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와 호계서원의 대응 =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response of Hogye Seowon(虎溪書院)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6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gye Seowon, one of the Andong's representative Confucian academies, served as the center of the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fter Ki...

      Hogye Seowon, one of the Andong's representative Confucian academies, served as the center of the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fter Kim Seong-il(⾦誠一), the writers who inherited the academic line that led to Lee Sang-jeong(李象靖) and Ryu Chi-myeong(柳致明) established their identity based on the academic mission and superiority of continuing the Toegye academic line. They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by leading lectures centered on Hogye Seowon and expanded their personal network. Based on this, in the late 19th century, a campaign against Seowon demolition was launched to protect Neo-Confucianism in response to the domestic crisis of the Seowon demolition, the spread of Catholicism, and an armed conflict with foreign powers. Furthermore, it led an organized and united movement called Cheoksa(斥邪) Maninso(萬人疏) against the situation in which trade with Japan and the West became a reality and threatened Christianity. When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issued in 1895,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organized and led the righteous army and expressed their theory of Cheoksa as an active resistance movement using force.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t the center of all these processes.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n academic pride to them and became a human and material basis.
      In the late 19th century,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could not resist the ordeal of demolition. However, the scholarship and spirit that continued through Hogye Seowon still had a great influence on Yeongnam Confucian scholars and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호계서원은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에 대응한 영남유림의 활동에서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김성일 이후 이상정-류치명으로 이어진 학맥을 계승한 ...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호계서원은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에 대응한 영남유림의 활동에서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김성일 이후 이상정-류치명으로 이어진 학맥을 계승한 문인들은 퇴계학맥의 적전을 잇는다는 학문적 사명감과 우월감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들은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한 강회를 주도하며 결속력을 다졌고, 인적 관계망을 확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9세기 후반 서원훼철이라는 국내적 위기와 천주교 확산 및 외세와의 무력 충돌이라는 국외적 위기에 대응해 정학의 수호를 위한 서원훼철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일본 및 서양과의 통상이 현실이 되고, 기독교까지 위협해 오는 상황에 맞서 척사만인소라는 조직적이고 단합된 운동을 이끌어갔다.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지자 영남유림은 의병을 조직하고 이끌어가며 그들의 척사론을 무력을 동원한 적극적인 저항운동으로 표출하였다.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호계서원이 있었다. 호계서원은 그들에게 학문적 자긍심이었으며, 인적・물적 기반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호계서원은 훼철이라는 시련을 거스를 수 없었다. 그러나 호계서원을 통해 이어진 학문과 정신은 여전히 영남 유림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20세기 독립운동으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