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데릭 저먼의 정원에 대한 시공간적(時空間的) 해석 =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Interpretation of Derek Jarman's Gard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0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정원 공간에 내재된 시간의 다원성에 대해 역대 시공간 이론을 다루면서 정원 공간에 적합한 시공간 이론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이론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데릭 저먼의...

      본고는 정원 공간에 내재된 시간의 다원성에 대해 역대 시공간 이론을 다루면서 정원 공간에 적합한 시공간 이론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이론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데릭 저먼의 정원을 대상으로 정원 공간의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 정원 공간의 내밀성을 분석하였다. 정원 공간에 속하는 시간을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으로 구분하였는데, 객관적인 시간은 생태적인 시간, 즉 지속성을 갖는 양화된 시간을 말하는 것이고, 주관적인 시간은 인간 주체의 의식에 따라 변하는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인간 주체의 감각에 의해 감정화된 시간도 포함한다. 우선 객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에 대해 해석하였다. 객관적인 시간 안에서 정원의 현재 공간 속에 저먼 개인의 감정에 따라 정원은 하나의 감성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공간의 다층적인 속성을 보인다. 따라서 객관적인 시간 속에 존재하는 정원 공간은 결국 객관적이지 않고 인간 주체의 능동적인 감수에 따라 변모한다. 다음으로 주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을 고찰하였다. 저먼의 추억 속에 잠긴 정원 공간과 미래의 허상 속에서 연출되는 정원 공간은 저먼의 상상이나 자각에 따라 풍부한 의미를 내포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시간 속에서 정원 공간은 저먼의 의식에 따라 변모한다. 이상 연구를 통해 시간이 객관적인가 주관적인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정원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의 존재를 넘어서 인간주체의 의식이나 감정에 따라 무한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정원 공간은 도시 공간과 달리 독특한 내밀성을 지닌 공간이기 때문에 본고는 기존의 정원 연구방법과 다른 시도를 통해 정원 공간의 독특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s at spatiotemporal theories regarding the pluralism of time inherent in garden space, and attempts to establish spatiotemporal theories suitable for garden spaces. Based on the established theories, this study analyzes the intimacy of ...

      This study looks at spatiotemporal theories regarding the pluralism of time inherent in garden space, and attempts to establish spatiotemporal theories suitable for garden spaces. Based on the established theories, this study analyzes the intimacy of garden spaces by focusing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time of garden spaces in Derek Jarman's garde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ense of time inherent to a garden space was divid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time. The former refers to ecological time that is quantified and has durability, while the latter indicates tim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human subject. It also includes time that is emotionalized by the sense of the human subject. This study first interpreted Jarman's garde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ve time. The garden transforms itself into a sensitive space according to Jarman's personal emotions in the current space within objective time, showing the multilayered attributes of space. Therefore, a garden space that exists in objective time is ultimately not objective, and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ctive reception of the human subject. Next, this study examined Jarman's garde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time. The garden space lost in Jarman's memories and the one in his future illusion turn into a space that connotes abundant meaning according to Jarman's imagination or perception. Therefore, in subjective time, garden space is transformed according to Jarman's consciousness. This study verified that garden space, regardless of whether time is objective or subjective, can create infinite spac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r emotions of the human subject beyond the existence of physical space. Since garden space has a unique intimacy unlike urban space, this study presented the uniqueness of garden space with an approach tha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on garde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수영, "칸트와 베르그손의 인식론 비교: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21) : 183-224, 2005

      2 성종상, "정원에 표상된 이상 - 토머스제퍼슨의 아카데미컬 빌리지와 몬티첼로의 경우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0 (40): 69-80, 2012

      3 이상봉, "서양 고대 철학에 있어서 공간" 새한철학회 4 (4): 279-304, 2009

      4 심귀연,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시공간성과 주체성 그리고 신체" 새한철학회 76 (76): 477-497, 2014

      5 이현주, "라이프니츠의 상대적 공간에 대한 이중적 고찰" 도시인문학연구소 5 (5): 39-63, 2013

      6 배상준, "데릭 저먼 Derek Jarman의 색의 미학:<블루 Blue> (1993)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 (2): 47-71, 2005

      7 강동수,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대한철학회 116 : 1-31, 2010

      8 서도식, "공간의 현상학" 새한철학회 4 (4): 336-358, 2008

      9 류지석, "공간과 시간의 결절 -르페브르와 베르그손-" 한국현상학회 (46) : 35-59, 2010

      10 양경은, "고전역학에서의 시공간의 본질에 대한 연구" 대한철학회 112 : 79-102, 2009

      1 황수영, "칸트와 베르그손의 인식론 비교: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21) : 183-224, 2005

      2 성종상, "정원에 표상된 이상 - 토머스제퍼슨의 아카데미컬 빌리지와 몬티첼로의 경우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0 (40): 69-80, 2012

      3 이상봉, "서양 고대 철학에 있어서 공간" 새한철학회 4 (4): 279-304, 2009

      4 심귀연,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시공간성과 주체성 그리고 신체" 새한철학회 76 (76): 477-497, 2014

      5 이현주, "라이프니츠의 상대적 공간에 대한 이중적 고찰" 도시인문학연구소 5 (5): 39-63, 2013

      6 배상준, "데릭 저먼 Derek Jarman의 색의 미학:<블루 Blue> (1993)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 (2): 47-71, 2005

      7 강동수,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대한철학회 116 : 1-31, 2010

      8 서도식, "공간의 현상학" 새한철학회 4 (4): 336-358, 2008

      9 류지석, "공간과 시간의 결절 -르페브르와 베르그손-" 한국현상학회 (46) : 35-59, 2010

      10 양경은, "고전역학에서의 시공간의 본질에 대한 연구" 대한철학회 112 : 79-102, 2009

      11 Bhatti, M., "‘I love being in the garden’: enchanting encounters in everyday life" 10 (10): 61-76, 2009

      12 Jung, C. G., "Über Synchronizität" Buchclub Ex Libris 1995

      13 Choi, Z., "Zur Untersuchung der Phäanomenologie Merleau-Pontys undHusserls imHinblick auf den Begriff des Leibes - Eine phäanomenologische Untersuchung des Leibes" 40 : 1-33, 2009

      14 Yu, H., "What Makes a City to Live" Eulyoo 2015

      15 Clément, G., "Une brève histoire du jardin" JC Béhar 2012

      16 Gibson, J. J., "The Senses Considered as Perceptual Systems" Houghton Mifflin 1966

      17 Ingold, Tim,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Essays on Livelihood, Dwelling and Skill" Psychology Press 2000

      18 Lloyd, C., "The Jarman Garden Experience"

      19 Gibson, J. J.,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Press 2013

      20 Lee, B., "Shadow: Our Inner Dark Partners" Hangilsa 1999

      21 Rodaway, Paul, "Sensuous Geographies: Body, Sense and Place" Routledge 2002

      22 Feld, S., "Senses of place"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1996

      23 Heidegger, M., "Sein und Zeit" Time & Space Press 1989

      24 Kwak, Y, "Relativistic space-time as seen by Kant" 2 : 85-102, 1998

      25 Gibson, J. J., "Reasons for Realism:Selected Essays of James J. Gibs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2

      26 Steyaert, Chris, "Queering space: Heterotopic life in Derek Jarman's garden" 17 (17): 45-68, 2010

      27 Longhurst, R., "Plots, plants and paradoxes: Contemporary domestic gardens in Aotearoa/New Zealand" 7 (7): 581-593, 2006

      28 Nast, H., "Places through the Body" Routledge 2005

      29 Małgorzata Szafrałska, "Place, time and movement: A new look at Renaissance gardens" 26 (26): 194-236, 2006

      30 Hitchings, R., "People, plants and performance: on actor network theory and the material pleasures of the private garden" 4 (4): 99-114, 2003

      31 Bhatti, M., "Peaceful, pleasant and private: The British domestic garden as an ordinary landscape" 39 (39): 40-52, 2014

      32 Liotta, Elena, "On Soul and Earth: The Psychic Value of Place" Routledge 2009

      33 Foucault, M., "Of other spaces"

      34 Kim, Y., "Natural Philosophers' Space Theorys and Spatial Feature in Modern Times" 55-69, 2014

      35 Jarman, Derek, "Modern Nature: The Journals of Derek Jarman" Random House 1992

      36 Kim, J.,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Philosophy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1-141, 2004

      37 Carrier, M., "Kant's relational theory of absolute space" 83 (83): 399-416, 1992

      38 Elden, 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 Elsevier [유럽] 262-267, 2009

      39 Tagliolini, Alessandro, "Il giardino:idea, natura, realtà" Guerini e associati 1987

      40 Game, A., "Global Modernities" Sage 192-208, 1995

      41 Harrison, Robert Pogue, "Gardens: An Essay on the Human Condition" Namudosi Publishing 2012

      42 O'Quinn, Daniel, "Gardening, history, and the escape from time:Derek Jarman's" 113-126, 1999

      43 Lee, J., "Finding the Way from the English Garden" Hansup 2014

      44 Mun, C., "Existence and time: Being and time: Bergson, Heidegger and Whitehead" 10 : 85-110, 2005

      45 Kang, H., "Existence and Time: The Topology and Thinking Flow of Heidegger, Martin's "Existence"" Hangilsa 2011

      46 Davidson, J., "Embodying emotion sensing space:Introducing emotional geographies" 5 (5): 523-532, 2004

      47 Teather, E. K., "Embodied Geographies: Spaces, Bodies and Rites of Passage" Psychology Press 1999

      48 O'Pray, M., "Derek Jarman: Dreams of England"

      49 Wollen, R., "Derek Jarman: A Portrait" Thames and Hudson 15-, 1996

      50 Jarman, Derek, "Derek Jarman's Garden" Thames and Hudson 1995

      51 O'Neill, M. E., "Corporeal experience: A haptic way of knowing" 55 (55): 3-12, 2001

      52 Bruno, G., "Atlas of Emotion: Journeys in Art, Architecture, and Film" Verso 2002

      53 Kim, K., "10 Issues of Western Modern Philosophy" Changbi 13-8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