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성찰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김기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성찰이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성찰과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의 매개효과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그리고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 이중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권,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소재 대학교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73명의 유효 자료를 얻었다. 모든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관측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산출하였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이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산출하였고, 개별 간접경로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은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성찰이 의미발견보다는 의미추구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성찰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과 주관적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는 매개효과를 지니지 못하였고, 의미발견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매우 유의미하였으며, 자기성찰이 주관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두 변인에 의한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성찰이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매개로 주관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자기성찰이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보다 의미추구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실제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가 자기성찰방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의미추구를 도울 수 있는 촉진적 역할 수행이 가능하고, 그러한 의미추구로부터 의미발견에 기여할 수 있는 상담자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해짐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SWB) and psychological well-being(PWB).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 model was buil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9 students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hungcheong-do, Gyeongsang-do, Gangwon-do area.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to perfor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lied in this study. The 373 valid data were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EM, and Sobe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reflection ha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earch for and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it had more effective on the search for meaning than the presence of meaning. Also, it was shown that self-reflec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WB and PWB.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esence of meaning mediates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well-being, SWB and PWB, but the search for meaning does not. It means that the search for meaning can be led to well-being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arch for and presence of meaning in life wa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we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well-being, SWB and PWB. This research revealed that self-reflection in relation to the search for meaning was examined more significantly effective than the presence of meaning. If one has a motive of search for meaning in life but it does not lead to actual discovery, the well-being of him or her can be increased through guiding self-reflection as well as encouraging him or her to find meaning in life.

      • 건설기능인력의 고용현황 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도출

        김기정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산업의 발전기반을 구축하는 요소로서 건설기능인력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건설기능인력은 다른 산업분야와 달리 학력수준이나 전문적 교육이수 여부에 관계없이 자신들의 의지에 따라 건설업으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대로 된 교육보다는 숙련공에게 기술을 전수 받는 현장 경험 중심의 작업형태를 보이고 있어 기술 수준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기능인력의 고용현황을 조사ㆍ분석하고 건설기능인력 관리에 있어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설기능인력의 관리방안으로는, 제도적 측면의 고용구조, 경력관리, 교육훈련 및 근로복지 정책의 개선이다. (1) 공식적인 경로, 고용관리책임자의 활용을 통해 취업을 촉진하고 고용구조를 안전화 시키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근로시간의 현실화로 건설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청년층의 진입 유인을 모색해야 한다. (2) 체계적인 현장관리 및 건설기능인력의 경력관리를 위해서는 전자카드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전자카드제를 적용하는 현장에 대하여 공사 발주 시 가산점 부여, 노무관리 담당자에 대한 세제혜택, 근로자에게 일자리 확보 및 임금 혜택 등을 부여하는 위해서는 ‘맞춤형 인센티브 제공’이 선행되어야 한다. (3) 건설기능인력의 양성과 임금향상, 계속적인 고용 유도를 위해서는 직업적 기회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건설기술훈련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건설기능인력의 숙련형성 경로는 선배로부터 기능을 익히는 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십장이나 작업반장 및 경험자를 통하여 터득하는 비공식 훈련의 자격 인정을 수용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4) 건설기능인력의 유인과 관련하여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임금제도의 개선이라 판단된다. 근로복지 차원에서 연장 및 휴일근로 수당, 휴업수당 지급과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도 임금의 크기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차원의 4대보험 의무가입, 퇴직공제제도의 실효성 있는 제도정착만이 건설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최선이 될 것이다 현재의 건설기능공은 예전과 다를 바 없는 열악한 작업환경과 근로조건 속에서 자신들의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근본적인 제도 개선, 교육 제공 등을 통한 인력 및 경력관리에 대한 방안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업계에서도 최소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근로계약서 작성, 보험 혜택 및 급여방식의 전환 등을 통해 건설기능공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실체의 부재 : 나선형 흐름 타기

        김기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인에게 작업의 전체적인 진행은 마치 나선형의 길을 걷는 듯하다. 스스로를 중심에 두고 주변부를 돌고 돌아 본인을 찾아서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길을 걸어가고 있다. 그 길에서 멈춤과 가기를 반복하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고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본인의 존재는 흐려지기도 하고 짙어 지기도 하는데 결국 본인을 응시하는 지점에 들어서게 된다. ‘본인에게 그림을 그리는 것은 본인의 실체를 마주하는 것과 어떤 연계성이 있을까?’를 항상 생각해왔다. 본인에게 ‘실체의 부재’는 실체의 존재를 전제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밟아온 궤적을 살펴보고 본인과 대상에 깊숙이 도달하고자 함을 담았다. 본 논문에서는 삶의 궤적 위의 어떤 한 지점으로부터 시작해서 본질을 찾으려고 고군분투하는 과정과 전개를 살펴보았다. 본인은 본인의 실체를 찾아가는 과정의 어떤 한 지점에서 스스로의 중심이 흐려질 때가 많았다. 그 지점에서 본인은 늘 줄기 없는 잎 과도 같았다. 줄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지만 보려고 하지 않았고 그 때마다 본인의 자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른 무언가에 의해 움직였다. 바람의 힘에 의해 작게, 크게 흔들리는 잎과 가지들의 형상을 쫓아 움직이며 본인의 존재에 대해서는 잊은 채 형상을 하염없이 쫓아가는 시간이었다. 문득 본인이 어떤 이유에서 형상을 쫓았는지에 대한 의문과 회의에 빠지게 되었다.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쫓는 허망한 느낌을 지워낼 수 없었고 공허한 내면을 채우기 위해 외부의 공간에서 눈을 돌리고 내부로 회귀했다. 내부로 회귀하여 본인의 공간에 들어감으로써 내면의 울림은 점차 잠잠해지기 시작했다. 외부의 공간에 머물렀을 때 본인을 배제시킨 채 공간을 해석했던 방식과 회귀하면서부터 본인을 중심에 두고 공간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것은 작업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공간을 거쳐 또 다른 공간으로 이동했던 과정에서 쌓인 본인만의 표현 내용은 또 다른 공간의 이야기를 상상하게 하며 본인을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체를 찾기 위한 노력의 과정에서 마주했던 대상들을 그림으로 풀어낼 때 방법적으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 과정에서 본인이 걸어왔던 길 위의 공간에 머물렀던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했다. 그리고 본인이 지속적으로 사용해 왔던 파란색의 의미에 대해서 분석하며 본인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했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궁금증에 이끌려 밖에서 찾지 못하는 실체를 안에서 찾기 위해 계속해서 내부를 찾아서 들어가는 과정이었다. 그 과정 속에서 계속 변해가는 내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벗어나고 들어올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에 따라 본인과 본인이 움직이며 마주하게 되는 대상들의 실체를 알아보려는 시도와 전복은 나선형의 흐름으로 계속 될 것이며 본 논문으로 얻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본인의 내면 공간이 확장되어 작품 안에서 재탄생 되기를 기대한다. The whole process of my work feels like walking on a spiral path. Placing myself at the beginning of the spiral, I circle on the periphery of it to find myself and walk to the center. In this process, I repeat stopping and starting. Although my existence blurs and darkens while I am moving forward to the core of the spiral, I eventually enter the point where I can stare at myself. I often think, “How does the act of painting have any connection with facing one’s own identity?” For me, ‘the absence of substance’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it. Based on this idea, I try to recollect my trajectory to understand my real-self and the essence of objects more profoundly. In this thesis, I am explaining the process of struggling to discover something essential, starting from any single point on my life’s trajectory. The core of myself is repeatedly, at some point, blurred in the process of finding myself. At that moment, I feel like a stemless leaf. I have always known that this stem was there, but I did not want to see it. Every time this feeling came to me, I was moved and acted by something other than my will. It was time that I followed the shape of the leaves and branches, which have been shaken bare by the winds, and forget about myself. Suddenly, I fell into doubt and skepticism about why I pursued the image. I could not erase the empty feeling of chasing an object that does not exist. I turned my eyes away from outer space and returned to my inner self to fill the void. By returning to my inner space, the ring inside began to calm down, gradually. Changing my perspective from the outside perspective, while excluding myself, to my own perspective make a tremendous difference in effort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pace. My expressions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one space to another, making me imagine the story of unknown space, and gave m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myself. I often experienced trials and errors while painting objects I encountered in this quest for an essence. So, I invented a method for expressing the flow of time on the path I took. Moreover, I examined how I expressed my inner space to an exterior space, analyzing the meanings of the color blue that I have been continuously using. This thesis was the constant process of going inside to find the identity that could not be found outside, driven by a recurrent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I'. It is difficult to predict in what direction I, who is constantly changing, will advance, deviate, and how I might come back. However, the attempts and subversion of trying to find out the essence of the objects will continue in a spiral flow, and based on the things I learned by the opportunity to write this thesis, I hope that my inner space expands and is reborn as my art.

      • 방송미술에서의 미술감독 시스템 연구 : SBS드라마 '온에어' 중심으로

        김기정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송미술을 담당하고 있는 스태프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드라마 제작에 임하고 있으나 드라마 제작은 제한된 스튜디오 공간과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내심이 필요하며, 스태프들의 적극적 참여와 때로는 헌신이 필요하다. 이는 TV모니터로 통해 시청자들의 보는 시각이 과거에 비해 상당히 높아졌으며 새로운 재미와 감동, 호기심에 의해 시청률에 반영되고 있으며 제작진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 방송미술 시스템의 분업화된 업무구조에 대한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미술감독 시스템을 구축으로 인해 방송미술 시스템의 부서간의 협업화를 통한 부서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적 종합 조 정자 로서의 미술감독을 중심으로 일관된 콘셉트로 통일성 있는 시각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한 일환으로 드라마PD와 방송미술 스태프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어 SBS드라마‘온 에어’의 분석을 통해 미술감독의 역할에 따른 중요성과 미술감독 시스템을 제시하려 한다. 기존 방송미술은 연출자와 미술부서별 담당디자인간의‘1:1’식의 업무진행 형태로 시각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의 부족으로 인해 최종결과물의 콘셉트 없는 시각이미지를 창출하는 것과는 달리 새로운 미술감독 시스템은 미술감독의 종합적인 안목으로 미술감독 시스템의 중심축이 되어 연출자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일관된 콘셉트로 그림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미술부서간의 원활한 소통으로 인한 활발한 의견교류와 합리적인 구상을 통해 창의적인 시각이미지를 창출하여 미적 영상미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드라마의 내용 전달과 이해를 돕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미술감독 시스템의 역할로 기대되는 효과는, 첫째, 집중을 통한 창조적 결과물로 고객만족, 둘째, 조직간 원활한 소통 및 협업을 통한 경쟁력 있는 시스템구축, 셋째, 예산의 합리적 사용과 절감, 넷째, 외부 전문 인력과의 교류를 통한 학습, 다섯째, 보다 새롭고 발전된 방송미술의 정착을 위한 초석마련. 여섯째, 방송미술의 학문적 틀을 마련. 이처럼 미술감독 시스템으로 기대되는 효과를 들 수 있으며 회사조직의 발전을 위해 실효성 있는 미술감독 시스템의 시행과 정착이 필요하다. 많은 외부제작사의 경쟁적인 드라마 제작편수, 드라마PD의 치열한 생존경쟁, 디지털 방송기술의 발달과 다방면의 방송 전문 인력 투입으로 점차 방송미술의 개념이 달라지고 있으며 기존의 방송미술 시스템에 비해 미술감독 시스템에서 시각적 종합 조 정자 로서 미술감독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요인에 따라 미술감독 시스템에 대한 활성화와 이해를 돕고 학문적 틀을 마련하고자 SBS드라마‘온 에어’의 분석을 통해 미술감독의 역할에 따른 중요성과 미술감독 시스템을 찾으려고 한다. 시각적 종합 조 정자 로서 미술감독의 종합적 안목으로 창의적 시각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 계속되는 연구와 보완으로 디지털 영상시대에 맞는 방송미술의 학문적 틀을 마련하고 미술감독 시스템에 대한 발전적인 연구가 지속될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The staff in charge of broadcasting art are committed to making a soap opera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However, due to limited studio space and long period of production, it requires endurance, active participation, sometimes commitment of staffs to make a soap opera. The standard of viewer becomes higher compared to past, and viewer ratings are affected by fun, sensation and curiosity, which impose burden on production cr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nature of divided mechanism of existing broadcasting art system. Because of establishment of new art director system, the change of PD and staff is inevitable to create unified visual image with coherent concept. In this system, art director perform a crucial role as visual coordinator to help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divisions. Therefore, it also aims to propose importance of art director and system of art director based on analysis of SBS soap opera, 'On Air'. In existing broadcasting art system, PD and the person in charge of each division used to work on the project one-on-one and create visual image without coherent concept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division. On the contrary, in new art director system, art director plays a central role with comprehensive perspective maintains unity through conjunct discussion with PD, creates original visual image through the animated exchange of opinions and reasonable conception emerging from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divisions.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in new art director system, First, customer satisfaction due to creative final outcome through concentration, Second, establishment of competitive system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Third, rational use and reduction of budget, Fourth, learning from exchange with outer professional expert, Fifth,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newer and more developed broadcasting art, Sixth, preparation of academic basis of broadcasting art, Above mentioned lists are the effects expected in new art director system, and it needs implem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effective art director system for the growth of organization. The concept of broadcasting art has changed because of competitive production of soap opera among numerous external manufacturer, and fierce struggle for existence between PDs, development of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multifaceted broadcas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 Likewise, the importance of art director as comprehensive visual coordinator becomes recognizable compared to existing broadcasting art system. This study is intended to seek importance of role of art director and art director system through case analysis of SBS soap opera, 'On air' in order to help ac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art director system.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academic basis for broadcasting art and art director system appropriate to digital video generation in order to create original visual image with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art director as visual coordinator.

      • 12주간의 걷기운동이 항암화학요법 중인 암환자의 신체조성과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김기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걷기운동이 항암화학요법 중인 암환자의 신체조성과 면역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암 진단 후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중년의 암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신체조성은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율, 근육량을 측정하였고, 면역세포는 혈액을 체취하여 WBC, Lymphocyte, Helper T cell, Cytotoxic T cell, Natural killer cell, Natural killer T cell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자료처리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항목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12주 걷기운동 후 집단내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사전의 집단내 기수별 차이를 검증하기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12주 걷기 운동 후 집단내 기수별 측정시기와 상호작용을 검증하기위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with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은 tukey를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처리의 유의 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첫째, 신체조성에서 12주간의 걷기운동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장암 환자에서는 근육량(p<.05)만이 집단내에서와 기수별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에서는 체중(p<.05), BMI(p<.05), 체지방량(p<.05), 체지방률(p<.05)이 집단내에서 그리고 기수별 측정시기에 따라서는 BMI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소화기암 환자에서는 근육량(p<.05)만이 집단내에서와 기수별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면역세포에서 12주간의 걷기운동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장암 환자에서는 WBC(p<.05)와 Helper T cell(p<.05)에서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방암 환자에서는 어떠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화기암 환자에서는 WBC(p<.05)에서만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본 연구에서의 실시한 12주간 걷기운동은 항암화학요법 중인 암환자의 신체조성면에서 대장암의 경우 체중의 감소를 줄이고 근육량을 유의하게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유방암에서는 체중과 체지방량, 체지방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면역세포의 차이는 집단 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수별로 대장암에서의 WBC와 Helper T cell 그리고 소화기암에서의 WBC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항암화학요법 중인 암환자에게도 운동이 신체조성과 면역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2 weeks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immune cell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he subjects were 51 middle-aged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he patients were examined body composition, such as weight, body mass index, weight of body fat, percentiles of body fat, weight of muscle, the immune cells analyzed WBC, Lymphocyte, Helper T cell, Cytotoxic T cell, Natural killer cell and Natural killer T cell.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result to compare changes after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re exercise group. The repeated with Two-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ime and interaction. The post hoc was used to Tukey method. The significant level of all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set in a<.05. First, the muscle mass(p<.05) in colon cancer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of walking program. The weight(p<.05), body mass index(p<.05), weight of body fat(p<.05) and percentile of body fat(p<.05) in breast cancer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weeks of walking program. Also, the body mass index(p<.05) in breast canc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tages of cancer grade. In gastrointestinal cancer, the muscle mass(p<.05)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of walking program. Second, after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there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s of the immune cells such as WBC(p<.05) and Helper T cell(p<.05) in colon cancer and gastrointestinal cancer. On the other hand, in breast cancer, the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y body composition and the immune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improve the body composition of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he bod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muscle mas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lon cancer after 12weeks of walking exercise. Moreover, the body weight, weight of body fat and percentile of body fat in breast cancer patients significant decreased after 12weeks of walking exercise. On the other side, the immune cel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However, walking exercise might be effected on body compositions and immune cells o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such as a significant improvements of WBC and Helper T cell in colon cancer and WBC in gastrointestinal cancer.

      • 항공정비 분야 NCS의 표준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김기정 극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정비 NCS의 표준화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진행한 선행연구에서 제언점인 “NCS와 NCS학습 모듈의 개선 기관 일원 화 개선 모형”이 이전 모듈과 비교하여 개선된 효과를 거두었는지에 대하 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문헌분석 방법을 통하여 항공정비 분야 의 NCS와 NCS 학습 모듈이 현재 개선기관의 일원화 중임에도 내용이 불일치되는 부분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NCS 및 NCS학습 모듈 개발·개 선 위원 경력이 있는 4인과 직업훈련교사자격증을 보유중인 1명을 내러티 브 인터뷰를 통하여 NCS 및 NCS 학습 모듈 개선 회의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학습 모듈과 개선시스템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체 주도의 NCS 개발 및 개선이나 온라인 의견 수렴 방안의 참여도 증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및 NCS의 현행 개선회의는 실질적인 개선기능성이 미흡하며, 이를 보완할 후속 연구를 마련해야 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 이미지 탐색

        김기정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f 2019 provides a new set of guidelines for the rol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ofessionalism needed to perform these roles. An inquiry into the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tasked with performing new role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creates an opportunity for them to look back on their curriculums and have contemplation over their future directions,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This study aims to liste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worries and experiences about the ways they tried to unfol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amine the process of them adjusting to the new curriculum, thus figuring out what images they have of themselv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Research Question 1. What images do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of themselves as they implement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f 2019? The criterion of participants w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were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f 2019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young children's classe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d had various classes and careers. As for methodology, they were asked to begin by drawing an image of themselves and give an interview based on their drawings for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beginner image of themselves that accepted and adjusted to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y interpreted and studied the new curriculum to understand it themselves and led the field of education despite the ga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ly, they had a learner image of themselves that had contemplation over every moment in a play situation and learned various roles to support children's play. They made a judgment and decision at every moment in a play situation and created diverse roles needed in the situation for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inally, they had a problem-solver image of themselves that worked on communication, collaborated, and mediated with other subjects of education. They studied and researched with their colleagues to practice play-based teaching and communicated with the administrators and parents to mediat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a play-based curriculum from them. These findings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nal images by examining their images as teachers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imply a ne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upport that will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ing the curriculum.

      • 全南 南海岸地方의 確率降雨强度式 誘導

        김기정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biggest natural disasters is the atmospheric disaster and rain causes a great trouble. So I decided to collect statistics of the rainfall intensity in this research to provide basis to prevent a disaster caused by rain. Rainfall intensity is different for each area and the observation results were also different. Southern mast areas of Chonnam(Wando, Haenam, Changhung, Kohung) didn't have their own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so I used the formulas of Mokpo and Yosu in drawing a plan for a water structure. This study is about the amount of rainfall per retaining time(l0, 20, 30, 40, 60, 80, 100, 120, 180, 240, 300, 360, 720 minutes) for last 20years(1972~1992) in four areas(Wando, Haenam, Changhung, Kohung). I used formality distribution, logarithm formality distribution, Moment law, Gumbel-Chow and Iwai method for probable rainfall intensity calculation and also used Talbot, Sherman, Japanese and Semi log type to produce a proper rainfall intensity statistics. An invariable number needed in the formulas was computed and made available using method of least squares. I chose a precise formula after comparing standard declination and χ^(2)-test. And I also decided which formula to use aft'er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Mokpo and Yosu. Formulas for the optimal probability of rainfall amount for each district are like these; Gumbe-Chow method for Wando(less than 30years), Haenam, Changhung(3years), and logarithm formality distribution method for Kohung, Chang-hung(5years), Wando(200years) and moment method for Wando(50~100years). After comparing standard declination and χ^(2)-test I chose Japanese type for Wando(3~30years), Haenam, Changhung and Kohung(3~50years). I also chose Semi-log type for Wando(more than 50 years), Kohung(100years). The best results of having used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are ; Wando 9638%, Haenam 96.18%, Changhung 97.77%, Kohung 94.79%. Rainfall intensity formulas used in this study are very reasonable in terms their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rainfall amount observatory. The areas tested in this study can use new formulas rather than previous ones because new ones are more reason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