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중요도-성취도분석을 통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연구 = A Study on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System b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0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도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유사제도의 운영지침을 비교하고, 실제 산지전용을 위해 제출된 경관영향검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영향 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지경관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산지경관 자원조사', '객관적인 조망점 선정'과 '경관영향 훼손 검토기준의 구체화' 항목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경관영향검토서 작성 검토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우선 개선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경관심의 및 경관영향검토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를 통해 산지경관의 고유성과 경관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영향검토 기능의 강화와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MLIR) system for the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use of mountain scen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LIR system, a comparative analys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MLIR) system for the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use of mountain scen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LIR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MLIR official guidelines and the 100 MLIR reports submitted to the Korea Forest Service from 2011 to 2013. In addi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to take into account stakeholder opinions and to determine the first priorities to be improved upon in operation and functions of the MLIR system. The results of the IPA in evaluating the MLIR system showed that the components in the MLIR system that should be primarily improved are mountainous landscape resource inventory, objective and quantitative selection of viewpoints, and a checklist for examining the damage expected in mountainous lands. To Revitalize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 system,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stakeholders should be enhanced by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MLIR system over the short-term, while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MLIR system should be reinforced by differentiation and connectivity of the MLIR system with similar institutions, and by emphasizing the uniqueness and properties of mountainous landscapes over the long-te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문, "자연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23-32, 2007

      2 허준, "산지훼손 유형에 따른 경관 선호의 변화" 한국조경학회 35 (35): 71-80, 2007

      3 한성근, "부산시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황령산 산림스카이라인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970-978, 2011

      4 김상욱, "문화생태탐방로 조성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분석 - ‘구불길’ 군산저수지 구간을 중심으로 -" 농업과학연구소 39 (39): 319-325, 2012

      5 김충식, "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示曲面)과 누적가시도(累積可視度)분석기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78-86, 2011

      6 강영조, "경관체험이 발생하는 조망점의 지리구조에 관한 연구 - 양산시 소재 산지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75-84, 2008

      7 최형석, "경관영향평가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68-80, 2005

      8 정수진, "경관심의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 상정안건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37-154, 2011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Trend Analysi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Natural Landscape Ration System" 2013

      10 Lim, S. A., "The Representative Scene of the Gangneung City in Travel Vrochur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2004

      1 이상문, "자연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23-32, 2007

      2 허준, "산지훼손 유형에 따른 경관 선호의 변화" 한국조경학회 35 (35): 71-80, 2007

      3 한성근, "부산시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황령산 산림스카이라인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970-978, 2011

      4 김상욱, "문화생태탐방로 조성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분석 - ‘구불길’ 군산저수지 구간을 중심으로 -" 농업과학연구소 39 (39): 319-325, 2012

      5 김충식, "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示曲面)과 누적가시도(累積可視度)분석기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78-86, 2011

      6 강영조, "경관체험이 발생하는 조망점의 지리구조에 관한 연구 - 양산시 소재 산지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75-84, 2008

      7 최형석, "경관영향평가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68-80, 2005

      8 정수진, "경관심의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 상정안건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37-154, 2011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Trend Analysi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Natural Landscape Ration System" 2013

      10 Lim, S. A., "The Representative Scene of the Gangneung City in Travel Vrochur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2004

      11 Prato, T., "Sustaining Rocky Mountain Landscapes:Science, Policy and Management of the Crown of the Continent Ecosystem" RFF Press 302-311, 2007

      12 Sohn, H. G., "Policy directions for rational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land by considering the mountain ridge and valley network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0

      13 Ministry of Land, "Landscape Design Review System Operation and Research Ways to Internal Stability Pla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12

      14 Taylor, 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Management in Mountain Areas" The Banff Centre 2004

      15 Korea Forest Service, "Improvement Mountainous Land Converxion System for Mountainous Landscape Maintenance" 2007

      16 Korea Forest Service, "Establishment of Forest-Land Scenery Management System" 2013

      17 Ministry of Environment, "Development Natural Landscape Assessment Technique and Natural Landscape Rating System Manual"

      18 Cho, G. S., "A study on the making normalization function of landscape component for mountainous-district development landscape estimation and prediction" 30 : 15-26,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