응방향: 향후 Post-2015 SDG의 맥락에서"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8 (8): 217-254, 2015

      15 이주희,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도덕교과 활용"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6 박선영, "인성발달을 위한 미술교과와 도덕교과의 통합교육 지도방안연구 : 중학교 2학년 시각문화수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17 고려진, "인성교육을 위한 한문-도덕 연계수업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이상리, "인성교육을 위한 중학교 2학년 음악-도덕 통합 수업지도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김보림,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0 이종태, "인간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 18 : 99-123, 1997

      21 문용린, "이제는 창의·인성교육이다"

      22 박찬옥, "유치원 도덕교육의 방향모색" 14 (14): 51-73, 1994

      23 柳七善, "유아의 친사회성 증진을 위한 토론수업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4 홍용희, "유아의 도덕적 갈등 상황에 대한 토의 : 인간의 마음과 상황-내-공동존재에 대한 탐구 및 이해의 증진" 20 (20): 145-174, 2000

      25 환경부, "유아교사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4

      26 김선혜,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27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우리 공동의 미래" 새물결 2005

      28 李玉慶,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과 친사회적 행동"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29 윤지영, "아동의 도덕 판단능력과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30 박희숙, "사회도덕적 규칙체계에 따른 아동의 정서발달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31 박정숙, "도덕적 갈등상황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훈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32 김명진, "도덕교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33 김명희, "도덕과의 대화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창의력 함양"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4 박다인, "도덕과에서의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5 최윤정,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6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37 김정준, "가설적 갈등상황의 토의가 유아의 도덕적 추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분배 정의 추론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38 柳勝姬, "眺望受容과 感情移入이 兒童의 親社會的 行動에 미치는 影響" 曉星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39 UNESCO,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2005

      40 Pramling-Samuelsson, I.,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UNESCO 9-17, 2008

      41 Eisenberg-Berg, 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reasoning about prosocial moral conflicts to prosocial behavior" 50 (50): 356-363, 1979

      42 Eisenberg-Berg, N., "Prosocial development in middle childhood : A Longitudinal study" 23 : 712-718, 1987

      43 Eisenberg-Berg, N., "Prosocial development : A Longitudinal study" 19 : 846-855, 1983

      44 Hersh, R. H., "Models of Moral Education" Longman, Inc 1980

      45 Astington, J. W., "Children's theories of mind" Erlbaum 1991

      46 Eisenberg-Berg, N., "Children's Moral Reasoning about Self and Others" 7 (7): 17-23,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