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족근관 증후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2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족근관은 내과와 종골을 연결하는 굴건 지대 아래 쪽에 존재하는 터널로 후경골건, 장족지 굴곡건, 후경골 동정맥, 후경골 신경 및 장무지 굴곡건이 지나가는 구조물이다. 족근관 증후군은 ...

      족근관은 내과와 종골을 연결하는 굴건 지대 아래 쪽에 존재하는 터널로 후경골건, 장족지 굴곡건, 후경골 동정맥, 후경골 신경 및 장무지 굴곡건이 지나가는 구조물이다. 족근관 증후군은 족근관 내에서 후경골 신경 및 신경 분지가 압박되어 발생하는 일종의 압박성신경 증후군이다. 족근관 증후군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공간 점유 병소, 비후된 굴건 지대, 골극, 족근골 결합증, 정맥류 및 외상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족부 내측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압박되는 신경 분지에 따라서 감각 저하나 이상 감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자세한 병력 청취 및 내과 아래의 압박 검사 등의 신체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결절종, 지방종 및 신경종 등과 같은 공간 점유 병소가 있는 경우는 초음파나 자기공명영상이 도움을 준다. 신경 근전도 검사가 이환된 신경 분지를 구분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신경 근전도 검사가 음성이라고 하여 족근관 증후군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가 가장 중요한 진단의 기준이 된다. 치료로는 물리 치료, 야간 부목 고정술,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등의 보존적인 치료가 우선 권장되나 증상의 완화가 관찰되지 않을 때에는 수술적인 감압술이 추천된다. 수술적인 치료 결과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나 젊은 환자에서 종물에 의해 발생한 경우 조기에 수술적인 처치를 시행하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arsal tunnel is located beneath the flexor retinaculum, which connects the medial malleolus and calacaneus. The tarsal tunnel contains the posterior tibialis tendon, flexor digitorum longus tendon, posterior tibial artery and vein, posterior tibi...

      The tarsal tunnel is located beneath the flexor retinaculum, which connects the medial malleolus and calacaneus. The tarsal tunnel contains the posterior tibialis tendon, flexor digitorum longus tendon, posterior tibial artery and vein, posterior tibial nerve, and flexor halluces longus tendon. Tarsal tunnel syndrome is a compressive neuropathy of posterior tibial nerve and its branches under the flexor retinaculum. The etiologies of tarsal tunnel syndrome are space-occupying lesion, hypertrophied flexor retinaculum, osteophytes, tarsal coalition, varicose vein, and trauma. The symptoms are foot pain and hypoesthesia or paresthesia at dermatome according to involving nerve branches. Clinical diagnosis can be obtained from a detailed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such as compressive test at the tarsal tunnel area.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reveal the space-occupying lesion, such as ganglion, lipoma, and neuroma. The initial treatments of tarsal tunnel syndrome are conservative management, such as physical therapy, night splint, and steroid injection. Surgical decompression is indicated after failure of conservative managements. Variabl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have been reported. Favorable result after decompression could be obtained from young patients, early onset symptoms, and space-occupying le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족근관의 해부학
      • 족근관 증후군의 원인
      • 진단
      • 치료
      • 서론
      • 족근관의 해부학
      • 족근관 증후군의 원인
      • 진단
      • 치료
      •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영, "후경골 신경에서 기인한 신경초종의 재발로 발생한 족근관 증후군"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8 (18): 36-39, 2014

      2 Havel PE, "Tibial nerve branching in the tarsal tunnel" 9 : 117-119, 1988

      3 Keck C, "The tarsal-tunnel syndrome" 44 : 180-182, 1962

      4 Edwards WG, "The tarsal tunnel syndrome. Diagnosis and treatment" 207 : 716-720, 1969

      5 Heimkes B, "The proximal and distal tarsal tunnel syndromes. An anatomical study" 11 : 193-196, 1987

      6 정현진, "The Usefulness of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the Evaluation of Tarsal Tunnel Syndrome" 대한영상의학회 66 (66): 183-192, 2012

      7 Takakura Y, "Tarsal tunnel syndrome. Causes and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73 : 125-128, 1991

      8 Kinoshita M, "Tarsal tunnel syndrome in athletes" 34 : 1307-1312, 2006

      9 Machiels F, "Tarsal tunnel syndrome : ultrasonographic and MRI features" 82 : 49-50, 1999

      10 Bailie DS, "Tarsal tunnel syndrome : diagnosis, surgical technique, and functional outcome" 19 : 65-72, 1998

      1 김재영, "후경골 신경에서 기인한 신경초종의 재발로 발생한 족근관 증후군"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8 (18): 36-39, 2014

      2 Havel PE, "Tibial nerve branching in the tarsal tunnel" 9 : 117-119, 1988

      3 Keck C, "The tarsal-tunnel syndrome" 44 : 180-182, 1962

      4 Edwards WG, "The tarsal tunnel syndrome. Diagnosis and treatment" 207 : 716-720, 1969

      5 Heimkes B, "The proximal and distal tarsal tunnel syndromes. An anatomical study" 11 : 193-196, 1987

      6 정현진, "The Usefulness of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the Evaluation of Tarsal Tunnel Syndrome" 대한영상의학회 66 (66): 183-192, 2012

      7 Takakura Y, "Tarsal tunnel syndrome. Causes and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73 : 125-128, 1991

      8 Kinoshita M, "Tarsal tunnel syndrome in athletes" 34 : 1307-1312, 2006

      9 Machiels F, "Tarsal tunnel syndrome : ultrasonographic and MRI features" 82 : 49-50, 1999

      10 Bailie DS, "Tarsal tunnel syndrome : diagnosis, surgical technique, and functional outcome" 19 : 65-72, 1998

      11 Lau JT, "Tarsal tunnel syndrom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 : 201-209, 1999

      12 Ahmad M, "Tarsal tunnel syndrome : a literature review" 18 : 149-152, 2012

      13 Franson J, "Tarsal tunnel syndrome : a compression neuropathy involving four distinct tunnels" 23 : 597-609, 2006

      14 Radin EL, "Tarsal tunnel syndrome" 181 : 167-170, 1983

      15 Ahn JH, "Surgical treatment of tarsal tunnel syndrome" 11 : 187-191, 2007

      16 Alshami AM, "Strain in the tibial and plantar nerves with foot and ankle movements and the influence of adjacent joint positions" 24 : 368-376, 2008

      17 Sung KS, "Short-term operative outcome of tarsal tunnel syndrome due to benign space-occupying lesions" 30 : 741-745, 2009

      18 Bazaz R, "Results of endoscopic plantar fascia release" 28 : 549-556, 2007

      19 Baylan SP, "Prevalence of the tarsal tunnel syndrome in rheumatoid arthritis" 20 : 148-150, 1981

      20 Sammarco GJ, "Outcome of surgical treatment of tarsal tunnel syndrome" 24 : 125-131, 2003

      21 Hofmeister EP, "Endoscopic plantar fascia release : an anatomical study" 16 : 719-723, 1995

      22 Reeve F, "Endoscopic plantar fascia release : a cross-sectional anatomic study" 18 : 398-401, 1997

      23 Reed SC, "Compression of the deep branch of the peroneal nerve by the extensor hallucis brevis muscle : a variation of the anterior tarsal tunnel syndrome" 38 : 545-546, 1995

      24 Skalley TC, "Clinical results following revision tibial nerve release" 15 : 360-367, 1994

      25 Pfeiffer WH, "Clinical results after tarsal tunnel decompression" 76 : 1222-1230, 1994

      26 Lam SJ, "A tarsal-tunnel syndrome" 2 : 1354-1355, 1962

      27 Nekoroski T, "A recombinant human hyaluronidase sustained release gel for the treatment of post-surgical edema" 53 : 777-785,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