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노인의 기분상태에 관한 연구

        신윤희(Shin Yun Hee),정승은(Chung Seung Eun) 한국노년학회 1997 한국노년학 Vol.17 No.1

        본 연구는 노인들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노화를 지니고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되는 기분상태를 파악하여 노인복지의 전반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45명 이었으며, McNair, Lorr와 Droppleman (1992)이 개발한 기분상태 측정도구(Profile of Mood Staes, POMS)를 한국노인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하여 타당화시킨 도구(신윤희, 1996)를 사용하여 노인의 기분상태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노인의 기분상태는 평균평점 1.51로 비교적 양호했으며 하부요인별로는 불안-우울요인 1.39, 활력요인 2.30, 분노요인 0.74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기분상태는 성별, 연령, 직업, 결혼상태, 교육정도, 경제상태, 용돈해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자, 65-69세, 직업이 있고, 기혼상태이며, 대졸이상의 학력, 경제상태가 좋고, 본인이 직접 용돈을 해결하는 노인들의 기분상태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od state of elderly and to constribute to the welfare of elderly. The subjects were 345 elderly persons over 60 years living in Seoul, Kyonggi-do, Chungchong-do, and Kyongsangnam-do.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POMS corrected and verified by Shin(1996).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average value of total mood state was 1.51, and that of anxiety-depression factor was 1.39, that of vigor factor was 2.30, and that of angor factor was 0.74. The mood state of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ge, job, marital status, education, economy, and source of pocket money. That is, the elderly in case of male, 65-69 years, existence of job, more married and educated, richer, and spending a pocket money single-handed were the best mood state.

      • KCI등재
      • KCI등재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개념정립

        신윤희 ( Yun Hee Shin ),이효신 ( Hyo Shin Lee ),정대영 ( Dae Young Jung ),이상훈 ( Sang Hoo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인 정서·행동장애의 선정기준(법적정의), 진단, 분류, 명칭, 교육적 정의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정서·행동장애전문가 11명에게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도록 함으로써 의견을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정서·행동장애 선정기준에서는 예방적 특수교육과 현장성을 반영하여 특수교육대상자의 범위확대와 더불어 특수교사의 역할과 역량을 늘리자는 의견이 있었으며, 선정기준에서 학습상의 문제에 관한 항목은 정서·행동적 문제를 먼저 항목으로 배치하고 그 다음에 학습상의 어려움을 항목으로 두되, ‘교육적 수행’을 상위에 배치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자가 과소 판별되지 않게 하자는 의견이었다. 또한 기준 및 정도의 모호성과 문화 및 환경적 고려가 있어야 하며 공존장애를 인정하는 의견이 있었다. 정서·행동장애의 진단에 있어서는 진단이라는 용어대신 판별로 대치하자는 의견과 함께 진단영역을 정서영역, 행동영역, 교육적 수행영역으로 두고 진단평가절차도 다관문절차를 우리나라에 맞게 모델화하여 교사의 역할과 각 기관의 기능을 세부적인 지침으로 마련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정서·행동장애의 분류방식에서는 대안적 분류방식(정도와 지원에 대한 분류방식)보다는 교육적 분류로서 외현화와 내재화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서·행동장애의 명칭과 교육적 정의에 있어서는 대치될 용어에 대해 합의점은 없었으나 용어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통일된 용어사용과 법적 정의를 교육적 정의화 하되 세부적인 내용은 지침으로 두어 해석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This study examined opinions of specialists about the legal definition, Diagnosis, classification, name, educational defini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interviewees were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in university, they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of journal. Total number of interviewee was 11.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s; In the current legal definition, there were opinions about expand the people who need special educational support to prevent problems and to consider the field situations. they also commented about development for role and capability of special teachers. The clauses of legal definition should consider specific criteria, various levels of culture and situation including comorbidity; Learning disabilities and EBD. In the diagnosis, there were opinions about terminology and three domains for diagnosis; Emotional, Behavioral, and Educational part. The Korean multiple-gating screening procedures for teachers and organizations was indicated. In the classification, they commented the opinion of educational aspect was more appropriate than alternative. Lastly, in naming of EBD and educational definition, the current usage has been different from users, so terms are necessary to unify, and there also should be the guidelines of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KCI등재

        학교부적응아동과 ADHD아동, 일반아동의 언어적 특성 비교: K-WISC-Ⅲ, 실행기능검사, 문장완성도 검사를 중심으로

        신윤희 ( Yun Hee Sh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아동과 ADHD아동의 K-WISC-Ⅲ검사, 실행기능검사, 문장완성검사에서 나타난 언어적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로써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19명(ADHD 3명, 학교부적응 8명, 일반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론적 근거에 따라 동작성 지능과 지각적 요소의 차이를 통제하고, K-WISC-Ⅲ의 언어성 검사 중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의 네 영역과 실행기능검사의 단어유창성, 문장완성 검사를 통해 집단별 언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ADHD아동집단과 학교부적응아동집단은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학교부적응아동 집단이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공통성 영역에서, ADHD아동집단과 학교부적응아동집단이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단어유창성 검사에서는 ADHD 및 학교부적응아동집단이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학교부적응아동집단이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문장완성검사에서는 문장이해, 문장구성, 한글 맞춤법에서 학교부적응아동집단은 한글 맞춤법에서 대상집단의 25%의 맞춤법오류가 있었지만, ADHD아동집단의 경우 대상집단의 50%의 맞춤법 오류와 이중서술형태, 시제사용이나 숫자/글자의 혼합 등 질적 수준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ADHD아동집단과 학교부적응아동집단, 일반아동집단은 각 집단별 언어적 특성에 있어서 양적이고 질적인 차이를 지니며 특히 ADHD아동집단과 학교부적응아동집단은 양적차이보다 질적인 차이를 지님으로 학업적 문제에 있어서 다른 접근의 중재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gure out difference of the linguistic traits in K-WISC-Ⅲ, Executive Functional Test and Sentence Complete Test among ADHD and Maladjusted and Normal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9 elementary students who live in Daegu and Kyungsang-do(3 in ADHD, 8 in maladjustment, 8 in control). The linguistic characters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post-hoc, also we made a category of similar traits and reviewed it after taking KEDI-WISC, EF task and S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ly, the analysis of variances of Information, Similarities,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Index indicat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for ADHD and Maladjusted groups, with the lower scores in these groups rather in Control. In post-hoc, maladjusted group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for Similarities from the Control, and this is true for ADHD and Maladjusted groups in Comprehension Index. Secondly, WD a Fluency of EF`s task indicat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for ADHD and maladjusted groups, with the lower scores in these groups rather in Control, In post-hoc, maladjusted group showed significant lower scores from the Control. Third, Maladjusted groups and ADHD written SCT and they made a mistake in spelling. Also ADHD groups were qualitative different from maladjusted group in writing skill. Therefore, this study showed difference these group`s linguistic traits among ADHD, Maladjusted and Normal children. So, we suggest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linguistic skills for each groups.

      • KCI등재

        공공보건의료인력 임상교육효과 평가: 지역거점공공병원 간호사 대상

        신윤희 ( Yoonhee Shin ),박관준 ( Kwanjun Park ),변은경 ( Eunkyung Byun ),이동원 ( Dongwon Lee ),주웅 ( Woong Ju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6 보건행정학회지 Vol.26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clinical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regional public hospital, utilizing the Kirkpatrick`s model. Methods: Kirkpatrik`s 4-level model was applied to this study. Trainees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in the middle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 Also administrators of excellent traine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nursing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1-2 months from the end of the training course. Results: All trainees had positive reactions to the clinical education program. Not only the results of individual leve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cores, academic achievement scores, practical application rate, and educational transition factors) but also the scores of organization level (nursing management performance scores) are improved. Conclusion: By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iveness factors we ne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a future study. In addition,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indicators are needed. To establish a long-term educa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applying the excellent trainee`s successful experienc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위한 표상도구설계

        신윤희 ( Yoonhee Shin ),김동식 ( Dongsik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2

        컴퓨터기반 협력학습도구를 사용하여 한 공간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토의하고자 할 때,작성된 글이 과제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서로의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도출된 원리를 기반으로 협력표상도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도구는 평가 준거에 따른 체크리스트와 F.G.I를 통해 교수자, 설계자, 학습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반복 조정되었다. 최종 조정된 도구는 복합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상황에서 학습자 간 지식 및 의견을 공유하는 데 방해요소를 최소화하여 협의를 촉진하고 고차원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When using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ol where learners with different perspective are discussing in the same place, it is difficult to catch connection between specific pos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written message by learners, share each other knowledge and opin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mena responsible for causing "Un-shared knowledge" by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ed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tool based on described principle. A version of the Mediated annotation tool was developed for each problem identified and was subsequently tested by software evaluation standard and F.G.I. Final mediated tool will contribute to overcome knowledge sharing barriers,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and describe high quality s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발생 초기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의 운영현황 및 제언

        신윤희(Shin, YunHee),송영신(Song, Youngshin),박수현(Park, Soohyun),박진희(Park, Jin-Hee),임세현(Lim, Sehyun),박효정(Park, Hyojung),홍지연(Hong, Jiyeon),김지수(Kim, Ji-Su),김선애(Kim, Sun-Ae),원종순(Won, Jongsoon),정승교(Chaung, Seung 기본간호학회 2022 기본간호학회지 Vol.2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FNP) education at nursing colleges, and the difficulties of FNP opera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9, 2020 to January 31, 2021 us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for a total of 95 nursing colleg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FNP, changes in FNP education, difficulties in operating FNP, and countermeasures in the COVID-19 situation. Results: Changes in FNP due to COVID-19 were distribution of practice places,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short-term intensive classes, and reduction of face-to-face practice. Most colleges conducted FNP face-to-face, but some schools showed that FNP was conducted non-face-to-face. The difficulties of operating FNP that instructors experienced induced concerns about a decrease in student competency due to lack of face-to-face practice and an unofficial increase in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and physical demands on instructor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divisio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in other pandemic situa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ind systematic coping strategy to reduce the burden of FNP instructors, and to develop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ontents and consumables for online pract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