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魯迅과 瞿秋白의 "革命 傳統" 意味 硏究 : 『魯迅雜感選集』을 中心으로

        보고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중국의 혁명과정에서 魯迅과 瞿秋白이 함께 제작한『魯迅雜感選集』을 중심으로 그들이 행한 문학적 실천의 의미를 되새겨 보고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해 瞿秋白이「『魯迅雜感選集』序言」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른바 "혁명 전통(revolutionary tradition)"의 의미를 추적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 중국의 혁명사 속에서 문학과 정치가 만나는 지점을 魯迅과 瞿秋白이라는 대표적 인물들의 만남을 통해 살펴보면서 그들 만남의 구체적 산물인『魯迅雜感選集』과 「共同執筆雜感」을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주제의식 또한 魯迅과 瞿秋白, 두 사람이 보여주고 있는 진정한 혁명적 사유와 실천이 무엇인가를 지속적으로 질문하는 것에 모여진다. 이러한 의문을 풀어나가기 위해서 먼저 魯迅의 잡감이 가지고 있는 문학사적 위치와 魯迅, 瞿秋白이 만나게 되는 사실적 정황들에 대해 전기적 혹은 사적(史的) 고찰을 시도한다. 이 같은 접근은 이들의 만남을 단순한 이데올로기적 동지의 결합을 넘어서 진정한 혁명적 연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피기 위함이다. 그리고 魯迅의 잡감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직서(直抒)"라는 단어로 풀어낸다. 魯迅잡감의 성격을 이 같은 단어로 풀어내는 이유는 魯迅의 문학이 현실과 가장 밀착되어 있으면서도 그것을 부정하고 극복하는 방식으로서의 글쓰기를 어떤 방식으로써 진행시키고 있었는가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로는 魯迅내면의 혁명적 사유와 실천의 동력을 찾아가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먼저 魯迅을 바라보는 瞿秋白의 시선으로서「『魯迅雜感選集』序言」을 분석한다. 이 글은 瞿秋白이 프롤레타리아적 관점을 통해 중국 사회의 계급 분화 양상을 설명하면서, 그 안에서 魯迅의 잡감은 "사상 투쟁사"의 "혁명 전통"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상 투쟁사에서의 평가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毛澤東과 瞿秋白, 그리고 魯迅三者의 혁명 관점을 자연스럽게 비교하면서 이들 속에서 모아지는 지점, 즉 무산 계급적 입장을 통해 "혁명 전통"의 의미를 설명해 낸다. 이는 앞에서 말했던 魯迅잡감의 특징인 "직서(直抒)"라는 성격과도 연결되면서 자연스럽게 瞿秋白의 魯迅평가를 객관화 시켜준다. 瞿秋白은 중국의 지식인 분화 양상을 몇 개의 역사적 사건을 분기로 나누고 있는데, 그 예가 5·4운동, 5·30사건, 그리고 혁명문학 논쟁들이다. 瞿秋白은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이 기존 부르주아 지식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계급적 본질을 드러내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으며, 이런 사건들을 통해서 혁명적 진영의 대오는 더욱 정예화 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반면 이러한 혁명 전통을 세워가는 과정 속에서 毛澤東의 시각은 통일전선전술을 통해서 구민주주의적 역량도 신민주주의, 즉 사회주의적 전망을 위해 연대의 대상이 된다는 입장이다. 魯迅의 잡감은 이들이 보여주는 입장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혁명 전통"의 가교(架橋)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부르주아 혁명론에서 시작하여 결국 무산계급혁명문학의 진영으로 나아간 魯迅의 행보는 이후 중국의 사회주의 혁명이 완성되는 기틀을 마련해 주면서, 중국 혁명의 과정이 반봉건과 반제(反帝)의 이중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 힘을 제공하고 있다 하겠다. 그 다음은 瞿秋白의 관점에 의해 魯迅의 잡감에서 발견된 "혁명 전통"이 실제로『魯迅雜感選集』텍스트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문 텍스트의 분석은 魯迅이 걸어간 진화론에서 맑시즘으로의 길을 강조하기 보다는 그의 잡감 속에 내재해 있는 사유의 운동성이 지속적으로 변화를 추구할 수 밖에 없었던 필연성을 강조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 전통의 문화적 코드를 넘어서 그것을 극복하는 사유의 방식을 진행시키고 있었던 魯迅이 사상 투쟁의 과정을 거치면서 혁명진영으로 나아가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구체적으로『魯迅雜感選集』에서는 중국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인 역사관이 중국인들 스스로를 지배와 피지배의 구조 속에 가두어 버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각성에서 시작하여 중국 사회 전반에 걸쳐 은폐되어 있는 이데올로기 그물에 대한 저항, 그리고 명(名)과 실(實)이 부합하는 혁명론을 찾아가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러한 과정은 실제 현대 중국 지식인들의 논쟁사와 동일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이런 과정이 "사상 투쟁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瞿秋白은 언급하고 있지만, 반면 魯迅에게는 끊임없는 자기 부정의 과정이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 과정에서 魯迅의 내면 또한 가볍게 다루어질 수 없다. 구체적인『魯迅雜感選集』의 텍스트는 魯迅이 가지고 있는 현실주의적 입장을 통해서 충분히 새롭게 읽혀질 수 있겠으나 본고에서는 우선 瞿秋白의 프롤레타리아적 관점을 충실하게 따라 읽었다. 따라서 瞿秋白이「『魯迅雜感選集』序言」에서 분류하고 있는 네 가지의 혁명 전통, 즉 청성(淸醒)한 현실주의, "쇠심줄처럼 끈질긴[靭]"전투, 반(反)자유주의, 반(反)허위정신의 항목으로『魯迅雜感選集』의 텍스트를 결합시켜 가면서 읽고 있다. 이런 독서의 방식은 魯迅의 잡감을 단순한 저항 이데올로기의 텍스트로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가지고 있었던 문맥에서의 변증법적 성격을 드러내기 위해서 "혁명 전통"이라는 핵심어에 초점을 맞춰서 그의 작품을 다시 읽어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瞿秋白의 관점을 통해 魯迅의 잡감을 따라 읽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그의 작품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리얼리즘적 성격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혁명이라는 과제를 가장 최우선의 화두로 삼고 있었던 魯迅의 문학 세계가 어떻게 현실과 호흡을 같이 하고 있었는가는 바로 『魯迅雜感選集』안에서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의 마지막에서는 魯迅과 瞿秋白의 혁명적 연대가 작품 창작이라는 구체적 문학 실천으로 이뤄지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 있다. 즉 서로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공동으로 잡감을 창작하게 되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그 구체적인 작품들과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집필의 과정은 두 작가가 한 작품을 만들어 내는 과정, 즉 둘이 하나가 되는 과정으로서 창작주체의 문제에 있어서도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두 사람의 혁명적 실천가가 사상적으로나 인간적으로 최고의 연대를 이루는 광경을 우리에게 보여주면서 두 사람이 진정한 의미에서 하나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의 끊임없는 문제의식은 바로 혁명적 사유의 실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혁명적 사유는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질서나 전통으로부터 하나의 주체를 설정하게 하면서 역사의 바깥을 꿈꾸게 하는 인간의 한 가능성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魯迅잡감 속에 자주 등장하는 혁명적 사유가 갖는 특징의 일례로서 기존 질서에 대한 전도(顚倒)적 성격을 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이 담겨 있는 실체로서의 魯迅잡감은 소중한 자료라 생각된다. 그리고 魯迅과 瞿秋白의『魯迅雜感選集』을 둘러싼 이와 같은 문학적 실천들은 현대 중국의 혁명사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읽혀질 때 그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과거로부터 탈주하여 새로운 인간의 역사를 만들려고 했던 중국 지식인들의 치열한 투쟁과정을 반영하고 있는『魯迅雜感選集』은 따라서 어떤 편협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해석되는 것보다 그것 자체가 하나의 운동이자 중국 혁명사의 핵심적 동력이 된 텍스트로 파악된다. This study tries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literary action executed by Luxun and Quqiubai by focusing the study to『Luxun zagan xuanji(魯迅雜感選 集)』206) which was co-published by them during China's revolution. By doing so, it traces the significance of so called "revolutionary tradition" suggested by Quqiubai in the「『Luxun zagan xuanji』xu yan(序言)」207). This study intent to look at the point where literature and politics meet during the revolution history of Modern China through the encounter of representative people, Luxun and Quqiubai. And their specific works such as『Luxun zagan xuanji』 and「gongtong zhibi zagan(共同執筆雜感)」208)became main target of this study analysis. Therefore, the core idea will be concentrated in constant questions on genuine revolutionary thoughts and actions shown by Luxun and Quqiubai.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biographical and historical evaluation on factual circumstances like literary position of Luxun's 'zagan' and encounter of Luxun and Quqiubai are demanded. Such an approach not only overcome the simplification of their encounter as ideological union but to prove how a true revolutionary solidarity is formed. It also uses 'zhi shu(直抒)'209) to untie the characteristics of Luxun's 'zagan'. The reason for using such a word to dissolve the character of Luxun's 'zagan' is because it shows how Luxun's literature is most closely adhere to reality and yet he tried to write in a way that it denies and overcome it. I believe this is the shortest route to trace the motivator of revolutionary thoughts and actions inside Luxun. Based on such an overview, this study analyses the「『Luxun zagan xuanji』 xu yan」from Quqiubai's eyes looking at Luxun. This article takes a stand that Quqiubai explains China's social class stratification status from Proletariat's point of view, and Luxun's 'zagan' constructed a "revolutionary tradition" of "the Ideological disputes history" in it. In order to acquire objectiveness of this evaluation on the Ideological dispute history, this study compared Maozedong, Quqiubai and Luxuns' revolutionary perspective and explained the core point, the meaning of "revolutionary tradition" from Proletariat's stand. This not only links to the characteristic of Luxun's 'zagan', 'zhi shu(直抒)' character which is previously mentioned, it naturally leaves Quqiubai's comments on Luxun objectively. Quqiubai divided Chinese intelligent class stratified status by several historical incidents such as 5.4 movement, 5.30 incident and revolutionary literature debates. Quqiubai takes a stand that such historical incidents are important motives for existing Bourgeois to reveal the real nature of their class. And he also believes that revolutionary camp parade can only be firmly organized through such incidents. On this issue, Maozedong thinks that Old Democracy's power could become an ally for New Democracy through united front strategy. Luxun's 'zagan' bring the difference and common into one point and plays a role as a bridge for "revolutionary tradition". Started out with Bourgeois revolution theory, Luxun progressed into Proletariat revolution literature regime. Not only that he built the base for completion of socialism revolution in China, he also presented the power to contain dual meaning of both anti-feudalism and anti-imperialism. In the next stage, the study look specifically into the fact that how a "revolutionary tradition" that is found in Luxun's 'zagan' formed in the text of 『Luxun zagan xuanji』. Text analysis focus more on underlining the inevitable destiny of thoughts in 'zagan' to pursue continuous changes instead of emphasizing Luxun's trace which went from Evolution theory to Marxism. It pictures how Luxun, who had surpassed the cultural code of Chinese tradition and formed a way to overcome, moved into revolutionary camp through Ideological conflict. Specifically,『Luxun zagan xuanji』contains the core revolutionary thoughts, rebel toward ideological net that is spreaded all over Chinese society and finally, pursuing the revolution theory that meets with the name and the reality. It could be said that such process concurs with actual history of controversy among modern Chinese intelligent. In fact, Quqiubai indicated that such a process has "the Ideological disputes history" meaning but for Luxun, it also meant endless self denial. Therefore, Luxun's inner sight had to be taken seriously in this process as well. When reading『Luxun zagan xuanji』text, although it might as well be read differently from Luxun's realism point of view, this study followed Quqiubai's Proletariat's perspective first. As a result, this study read the text by Quqiubai's four revolutionary tradition mentioned in『Luxun zagan xuanji』 intro qingxing(淸醒) realism(-awakening realism), “tenacious(靭)” conflict, anti-liberalism, anti-deceitful spirit. This kind of reading method does not limit itself to recognize Luxun's 'zagan' as simply a rebellious ideology text but to re-read his works by focusing on "revolutionary tradition" in order to reveal dialectical character from the text itself. Also, by reading Luxun's 'zagan' through Quqiubai's perspective, unique realism in his works will also be revealed. Because How Luxun's literary world based on revolution of China came to breath together with reality is pictured in『Luxun zagan xuanji』. In the last part, this study address how Luxun and Quqiubais' revolutionary ally brought about a concrete literary action such as creation of literary work. While introducing how they came to co-work on 'zagan' based on their mutual understanding, it also explains specific works and their stories briefly. This kind of co-writing process means the same as two writers create one fine art.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of two become one. This process presents an unique experience in the matter of who is the writing subject. Through the scene where these two revolutionary men of action forms the best ally both ideologically and humanly, I believe it fully shows how two can become one in a true sense. Continuous an awareness of the issues of this study focused on revolutionary thoughts reflected in 『Luxun zagan xuanji』. I believe revolutionary thoughts is the possibile way to free human beings from existing ideology or tradition. Characteristic of Luxun's 'zagan' that are found in this study lies in invertible revolutionary thoughts. Therefore, Luxun's 'zagan' which contains this kind of character is certainly a precious reference. And we need to recognize 『Luxun zagan xuanji』as one of the revolutionary actions taken by Luxun and Quqiubai in China. 『Luxun zagan xuanji』reflects Chinese scholar's challenge to deny the past and move toward a new human history. And the core of Chinese Revolution lies within.

      • <阿Q正傳> 연극 각본 연구

        , 현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루쉰의 「阿Q正傳」이 1921년 출간된 지 올해로 딱 100년이 되었다. 「阿Q正傳」은 신해혁명 전후 중국 농촌의 계급모순과 계급투쟁을 소재로 삼아 신해혁명과 그 실패를 통한 역사의 본질적인 교훈을 반영하였다. 출간 이래 「阿Q正傳」은 크게 주목받으며 40여 개 언어로 번역․출간되었고, 루쉰의 작품 중 가장 많이 각색되어 여러 차례 연극 무대에서 상연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阿Q正傳」의 각색은 크게 1930년대, 1980년대 초(루쉰 탄신 100주년 기념), 1990년대 초기의 세 시간대로 나뉘며, 주로 연극, 전통희곡, 영화 등으로 각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학작품과 연극의 친밀한 상호 작용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루쉰의 「阿Q正傳」이 여러 차례 극본으로 각색된 현상에 주목하는 것은 문화사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소설과 연극의 본질적인 특징에서 출발하여, 「阿Q正傳」을 각색한 다섯 극본인 陳夢韶의 <阿Q劇本>(6막), 許幸之의 <阿Q正傳>(6막), 田漢의 <阿Q正傳>(5막), 陳白塵의 <阿Q正傳>(7막), 梅阡의 <鹹亨酒店>(4막)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소설 「阿Q正傳」을 극본으로 각색하는 과정에서의 변화와 득실 경험을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와 극본을 숙독하는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阿Q正傳」의 각색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고, 다섯 극본을 소설과 대비한 다음 주제와 사상, 인물의 창조, 장면의 첨가와 삭제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각 대본의 특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陳夢韶의 <阿Q劇本>(6막)은 소설 「阿Q正傳」의 첫 극본이다. 이 극본은 원작의 내용이 매우 충실하여 극본의 많은 대사도 원작과 똑같이 나타났다. 최초의 「阿Q正傳」을 각색한 연극으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둘째, 許幸之의 <阿Q正傳>(6막)은 이전 극본과 비해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원작에 충실하면서도 원작에 없는 이야기와 인물들을 많이 추가하였다. 이러한 측면이 연극에 극적 효과를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극적 처리로 말미암아 오랫동안 큰 영향을 미치는 극본이 되었다. 셋째, 田漢의 <阿Q正傳>(5막)은 許幸之의 극본에 비해 좀 늦게 발표하였는데, ‘항전희극’(抗戰戲劇)의 특징을 뚜렷하게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극본은 루쉰의 다른 소설의 인물과 사건을 許幸之의 것 보다 더 많이 추가하였다. 이처럼 田漢의 극본은 항일전쟁 시기에 개봉되어 큰 인기를 끌었고, 대중을 계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넷째, 陳白塵의 <阿Q正傳>(7막)은 원작에 가장 충실한 극본이다. 이 극본은 소설의 주요 인물과 사건을 보유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원작에 대한 陳白塵의 해석이 더해졌다. 그리하여 이 극본은 원작에 충실하면서도 원작에 없는 것을 더 풍부하게 연출하였다. 그래서 陳白塵의 극본은 중국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수차례 번역하고 공연되었다. 다섯째, 梅阡의 <鹹亨酒店>(4막)은 「장명등(長明燈)」, 「광인일기(狂人日记)」, 「약(藥)」이 주를 이루었고, 「내일(明天)」, 「공이기(孔乙己)」, 「축복(祝福)」, 「아큐정전(阿Q正傳)」에서 필요한 인물들을 선택하여 각 장에 등장시키는 방법으로 구성했다. 그러나 이 극본은 다른 극본보다 「阿Q正傳」의 묘사는 그다지 많지 않다. <鹹亨酒店>은 루쉰의 여러 소설을 하나로 각색한 첫 시도이다. 하지만 「阿Q正傳」의 주요 사건과 인물을 보유했다. <鹹亨酒店>이 거둔 성과는 뚜렷하다. <鹹亨酒店>이 제공하는 루쉰의 작품을 개작하는 경험 역시 매우 중요하게 취급할 만하다. 비록 부족한 측면이 있지만 <鹹亨酒店>은 루쉰의 작품을 개작하는 면에서 중요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극 극본의 역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陳白塵의 <阿Q正傳>을 대상으로 극본의 의의와 한국에서의 번역과 수용 문제를 고찰하였다. <阿Q正傳>은 극작가 陳白塵의 성숙한 창작 경험과 높은 사상적 경지를 담고 있었으며, 창조적인 연극 형식으로 해석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극본은 루쉰의 사상과 원작소설의 내용에 엄격히 충실하다는 점, 신해혁명에 대한 비판을 심화시켰다는 점, 아큐의 비참한 운명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陳白塵은 시대의 정신을 오직 그의 창작 속에 유기적으로 녹여내는 동시에 연상을 예술로 바꾸어 극본에 포함시켰던 것이다. 이 극본은 1981년 각색한 陳白塵의 <阿Q正傳>은 中央戲劇學院에서 유학 중인 한국인 유학생 강춘애의 번역으로 1999년 봄 한국 국립극단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비교적 원작에 충실하게 번역작업을 수행했음에도, 속담이나 관용적인 표현 등에서 원문의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거나 한국의 독자 또는 관객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번역에는 이르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阿Q正傳」은 역사의 심각한 교훈과 참신하면서도 독특한 예술 스타일로 사람들의 넓은 칭송을 받았다. 이 작품은 중국 신문학사에서 불후의 비석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사에서도 숭고한 명성과 지위를 누리고 있다. 여러 대본으로 각색된 데다가 국내외에서 폭넓게 상영됨으로써 아큐가 집집마다 모르는 사람이 없는 인물이 되었고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도 새로운 역사의 국면에서「阿Q正傳」에 대한 각색 실천 활동은 반드시 계속 진행될 것이라 본다. 魯迅的《阿Q正傳》從1921年出版到今年剛好100年.《阿Q正傳》以辛亥革命前後中國農村的階級矛盾和階級鬥爭為題材,反映了辛亥革命和歷史失敗的本質教訓.《阿Q正傳》出版以來備受關注,被翻譯成40多種語言出版,是魯迅作品中改編最多的作品,多次被搬上話劇舞台,反響熱烈。 通過此前對《阿Q正傳》的先行研究整理歸納,《阿Q正傳》的改編大概分為二十世紀三十年代,八十年代初(魯迅誕辰一百週年)九十年代初。這三個時期的改編狀況主要以話劇,傳統戲曲,電影等。文學作品和戲劇親密的相互作用有著悠久的歷史。因此,魯迅的「阿Q正傳」曾多次被改編成劇本現象,並且關注小說和戲劇的特點出發,「阿Q正傳」改編的五個劇本陳夢韶 《阿Q劇本》 6幕, 許幸之《阿Q正傳》6幕, 田漢《阿Q正傳》5幕, 陳白塵의 《阿Q正傳》 7幕, 梅阡《鹹亨酒店》4幕劇為研究對象。目的是分析魯迅《阿Q正傳》小說改編過程中的變化和改編《阿Q正傳》的得失經驗。 本文通過研究文獻,運用熟讀劇本的研究方法,收集「阿Q正傳」的改編相關資料,將五個劇本與小說相比較,然後圍繞主題、思想、人物的創造、場景的添加和刪節進行研究。 各話劇劇本簡單概括內容如下: 第一,陳夢韶的《阿Q劇本》(6幕)是小說《阿Q正傳》的第一步話劇劇本,並且此劇本中的很多對話與原著形同,作為第一部《阿Q正傳》的改編話劇,它有著十分重要的價值。 第二,許幸之的《阿Q正傳》(6幕) 較之前的改編劇本來說,許幸之的版本具有很大的創新。他在忠實原著的基礎上增添了許多原著中沒有的事件和人物,這為其劇本增添了許多戲劇效果,這種戲劇化的處理,使它成為了一個影響久遠的改編本。 第三,田漢的《阿Q正傳》(5幕) 與許幸之的劇本相比,田漢的話劇帶有明顯的「抗戰戲劇」的特點,而且田漢的版本增添的魯迅其他小說中的人物與事件都比許幸之的多。田漢的劇本在抗日戰爭時期上映效果轟動,併發揮了啓蒙大眾的重要作用。 第四,陳白塵的《阿Q正傳》(7幕)是最忠實原著的劇本。保留了小說中的主要人物事件,並在此基礎上加上了改編者對原著的解讀,使話劇忠實並呈現出了原著之外的光彩。陳白塵的劇本不僅在中國在國外也曾數次翻譯並演出。 第五,梅阡的《鹹亨酒店》(4幕)是以《長明燈》,《狂人日記》與《藥》為主及《明天》,《孔乙己》,《祝福》,《阿Q正傳》的人物擇其所需編湊而成的。並在忠實原著的基礎上進行了增加與刪減。但是與之前的劇本相比《鹹亨酒店》中的《阿Q正傳》的色彩並沒有那麼濃烈了,但是也保留了幾處《阿Q正傳》的經典橋段和幾個代表人物。 梅阡的《鹹亨酒店》是第一部將魯迅的多個小說改編成話劇的作家。《鹹亨酒店》所取得的成就是明顯的,它所提供的改編魯迅作品的經驗也是十分值得重視的,雖然也有些遺憾與不足,但是《鹹亨酒店》在魯迅作品的改編上,提供了有價值的經驗。 魯迅的著名小說《阿Q正傳》至今問世100年了。這部作品以其高度概括的人物典型、歷史的深刻教訓和新穎獨特的藝術風格, 贏得了人們廣泛的贊頌。《阿Q正傳》不僅是中國新文學史上一座不朽的豐碑, 在世界文學中也享有崇高的聲譽和地位。加上改編成幾種劇本, 多次在國內外上演, 因而, 阿Q跟其他許多名著中的典型形象一樣, 成了家喻戶曉、人盡皆知的人物, 產生了廣泛深刻的社會影響。

      • 한국·베트남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왜곡된 시선 : 문경시의 인구증가를 위한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기에우 티 엔 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5

        1992년 12월 22일, 대한민국과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이 정식적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양국은 지난 30년 동안 전면적으로 교류·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이에 따라 2000년대부터 한국·베트남 국제결혼 건수, 특히 한국인 남성과 베트남인 여성의 혼인 건수가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타국가의 국제결혼 건수와 비교했을 때에도 그 수는 많다고 볼 수 있다. 지난 2000년 ~ 2005년간 한국 남성과 혼인한 중국인 여성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이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 반면, 베트남 여자와 결혼 건수는 2000년대 초반에 2000년 77건, 2001년 134건, 2002년 474건밖에 안 되었지만 2003년 1,402건, 2004년 2,461건, 2005년 5,822건, 2006년 10,128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후 2007년 ~ 2020년에 2 ~ 3천 명 정도 증감 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에 중국과 베트남 여성의 한국 남성과 혼인한 여자의 수가 9,623명으로 동등하게 나타났고 급기야 2011년과 2015년 ~ 2020년 중국을 추월하였다. 이렇게 한국·베트남 국제결혼 건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양국 간의 관계가 더욱 더 가까워지고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한국·베트남 국제결혼을 둘러싼 문제 역시 이 과정 속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대표적으로 2021년에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인구증가를 위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베트남 여자 유학생을 농촌 총각의 결혼대상으로 선정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경시의 농촌 총각 결혼대상 선정기준을 통해서 먼저 베트남 유학생의 교육적 수준에 대한 한국사회의 이해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되며, 더 나아가 인간 사회에서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없애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한국 농촌의 혼인 연령을 놓친 남성과 베트남 유학생의 맞선 진행은 인종차별과 성차별 등을 없애버리는 노력에 반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이 사업을 통해 베트남 여성이라는 특정 집단과 한국·베트남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인 및 한국 사회의 인식에 인종차별적, 성차별적, 매매혼적 성격이 담겨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인권이 중요시되는 21세기 현대사회에 어긋난 기준이라고 평가한다. 왜 문경시가 베트남 여자 유학생을 지목하여 이 사업을 진행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필자는 문경시가 추진한 인구증가를 위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이 문경시의 인구증가를 위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사례와 이 문제와 연관된 이전 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베트남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왜곡된 시선>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음을 명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1장과 제2장에서는 문제 제기와 선행 연구, 연구 방법과 논문 구성 및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의 인구와 국제결혼 현황, 국제결혼 내 이주여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 내 국제결혼 및 이주를 이해하는데 있어 필요한 배경지식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문경시의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문경시 인구현황과 이 사업의 배경과 목적, 농촌 총각의 결혼 상대자 선정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중심 문제의 범위가 단순히 하나의 지역적 문제로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문제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즉, 이 사업의 문제점은 문경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의 문제라고 판단되었다. 특히 필자는 본 논문의 논점에 대해 크게 세 가지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차별(인종차별과 성차별) 문제이며, 문경시는 인구감소와 농촌 총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문화결혼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결혼 선정 대상을 베트남 여자 유학생으로 노골적으로 명시하였다. 이렇게 특정 집단을 노골적으로 지목한 것과 그 대상의 환경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사업은 성차별적, 인종차별적인 사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 한국 남성이 한국 여성과 결혼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저출산 문제가 다문화결혼 정책의 바탕이 되는데 단순히 외국 여성을 통해 한국 여성을 대체함으로써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베트남 여성뿐만 아니라 외국여성을 ‘출산도구’ 또는 재생산 도구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셋째,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사업의 공인된 매매혼적 성격에 대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한국·베트남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왜곡된 시선에 대해 문경시의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에 대한 배경지식과 국제결혼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지방자치단체의 시책으로 인해 베트남 여성은 물론, 외국인 여성에 대한 인권이 한국 사회 전반에서 침해받고 있다고 본다. 한국·베트남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왜곡된 시선을 분석한 본 논문을 통해 앞으로 한국·베트남 국제결혼과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또는 외국인 여성에 대해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왜곡된 시선이라는 문제를 해소하고 한국 사회가 시대와 수준에 알맞은 국제결혼 사업과 정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학교폭력 예방 기여교사 승진 가산점 제도의 운영 실태와 효과 분석

        박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75

        1995년을 기점으로 학교폭력의 심각성이 더해져 학생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이 커지고, 그와 함께 교사들에게 학교폭력 발견 및 대응 조치 등의 업무 부담뿐만 아니라 과도한 책임까지도 요구되기 시작했다. 이는 결국 교사들이 학교폭력 관련 업무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했고, 이에 정부는 2012년 3월 21일,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하여, 교육감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마련에 크게 기여한 학교 또는 소속 교원에게 포상 또는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신설하였다. 그 해 7월,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폭력의 예방과 조기 해결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세심한 관심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개정 법률의 후속조치로, ?학교폭력 해결 기여교원 승진 가산점 부여방안?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바로 이어서 11월에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의 개정을 추진하여 2013년부터 이 제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및 해결 등을 위하여 노력한 교원에게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여, ‘학교폭력 근절 분위기 조성과 교원의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도입된 ‘학교폭력 예방 기여교사 승진 가산점 부여 제도’는 현재 ‘학교폭력 예방과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교원 간 협업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순기능보다 승진제도와 연계되어 교내, 외에서 형평성 문제를 포함한 부작용이 발생시키고 있다. 이처럼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가산점 정책은 현재 격렬한 논쟁을 야기하여 교원 승진 가산점 정책의 쟁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폭력예방 기여교사 승진 가산점 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고, 대상자 선발 기준에 대한 생각과 제도의 시행 목적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별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을 부여받고자 하는 교사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기인을 찾고, 가산점 제도 도입에 따른 초등학교의 학교와 교사문화 변화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제도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제도의 시행 목적에 대한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제도의 초등교사의 개선 요구는 어떠한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의로 선정한 경기도 9개 지역 교육지원청 소속 20개 학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322부를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제도의 운영 실태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V.22를 통해 분석하였다. 학교 폭력 승진 가산점 제도 인식, 선발 기준 적합성, 운영실태 및 효과의 평균을 산출하기 위하여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으며, 각 학교별 초등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제도에 대한 인식 및 개선 요구 등을 분석,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고, 하위 집단별로 Scheffe 검증을 이용한 사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 목적에 따라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가산점 제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추진목적, 선발 기준 및 방법 등의 가산점 제도 자체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에 반해 가산점 규모, 상한선 및 선발 대상자의 비율 관련 적합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정도의 점수를 보였고,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취득을 위한 노력은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부여 대상자 선발 기준의 심사 관점 적합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세 영역 모두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점수를 받아 심사 관점이 비교적 적합하다고 조사됐으며, 특히 실질적으로 학교폭력 사건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학교폭력 대응 조치 및 특수 공적 영역이 가장 높은 평균점을 보였다. 교사들이 학교폭력 업무와 관련된 심사관점에서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준 것에 비해 학교폭력 예방과 거리가 있는 교외 협의회 참석과 같은 명목상의 학교폭력 업무 항목에서는 가장 낮은 평가를 함으로써, 교사들이 실질적인 학교폭력 예방에 더욱 중점을 두고 가산점 대상자를 선발하기를 원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셋째, 각 학교별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 제도의 추진 목적에 맞는 운영 실태에 대한 항목은 보통 정도의 점수로 평이한 수준에 그쳤고, 선발 기준 심사 항목을 수립 시, 교사의 의견 반영 및 협의 정도에 대한 항목은 보통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설문에 응한 85.4% 의 교사는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부여 대상 신청자 비율이 40% 또는 40% 미달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학교폭력 승진 가산점 제도의 필요성 및 개선 요구를 분석한 결과, 제도 시행 후, 체감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은 저조한 평가임에도 설문에 응한 교사의 53.1% 는 이 제도가 필요하다는 답을 하였다. 이는 학교폭력과 관련된 업무가 교사에게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를 안겨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 中国延边朝鲜族社会的形成考察

        李 華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75

        중국 조선족은 조선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이 중국 동북지역에 뿌리 내리고 장기적으로 생활하면서 번창하여 형성된 민족이다. 기나긴 300여년 세월동안 조선족은 복잡하면서도 험난한 여정을 겪어야 했다. 본 논문은 明末淸初시기부터 중화민국시기까지의 조선족 사회형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최초 이들은 인삼채취나 사냥을 목적으로 국경을 넘었을 뿐 정착하려는 목적은 없었다. 19세기중엽, 조선 북부지역에 연달아 자연재해가 발생하면서 조선백성들의 생활은 말할 수 없이 피폐해졌고 게다가 조선정부의 부패한 정치 또한 백성들의 삶을 더 힘들게 했다. 하여 이들은 목숨 걸고 국경을 넘어 중국 동북지역에 뿌리내리고 점차적으로 하나의 사회조직을 만들어 가기 시작했다. 1860년 러시아 정부가 淸나라와《北京條約》을 체결하고 沿海州지역을 강점하면서 대량의 조선인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였고 이는 淸나라 국경지역에 큰 위협이 되었다. 이에 淸나라는 동북지역에 대한 封禁을 해제하고 전면적으로 “移民實邊”정책을 시행하게 된다. 점점 늘어나는 조선개척민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淸나라는 동북지역에 四堡三十九社를 설립하였고 이는 조선인들의 집거지역을 형성하는 큰 전환점이 되었다. 그 후 조선인들은 중국 땅에서 멸시, 억압, 서러움을 이겨내면서 漢族, 滿洲族 등 여러 민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이들과 함께 중국의 동북변방을 건설하기에 힘썼다. 또 한편으로는 서로 돕고 의지하고 생사를 같이 하면서 자신들만의 사회공동체를 점차 만들어 나갔다. 수십 년 동안의 노력으로 중국에 이주해 온 조선인들은 초보적으로 자신들만의 경제구조와 사회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경제생활 및 사회조건의 변화는 이들의 民族意識에도 변화가 발생하게 하였다. 또한 중국 국내의 新學運動과 더불어 조선의 애국지사들이 일본정부의 눈을 피해 중국 동북지역으로 피신하여 救國運動을 펼치게 되면서 연변지역에는 민족교육의 붐이 일게 되었고 이는 조선민족의 교육발전을 추진하는 큰 힘으로 작용했다 기나긴 세월동안 조선족들은 중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고 중국에 대해 중국인으로서의 민족정신, 사명감, 응집력이 생기게 된 것이다.중국 조선족 역사는 중국 역사의 일부분일 뿐만 아니라 한국 역사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국 조선족사회 형성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앞으로도 이런 연구는 더 깊고 더 전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re people who moved from the Joseon Peninsula to China, setting down in northeastern China and living for a long time. For more than 300 years, ethnic Koreans had to go through a complicated and tough journey. This paper intensively researched the social formation of ethnic Koreans from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from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to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Initially, they crossed the border for the purpose of harvesting or hunting ginseng, but did not intend to settle down.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 series of natural disaster‘s occurr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Joseon Dynasty, making life indescribably impoverished and the corrupt politics of the Joseon government also made life more difficult for the people. Therefore, they risked their lives to take root in northeastern China and gradually began to form a social organization. In 1860, when the Russian government signed the Treaty of Beijing with the Qing Dynasty and strengthened the Primorsky region, a large number of Koreans moved to the area, posing a great threat to the border area of the Qing Dynasty. In response, the Qing Dynasty lifted the ban on Northeast Asia and implemented a policy of "immigration change" in its entirety. In order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the growing number of Joseon residents, the Qing Dynasty established a four-bo 39 company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formation of a residential area for Koreans. The Koreans then overcame contempt, oppression and sorrow on Chinese soil, maintaining close ties with the Han and Manju tribes and working with them to build a northeastern part of China. On the other hand, they gradually created their own social community by helping each other, relying on each other, and living and dying together. The Koreans who had immigrated to China through decades of hard work first formed their ow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and these changes in economic life and social conditions led to changes in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the neo-hak movement in China, the patriotic governors of the Joseon Dynasty took refuge in northeastern China to escape the Japanese government's eyes, which led to the boom of national education in the Yanbian region, which served as a great forc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of the Korean people. For a long time, ethnic Koreans consider China their second home and have developed a sense of national spirit, mission and cohesion as Chinese. The history of ethnic Koreans in China is not only part of Chinese history but also part of Korean history. Therefore,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Chinese ethnic Korean society will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a, and I believe that such research should be made deeper and more comprehensive in the future.

      • 격벽형 전자종 디스플레에서 APLM 파형 및 구동조건에 따른 광특성 및 표동전류 분석

        주 원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59

        In this study, three panels made with active particle loading method(APLM) that can filter the intrinsic charge to mass ratio() values of the charged particles loading into the cell and one that is not made with APLM. The APLM waveform has applied the previously studied DC waveform and the improved RAMP waveform. Electronic paper consumes little power when maintaining the image. This is characterized by memory effects as the charged particles are attached to the electrodes due to image force. In other words,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panel is advantageous for a step wave that can be applied by separating the voltage for the loading particle to float on the neutral fluid after overcoming the image force and the voltage for the moving of the floating charging particle in the fluid. In this study, all samples were applied to a step waveform that could distinguish voltages in two stages, not pulse waveforms.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charged particles were compared by conducting an experiment with the reflectivity and the drift current in the four driving conditions. Typically, when the condition C1 (a = 1 second, b = 9 seconds) is applied to each sample, the charge of the charged particles that have moved at one time is compared through the floating current output due to the movement of the white charged particles injected into the cell. The of the panel (#1) not manufactured with APLM is 4.805 , the of the panel (#2)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DC waveform for 10 seconds is 4.872 , and the of the panel (#3)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RAMP waveform for 5 seconds is 4.631 , and the of the panel (#4)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RAMP waveform for 10 seconds is 5.464 . #4 has a higher charge of charged particles moving at one time than other samples. This showed the same characteristics in other driving conditions. When driving conditions for each sample are applied, the ratio of the white charged particles occupying the upper electrode changes with time. When external light was incident on the upper substrate, the reflected light was measured. The response time of the panels were compared in condition C1. The rising time of #1 is 1.59 seconds, the rising time of #2 is 1.706 seconds, the rising time of #3 is 1.853 seconds, and the rising time of #4 is 1.235 seconds. #4 has faster rising time than other samples. This showed the same characteristics in other driv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reflectivity of white charged particles was compared by applying the same drive voltage to all samples. At this time, the average reflectivity of #1 to 3 was measured at about 30%. However, #4 was measured more than twice the reflectivity of the remaining sampl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hite charged particles of all samples were relatively more activated when condition C1 was applied under the four driving conditions. In other words, the panel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In addition, the #4 produced from the improved APLM waveform confirmed that panel characteristics improved in all driving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samples. In other words, #4 is considered to have improved panel properties due to relatively large loading of white charged particles with large q/m values. Improved APLM waveforms that reduce power consumption by half compared to existing APLM waveforms can improve pane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ptimization of improved APLM waveforms that efficiently filtering the charged particles that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and driving waveforms that efficiently activate the charged particles. 본 연구에서는 하전입자의 고유 전하량 대 질량비() 값을 필터링하여 셀 내에 주입할 수 있는 active particle loading method(APLM)으로 제작한 3개의 패널과 APLM으로 제작하지 않은 1개의 패널을 제작하였다. APLM으로 사용한 파형은 기존에 연구되어진 DC 파형과 기존 파형을 개선한 RAMP 파형을 사용하였다. 패널의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하전입자는 패널의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극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전자종이의 메모리 효과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image force로 인하여 전력소모가 거의 없이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패널의 이미지를 전환하기 위해서 인가하는 구동전압은 하전입자를 image force에서 극복시킨 후 투명한 중성 유체 내에 부유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압과 유체 내에 부유하고 있는 하전입자를 상반되는 전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압을 구분해서 인가할 수 있는 계단파를 패널에 인가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였던 펄스파가 아닌 전압을 2단계로 구분해서 인가할 수 있는 계단파의 4가지 구동조건을 모든 sample에 동일하게 인가하여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백색 하전입자의 특성을 표동전류 및 반사율 측정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대표적으로 조건 C1(a=1초, b=9초)을 각 sample에 인가하였을 때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백색 하전입자의 이동으로 인하여 출력되는 표동전류를 통하여 일시에 이동한 하전입자의 전하량 을 비교하였다. APLM으로 제작하지 않은 패널(#1)의 은 4.805 이고, DC 파형을 10초 동안 인가하여 제작한 패널(#2)의 은 4.872 이고, RAMP 파형을 5초 동안 인가형 제작한 패널(#3)의 은 4.631 이고, RAMP 파형을 10초 동안 인가하여 제작한 패널(#4)의 은 5.464 이다. #4는 다른 sample들 보다 일시에 이동하는 하전입자의 전하량이 높았다. 이는, 다른 구동조건에서도 동일한 특성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조건 C1을 각 sample에 인가하였을 때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백색 하전입자가 상부전극으로 일시에 이동하게 되어 전극을 점유하는 하전입자의 비율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여 외부 광을 상부기판에 입사하였을 때 상부기판에서 반사하는 광을 측정하여 패널의 응답시간을 비교하였다. #1의 상승시간은 1.59초이고, #2의 상승시간은 1.706초이고, #3의 상승시간은 1.853초이고, #4의 상승시간은 1.235초이다. #4는 다른 sample들 보다 상승시간이 빠르다. 이는, 다른 구동조건에서도 동일한 특성을 보였다. 또한, 각 sample에 동일한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부전극에 백색 하전입자를 점유하게 했을 때 반사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1~3은 평균적으로 30%정도의 반사율이 측정되었지만 #4는 나머지 sample들보다 두 배 이상의 반사율이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모든 sample은 4가지의 구동조건 중 조건 C1을 인가하였을 때 각 sample의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백색 하전입자가 상대적으로 더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동일하게 확인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패널의 특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선된 APLM 파형으로 백색 하전입자를 필터링하여 제작한 #4는 모든 구동조건에서 다른 sample들보다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백색 하전입자가 상대적으로 일시에 많이 이동하여 패널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4가 다른 sample들보다 큰 값을 지니고 있는 백색 하전입자가 셀 내에 상대적으로 많이 주입되어 일시에 이동하는 하전입자가 많아 패널의 특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개선된 APLM 파형으로 백색 하전입자를 필터링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였던 APLM 파형보다 전력소모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패널 특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널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하전입자를 효율적으로 필터링하여 주입할 수 있는 개선된 APLM 파형 및 셀 내에 주입되어 있는 하전입자를 셀 내부에 형성된 전계에 빠르게 반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하전입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구동파형의 최적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화장품 브랜드의 패키지 색채 미지와 중국 소비자의 색채 선호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759

        China is the world's largest market with population of over 1.3 billion by 2015, and is in a geographical location very close to Korea. According to "2017 China Cosmetics Distribution Analysis Report" of GNL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China's cosmetics market reached 583 billion yuan in 2016, ranking second in the world. Looking at the survey of Chinese consumers' use of cosmetics, 57% of them prefer imported cosmetics, and import amounts of China's cosmetics from 2013 to 2015 show that Korean cosmetics were the second largest source of import next to French cosmetics, followed by other countries' cosmetics. As a result, Korean cosmetics brands in the Chinese market compete not only with Korean brands but also with other national cosmetics brands, creating more intense competition. To survive such a competitive landscape, cosmetics brands need a unique strate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package colors of Korean brand-shop cosmetics, research and analyze adjective vocabulary that Chinese consumers associate with colors of the packages, thereby identifying the present condition of image-building of Korean cosmetic brands in China and investigating color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s used in cosmetic packages and the concept of cosmetics bran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confirm associative images and satisfaction with colors of Korean cosmetic packages, a survey was conducted toward Chinese women in their 20s. Through this survey, the satisfaction level of package color with regard to skin condition, age, and occupation of consumers was confirmed, and statistic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ckage color, brand purchase frequency and reason of purchase were made. We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results to providebasic data that can accurately convey the concepts and intentions of Korean cosmetics brands to consumers in color planning of cosmetic package for Chinese consumers. In order to analyze preference of Korean cosmetic package color images, 153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Beijing, Shanghai, West and South districts of China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A total of 30 packages totaling 10 packages of bestselling skin care products from selected Korean cosmetics brands: The Face Shop, Innisfree, and Missha. Then, we extracted the colors of the packages, investigate how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colors is related to skin condition, age, and occupations; this study confirmed intuitive sense of consumers for coloration. Color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Adobe Photoshop CS6;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S standard color C &D155 Hue &Tone 155, and there 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motional adjectives associated by respondents who perceived the extracted colors of cosmetic packages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perceiving colors of Korean cosmetics brands, the respondents associated natural, elegant, classical, humble, and simple from the coloration of The Fash Shop; they associated natural, stable, pure, elegant, and dignified as emotional adjectives from the one of Innisfree. Finally, they identified the coloration from Missha as simple, elegant, humble, dignified, and classical.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 ofbrand that Korean cosmetics brands pursue and their concepts that respondents perceive, the brand concep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s associated with Korean cosmetics of 20 Chinese women consumers, of the five associative brand concept images that The Face Shop pursued, they recognized only one associative image, 'Natural'. Next, out of the five associative images proposed by Innisfree as a brand concept, respondents perceived two associative images,'natural' and 'stable'. Finally, respondents were reminded of extracted package colors of Missha and associated "simple", "elegant", and"simple" images, which account for three of the five brand conceptsthat Missha pursues. In other words, Missha was the brand that the responding Chinese women in their twenties recognized the best, followed by Innisfree and The FaceShop. The associative images appear subjectiv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ast memory, background, psychological condition, country, and experience.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 same color is perceived, there maybe differences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In other words, Missha, which made it possible for consumers of different occupations, age and skin condition tore mind three of the five associative images of the brand concept; Missha is found to strongly establish its brand concept for Chinese women in their 20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or preference of Korean cosmetic package among 20 Chinese consumers who responded, N9 / 147 light achromatic, soft (sf) blue (B), purplish blue (PB) and pale (pl) green(G) were shown to be the most preferred coloration; those who are in the early20s were found to prefer whitish (wh) bluish green (BG) and N8/148; those intheir mid 20s were found to prefer N9/147, pale achromatic colors, pale (pl)green (G); those in the late 20s preferred pale (pl) greenish yellow (GY) andvivid (vv) greenish yellow (GY). Investigating color preference in relation to skin condition, it was found that Chinese women in their 20s with dry skin preferred vivid (vv) red (R), light grey (ltgy), and black (bk) yellowish red(YR); those in their 20s with oily skin were found to prefer whitish (wh)bluish green (BG) and achromatic color N8/148.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lor preference of Chinese women in their twenti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skin condi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ubjects of study were limited to 20 Chinese female consumers an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and the range of occupation was not wide, thereby limiting the diversity of respondents. Fourth, in order to analyze preferred colors of cosmetic packages of Chinese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 surveyed 20 preferred emotional adjectives among 20 possible associable words. As a result, 'elegant', 'natural' and 'classical' were found to be emotional vocabulary expected by the consumers when they purchase cosmetic packages. Respondents who selected 'elegant' were found to prefer hues of red (R), light(lt), pale (pl), and whitish (wh); those who selected 'classical' were confirmed that they prefer soft(sf),light (lt), pale (pl), whitish (wh)red (R), light (lt) whitish (wh) yellow (Y), and light (lt) pale (pl) whitish(wh) bluish green (BG). This research identifies emotional adjectives that Chinese consumers associate from colors of Korean cosmetic packages; the study has significance being used as basic data to be utilized for color planning of Korean cosmetic brands by suggesting emotional adjectives and colors that are expected when consumers purchase Korean cosmetics. 중국은 2015년까지 13억이 넘는 인구를 가지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며, 한국과 매우 근접한 지리적 위치에 있다. GNL국제지적재산권경영연구소 ‘2017년 중국 화장품 유통분석 보고서’를 보면 중국의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6년도 5,830억 위안(한화 약 102조원)으로 세계 2위가 되었다. 중국 소비자들의 화장품 사용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면 57%가 외국 화장품을 선호하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중국의 기초화장품 수입금액을 보면, 한국화장품은 프랑스 화장품의 다음으로 많이 수입되었고, 미국과 일본 독일 등 다른 국가의 화장품이 그 뒤를 따랐다. 이로 인하여, 중국 시장 내의 한국화장품 브랜드는 한국 브랜드 뿐 아니라 기타국가 화장품 브랜드와도 경쟁하고 이는 더 치열한 경쟁 구도를 만들었다. 그러한 경쟁 구도에서 살아남기 위해 화장품 브랜드는 독특한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브랜드숍 화장품의 패키지 색채를 추출하고, 패키지 색채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연상 형용사 어휘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국내 한국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 구축 현황과 중국 소비자의 색채 선호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방법은 화장품 패키지에 사용되는 색채와 화장품 브랜드 콘셉트의 연관성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한국화장품 패키지 색채의 연상 이미지와 색채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 2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피부 상태, 연령, 직업의 차이에 따른 패키지 색채만족도를 확인하고, 패키지 색채와 브랜드 구매빈도, 구매이유의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두 가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화장품 패키지의 색채기획 시, 한국화장품 브랜드의 콘셉트나 의도를 소비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여 성공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조사는 중국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패키지 색채 이미지 선호도 분석을 위하여 중국 북경, 상하이, 서부, 남부구역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15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화장품 패키지 색채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정된 한국화장품 브랜드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미샤의 스킨케어 베스트셀러 제품 각 10개씩 총 30개의 패키지 색채의 배색을 추출하고 중국 소비자가 선호하는 배색과 소비자의 피부 상황, 연령, 직업 차이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며 소비자의 각 배색에 대한 직관적인 감각을 규명하였다. 색채 추출은 분석 도구 Adobe Photoshop CS6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색채 분석은KS 표준색 C&D155 Hue & Tone 155를 활용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20대 여성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브랜드 색채 인지 정도를 확인을 위해 추출한 화장품패키지 색채를 인지한 응답자들이 연상한 감성 형용사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은 더페이스샵의 배색에서 내추럴한, 우아한, 클래식한, 소박한, 심플한을 연상했고, 이니스프리의 배색에서는 내추럴한, 안정된, 순수한, 우아한, 중후한 감성 형용사를 연상했다. 마지막으로 미샤의 배색에서는 심플한, 우아한, 소박한, 중후한, 클래식한 이라는 감성 형용사를 규명했다. 둘째,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추구하는 브랜드 콘셉트와 응답자들이 인지하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콘셉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브랜드 콘셉트와 실제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연상 이미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은 더페이스샵이 추구하는 브랜드 콘셉트 연상 이미지 5개 중, ‘내추럴한’이라는 1개의 연상 이미지만 인지했다. 다음으로 이니스프리가 브랜드 콘셉트로 제시하는 연상 이미지 5개 중, 응답자들이 인지하는 연상 이미지는 ‘내추럴한’, ‘안정된’ 2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은 추출된 미샤의 패키지 색채를 인지하고 ‘심플한’, ‘우아한’, ‘소박한’이라는 연상 이미지를 떠올렸는데, 이것은 미샤가 추구하는 브랜드 콘셉트 5개 중 3개를 차지한다. 즉, 응답한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콘셉트를 가장 잘 인지 시킨 브랜드는 미샤이며, 그 뒤로 이니스프리, 더페이스샵 순으로 나타났다. 연상 이미지는 개인의 과거 기억이나 배경, 심리상태, 국가, 경험에 따라서 주관적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같은 색채를 인지한다 하더라도 연상하는 이미지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브랜드 콘셉트와 연관된 5개의 연상 이미지 중 3개의 연상 이미지를 직업과 나이, 피부 상태가 다른 소비자들에게 동일하게 연상시킨 미샤는 중국 20대 여성 소비자에게 브랜드 콘셉트를 강하게 구축된 것으로 규명된다. 셋째, 응답한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 패키지 색채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N9/147 연한 무채색, 흐린(sf) 파랑(B)과 남색(PB), 연한(pl) 초록(G)색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배색으로 나타났고, 20대 초반 응답자는 흰(wh) 청록(BG)색과 N8/148을, 20대 중반 응답자는 N9/147 연한 무채색과 연한(pl) 초록(G)색, 20대 후반은 연한(pl) 연두(GY)색과 선명한(vv) 연두(GY)색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배색으로 나타났다. 피부 상태에 따른 색채 선호도를 살펴보면, 건성 피부 상태인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는 선명한(vv) 빨강(R)색, 밝은회(ltgy)와 검은(bk) 주황(YR)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며, 지성 피부를 가진 20대 여성 소비자는 흰(wh) 청록(BG)색과 무채색 N8/148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결과,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의 색채 선호도는 나이나 직업, 피부 상태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실험 대상이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에 국한되어,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고 나이나 직업의 폭이 넓지 않아 응답한 설문대상자의 다양성이 제한적인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넷째, 응답한 20대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화장품패키지 선호 색채 분석을 위하여 배색 인지를 통해 연상 가능한 총 20개의 감성 형용사 어휘 중 선호하는 감성 형용사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가 화장품패키지 구매 시 가장 기대하는 감성 형용사 어휘는 ‘우아한’, ‘내추럴한’, ‘클래식한’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빨강(R)색 lt밝은 pl연한 wh흰 색조를, ‘내추럴한’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sf흐린, lt밝은 빨강(R)색, pl연한, wh흰 노랑(Y)색을 가장 선호하며, ‘클래식한’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sf흐린, lt밝은. pl연한, wh흰 빨강(R)색, lt밝은 wh흰 노랑(Y)색과 lt밝은 pl연한 wh흰 청록(BG)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규명했다. 이 연구의 조사연구 결과 패키지 색채가 중국 소비자에게 인지하는 감성 형용사를 규명하고, 소비자가 한국화장품 구매 시 기대하는 감성 형용사와 색채 제안하여 한국화장품 브랜드의 색채기획 시 활용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분단희곡에 나타난 ‘경계지대’로서의 여성인물 연구

        여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759

        This article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who disrupt the dichotomous boundary of the divided regime or provide recognition beyond it by examining the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long with the prolonged division status,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re subalterns oppressed by the dichotomous boundaries of the divided regime. However, they tended to be embodied as beings exhibiting paradoxical potential that shakes the stability of the division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er selected 9 works of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s the target text, which selected women, one of the most oppressed subaltern of the divided regime, as central figures to acquire narratives and perspectives that help to understand these works. The dichotomous boundary in the divided regime dichotomizes and hierarchizes various elements/categories. However, the female figures in the text above are changed as beings that shake the stability of the divided regime by traversing and intersec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elements/categories. This article defines these female figures as condensed ‘Borderlands’. Gloria Anzaldúa, a third world queer feminist scholar, defines Borderlands as spaces where a third space is constantly created between two or more mutually heterogeneous races, languages, genders, nations, peoples, and cultures. This researcher redefined the concept of borderlands to match the characters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with reference to the discussion of Gloria Anzaldúa. This article regards the characters of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s borderlands which are the subject and space where change and transition occur because the characters or their bodies are a space where ideology, system, culture, norm, and order are projected and realized with the operation in the divided regime, and it is also a space where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and opposition arises from thi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defined the figures as borderlands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s subjects/topos. It is an existence outside the existing dominant domain which solidifies the division statu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changes between various elements/categories such as divided ideology, state, culture, norm, and gender in the divided regime. Change and transition above mean not only the figure's personal status (attitudes, values, roles, identity, etc.) but also contributing to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is means a change that helps to disrupt the dichotomous paradigm that oppresses the people in an intersecting way in the divided regime. The figures as borderlands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① [stage of separation], ② [stage of crossing], and ③ [stage of creation]. It is appropriate to regard these divisions as stages rather than types because the figures as borderlands appearing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in common show the appearance of disturbing the dichotomous boundary of the divided regime, and the appearance gradually develops into separation-crossing-creation. ① Characters who belong to the stage of separation show their departure from the domain of the existing dominant order, discourse, culture, and norms which maintains and operates the divided regime as well as the categories of state, people, ethnicity, ideology, specific class and gender. ② Persons belonging to the stage of crossing are not bound by the ideology, norm, order, attitude, and value system specified by the divided regime, and select and adjust these to suit the situation encountered in the divided regime, or remain ambiguous between them. ③ Characters belonging to the stage of creation form new perceptions that go beyond the dichotomous paradigm of the divided regime between mutually different kinds of elements/categories. Through these theories, chapter III studied ‘characters who violate gender norms and are separated from post-war patriarchy’. These female figures become the subject of breaking out of the patriarchal order after the war by violating the gender norms that have been strengthened in post-war society. This researcher showed that these characters become subjects who reject the identity of virtuous women, subjects who resist ‘misogyny’ after the war, and subjects who deviate from the duty of protecting the home by reproducing private experiences, emotions and desires. Chapter IV studied ‘a person who crosses spatial boundaries and reaches a fluid state’. In other words, the figure of women choosing and adjusting a specific ideology, norm, order, attitude, or identity to harmonize with the situation they faced without being bound by these concepts above was analyzed. The characters in the dramas become a subject with multi-layered and mixed elements, a subject with contradictory and mixed elements such as different ideologies, norms, and order of the South and North and a subject who escapes from the space of modernization after the war by crossing spatial boundaries. Chapter V studied ‘a person who hybridizes new perceptions by fusing heterogeneous elements/categories’. In the above work, the female characters fuse heterogeneous elements/categories with each other, but they are not fixed to anything and are mixed with the third worldview. In this way, this researcher revealed that the characters in the dramas are the subjects of perception, and they connected themselves and others, the old and the next generation after the war, and the diverse groups dichotomized in the divided regim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cess by which female figures as borderlands appearing in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become the subject of creating a perception that disturbs the dichotomous boundary of the divided regime or creates a crack in the paradigm without the political intention to break the division system. They also conducted viability, negotiating power, and executive power to overcome the personal contradictions they face in the divided regim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nterpreted the work that has been missing or has not received adequate attention in the history of the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and rediscovers its value despite the fact that this work embodies a female figure who overcomes the contradictions of division. It is also valuable that this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for discovering possible narratives and texts that can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division. 이 글은 분단희곡에 나타난 여성인물들을 살핌으로써 분단체제의 이분법적 경계를 교란하거나, 이분법적 패러다임을 넘어선 인식을 생성하는 인물들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단 상황이 길어지고 있는 만큼 분단희곡에서의 인물들은 분단체제의 이분법적 경계에 의해 억압받는 하위주체임에도 분단체제의 안정성을 흔드는 역설적 가능성을 발휘하는 존재로 형상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작품들을 해독할 수 있는 서사 및 시각을 획득하기 위해 분단체제에서 가장 억압받는 하위주체 중 하나인 여성을 중심인물로 삼는 9편의 분단희곡을 대상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분단체제에서의 이분법적 경계는 다양한 요소/범주들을 이원화․위계화하는데, 위 대상 텍스트의 여성인물들은 이 상호 이질적인 요소/범주 사이를 가로지르고, 교차함으로써 분단체제의 안정성을 흔드는 존재로 변화․이행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여성인물들을 압축적으로 ‘경계지대’(Borderlands)로 규정하였다. 제3세계 퀴어 페미니즘 학자인 글로리아 안잘두아(Gloria Anzaldúa)는 경계지대를 두 개 이상의 상호 이질적인 인종, 언어, 젠더, 국가, 민족, 문화 사이에서 제3의 항을 생성하는, 끊임없는 이행상태의 공간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안잘두아의 논의를 참고하되, 분단희곡에 나타난 인물의 양상에 맞게 경계지대의 개념을 재규정하였다. 이 글에서는 분단희곡의 인물들을 변화와 이행이 일어나는 주체이자 공간 즉 경계지대 그 자체로 보았는데, 이는 인물들 혹은 그들의 몸이 분단체제에서 작동되는 이념, 체제, 문화, 규범, 질서 등이 투영․실현되는 공간이자 이로부터 벗어난 수행, 대항의 가능성이 생성되는 장(場)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필자는 분단희곡에 나타난 경계지대로서의 인물들을 남/북의 분단 상태를 고착화시키는 기존의 지배적 영역에서 벗어난 존재이자, 분단체제에서 이원화된 이념․국가․문화․규범․젠더 등 다양한 요소/범주들 사이에서 변화․이행하는 주체/공간으로 정의하였다. 이때의 변화와 이행이란 인물의 개인적 상태(태도, 가치, 역할, 정체성 등)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회의 변혁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분단체제에서 민중을 교차적으로 억압하는 이분법적 패러다임을 붕괴하는 데 일조하는 것으로써의 변화를 뜻한 것이다. 분단희곡에 나타난 경계지대로서의 인물들은 다음의 세 단계 ① [분리의 단계], ② [횡단의 단계], ③ [생성의 단계]에 속한 것으로 나눠볼 수 있다. 분단희곡에 나타난 경계지대로서의 인물들은 공통적으로 분단체제의 이분법적 경계를 교란하는 양상을 보이면서도 그 양상이 분리-횡단-생성으로 점차 발전된다는 점에서 유형이 아닌 단계로 나눠보는 것이 더욱 적합하다. ① 분리의 단계에 속한 인물들은 분단체제를 유지․작동시키는 기존의 지배적 질서․담론․문화․규범 양식의 영역은 물론, 분단체제에서 이원화된 국가․국민․민족․이념․특정 계층 및 젠더의 범주에 속한 것에서 이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변화를 보인다. ② 횡단의 단계에 속한 인물들은 분단체제에서 특정한 이념․규범․질서․태도․가치체계에 호명되지 않고, 자신이 분단체제에서 당면한 상황에 맞게 이것들을 선택․조정하거나 이들 사이에서 모호한 상태로 남는다. ③ 생성의 단계에 속하는 인물들은 상호 간에 이질적 요소/범주들 사이에서 분단체제의 이분법적 패러다임을 넘어선 새로운 인식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제를 통해, 본론 Ⅲ장에서는 ‘젠더 규범을 위반하며 전후의 가부장제로부터 분리되는 인물’을 살폈다. 이러한 여성인물들은 전후 사회에서 강화된 젠더 규범을 위반함으로써 전후의 가부장적 질서로부터 벗어나는 주체가 된다. 또한 전후 사회에서는 국가 재건을 위해 가족의 재구조화를 중요시여기며, 여성의 젠더를 남성과 가족, 그리고 국가에 예속된 것으로 강조하였는데 위 여성인물군은 젠더 규범을 위반함으로써 분단체제의 국가․민족․국민 등의 이분법적 경계에 균열을 가한다. 필자는 이 인물들이 사적 체험과 감정 그리고 욕망을 재현함으로써 열녀라는 정체성을 거부하는 주체, 전후 ‘여성 혐오’에 대항하는 주체, 가정 수호의 의무로부터 이탈하는 주체가 됨을 밝혔다. 본론 Ⅳ장에서는 ‘공간적 경계를 횡단하며 유동적 상태에 이르는 인물’을 살폈다. 즉 특정 이념․규범․질서․태도․정체성 등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이 당면한 상황에 맞게 이를 선택․조정하는 여성인물들의 양상을 파악한 것이다. 극 중의 인물들은 공간적 경계를 횡단함으로써, 다층적 요소들이 혼재된 주체, 남/북의 상이한 이념․규범․질서 등 상호 모순된 요소들이 혼재된 주체, 그리고 전후 근대화의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주체가 되어간다. 본론 Ⅴ장에서는 ‘이질적 요소/범주를 융합하며 새로운 인식을 혼종화하는 인물’을 살폈다. 위 작품에서 여성인물들은 상호 간에 이질적인 요소/범주를 융합하되, 양자 중 그 어떠한 것에도 고착되지 않고 제3의 세계관을 혼종화하는 존재가 된다. 그럼으로써 본 연구자는 극 중의 인물들이 자신과 타인, 전후 구세대와 차세대, 그리고 분단체제에서 이분화된 다양한 집단을 잇는 인식을 생성하는 주체임 밝혔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분단희곡에 나타난 경계지대로서의 여성인물을 살펴봄으로써 극 중의 인물들이 분단체제에서 당면한 개인적 모순을 타개하기 위해 생존력․협상력․실행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분단체제를 붕괴하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를 갖지 않았음에도 분단체제의 이분법적 경계를 교란하거나 그 패러다임에 균열을 가하는 인식을 생성하는 주체로 변모하는 과정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분단의 모순을 극복하는 여성인물을 형상화한 작품임에도 분단희곡사에서 그간 누락되거나 제대로 주목받지 못한 작품을 해독하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분단체제의 이분법적 패러다임에 균열을 가하는 인물로 변모하는 존재를 그린 작품임에도 그간 분단체제에서 억압받는 민중을 형상화한 것으로만 해독/분류된 텍스트들을 재독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 메시지 서비스 앱 모티콘의 감정표현에 대한 비교연구

        져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758

        메시지 서비스 앱이 보급됨에 따라 이모티콘은 전 세계 문화와 소셜 네트 워크 교류의 불가결한 구성 부분이 되었다. 그들은 개인 교류 분야에서 주도 적인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상업, 오락과 광고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응용되었다. 이 이모티콘 시장은 끊임없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는 전 세계 사용자들의 광범위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모티콘은 전 세계 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국가 와 지역의 이모티콘 수요와 디자인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서로 다른 문화와 사용자 습관으로 인해 이모티콘의 감 정 디자인은 다양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이모티콘 감정 디자인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비교하며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 히고 감정 디자인에서의 독특한 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2022년 유행하는 이모티콘 리스트를 바탕으로 이들 세 나라의 이모티콘에 대해 상세한 인물, 문자, 감정 분류 및 감정 디자인 등을 분석했다. 감정 이 론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국가의 이모티콘 뒤에 있는 감정 표현 방식을 깊 이 발굴하고 이런 디자인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감정을 전달할 때의 효과를 고찰한다. 그리고 색채 심리학을 고려한 감정 디자인 요소를 가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사용자들은 즐거운 감정 이모티콘에 대한 수요가 비교적 높으며 문자, 자세와 요소를 사용하여 즐거움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 다. 슬픈 감정에 대한 수요도 현저히 높아서 디자인에서 따뜻하고 위안적인 감정 요소를 전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이 좋다. 이에 비해 한국 사용자들은 감정 표현에 있어서 화난 감장 이모티콘에 대한 수요가 높다. 사용자들은 이 런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표정, 동작, 요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디자인에 더욱 활력과 표현력이 풍부한 요소를 넣어 사용자의 화난 감정에 대한 표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본의 이모티콘 시장은 신뢰 감정의 표현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으며 주로 이모티콘의 인기 캐릭터와 성격에 집 중하고 있다. 그러므로 디자이너는 대상에게 신임을 표현하고 감정을 안정시 키는 요소를 두드러지게 하여 일본 사용자들이 이 감정에 대한 추구를 만족 시킬 것을 건의한다. 이모티콘의 미래 발전을 고려하면서 감정적 요소의 중 요성을 강조했다. 디자이너는 문화와 사용자의 감정의 공통점을 찾아 이모티 콘의 감정 표현 효과를 높이는 것을 중시할 것을 건의한다. 이모티콘 설계에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감정 요소를 도입하여 부동한 대화 사용에서 사용 자의 감정표현수요를 만족시켜야한다. 이러한 해석을 활용하여 더욱 매력적 이고 감정적 공감이 있는 이모티콘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건 의를 통해 이모티콘 시장의 끊임없는 발전을 추진하고 전 세계 이모티콘 디 자인을 더욱 혁신하고 다양화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풍부하고 진실한 감정 표현 방식을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이모티콘, 감정 이모티콘, 메시지 서비스 앱, 감성표현

      • 현대회화에서‘제너러티브’ 미지의 외연 확장과 그 표현에 관한 연구

        제이미 민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743

        The intent of this study lies, in a narrow sense, in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generative images within the art of analog paintings concerning image production systems by way of computers and the characterized generative images through those algorithmic processes of production. Furthermore, this expansion is an essential and differential element which contributes to the examination into the traits and purpose of generative im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terpret in detail in what way generative images are produced through system, principle, process, method, and purpose in a work of art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artworks which the researcher studied were from 2004 to 2017 on ‘memory and dreams’ and the main subjects of expression were on the writer’s subjective, emotional reactions. The researcher has expanded those works throughout various image territories, such as painting, installation, architecture, media, and commercial media. The researcher’s early works in 2004 began in collage which utilized automatism with materials such as glass and wax, and since 2007 the work shifted to three-dimensional plane in which many layers of mixed media were built up on a surface of acrylic paint in order to generate the image. From 2012 she extended her work outside of the canvas frame, expanding from a visual image on a limited two-dimensional space to a larger space with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 Currently, her work is experimenting in emergent generative images, using computer technology to convert her flat painting images into graphic design to expand into architecture, media, and commercial media. One can observe a consistency amid the series of her research works. That is, the consistent thematic consciousness of ‘dreams and memories about experiences,’ as well as the generative aspect found in the specific process of the images that are manifested in each of her works. In computer art, images are manifested by the fixed system of generative art and the development algorithm of that system. One can find generative development algorithms in her research works in the way the procedure of the work is founded on the basic qualities of curves and oblique angles. These characteristics, as particular combination shapes, form shape modules and furthermore these shape modules develop into patterns or configurations. In addition, the general elements in an artwork follow a method and process of forming a general image according to a particular sequence (linear or non-linear emergent sequence) or algorithm. In other words, there exists a systematic visual language in her research works and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that system, the images in those works can sufficiently be interpreted as generative images.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works share the generative aspects with generative art on a genre perspective. However, unlike the narrow definition of generative art, they hold the characteristics of intrinsic painting-like quality of art. Herein lies the determining intent in expanding the research works from a genre definition of generative art to ‘generative imag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artistic elements on the particularity of the medium, spontaneity and coincidence, emergent feedback in addition to systematic algorithmic elements of generative art. These elements are the mechanisms necessary to expand the genre definition of generative art, which works solely on a systematic level, into ‘generative image’ on an artistic, aesthetic perspective, and simultaneously ar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research works. Therefore, the artistic expansion of generative art is also the element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enerative process of said works and the images produced through that proc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generative images in the research works, the qualification elements and modular perspective as well as sequential algorithm of the visual language were analyzed against how the generative system unfolds. As a result, even though research works looked as if they were unfolding under random improvisation and coincidence, the internal mechanism had a generative aspect which accommodated substantial opportunity, and this aspect could be verified to use elements which initiated painting-like visual language. Although qualifying elements of curves and oblique angles were used as basic elements in the research works, they had their own inherent way of unfolding a modular combination structure as well as pattern combination of particular methods. In addition, one could also discover sequential elements which created images by developing these elements. Although there are linear and non-linear developments in the algorithms that developed images in the research works, non-linear sequences outnumbered. Emergent elements were converted to various media through non-linear sequences, expanding the researcher’s work into completely new territory. From an interpretational viewpoint, the generative images ultimately found in the research works were largely from personal and existential aspects. The generative elements that the researcher introduces in her paintings are because through dreams and memories that come from experience and emotion works through the subconscious to have generative, emergent, process-centered traits. The essence of memory, vision, and emotion do not exist as a fixed image or idea but, like the nature of desire, continually fluidly generates and annihilates. Conclusively, what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ay through generative visual language images in her research works is that the essence of mind and matter persistently selects production as its nature. This is the very point at which the research works inevitably convey generative image. 본 연구는 좁은 의미에서 컴퓨터에 의한 이미지 생성의 시스템과 그 생성의 알고리즘적 절차에 의해 특성화되는 제너러티브 이미지를 아날로그적 회화 예술 안에서의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확장은 연구작품의 본질적이고 차별적인 요소로서 제너러티브적 이미지의 성격과 목적을 규명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목적과 더불어 연구작품에서 제너러티브적 이미지가 어떠한 체계, 원리, 절차, 방법, 목적에 따라 생성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연구자의 2004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작품은 ‘기억과 꿈’,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감정적 반응을 주된 표현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회화, 설치, 건축, 미디어, 상업적 매체 등의 다양한 이미지 영역으로 확장해 왔다. 연구자의 2004년 초기작품은 유리와 왁스 등의 재료를 이용한 자동기술법의 콜라주로 시작되었고, 2007년부터는 아크릴을 이용한 평면의 여러 레이어의 혼합으로 색을 겹겹이 쌓아 올려 이미지를 생성하는 입체적 평면작업으로 전환되었다. 2012년부터는 캔버스의 틀 안에서 벗어나 제한적인 공간 안의 2차원의 시각 이미지를 공간으로 확장시키는 3차원의 설치 작업으로 이어졌다. 현재는 평면의 회화 이미지를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 그래픽 디자인으로 전환시켜 건축, 미디어, 상업적 매체로 확장되며 창발적 제너러티브 이미지 실험을 전개하고 있다. 일련의 연구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하나의 일관성이 관찰된다. 그것은 ‘경험에서의 꿈과 기억’이라는 일관된 주제의식과 더불어 각각의 작품에서 이미지가 발현되는 구체적인 절차에서 제너러티브적 측면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컴퓨터 아트에서는 제너러티브 아트의 일정한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전개 알고리즘에 의해서 이미지를 발현된다. 연구작품에서도 만곡과 사각의 기본 자질을 토대로 진행되는 제너러티브적 전개 알고리즘을 찾아 볼 수 있다. 이 자질들은 특정한 결합 형태로서 형태 모듈을 형성하며, 나아가 이 형태 모듈들은 패턴이나 형상으로 전개된다. 또한 작품 안의 전체 요소는 특정한 시퀀스(선형적이거나 비선형적인 창발의 시퀀스)와 알고리즘에 따라 전체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과 절차를 따른다. 즉 연구작품에는 체계적인 시각언어 시스템이 존재하고 그 시스템에 따라 연구작품이 생성된다는 점에서 연구작품의 이미지를 충분히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작품이 장르적 의미의 제너러티브 아트와 제너러티브적 측면을 공유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연구작품은 좁은 의미의 장르적 제너러티브 아트와 달리 회화적 예술의 본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연구작품을 장르적 의미의 제너러티브 아트를 넘어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확장하려는 본 논문의 결정적 의도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너러티브 아트의 시스템적, 알고리즘적 요소에 더해 매체 특이성, 즉흥성과 우연성, 창발적 피드백의 예술적 요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순전히 시스템적으로 작동하는 장르적 의미의 제너러티브 아트를 예술적, 미학적 관점에서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확장하는 데 필요한 장치들이며, 동시에 연구작품에서 보이는 고유한 특성화 요소들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너러티브 아트의 예술적 확장은 곧 연구작품 안에서의 제너러티브적 과정성과 그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규명하기 위한 요소들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작품의 제너러티브적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작품이 어떠한 제너러티브적 시스템에 의해 전개되는지를 시각언어의 자질 요소와 모듈적 관점, 그리고 시퀀스적 알고리즘에 의해서 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연구작품은 무작위적 즉흥성과 우연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적 기제에는 질료성의 계기를 수용하는 제너러티브적 측면이 있으며, 이 측면이 회화적 시각적 언어를 창발하는 요소들로 쓰이고 있음이 확인된다. 연구작품에는 주로 만곡과 사각의 자질적 요소들을 기본 요소로 하되 이를 특정한 방식의 모듈적 결합 구조와 패턴적 결합으로 전개시키는 고유한 방식이 있다. 또한 이 요소들을 전개시켜 이미지를 창출하는 시퀀스적 요소가 있음도 확인된다. 연구작품에서 이미지를 전개하는 알고리즘에는 선형적 전개와 비선형적 전개가 있지만, 비선형적 시퀀스가 우세한 것이 확인된다. 비선형적 시퀀스에 의해 창발적 요소는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어 전혀 다른 새로운 영역으로 연구자의 작업을 확장시킨 것을 볼 수 있다. 해석적 측면에서는 궁극적으로 연구작품에서 보이는 제너러티브적 이미지는 크게 사적인 측면과 실재성의 측면에서 검토되고 있다. 연구자가 제너러티브적 요소를 회화작업에 도입하는 것은 경험에서 오는 꿈과 기억, 그에 대한 감정적 작용이 무의식을 통한 생성적이고 창발적인 과정적 특성을 갖는다는 데 있다. 기억, 비전, 감정의 본질은 고정된 이미지나 관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의 본성이 그런 것처럼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생성 소멸한다. 결국 연구자가 연구작품의 제너러티브적 시각언어 이미지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정신과 실재의 본성이 끊임없는 생성을 그 본질로 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 점에서 연구작품은 필연적으로 제너러티브 이미지를 수반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