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융기관의 문화예술마케팅 인지도 제고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내 카드사를 중심으로

        김서이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에 문화예술 마케팅을 수단으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20세기가 정보․ 기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기 때문에 제품의 기능에 문화적감성을 더하여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여야한다. 그래서 문화예술 마케팅을 통해 신뢰도 있는 기업 이미지 제고와 확고한 브랜드를 확립을 해나가야 선점우위를 할 수 있고, 경쟁사들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 연구는 금융 상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이 문화예술 마케팅을 통해 카드사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나 인지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파악하는가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중점 추진할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정리하였다. 주요 내용은 고객 유지 및 유치를 위한 인지차이 극복방안, 새로운 홍보 매체에 대한 접근, 기업 이미지 마케팅 활성화, 전략적 특성화 장르 발굴, 고객을 세분화한 니치마케팅, 여성고객의 특별 배려 방안과 같은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전략들이다. 이로서 카드사의 문화예술 마케팅 활동을 해나간다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자연스럽게 고객과의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소통으로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해 나아갈 것이다. 또한, 차별적인 전략들은 기업의 독특한 이미지 확립과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주어 기업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높이는 홍보 전략과 이윤창출을 늘리게 되는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The corporations of the current era is showing a movement toward using culture and art as a marketing means due to difficulty in differenciation among competing products and services. If the 20th century was the tim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xt, therefore, the product's function is no longer the main factor to move the potential customers. Therefore, through culture and art marketing, firms can build trust to clients, enhance corporate image and establish firm brand to gain superiority amongst the competitors to survive. In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in brand image and image recognition are influenced by culture and art marketing in credit companies by the users who purchases their financial products. Then from the analysis, implications are extracted and arranged into 6 major activation plans for firms; By utilizing innovative and original strategies such as overcoming recognition differences for client maintenance and attraction, access to new advertisement means, activating image marketing, excavating original strategic genre, categorizing clients for niche marketing, and special consideration to female customers, credit firms can imply culture-art marketing to fulfil customer needs and naturally communicate with customers with culture and create ongoing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strategies will bring unique corporate image and positive brand image and increase a firm's value through advertisement strategies, leading to higher revenue creation.

      • 자치구 지역문화시설 전시실 활성화 방안연구 : 해운대문화회관 중심으로

        배현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1990 onwards, establishing municipal corporation with changing of policy in cultivation of cultural foundation were regarded, as a result, many of cultural facilities has been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ies intending to gain competitiveness of between regions in the country. There are more than 160 of Culture and Art Centre were built in the country at present but they are not running efficiently owing to the absence of experts in the fields,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of the system. To improve operation, frequent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nd suggesting creative and cultural chances to local people have to be considered as particularly regarding regional Culture and Art Centre are utilised by a few number of people in reality. To study improvisation of local cultural facility, a case study will be presented first. Also, as regarded by researchers in statistic, a chosen case of introducing experts in the field, temporary exhibitions and various programs shall be studied. As the chosen cases, where experts are present and various program is active, were analyzed, distinction from others were clear but difficulties in participation of visitors were still an issue. To suggest resolving the problems, managing visitors; building visitor’s database and launching membership which would inform visitors all activities in centre, may be necessary. This suggestion, which might motivate visitors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their desire in cultural activities, may help role and identity as a local cultural facility. Through the result of the case studies, a well-balanced culture and art development for Haeundae cultural center and spreading the benefits for the local people shall be proposed in this study. The proposals are divided into 5 categories, first, employ experts in the fields for creative and efficient operation, second, establishing appropriate systemically operation to the local condition, third, self-project ability and varied programs for various visitors, fourth, marketing and promotional strategy, finally, managing current visitors and building potential visitors. This proposal to help foundation of Haeundae cultural center and one expects well-balanced development as a cultural and art complex facility. 1990년대 들어오면서 문화기반시설 정책의 변화와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국 각지에 문화예술회관 등 많은 지역문화시설들을 건립하였다. 2009년 말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160여개가 넘는 문화예술회관이 운영 중이며 그 규모나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개관 이후 조직구조의 비효율성 및 전문인력 부재 등의 운영상의 문제로 인해 그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은 대부분이 소수 관람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므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민들의 참여 빈도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문화복지와 예술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설정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 우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활성화요인으로 간주하는 전문인력 확보와 기획전시 및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는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을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인력들의 열정으로 타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과는 차별성을 두고 운영하고 있었으나 관람객개발에 있어서는 운영상의 한계점을 보였고, 그에 따른 개선방향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각 기관들은 교육대상별 관람객관리가 필요하며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관람객데이터를 구축을 함으로써 높은 참여율을 유도하고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파악할 때 비로소 지역문화시설로서의 역할 정립과 정체성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례분석의 결과를 통해 해운대문화회관 전시실의 균형 있는 문화예술발전과 지역민들의 위한 시각예술의 확산을 목적으로 전시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해운대문화회관전시실 활성화 방안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첫째, 전시와 관련된 전문 인력의 적극적 수용을 통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도모, 둘째, 지역실정에 맞는 적정한 조직운영체계의 정착, 셋째, 다양한 관람객을 개발을 위한 자체 기획전시와 프로그램 활성화 넷째, 전략적 문화마케팅과 전시홍보, 다섯째, 잠재적인 관람객을 유치하고 고정관람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관람객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위와 같은 활성화방안들은 해운대문화회관 전시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의의를 두고 있으며 해운대문화회관이 복합문화시설로서 공연과 더불어 전시가 균형 있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기대한다.

      • 노인문화활동 가치확충을 위한 전문화 연구

        이민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Korea is expected to reach ultra aged society in 2026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medicine development. Followed by such aging society, it is inevitable to renew our socio-cultural awareness and access. In this context, cultural approach is needed to solve problems and to deal with new demands that occur in the aged society while securing a variety of social services and expertise. However, most studies are just dedicated to issues of the elderly regarding, senior welfare, lifelong education, recreation, and such.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elderly. First, cultural activities of the seniors create social values, cultural values, and industrial and economic contribution values. Through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 elderly can regain social roles that have been once lost and be granted and in this process they can solve psychological and mental problems. In addition, the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act as an intermediary connecting past and present so that the elderly can become the dependent members of society that can maintain creative lives. In terms of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can perform the role of economically active members for the local community contributing to the industry and economy of the society. In order to determine realization of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examples of the national project ‘Senior Programs in the Regional Culture Center’ were examined, in which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contributing to the success in senior job creation, expansion of cultural enjoyment in activities, opportun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generation cross-communication, voluntary and spontaneous cultural activities by virtuous cycle structure management. As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cultural center that performs the business on awareness and progress of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expertise of senior cultural activities needs to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First, the agencies and organizations that perform those programs must setup mid-and-long-term performance goals, philosophy, and strategy and develop professionals by educating people of the senior cultural activities. In other words,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workshops are needed to educate the lecturers of activities which enhance the artistic and cultural understanding a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m. In addition, more specialized senior cultural programs must be secured by planning the programs in-depth and i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leading program focused on beneficiary need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senior cultural activities must be considered by strengthening assessments and by improving supports and institutional networks. Finally, it is needed to establish ‘National Senior Creative Center’ or an operational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integrity of information in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s above. The center can perform as a base for the elderly to obtain cultural information and also a center to provide forums and cultural events with seniors related research, material development, and social discourse. By securing expertise on such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senior citizens can as proactive cultural members while they can take lead in the positive and creative lives. 의학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우리나라는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Ultra 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구고령화에 따라 우리는 사회문화적인 인식과 접근을 새롭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사회 서비스와 전문성을 확충하고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수요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복지, 평생교육, 여가활동 등의 관점으로 노인문제를 접근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노인들의 문화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고령화 사회 노인문화활동은 크게 사회적 가치, 문화적 가치, 산업 경제적 기여가치를 창출한다. 노인들은 문화를 통한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상실한 사회적 역할을 다시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심리적·정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 문화활동은 노인을 경제적 부양자가 아닌 문화권을 가진 사회 구성원으로써 창조적인 삶을 영위하고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간자로서 역할을 돕는다. 또한 성공적 노화의 관점에서 노인은 지역 활성화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으므로 산업 경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노인문화활동의 가치 실현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국정과제 대상 사업인 ‘지방문화원 어르신문화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본 결과, 노인문화활동은 선순환구조운영을 통해 노인문화향유기회 확대, 사회참여유도, 세대 간 소통, 일자리창출 및 자발적·자생적 문화활동 저변 확충 등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원의 노인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가치인식 및 확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 노인문화활동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수행기관·단체는 중장기적 성과를 고려한 이념과 전략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노인문화활동과 관련된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즉 노인이수자의 강사활동, 문화예술강사의 노인에 대한 이해 제고, 기획자들의 역량 강화 등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워크숍이 필요하다. 그리고 수혜자 욕구중심, 선도적 프로그램 등 다양한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심층화함으로써 노인문화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유관단체·기관의 네트워크 강화, 지원시스템 확충 및 평가 강화를 통해 노인문화활동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지원 할 수 있는 전담운영기관인 ‘국립노인창작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때 센터는 노인들의 정보 구심점이자 노인문화와 관련된 연구 및 교재개발, 사회적 담론 형성을 위한 포럼이나 문화행사 개최를 통해 노인문화활동이 거점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인문화활동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향후 노인들은 능동적 문화 활동자로 활동 할 수 있으며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노년의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술아카이브의 정책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메타 기관 형성을 중심으로

        박연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팽창하고 있는 문화예술시장의 인프라 구축 과제 중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예술아카이브의 정책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기록관리 분야에서 문화예술영역은 아직 초기 준비단계로서 문화예술 산업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각 문화예술분야의 현장에서 예술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인 어려움, 예술자료의 가치 인식부족, 전문 인력의 부족 등의 이유로 예술아카이브가 활성화,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예술자료와 정보 자체는 인류의 오랜 경험과 예술적 상상력이 총체적으로 녹아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이러한 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보존하여 동시대 또는 후대의 예술 창작자, 연구자, 향유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정보와 지식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오늘날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일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예술아카이브는 예술에 대한 정체성과 역사를 올바로 정립하고, 수집된 과거의 기록들을 통해 현재와 미래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예술자원의 가치와 근원적 기준을 만드는 든든한 토대의 기능을 맡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현 상황에서 아카이브(archives)의 혼재된 여러 개념들을 정리하고 이에 따라 예술아카이브의 새로운 개념 정의를 내리어 국내외 예술아카이브의 현황과 대표사례를 살펴보고 기관별, 정책별 분석을 통해 예술아카이브의 필요성을 도출하여 예술아카이브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예술자료는 장르별, 분야별로 다양한 특성과 내용을 담고 있을 뿐더러 시간이 지날수록 그 물량 또한 엄청나기 때문에 예술아카이브의 운영정책 수립에 있어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역할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더불어 본 연구자가 제안하고자 하는 예술아카이브의 정책개선 방향은 자료들의 수집과 보존의 기능에 그치는 기존의 수동적인 기관에 머물 것이 아니라 예술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 활용에 이어 이용자를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예술적 가치를 재생산하는 창조적인 공간으로서, 더 나아가 예술분야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아카이브 기능을 지향하는 예술아카이브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예술아카이브가 우리나라 문화예술을 전 세계로 알리는 문화콘텐츠로서 사명을 갖고 국제적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예술아카이브 정책 개선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인 예술아카이브와 예술아카이브 정책의 발전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a direction to improve the policies of arts archives which should take precedence over other infrastructure assignments in recent, quickly expanding cultural arts market. The cultural arts section in the archive-management field is in its initial preparation stage yet, so it does not keep up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t industry. Furthermore, in reality, arts archives are not activated or systematized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insufficient recognition of value of arts materials, and lack of experts, even though it is pointed out that the systematic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arts materials are important and necessary on each cultural arts field. However, art materials and information themselves are precious cultural heritage, in which human's long experience and artificial imagination are immersed, so providing it to contemporary or future generation's creators, researchers, and enjoyers, through systematic collection, arran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se cultural resources, will certainly enhanc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e a high value-added business. Therefore, arts archives will establish the correct identity and history of art and, based on collected past records, they will indicate directions for us to head for at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and function as the solid foundation for creating value of art materials and essential criteria. This research will explain several confusing concepts about arts archives at this point, and, accordingly, make a new definition of arts archive, and examine current situations of arts archive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their typical examples. It will also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policies of arts archives by drawing its necessity through the analysis of respective divisions and policies. Since art materials not only contain diverse properties and contents by the classification of genres and fields, but also increase in volume as time passe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specialized and systematic roles in establishing the policies of operating arts archive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policies of arts archives this researcher wants to suggest is not to make a passive organization which only serves to collect and preserve materials, but to make a creative space which provides users with effective service, along with systematic collection, preservation, and where artistic value is reproduced and thereby to further make multi-functioning digital archive where all people interested in art field can have access to useful information. In the end,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on future, full-blown arts archive projects and new developments in policies should go on, so that arts archives, based on this research,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cultural contents which can let Korean cultural arts known worldwide and become an opportunity to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for their value, by suggesting a direction of better policies of arts archives.

      • 豊子愷의 藝術硏究 : 漫畵를 中心으로

        이은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Chinese intellectuals and artists intensively encountered new shocks from the Western realism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Feng Zikai(豊子愷, 1898-1975) was an artist as well as a writer, calligrapher, scholar, and translator who had lots of influenced on Chinese modern arts at that time. Feng's art and life, like China itself, directly confronted the rapid Westernization that bega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Feng stood at a crossroads in the unfolding of modern China, and there he waved. Feng picked up his brushes again and successfully created his own style, which combined the Western painting methods, Chinese lyrical feeling, and his humanistic concern for all beings. His artistic style and his thought greatly influenced the masses. Also Feng Zikai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his teacher, Li Shutong and Chinese celebrity, such as Lu Xun at that time. Owing to those people he expressed confusing times to lyrical feeling through his cartoons, illustrations and raised students. He was very talented because he published a lot of Collection of pictures including Collection of Zikai’s Manhua (Zikai Manhua 子愷漫畫), Paintings on the Preservation of Life (Husheng huaji 護生畫集) and many essays, translations throughout his entire life. He cared about public and children so his artworks greatly disseminated his humanitarianism and poetic styles to the public. There are a variety of studies about his work in China and Taiwan. However there is few thesis on him in Korea. My thesis analyze Feng Zikai's life, art work and three painter (Takehisa Yumeji ,Li Shutong, Chen Shi Zeng )who influenced on him. Feng Zikai was outstanding in painting since his childhood then he was taught from Li Shutong and could develope his artistic ability. Back to China from Japan where he studied for 10 months, he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painting world and was the pioneer of cartoon in China.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중국 예술가와 지식인들은 사실주의적 서구미술을 접하면서 사상과 교육 등 여러 면에서 혼란을 겪게 되었다. 만화가이자, 삽화가, 서예가, 교육자로 평생을 살았던 豊子愷(1898-1975)의 예술과 삶도 빠른 서구화에 직면하였다. 그는 중국적인 정서와 서양의 화법을 결합하여 豊子愷만의 화풍을 발전시켰고 이런 그의 예술과 사상은 많은 대중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스승 李淑同(1880-1942)과 당시 유명한 예술 인사들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풍豊子愷는 삽화와 만화라는 예술형식을 통해 당대 현실을 표현하였고 교육자로서 많은 훌륭한 인재를 키웠다. 그리고『子愷漫畵』,『護生畵集』등 만화작품집과 수필집, 예술서적, 번역서 등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평생을 걸쳐 활동한 재능있는 예술가였다. 특히 그는 대중과 아이들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결과 그의 마음이 투영된 豊子愷의 만화는 대중들에게 인간적이면서 시적으로 다가갔다. 중‧일전쟁으로 피난을 다니면서 만화에만 국한되지 않고 중국의 거대산수를 접하며 다양한 화풍의 변화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신중국 탄생 이후 문예혁명으로 그의 작품들이 정부의 탄압을 받으면서도 만화 뿐 아니라 번역과 집필활동을 꾸준히 하며 예술가적 활동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오랜 세월 꾸준히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활동을 했던 豊子愷는 중국과 대만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연구가 아직 미흡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豊子愷풍자개의 생애와 작품, 그에게 영향을 끼친 3명의 작가들의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豊子愷는 유년시절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였던 豊子愷가 훌륭한 스승‘李淑同’을 만나 그의 재능을 더욱더 발전시킬 수 있었으며 일본 유학 후 교편을 잡으면서 본격적인 만화가, 삽화가, 번역가로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문예활동을 통하여 맺은 훌륭한 인맥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들은 더욱더 견고해지고 빛을 발하며 중국 만화의 선구자로 인정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지의류에 대한 석조문화재의 영향

        박정신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석조문화재는 석재의 단단한 특성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하여 많은 유물들이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유물들은 대부분 옥외에 노출되어 있어 물리, 화학, 생물학적 훼손을 받고 있다. 그 중 생물학적 훼손은 식물, 조류, 균류, 지의류가 주요 연구 대상으로서 석조유물에 자생하는 지의류의 동정을 통해 지의류의 개체만 확인하고 있으며, 지의류 제거에 따른 석재 표면의 손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현재 문화계에서는 석조유물에 발생한 지의류를 세월이 경과된 연륜으로 보는 인문학적 개념과 석재 표면에 발생한 오염물로써 인식하는 자연과학적 해석으로 양분되어 있다. 이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순 효산리·대신리 지석묘군의 선행연구정리, 시료제작을 통한 비교 관찰등의 방법으로 지의류 발생이 석조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지석묘군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수풀의 양, 수목의 양, 빛에 따라 지의류의 생장이 다르며 개체수가 달라진 다는 점과 이에 따라 주변 환경의 영향이 지의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의류가 자생한 부분을 제거한 후, 부분적으로 3∼5㎜의 패임 현상이 발견 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지의류가 생장하지 않은 부분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아 지의류에 의한 직접적인 훼손이라고 단정할 수 없었다. 셋째, 주사전자현미경 미세구조의 관찰에서도 지의류의 생장부분과 생장하지 않는 부분의 지의류의 영향은 상당히 적은 수준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경기도 고양시 소재 서오릉 예종의 능인 창릉의 기마상 석물에 생장하고 있는 지의류와 주변 석재표면의 풍화상태를 보면 오히려 지의류의 생장 부분에서 노출된 석재표면보다 풍화가 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의류가 석조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는 생물학 기초분야의 연구가 우선 되어져야 한다. 지의류 생장과 지의산의 연구에는 미치지 못하고 단순히 석재 표면에 자생된 지의류의 관찰에 국한하여 조사결과를 도출 한데에는 한계를 실감한다. 이상의 비교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석조문화재에 자생하는 지의류에서 발견된 지의산에 의한 석조문화재가 심각한 구조적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지의류 제거 작업에 따른 물리적 힘에 의한 석재표면의 손상이 오히려 더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Cultural relics, which we can find in our neighborhood, have long maintained their original shapes thanks to their solid feature, and thus many relics made of stone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assets Most of the relics stand outside of buildings, being exposed to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damage. Among the kinds of damage, biological sector that dealt damages inflicted by plant, fowl, fungus and lichen were set as the main targets of research. Such research focused on the conditions of lichen that grow naturally at stone relics, which enabled to confirm the zoon of lichen, however, research on damage to stone surface caused by removal of lichen has been conducted scarcely and far from sufficiently. I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mmunity, two contrasting positions exist, such as the human science concept that regards lichen grown at a stone relic as a symbol of old age or experience for the relic, and natural science interpretation that perceives lichen as contaminant generated on the stone surface. Hence, this study attempted to research the effect of lichen towards stone relics by compiling prior researches on dolmens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of the world) at Hyosan-ri and Daeshin-ri in Hwasun county, a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ed sampl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olmens, it was found that growth of lichen as well as the number of zoon differ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trees, shrubs and sunlight, and consequently the effec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given to the growth of lichen was also confirmed. Second, when the area where lichen grew was removed, the state of partly sunken by 3 5㎜ appeared, but most of ∼ such area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reas where lichen was not found, so the state could not be judged as damage caused directly by lichen. Third, it was confirmed also through the fine structure observation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at the difference of effects by lichen at their growing area from the non-growing area is very small. Fourth, observing the wild grown lichen at horse-riding stone figures that stand in front of Chang-reung (tomb of King Ye-jong) at Seo-o-reung located in Goyang city, Gyeonggi-do as well as the weathered surfaces of neighboring stones,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s with grown lichen have less progressed weathering compared to the exposed stone surfaces. Research on the effect of lichen to stone relics should be preceded by research on basic field of biology. Limitation was experienced from this study, in that research was confined to simple observation of lichen grown on stone surfaces, not covering in-depth research on growth of lichen and lichen acid. Integrating all the comparative results mentioned above, no proof has yet been found that stone relics suffered serious structural effect by lichen acid released from lichen growing wildly on stone relics. Rather, damage to stone surfaces caused by physical force that accompanied the removal work of lichen appeared as bigger problem.

      •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이용하는 풀가사리의 기능성 연구

        임인경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서화문화재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뿐 아니라 제작에 사용된 재료, 양식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귀중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재 전래된 서화문화재는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수축과 팽창, 수분의 영향에 의한 곰팡이 및 유해생물에 의해 소멸되어 박리, 박락, 균열 등의 상태로 훼손되어져 있다. 훼손된 서화문화재의 보존처리작업에는 화면보호조치 작업이 우선적으로 행하여지며 작업에 사용된 접착제는 가역성의 문제이외에도 문제점이 발생되면 원형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착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로부터 접착제나 식용 및 한약제 등 실생활에 다방면으로 사용된 풀가사리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소맥전분 풀의 제작기법과 접착제로서 활용법 등과 풀가사리를 이용한 접착제의 가공방법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소맥전분 풀과 풀가사리 접착제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장, 단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풀가사리와 소맥전분의 pH와 염도 측정 결과 풀가사리는 염도 0∼0.2%, pH6.29∼6.61, 소맥전분은 염도 0%, pH5.15∼6.05가 측정 되었다. 풀가사리는 염도가 측정되는 반면, 중성을 띄고 있었고, 소맥전분의 경우 약산성을 띄나 염도는 측정되지 않았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접착력 비교실험결과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측정값(N/25mm)이 0.82∼2.55, 풀가사리(온수가공) 1.17∼2.79, 소맥전분은 2.10∼3.85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접착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풀가사리로 제작된 접착제는 같은 농도의 소맥전분 풀보다 접착력이 약하며, 온수가공으로 제작된 풀가사리 접착제가 접착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가역성 비교를 위한 세척 후 접착력 변화 측정값(N/25mm)은 풀가사리(냉수가공) 0.12∼0.66, 풀가사리(온수가공) 0.70∼2.51, 소맥전분 2.03∼3.38이 나타나 소맥전분 <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순으로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전분과 온수가공한 풀가사리 접착제의 경우 세척 후에도 접착력이 남아있는 반면 냉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물에 쉽게 씻겨나가 서화문화재보존처리에 완전한 제거를 전제로 한 임시적인 접착에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연도 측정결과 동일 농도의 조건에서 저장탄성율(MPa)이 풀가사리(냉수가공) 5127∼6674, 풀가사리(온수가공) 5436∼7138, 소맥전분 6685∼8011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측정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측정값은 유연도와 반비례함으로 비슷한 농도에서는 소맥전분보다 풀가사리가 유연도가 좋으며, 냉수가공한 풀가사리가 가장 유연도가 낫다고 할 수 있었다. 미생물 열화실험 결과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맥전분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활발하였으나 풀가사리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았고, 온수가공으로 제작한 풀가사리 접착제는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백색도 측정결과 소맥전분 <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의 순으로 측정값의 변화가 나타났다. 소맥전분풀이 원래의 색에 비해 적은 변화 값이 도출되었고, 풀가사리는 냉수가공한 풀가사리보다 온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더 진한 색을 띄고 있음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풀가사리 중 시판되는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전체를 대신한 부족함과 검출된 물성에 대한 보다 세분된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실험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한 재료는 가역성이 있다 할지라도 잔류되는 물질이 주변 환경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풀가사리 접착제가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재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세부적인 열화관련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valuable legacy including versatile materials, not only age circumstances but also used materials and patterns. Currently inherit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composed of organic substances when influenc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act and expand as long time passes by. It is in deteriorating condition showing desquamation, exfoliation and cracks, becoming extinct by noxious organisms and fungus influenced by moisture. For damag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servation handling works, screen protection measure is conducted preferentially and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election since glue used in operation can not be restored to original figure when problems other than reversibility issue arise. This paper recognizes significance of such glues and we centered our research on applicability review of Gloiopeltis tenax used as glue, food and medicinal herbs in various practical lives of peopl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we compared and organized glue manufacture process utilizing Gloiopeltis tenax against conventionally used wheat starch glue manufacture technique and utilization of this as glue. Also we came up with good and bad sides of wheat starch glue and Gloiopeltis tenax glue after mutual comparison analysis. According to pH salinity measurement results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0~0.2%, pH 6.29~6.61, and salinity of wheat starch was 0%, pH 5.15~6.05. while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measurable, it was neutral and for wheat starch salinity level was unmeasurable though it showed slight acidity. For the comparative experiment of adhesion strength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the measured value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N/25mm) was 0.82~2.55, 1.17~2.79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10~3.85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adhesion strength was in the following order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 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Through this experiment, we came to know Gloiopeltis tenax adhesives have less adhesion strength than wheat starch of same concentr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higher adhesive quality. Adhesive strength variation measurement after cleaning for reversibility comparison between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was 0.12~0.66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0.70~2.51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03~3.38 for wheat starch, indicating higher variation gap in the following order: whear starch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Some adhesive strength could be found after cleaning in the case of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However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proved to be applicable for temporary adhesion , being able to be easily washed to provide complete removal of the adhesion as pre-requisite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flexibility measurement, under same concentration condition, storage modulus (MPa)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was 5127~6674, 5436~7138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6685~8011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Measurement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flexibility. So under similar concentration condition, Gloiopeltis tenax is more flexible than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ranked highest in flexibility. Micro organism degradation experiment results was in the following order with the latter showing more variation: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wheat starch. In case of wheat starch, fungus growth and development was brisk. However In Gloiopeltis tenax case, no fungus was detected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maintained most balanced. For whiteness index measurement, the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wheat starch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olor, wheat starch showed less vari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darker colors in comparison with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This paper had experimental limitations, being unable to conduct more departmentalized analysis on the detected property of the matter and selecting only one Gloiopeltis tenax out of various Gloiopeltis tenax currently in use to represent all Gloiopeltis tenax adhesives. Also even if the materials used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hows reversibility, we failed to conduct stability issu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sidues. For utilization of Gloiopeltis tenax as preservation process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ore detailed heat-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upplementally.

      • 기업박물관의 전시연출기법 특성 연구 : 기업문화마케팅의 활용에 따른 전시연출 현황을 중심으로

        박현준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revious marketing strategies which focuses on pricing and benefits are currently undergoing turmoils due to lesser gap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the ever increasing interests are being focused to differentiation marketing factors. In this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 customer's consumption bahaviors are becoming more customized and quality focused and as a differentiation factor,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is increased. Also, today's corporations stature was heightened from simple benefit-oriented organization to an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our society's every day survival and development. The heightened social stature of corporations are now required to have more involvement in having corresponding social responsibility of a firm.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performance and corporate image is ever increasing. In ever so changing social environment, having a long term image of top-raking company, and national corporation has become as important as achieving quality service and product, therefore becoming an important success factor to a firm. In response, as a par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olution to ever changing marketing environment, many companies are utilizing cultural marketing. Operating corporate museum is a branch of cultural marketing strategy in long term strategic and investment perspective of a firm, but also, the role of corporate museum basis as a public institution, serving the local community with cultural benefits. Furthermore, serving the role of educational institute provid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industry which the firm is included. The socio-educational institution concept and function is also included in this corporate museums.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the paradigm from culture marketing and supports on cultural contribution without benefits in return to a evolutionary form of collaboration of marketing strategy or managerial strategic factors. The strategic objectives of culture marketing is divided into 'social contribution strategy,' 'marketing strategy,' and,'managerial strategy.' Through case studies of each categories of corporate museums, the direct exhibition characteristics will be analyzed. Based on this case research results,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he most logical and effective direct exhibition method to achieve co-existence of corporation and society and hope that this dissertation will be used by firms in their future endeavors of planning a corporate museum. 제품, 서비스 간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어, 가격, 편익에 치중한 과거의 마케팅 전략으로는 차별적 경쟁우위를 가지기 어려운 상황에서, 최근 차별화된 마케팅 요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도 개성화, 고급화 추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차별화 요소로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기업은 단순한 이익 추구 집단의 차원을 넘어 우리 사회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사회적 위상이 높아졌다. 이러한 사회적 지위의 상승과 더불어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기업의 대외 이미지가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장기적으로 우량기업, 국민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는 것은 기업의 탁월한 품질이나 일류서비스 못지않게 중요한 기업의 성공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의 일환이자 마케팅 환경 변화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문화마케팅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박물관의 운영은 기업에 있어 장기적이고 전략적・투자적 관점의 문화마케팅 전략중 하나이지만, 기업박물관은 박물관의 역할을 근간으로 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 문화적 혜택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기업이 영위하는 산업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전달자 역할을 하는 교육기관으로서 기능해야 하는 사회 교육기관의 개념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마케팅의 패러다임이 반대급부 없이 문화예술을 후원하던 사회공헌에서 시작되어 마케팅 전략 또는 경영 전략 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진화함에 따라, 문화마케팅의 전략적 목적을 ‘사회공헌 전략’, ‘마케팅 전략’, ‘경영 전략’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기업박물관의 사례조사를 통해 전시연출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 사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과 사회가 함께 공존하는 데 있어 가장 합리적으로 효과적인 전시연출기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논문이 미래에 기업박물관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활용되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