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박하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통해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48명의 재학생 중 연구자를 제외한 47명(N=47)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질적연구방식이 주가 되며, 양적연구방식이 부로 이루어진 혼합설계로 설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법은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와 서술형 질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법은 4차와 5차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4일, 5월 15일, 5월 17일에 3번에 걸쳐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이 가장 만족하는 점은 학교의 명성, 학교의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환경, 교수의 가르침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점은 장학금, 학교교실 환경, 각 수업의 학급 인원 수, 행정서비스의 질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3번의 면접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수의 전문성, 전임교수의 부재, 과목 선택권의 문제, 서양음악전공생과 국악전공생의 통합수업으로 인한 문제점, 논문지도 문제, 학습시설 부족, 행정적 시스템의 문제, 임용고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발전을 위하여 ① 음악교육전공 전임교수 배정 ② 음악교과교육학 과목에 있어서 1차와 2차 재학생, 3차 이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같은 과목 2개 분반 수업 실시 ③ 서양음악전공생은 국악과목 의무 수강, 국악전공생은 서양음악과목 의무 수강 ④ 음악교과내용학 과목 현행 2과목에서 3과목 개설로 선택권 확대 ⑤ 음악교과내용학 과목에 있어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특히 국악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⑥ 4차, 5차 때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 수업 개설 ⑦ 가논문 심사 실시 ⑧ 실기과목의 경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한 학습 기자재 지원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 결과와 제시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and to suggest the right solutions to improve the issues by the graduate students' opinion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7 students(N=47) and questionnaire methods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1 questions and short-answered questions were also given to the respondents. Interview method was carried with 6 students in 4th and 5th semester in May 14th to 17th,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satisfied the most in school reputation, services by library and lessons professors provide in order. Second, the least gratifying issues were scholarship, poor classroom enviro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of administration. Finally, the common issues that students point out as they should be improved wer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lack of full-time professors, options students have when choosing courses and the problems by course combin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such as that of western music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Not only that, lack of the facility for studying, the problem by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low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Nationa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Conclusion from abridged results are as follow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at graduate students provided, school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ⅰ)allocation of full-time professors ⅱ) separation of the same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based on the semester ⅲ) mandatory classes for different majors such as western music majo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Also, ⅳ) extended options for choosing courses ⅴ) recruitment of professo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ⅵ) introduction of pre-examination system for a thesis ⅶ) providing enough facilities for practice were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rception music education majors have. Through this research, many respondents points out problomatic issues and their solutions which will lead the music education of Chungang graduate school to more improvement.

      • 한중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비교 연구 :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왕성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에서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거절 화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Beebe, Takahashi & Uliss-Weltz(1990)과 Lyuh(1992)와 이해영(2003)에서 제시한 거절 화행 전략 틀을 중심으로 김유향(2008), 김정은(2011), 강효정(2015)에 제시한 전략들을 참고하여 거절 화행 전략은 직접적인 거절 전략, 간접적인 거절 전략 및 부가 전략으로 나누어 본 연구의 거절 화행 전략 틀을 고안하였다. 다음으로 재학 중인 20대의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담화완성형테스트(DCT)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의 거절 화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전략 사용 횟수, 전략 결합 양상 및 세부적인 전략 결합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 내에 한국 거주 기간별 거절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거절 전략의 사용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별로도 전략 결합 사용 양상과 거절 부담감 및 거절 후 심리 상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간접적인 거절 전략을 다른 전략 유형보다 많이 사용하였고 ‘간접(+간접)’ 전략 결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직접+부가’와 ‘직접+간접’ 전략 결합의 사용이 곡선적인 형태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확답 연기’, ‘수락 미루기’와 같은 회피 전략을 선호하고 ‘호칭’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한국인 대학원생 집단보다 교수의 거절에 대해 부담과 불편함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한국어 화용언어적 능력을 갖추고는 있으나 아직 한국어 사회화용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이 내적인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태도로 예의를 갖추고, 거절 화행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사용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으므로 화용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화용적 능력까지 고찰한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수와 소재 대학이 제한적이며 다양한 절차를 거쳐 객관적인 조사 자료를 만들고자 하였으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자료라는 점에서 그 한계점이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authors first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speech act, referred to the strategies presented in studies conducted by Kim Yoo Hyang (2008), Kim Jeong-eun (2011), and Kang Hyo Jeong (2015), focusing on the strategy framework of refusal speech act presented by Beebe, Takahashi & Uliss-Weltz (1990), Lyuh (1992), and Lee Hae Young (2003), and divided the refusal speech act strategy into direct, indirect, and adjunct categories to devise the strategy framework of the refusal speech act. The authors administer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o collect data from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living and attending school in Korea. To analyse the overall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the Chinese student group, the authors compared and analysed the usage frequency of the refusal strategy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of the strategy combination and detailed strategy combination of both the student groups. Furthermore, the authors examined the changes that occur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by comparing the analysing the refusal strategy patterns for each residence period. Finally, the authors examined the patterns of strategy combination usage, refusal burden, and psychological state after refusal for every request situation in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living in Korea used indirect refusal strategy more than other strategy types, and most preferred to use ‘indirect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use of ‘direct + adjunct' and ‘direct +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s underwent a curvilinear change; consequently,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Third,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preferred avoidance strategies, such as ‘postponement' and ‘acceptance delay', and excessively used ‘title'. Fourth,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felt less burden and discomfort in terms of the professor's refusal, compared to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had a high level of Korean pragma-linguistic ability; however, it lacked the Korean socio-pragmatic ability. Nevertheless, these students are investing considerable efforts in adapting to the Korean culture, judging by their behaviour of not freely expressing their internal intentions, carefully practicing courtesy, and performing the refusal speech a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analysing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realisation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Korean pragmatic ability than other learner groups,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not only pragma-linguistic ability but also socio-pragmatic ability. However, i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and colleges were limited; and second, although the authors attempted to present objective research data using various procedures,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tual language of students.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교육대학원생의 대학원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신승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교육대학원은 교육이론 연구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교육계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할 목표로 1963년부터 대학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지만 1965년부터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대학원도 제한적으로나마 중등교원양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교육대학원은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교육을 복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교육대학원은 설립 이래 양적팽창을 거듭해왔지만 이와 비례하여 질적 문제 또한 증대해온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고 행정 운영을 하는 등 손쉬운 학위 취득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대학원의 실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 중 수요자 관점에서 질을 논의하거나 측정할 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는 만족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소재 교육대학원 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를 교육과정,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 4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 학생은 교육대학원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 가운데 학위 취득을 위한 기능을 핵심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으로 일반대학원과 같은 전공 심화교육 및 연구 기능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만족도의 4가지 구분 중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수업 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교육 여건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연령이 낮을수록, 차수(학기)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현직교사와 비현직교사로 구분한 만족도 비교는 대부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론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 여건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비현직교사의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in Korea in 1963 to conduct educational studies and to cultivate educational leaders who serve in education with expertise. A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started to give a regular teacher's certificate to the enrolled students since 1965, they play a role in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present tim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ake charge of education for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ut, as many preceding researches indicated, problems arise with respect t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1) establishment purpose without obvious legal basis; and (2)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unctions,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ince their found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expanded qualitatively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qualitative problems occur. The quality of each graduate school differ. Some studies criticize these schools under the ground that they grant the degree easily in spite of the poor education quality. Understanding graduate school's actual condition is prerequisite for solving these problems. Further,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the most widely used index to discuss or estimate the quality is satisfaction. As a standard of value-oriented analysis, satisfaction is not only applied to appreci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ervice, and it also easy to be utilized. In this researc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investigated. Four area were selected to compare student's perception: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and, graduation and career management. Our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erforms only a role of granting a degree among its various function.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hope that in the future the graduate to provide intensive major courses and to improve educational research which general graduate schools offer. Second, in the survey of 4 part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lassroom management was the highest par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indirect factor of class, was the lowest part which was even lower than average. Finally, the comparison of satisfaction level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others showed that in-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things for the future study. First, the quality of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eeds to be enhanced. The graduate schools are expected to improve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as well as quality of education. Finally, the method to increase pre-service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ince the prospective teacher take the majority of student group.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clarify their identity a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의 특성 분석

        장석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process and feature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since its initi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initiated by the civilian government? 2) What are the resulting effects this policy has had o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3) What problems arise from the promotion of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This study applied the descriptive policy analysis method. Data was drawn from interviews with people who have been in charge of college enrollment at 4-year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Several documents were examined such as higher education law, guidelines for governmental policy, and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has been administered persistently since its initi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policy efforts, the autonomy to decide the number of new enrollees in universities was encouraged. The sharp increase of the student quota during the five-year period after 1994 (during the time of the Civilian Governmen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student-teacher ratio.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edicted that the entrance quota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uld become greater tha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it attempted to place more emphasis on a social demand for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of college educ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than on educational quality of universities in administrating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Therefore, the Government set up a standard for quota-increase lower than what was specified in the law.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increased and educational quality went down. This led to the reduction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under the successive governmen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is new policy, contrary to the Civilian gover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decreased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increas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so that universities can adapt to changing environments. This is chiefly due to the fact that school-aged population would gradually decrease in ten years and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will have trouble controlling th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이 연구는 대학정원 자율화를 표방한 문민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 정원정책의 변화에 따라 대학의 학생정원 규모와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이 변화되어 온 양상을 밝힘과 동시에 대학정원 자율화의 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4년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한 학부와 대학원 정원정책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통계자료 분석, 그리고 교육부와 대학의 정원업무 담당자에 대한 면담 및 의견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민정부 출범 초기에 대학정원의 결정권은「교육법」체계에 의해 교육부장관에게 있었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 대학정원 자율화 계획에 따라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원을 결정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즉, 문민정부 출범 이전에는 교육부가 국가 인력수급 계획과 대학의 교육여건 등을 평가하여 개별 대학의 증원 규모와 대학의 학과 신설 등을 결정하여 왔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인 1994학년도부터 자율 역량을 갖춘 대학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정원 자율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에 따라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원을 조정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 1997학년도에는 일정한 교육여건을 갖춘 대학은 증원 규모까지도 대학 자율로 결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같은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은 문민정부 임기 말에「고등교육법」제정으로 법제화되었으며,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 계승되었다. 국민의 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은 법령상의 정원 증원기준과 교육부장관이 지침으로 정한 정원책정기준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모순이 있었으나 점차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부합하도록 교육부 지침상의 기준이 강화되어 왔으며, 2007학년도에는 법령상의 기준과 지침상의 기준이 일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참여정부 임기 말에는 교육부장관이 정해 온 정원책정기준을 폐지하고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대학이 학생정원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은 시기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학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둘째,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에서의 대학 정원정책은 대학교육의 질 보다는 대학의 현실적인 교육여건과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사회수요를 더욱 고려하여 추진되었다. 대학이 학생정원을 정하는 기준인 정원책정기준을 법령에서 정한 기준보다 낮게 책정함으로써 학생 수는 늘어났고 대학교육의 질은 떨어졌다.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10년간 대학 입학정원은 10만 7천여명 증원되었고, 대학교육의 질적 지표인 학생충원율은 낮아졌으며, 교원1인당 학생 수는 높아졌다. 이에 따라 참여정부는 대학 통·폐합, 학생정원 감축 등과 같은 대학 구조개혁 방안을 마련하여 강력하게 추진하였고, 정원책정기준 또한 이전 정부에서 예고한대로 일관성 있게 강화되어 왔다. 그 결과 참여정부 5년간 대학 입학정원은 5천여 명 감축되었고, 대학교육의 질은 그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의 결과, 2008년 10월 현재 정부가 대학의 정원 관리에 개입하는 사항은 매우 제한적이다. 학부는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대학의 정원 증원, 보건의료·사범계 학생정원 관련 사항이 해당되고, 대학원의 경우에는 국·공립대학의 정원 증원과 대학원 추가 신설, 모든 대학의 전문대학원 신설, 교육대학원 및 원격대학원 신설·증원이 해당된다. 그 외의 사항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나 대학정원 자율화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정부가 규제하고 있는 사항이 있다. 학부와 대학원간 학생정원의 상호 조정이 금지되어 있다. 이 연구는 장래 학령인구와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정원의 추세로 볼 때, 대학이 자체적으로 구조 조정할 수 있도록 정부가 미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보고 있다. 대학 정원정책에 있어서는 자율화를 확대하고 사회 수요에 맞추어 대학이 탄력적으로 정원을 조정하도록 현재의 교육여건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학부와 대학원간 정원을 상호 조정하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고 있다.

      • 교육대학원 영어전공 교과과정 실태조사 및 만족도 연구

        조혜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교육대학원이 교과과정에 있어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 교육전문가의 전문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한다면 그에 맞는 교과과정이 조직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교육대학원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운영하지 못하여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목적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수요자인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나 직업 등에 따라서 공부하려는 목적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소재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 전공과정을 살펴보고 응답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 교과과정의 인식과 만족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수방법과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교육대학원 행정과 복지에 관한 만족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발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 보왔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연계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문적 소양 습득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행정과 복지면에서 행정서비스의 신속한 처리와 친절한 응답이 만족요소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장학금에 대해서는 금액과 기회의 제약을 드러내며 불만족하고 있다는 결과는 보여줬다. 교육대학원 영어전공 프로그램에서 가장 개선할 부분으로는 교과과정의 개선을 꼽았다. 현재 진행되는 교육과정이 재교육을 원하는 현직교원을 위한 과정과 교원양성을 위한 예비교사양성 과정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들어났다. 교육대학원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위하여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최대한 노력해야한다. 또한 나라의 기둥인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칠 학생들을 교육시킨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겠다. If the curriculum objectiv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re-training current teachers, producing new teachers, and boosting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al experts, the compatible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Howeve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not able to accomplish such objectives by failing to operate such curriculum that meets the demands of students. Each of them has a different purpose for studying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ending on their reasons for studying or their occup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nglish education major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explored the following: perception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ending on personal background of respon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n English education major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action in teach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n administration and welfar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nglish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nk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s linked to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In terms of satisfaction in curriculum, most of respondents stated it was helpful in cultivating their expertise. As for administration and welfare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prompt handling of their administrative services and friendly responses were the satisfying factors. However,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amount and frequency of scholarships offered b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for the biggest area for improvement in English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it was the curriculum, according to respondents. Since the current curriculum doesn't have separate programs between current teachers seeking re-training and teacher candidates in need of new training, the students wanted improvement on that area.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students. In addition, they should offer more variety of high-quality educational services to current and future educators for youths, the potential driving force of the country,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ers.

      •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석사과정 학생의 인식

        염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석사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것,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경험, 상담 실무 경험, 졸업 후 진로와 석사과정에 대한 평가로 구성하였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무 수련 경험이 있는 석사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주로 상담 실무자를 목표로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실무자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 이수 과정으로서의 상담 수련을 기대하기 때문에 연구보다 상담 실무 활동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비중을 두었다. 둘째, 상담실습에 대한 기대와 실제 만족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원인은 상담 실습 교과목 개설의 부족과 상담 자격 요건을 이수하기 위해 발생하는 시간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추측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석사 과정에서 상담 실무 활동을 가장 유용하게 평가하였고, 실무 활동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사생들은 상담 수련을 통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내담자를 조력하면서 성취감을 느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내담자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며 연구의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에 자격 이수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여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program using a mixe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1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matters, what they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master's program, percep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 activity experience, counseling practice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the post-graduation career and master's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mast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practic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went on to graduate school with the goal of becoming counseling practitioners. Because counseling training is expected as a process of completing the qualifications required to become a practitioner, it was recognized that counseling practice was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and gave weight to i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the actual satisfaction. The reason for this was presumed to be the lack of open counseling practice courses and the time and economic difficulties that occurred to complete the counseling qualification require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rated counseling practical activities the most useful in the master's program, and learned a lot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Master's student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they understood themselves and helped clients through counseling training.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lient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experienc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include the qualification completion proces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was made possible by investigating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major program through a mixed method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중앙대학교 아이덴티티시스템 디자인(University Identity System) 적용에 대한 실증연구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를 중심으로

        고신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UI system of a good university is part of the work to instill a good image of the school in the recipients and to strengthen its influence through it. As a whole, if the UI system of the university is properly utilized, various visual elements of the university image are comprehensively unified planning and design, the school establishment ideology,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bstract language are converted into concrete symbol concepts to tangibly display, organize, unify, It is possible to form a differentiated image of the university by realizing the founding philosophy and spiritual culture of the university through standardized and systematized visual measure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by providing new ideas and methods for building the image of Chung-Ang Universi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UI system construction of Chung-Ang University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university UI system, pointing out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UI design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enhancing the image of the school by pointing out the errors in actual use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UI system of Chung-Ang University. By examining the University's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Manual' and examples of misuse based on this manual, we present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the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to raise awareness of the correct use of the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and to increase awareness of how to write more accurately. aims to increas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s conducted. The method of this study combines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university UI system management. Theory inquiry examines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f UI system and UI design and theory of universities. An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scope of the empirical study is for all designs to which Chung-Ang University's Seoul Campus, Anseong Campus, and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are applied. The above research method derives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nd proceeds step by step.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nd their composition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Is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being used properly? 2. If it is not used properly, what kind of error is there? 3. How should the UI system that turns out to be an error be corrected?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is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emphasize the trinity of MlS, BIS, and VlS. When instructing the UI system, the university must review the image that the university must establish, and then smoothly communicate and exchange with the image designer of the UI system. can form the overall image of the university. Second, it is proposed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the UI system implementation of universities. The university's ui system strategy cannot produc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in each stage, continuous consistency in operation and content before and after must be guaranteed, and it must be presented in a unified standard format. Apply the visual image elements equally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designs, strictly follow the norms, and do not change the original design at will. Third, it is propos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ity UI system among the recipients. The driving force behind school image making comes from the cooperation of the leader and all members. It must be organized and supportive, and university image making is not an individual activity but a group activity. The behavior of the inmates who are the main 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university UI system strategy program is important to reflect the image of the school. Inmate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chool values, behavioral norms, and support for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UI system are the basis for successful school image making. 우수한 대학의 UI 시스템은 학교의 좋은 이미지를 수용자들에게 심어주고 이를 통해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전체적으로 대학 의 UI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면 대학 이미지의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포괄적으로 통일된 기획과 디자인, 학교 설립이념, 문화적 특질 및 추상적인 언어를 구체적 기호 개념으로 전환하여 유형적으로 전시하고, 조직화, 통일화, 표준화, 체계화된 시각적 방안을 통해 대학교의 설립이념과 정신문화를 구현하여 차별적인 대학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UI 시스템을 이론적 기반으로 중앙대학교의 UI 시스템 구축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앙대학교의 이미지 구축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이론과 실천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의 UI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실제 활용의 잘못된 점을 지적함으로써 학교 내·외부 UI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고 학교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며, 중앙대학교의 '디자인 통합 관리 매뉴얼'과 이 매뉴얼을 기반으로 잘못 활용된 사례를 위 주로 살펴봄으로써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올 바른 중앙대학교 UI 시스템 사용에 관한 인식을 높이고 더 정확하게 쓰는 방법의 자각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학 UI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론 탐구와 실증조사를 병행한다. 이론 탐구는 대학의 UI 시스템과 UI 디자인 및 이론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한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한다. 실증조사 범위는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 및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UI 디자인을 대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방법은 세부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단계별로 진행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은 제대로 사용되고 있는가? 2.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어떤 오류가 있는가? 3. 오류로 판명된 UI 시스템을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가? 본 연구문제를 통해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MlS, BIS, VlS의 삼위일체를 강조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학은 UI 시스템을 지도할 때 반드시 본 대학이 수립해야 할 이미지를 검토한 후 UI 시스템의 이미지 설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고 교류해야 MlS, BIS, VlS 3자가 상호 융합하여 하나의 공통된 이념을 전달하여 하나의 대학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대학의 UI 시스템 집행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학의 UI 시스템 전략은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는 없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는 반드시 전후의 운영상과 내용상의 연속적인 일치성을 보장해야 하며, 통일된 표준 형식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시각적 이미지 요소를 각종 대내외 설계물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규범을 엄격히 준수하며, 마음대로 원래의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는다. 셋째, 수용자의 대학 UI 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제안한다. 학교 이미지 메이킹의 원동력은 리더와 전 구성원이 힘을 합치는 데서 나온다. 반드시 조직적이고 지지를 가져야 하며, 대학 이미지 메이킹은 개인 행위가 아니라 일종의 집단 행위이다. 대학 UI 시스템 전략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수용자들의 행동은 학교 이미지를 반영하는데 중요하다. 수용자의 학교 가치 관념, 행동 규범에 대한 이해와 인정, 대학 UI 시스템에 대한 지지와 자발적 참여는 성공적인 학교 이미지 메이킹의 기초가 된다.

      • 문헌정보교육학분야의 학위논문 인용행태에 관한 연구

        허진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학교교육은 교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교사의 성품과 역량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학생들에게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사의 재교육이 필수적이다. 교사의 재교육은 주로 교육청이나 교육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은 1963년에 최초로 설립된 이후 2000년대까지 꾸준하게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대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헌정보교육대학원은 1971년 최초로 설립되었고, 현재 전국의 14개 대학에서 교육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회에 걸맞은 사서교사를 양성하고자하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재 문헌정보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문헌정보교육대학원의 학업성취도와 결과물의 가치 파악에 대한 사회적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문헌정보교육대학원에서의 연구기능과 학술적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인용과 피인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10년간 7개 교육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 163건과 피인용논문 8,170건을 대상으로 인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피인용논문 8,170건 중 교육대학원 논문은 933건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933건을 대상으로 대학원별, 연도별, 전공별로 분석하였다. 인용논문을 대학별로 조사한 결과 F대학, D대학, E대학, A대학, G대학, B대학, C대학순으로 나타났으며, 논문제출여부에 따라 논문발행건수가 차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163건 중 교육대학원 논문을 인용한 논문은 전체의 79.8%를 차지하고 있어 교육대학원 논문 작성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교육대학원의 논문을 참고하고 인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헌정보교육전공의 논문은 2008년에 가장 많이 발행되었고, 점차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피인용논문의 형태별 의존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75.8%, 국외 24.2%로 국내문헌을 주로 의존하며, 국내문헌 중에서는 학술지, 단행본, 교육대학원, 일반대학원, 웹자료, 기타자료 순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원별로 인용건수를 분석한 결과 F대학, D대학, A대학, E대학, G대학, B대학, C대학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인용건수는 5.7건으로 밝혀졌다. 최다인용 대학은 D대학으로 전체 85개 대학원 중 상위 10개 대학원을 살펴본 결과 9개 대학원에 문헌정보교육전공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인용논문은 총 75개 전공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14개 전공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의 51.9%가 문헌정보교육분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 논문 작성시 동일분야의 논문을 주로 인용 하는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분야는 문헌정보교육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oday, school education has high dependence on teachers and is largely influenced by teacher's character and competence. To provide students the best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continued retraining is essential. The retraining of teachers is being made by Department of Education 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until the 2000s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3, After the 2000s, it has decrease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first built up in 1971, currently 14 universities in Korea are opera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goal is to train teacher librarian suitable for the community. Now,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ent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s growing, In the flow of these times, the social interest in determining the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sul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s increased. The analysis of citing and the cite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earch capabilities and academic direc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citation analysis targeting the 163 papers published and the 8,170 papers cited in 7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recent 10 years from 2003 to 2012. The 933 pap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cited papers of 8,170 were calculated, theses 933 papers were analyzed by graduate school, year, maj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ited papers by university, F, D, E, A, G, B, C university in order appeared, the number of paper publish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paper submiss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The papers to cite thes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163 papers accounted for 79.8% in 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noted and cited the thes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writing pap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these of majoring in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most published in 2008, which have gradually reduced. As a result of analyzing dependence by type in the cited papers, researchers depended on the 75.8% of domestic papers and the 24.2% of the abroad papers, Journals, books, these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web data, other data among the domestic literature in order showed to be depend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the citation by university, F, D, A, E, G, B, C university in order appeared, the average number of the citation was 5.7 cases. Most cited university is D university an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top 10 graduate schools of all 85 graduate schools showed 9 graduate schools had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ited papers were also classified into a total of 75 majors, as a result of re-classifying them into 14 majors, the 51.9% of all indica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en writing the pape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can be determined to cite that of the same field, this topic areas will be provided as the basis on the study in the field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