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홍보포스터에 나타난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 제안을 중심으로

        김소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invested in promotion using various media in order to attract excellent new students and achieve a high rating in various evaluation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ircumstance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prepare for an examination for entrance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decreases, each college and university realized that promotion is required to give the students better image and inform them of more distinct and special features that each school has than other schools. But,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use similar contents and make them arranged simply, though they make a lot of investment. Such a visual way does not help to draw the students' attention, and thus it is hard to attract new students. These days, there are a diversity of new media to promot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our society. Nevertheless, we encounter primitive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posters, and other printed media, in various types every day, and given the point that the media are near our life, they still serve as a key role in promotion. Among the media, posters, which are the most basic type of graphic designs, are attached into the busy and crowed places, serving the purpose of information delivery. Posters that use various visual languages to delivery messages are a sort of visual and permissive communicatio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sist of layout, pictures and illustrations, color designs, typography, and other factors. Among the components, color designs are a component with various effects, reacting to people's emotions and feelings and thus drawing immediate responses. Color designs, going beyond languages, sometimes become a means of communication in quick, immediate and accurate ways. But,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concerned to the extent that it is hard to find studies on them. To improve images and promote schools professionally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educational market continues to be opened and the institutional ways of enter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chang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promotion methods, concentrate on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propose colors fitting schools' intention and purposes, and actively use them. This work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omotion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romotional posters, and color desig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design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Ang Universit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n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Ang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promotional posters used only blue, the school color, and it was hard to find distinct features of each college of the school.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er set up a detailed plan for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 Ang University, differentiated color designs according to each college of the university, and proposed a total of 16 works for five categories and 11 colleges of the university The proposed artworks that focused on color designs in a plane structure and simplified expression reflected the study of American color theorist and consultant Birren. 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ymbolism of each color fitted well the meaning of each college of the university. The proposed color designs will help viewers communicate between each other and understand the emotions provided by the colors, and serve as roles in associating new interests with color designs and using color designs in various areas. 현재 한국의 대학교는 뛰어난 신입생 유치와 각종 대학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에 투자 하고 있다. 수험생의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면서 대학수요자들에게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다른 대학과의 차별성과 특성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홍보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교는 투자하는 비용에 비해 비슷한 내용들의 단순한 나열식과 이목을 끌기 힘든 비주얼로 신입생 유치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대학교를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뉴 미디어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원초적 미디어라 할 수 있는 신문, 잡지, 포스터와 같은 인쇄매체는 하루에도 다양한 형태로 접할 수 있으며 우리 생활과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홍보에 주요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포스터는 그래픽디자인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에 부착하여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다양한 시각언어를 활용해 메시지를 전달해 사람의 이목을 끄는 시각적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일종이다. 대학교 홍보포스터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레이아웃,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색채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중에서 색채디자인은 다각적인 효과를 지닌 요소로 사람의 감정과 정서에 작용해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색채디자인은 언어를 뛰어넘어 신속하고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학 홍보포스터에서의 색채디자인은 그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 될 교육시장의 개방화와, 입시전형의 변화와 같은 제도적인 변화에 이미지 개선과 보다 전문적인 홍보를 위해 그 동안의 홍보방법에서 탈피하여 대학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의도와 목적에 맞는 색채제안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홍보의 개념과 특성, 홍보포스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그리고 색채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대학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의 특징과 중요성 그리고 대학 색채디자인의 특징과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의 색채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중앙대학교 교색인 파란색만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홍보포스터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각 대학별의 뚜렷한 특징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의 색채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색채계획을 세우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주면서 각 단과대학별의 색채디자인을 다르게 하여 차별성을 준 5계열 11대학의 총 16점의 작품을 제안하였다. 평면적 구성과 단순화된 표현으로 색채디자인에 중점을 둔 작품은 미국의 색채학자인 파버비렌(Birren, F.)의 연구를 응용하여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각 색채의 상징성은 각 단과대학의 의미에도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색채디자인 제안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소통하고 색채가 주는 감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관심을 색채디자인과 연관 지어 보고 다양한 분야에서 색채디자인이 의미 있게 응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UI(University Identity)를 구현한 학위복 디자인 연구 : 중앙대학교 학위복을 중심으로

        이은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내 대학은 국제화, 개방화된 경쟁사회 속에서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UI (University Identity)를 도입하기 시작하였으며 새로운 UI도입은 대학의 이념과 목표, 대학문화를 확립하고 도약하는 대학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 사용된다. UI는 MI(Mind Identity), BI(Behavior Identity), VI (Visual Identity)의 삼요소로 구성되며 이 중 VI는 가장 빠르게 대학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UI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위복 개발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국내 대학의 일반적인 학사 학위복은 미국의 오래된 디자인을 그대로 도입한 채 착용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획일화되어있던 학위복 디자인을 중앙대학교 UI의 구현을 통해 개발함으로서 학위복의 기능과 의미는 유지하면서 중앙대학교의 전통성과 상징성을 나타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학위복과 UI의 이론적 배경과 현재 학위복 디자인 현황에 대해 국내ㆍ외로 나누어 조사하고 설문을 통해 기존학위복의 문제점과 개선점, 디자인 선호도, UI를 구현한 학위복 디자인에 대한 의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자료를 통한 연구로서 UI의 중요성과 학위복에 대해 일반적 고찰을 하였으며 UI와 학위복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위복 디자인 현황을 국내ㆍ외로 나누어 비교분석하고 디자인하기에 앞서 필요한 디자인 개발요소를 살펴보았다. 둘째 실증적 연구로서 기존학위복의 문제점과 개선점, 선호디자인 등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학위복 디자인에 대한 의식 및 착용 소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중앙대학교를 졸업한 사람 150명과 중앙대학교와 동일한 학사 학위복 디자인을 한 타 대학 졸업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전공계열에 따른 의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자연계, 인문계, 예체능계열로 구분지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04년 9월 1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300부를 배포하여 277부가 회수되었으며 이들 중 답변이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총 264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0.0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빈도, 백분율, -test의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UI를 구현한 중앙대학교 학사 학위복을 실물제작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 미술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육방안 연구 : 중앙·홍익 미술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교육방안 제안

        유지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right Art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going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For this goal, questionnaires among fine arts university students were implemented to verify “How identity form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major satisfaction influence in career selection”. <Analysis on respondents> 1.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in respondents 2. Identity formation in high school 3. Identity formation by major satisfaction in university 4. Opinions of university students 5. Correlation with identity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university students(87 students in Chung-Ang university and 72 students in Hong-Ik univerisity). Male students were 33(28 in CAU and 5 in HIU), and female students were 126(59 in CAU and 67 in HIU). Among them, 157 questionnaires except for two which were insufficient for the study (2 in HIU and 0 in CAU)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which are “Anlaysis of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Ego-identity”(Eun-mi Kim, 2012), and “Major satisfaction”(Won-suk cho, 2009) were used to measure variables. The result of verifying study hypothesis are below: 1) After analyzing 7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it firstly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absolutely more than male students. Secondly, among fine arts university students, many of them were from metropolises, and students from medium-sized cities or agricultural villages were few. That is, the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is accomplished differently according to cities and areas. Thirdly, the number of students who stay out of school temporarily increases in higher grades. The reason was that they chose to take a rest due to frustration caused by a wrong major choice and job hunting. Fourthly, according to the question of high school departments, while the expectation was that fine arts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esthetic activities in their school life, they had almost same educ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xcept that the identity formation and major satisfaction were a little higher. Nevertheless, the reason of the high ratio in fine arts related school entrance is that the fine arts high school entrance is another meri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Fifthly, the number of poor students who cannot have an expensive private tutor, which is essential to enter into a fine arts college nowadays, are naturally less in the university. Sixthly, the question that the most influential standard when selecting a major was one’s grade which means that students follow the level of their grade and a major department in choosing a major. In this point, the standard of major selection between Chung-Ang and Hong-Ik university was different, and it was caused by the different admission process. Moreover, the newly known fact through this admission process was that the cut line of Korean SAT was higher when the name of the university major department changed. Namely, high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major by just seeing the name value of the major, not considering the specific curriculum or their aptitude. Seventh, the most period when choosing fine arts major was the early high school. That is, the high school period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and it is signific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fine arts classes for students’ future.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dentity formation in high school, most of the identity formation was accomplished in high school compared to the major satisfaction. One of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im is to enter into a good department in brand name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s were in Chung-Ang and Hong-Ik university where artistic departments strengthen, so it is natural that the identity is highly measured. However, as it is shown in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students do not choose their major and future career regarding their aptitude, interest, and sense of values, but they are terribly afraid of entrance competition where there is little career counseling and identity building.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school’s role and status as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falls while subjects which are not much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such as athletic and artistic subject decrease due to the increased private education market. Therefore, students who are in those period do not seem to experience right identification formation.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jor satisfaction, social recognition of the major and the name value of university affect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It means that major satisfaction is correlated to the university satisfaction, so when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programs, the study for reducing negative effects on the lower level university is necessary. For example, this case also shows that the name value of the university is satisfied while the major satisfaction is not fulfilled. To summarize, due to the present educational problem caused by the outcome-oriented society, Korean students do not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and specific university curriculum, but spend their precious time and money in the unsatisfied major. Throughout the questionnaires, the study provides clear evidence that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s essential for the identity building of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In addition, the education for one’s ego-identity establishment to find one’s value and meaning of existence is also necessary. 본 연구는 앞으로 미술대학을 지원하고자 하는 고등학생에게 올바른 미술 진로교육(Art Career education)이 이루어지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술대학생을 중심으로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선택에 미치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특성분석>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2. 고등학교 때 정체성 형성. 3. 대학진학 후 전공학과 만족도에 의한 정체성 형성. 4. 학생들의 의견. 5. 정체성 변화와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대상은 중앙 대학생 87명, 홍익 대학생 72명으로 총 159명이었다. 남학생은 33명(중앙대학교: 28명, 홍익대학교: 5명), 여학생은 126명(중앙대학교: 59명, 홍익대학교: 67명)이었다. 이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홍익대학교: 2부, 중앙대학교: 0 부) 2부를 제외한 157부가 최종 분석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분석”, “자아정체성” (김은미, 2012), “전공만족도” (조원숙. 2009) 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7문항 요인 분석 결과 <첫 번째> 현재 미술재학생 중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 수가 현저하게 적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미술대학 재학생 중 대도시 출신자들이 많았으며 중소도시, 농촌으로 갈 수 록 비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는 평등하게 교육받을 권리가 각 도시, 지역별로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각 학년별 재학 중인 학생을 알아본 결과 고학년이 될수록 휴학생 수 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자신과 맞지 않은 학과에 대한 허탈감 및 취업걱정으로 인한 막막함을 해소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스펙다지기를 위해 휴학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고등학교 계열에 관한 질문에서, 예술 고등학교에서는 비싼 학비 못지않게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과는 차원이 다른 미적 경험들을 학습했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정체성과 전공만족도에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예술 고등학교 진학율이 높은 이유는 미대를 가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미술대학을 진학하기 위해서 미술입시학원 및 고액과외라는 사교육이 꼭 거쳐야 할 수단이 되어버린 현실에서 경제적 형편이 여의치 않은 아이들의 비중은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다. <여섯 번째> 전공 선택 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기준에 대한 질문에서는 성적 맞춤식 학과 선택이 가장 많았다. 여기서 중앙대학교학생과 홍익대학교 학생의 전공 선택 시 작용한 기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입학전형 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또 입학 전형을 살펴보면서 새롭게 알게 된 점은 전공명이 바뀐 과는 유독 그 해에 수능성적이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입시생들이 자기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학과의 상세한 커리큘럼 정보 없이 학과 이름만 보고 선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곱 번째> 미술전공을 선택한 시기는 특히 고등학교 전기가 많았다. 즉, 미술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시기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한 아이의 미술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잘 해쳐나갈 수 있도록 고등학교 미술관련 수업 개선의 중요성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고등학교 때 정체성 형성 결과에 따르면 전공만족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때 정체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리니라 중⋅고등학생들의 최종목표는 명문대학의 좋은 학과이다. 이번 설문지 대상은 예체능계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중앙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재학생 대상 비확률 표집방법 이였음으로 정체성이 높게 측정될 수 박게 없다고 본다. 그러나 설문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 교육은 지나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진로교육이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학생들은 적성, 흥미, 가치관 등에 기반을 둔 진로 설계에 따라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기보다는 입시를 위한 과도한 경쟁으로 내몰렸다. 아울러 학교는 입시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교과목 및 비교과 활동이 위축되는 한편 사교육 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공공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위와 역할이 실추되었음을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아이들은 제대로 된 정체성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3) 전공만족도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있어서는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이에 대한 만족 그리고 자신이 다니는 대학자체의 명성과 지위에 대한 만족이 전공만족과 관련된 중요한 변인임을 고려해야 한다. 즉, 전공만족도는 학교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학교만족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학교는 만족하지만 전공은 만족하지 못하는 이번 사례가 그러하다. 요약하자면 성과지향으로 흐르고 있는 현재 교육의 문제점 때문에 자신이 가고자 하는 학과의 커리큘럼도 모른 체 우리나라 대학교의 문제점인 소위 명문대학교로의 학생 쏠림 현상으로 대학교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재정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설문지를 통해서 미술대학을 가고자 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실하게 알게 되었으며, 청년기 때의 자신의 진정한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을 이루기 위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地域社會 住民의 大學圖書館 이용滿足度에 관한 硏究 : 中央大學校 제2캠퍼스 圖書館(안성)을 中心으로

        임동규 中央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방의 필요성을 문헌 및 연구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개방동향 및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의 개방현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가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 안성시 지역주민들의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와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 분석하여 안성시 지역사회 주민들이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 빈도 자료유형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에 대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설문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향후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이 지역사회 주민의 이용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안성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은 전반적인 도서관 이용에서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의 개방의 범위를 점점 더 확대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주말 도서관 자료이용, 평일 도서관 연장개관, 교육 문화행사(각종 연극제 및 영화상영 등)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개방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대학당국의 인적 재정적 확대지원이 있어야 그 실효를 거둘 수 있고 도서관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개방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제도적으로 대학내에서 마련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방의 올바른 인식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고객만족을 위한 수준으로 적시에 행하여져야 하며, 도서관 서비스 항목의 우선순위는 유동적임을 유념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이 필요한 자료의 서비스를 위해 지역의 각종 도서관간의 상호 네트웍을 통한 자료의 공유 및 상호대차의 확립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은 선진국의 지역사회에 대한 도서관의 봉사사례에 대한 폭넓은 분석과정을 통하여 국내에 도입할 수 있는 장점들을 추출해 내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중앙대학교 아이덴티티시스템 디자인(University Identity System) 적용에 대한 실증연구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를 중심으로

        고신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UI system of a good university is part of the work to instill a good image of the school in the recipients and to strengthen its influence through it. As a whole, if the UI system of the university is properly utilized, various visual elements of the university image are comprehensively unified planning and design, the school establishment ideology,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bstract language are converted into concrete symbol concepts to tangibly display, organize, unify, It is possible to form a differentiated image of the university by realizing the founding philosophy and spiritual culture of the university through standardized and systematized visual measure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by providing new ideas and methods for building the image of Chung-Ang Universi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UI system construction of Chung-Ang University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university UI system, pointing out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UI design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enhancing the image of the school by pointing out the errors in actual use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UI system of Chung-Ang University. By examining the University's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Manual' and examples of misuse based on this manual, we present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the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to raise awareness of the correct use of the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and to increase awareness of how to write more accurately. aims to increas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s conducted. The method of this study combines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university UI system management. Theory inquiry examines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f UI system and UI design and theory of universities. An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scope of the empirical study is for all designs to which Chung-Ang University's Seoul Campus, Anseong Campus, and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are applied. The above research method derives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nd proceeds step by step.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nd their composition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Is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being used properly? 2. If it is not used properly, what kind of error is there? 3. How should the UI system that turns out to be an error be corrected?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is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emphasize the trinity of MlS, BIS, and VlS. When instructing the UI system, the university must review the image that the university must establish, and then smoothly communicate and exchange with the image designer of the UI system. can form the overall image of the university. Second, it is proposed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the UI system implementation of universities. The university's ui system strategy cannot produc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in each stage, continuous consistency in operation and content before and after must be guaranteed, and it must be presented in a unified standard format. Apply the visual image elements equally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designs, strictly follow the norms, and do not change the original design at will. Third, it is propos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ity UI system among the recipients. The driving force behind school image making comes from the cooperation of the leader and all members. It must be organized and supportive, and university image making is not an individual activity but a group activity. The behavior of the inmates who are the main 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university UI system strategy program is important to reflect the image of the school. Inmate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chool values, behavioral norms, and support for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UI system are the basis for successful school image making. 우수한 대학의 UI 시스템은 학교의 좋은 이미지를 수용자들에게 심어주고 이를 통해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전체적으로 대학 의 UI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면 대학 이미지의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포괄적으로 통일된 기획과 디자인, 학교 설립이념, 문화적 특질 및 추상적인 언어를 구체적 기호 개념으로 전환하여 유형적으로 전시하고, 조직화, 통일화, 표준화, 체계화된 시각적 방안을 통해 대학교의 설립이념과 정신문화를 구현하여 차별적인 대학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UI 시스템을 이론적 기반으로 중앙대학교의 UI 시스템 구축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앙대학교의 이미지 구축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이론과 실천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의 UI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실제 활용의 잘못된 점을 지적함으로써 학교 내·외부 UI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고 학교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며, 중앙대학교의 '디자인 통합 관리 매뉴얼'과 이 매뉴얼을 기반으로 잘못 활용된 사례를 위 주로 살펴봄으로써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올 바른 중앙대학교 UI 시스템 사용에 관한 인식을 높이고 더 정확하게 쓰는 방법의 자각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학 UI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론 탐구와 실증조사를 병행한다. 이론 탐구는 대학의 UI 시스템과 UI 디자인 및 이론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한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한다. 실증조사 범위는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 및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UI 디자인을 대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방법은 세부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단계별로 진행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은 제대로 사용되고 있는가? 2.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어떤 오류가 있는가? 3. 오류로 판명된 UI 시스템을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가? 본 연구문제를 통해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MlS, BIS, VlS의 삼위일체를 강조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학은 UI 시스템을 지도할 때 반드시 본 대학이 수립해야 할 이미지를 검토한 후 UI 시스템의 이미지 설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고 교류해야 MlS, BIS, VlS 3자가 상호 융합하여 하나의 공통된 이념을 전달하여 하나의 대학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대학의 UI 시스템 집행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학의 UI 시스템 전략은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는 없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는 반드시 전후의 운영상과 내용상의 연속적인 일치성을 보장해야 하며, 통일된 표준 형식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시각적 이미지 요소를 각종 대내외 설계물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규범을 엄격히 준수하며, 마음대로 원래의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는다. 셋째, 수용자의 대학 UI 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제안한다. 학교 이미지 메이킹의 원동력은 리더와 전 구성원이 힘을 합치는 데서 나온다. 반드시 조직적이고 지지를 가져야 하며, 대학 이미지 메이킹은 개인 행위가 아니라 일종의 집단 행위이다. 대학 UI 시스템 전략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수용자들의 행동은 학교 이미지를 반영하는데 중요하다. 수용자의 학교 가치 관념, 행동 규범에 대한 이해와 인정, 대학 UI 시스템에 대한 지지와 자발적 참여는 성공적인 학교 이미지 메이킹의 기초가 된다.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박하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통해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48명의 재학생 중 연구자를 제외한 47명(N=47)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질적연구방식이 주가 되며, 양적연구방식이 부로 이루어진 혼합설계로 설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법은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와 서술형 질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법은 4차와 5차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4일, 5월 15일, 5월 17일에 3번에 걸쳐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이 가장 만족하는 점은 학교의 명성, 학교의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환경, 교수의 가르침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점은 장학금, 학교교실 환경, 각 수업의 학급 인원 수, 행정서비스의 질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3번의 면접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수의 전문성, 전임교수의 부재, 과목 선택권의 문제, 서양음악전공생과 국악전공생의 통합수업으로 인한 문제점, 논문지도 문제, 학습시설 부족, 행정적 시스템의 문제, 임용고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발전을 위하여 ① 음악교육전공 전임교수 배정 ② 음악교과교육학 과목에 있어서 1차와 2차 재학생, 3차 이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같은 과목 2개 분반 수업 실시 ③ 서양음악전공생은 국악과목 의무 수강, 국악전공생은 서양음악과목 의무 수강 ④ 음악교과내용학 과목 현행 2과목에서 3과목 개설로 선택권 확대 ⑤ 음악교과내용학 과목에 있어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특히 국악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⑥ 4차, 5차 때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 수업 개설 ⑦ 가논문 심사 실시 ⑧ 실기과목의 경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한 학습 기자재 지원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 결과와 제시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and to suggest the right solutions to improve the issues by the graduate students' opinion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7 students(N=47) and questionnaire methods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1 questions and short-answered questions were also given to the respondents. Interview method was carried with 6 students in 4th and 5th semester in May 14th to 17th,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satisfied the most in school reputation, services by library and lessons professors provide in order. Second, the least gratifying issues were scholarship, poor classroom enviro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of administration. Finally, the common issues that students point out as they should be improved wer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lack of full-time professors, options students have when choosing courses and the problems by course combin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such as that of western music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Not only that, lack of the facility for studying, the problem by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low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Nationa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Conclusion from abridged results are as follow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at graduate students provided, school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ⅰ)allocation of full-time professors ⅱ) separation of the same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based on the semester ⅲ) mandatory classes for different majors such as western music majo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Also, ⅳ) extended options for choosing courses ⅴ) recruitment of professo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ⅵ) introduction of pre-examination system for a thesis ⅶ) providing enough facilities for practice were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rception music education majors have. Through this research, many respondents points out problomatic issues and their solutions which will lead the music education of Chungang graduate school to more improvement.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대학 공연제작에서 무대조명 제작과정의 실습교육 : 중앙대학교 연극전공 공연제작 실습을 중심으로

        고혁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departments of stage lighting in Korean universities provide both education on the design process where texts are imaged with light, and education on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for stage embodiment of actual theaters.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stage lighting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in colleges is more focused on the design process rather than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due to a lack of practicum places, such as theaters and studios, and profess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capacity of stage lighting. Departments with a stage lighting major have opened and operated courses where a piece of performance is actually p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Considering that such lectures are practical experience for major activities after graduation for students, they are no more than a practicum to implement the design process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overall professional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in the fiel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experience producing a quality performance, but the stage lighting industr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design needs to be checked at the theater. Therefore, it is also educationally important for students to implement design safely within the given time and conditions like the actual process in the field. Accordingly, the education of stage lighting performance production needs to be operated by connecting the field of the performance industry and job training and qualifi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so that students can make the best use of their ability after graduation and adapt to the field quickly.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in college and the field to explore the difference, and studied if job training that centered on capacity and key ability can improve the students’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Under the assumption that college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field, the system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and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suggested by NCS and the performance production in colleg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for “Oedipus: Son of Jocasta” (herein after referred to as “Oedipus”) performed by a practicum lecture of performance production at Major of Play, Department of Performance Creation at Chung-Ang University was analyzed. The research could analyze various cases, but it focused on a single play a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plays have a similar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unlike musicals, co-creation and interdisciplinary arts performance that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from his ten years of experience in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as a performance production director at the major of Chung-Ang University. The play “Oedipus” was analyzed in the way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tage lighting NCS National Competency Unit was followed for the structure.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hat the contents cannot be verified or compared with other preceding research materials as it was conducted with a few research cases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in college. Since art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along with technology that can realize images created based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imagination in detail, it is required to develop performance art as well as performance art education in more professional areas by developing, revising and supplementing various and specific learning modules continuously. 국내 대학 무대조명 전공학과에서는 텍스트를 빛으로 이미지화 하는 디자인 과정 교육과 실제 극장에서 무대형상화 하기 위한 디자인 실행과정 교육을 병행하여 운영한다. 그러나 대학의 무대조명 디자인 실행과정 교육은 극장이나 스튜디오와 같은 실습공간과 무대조명 전문기술역량을 갖춘 교수자의 부족으로 디자인 실행과정보다는 디자인 과정에 대한 교육에 더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대조명 전공이 설치된 학과에서는 학생들이 디자인 실행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편의 공연을 실제로 제작해 보는 교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강의가 학생들에게 졸업 후 전공 활동을 위한 실제적 체험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강의의 운영이 무대조명분야 현장의 전문적인 무대조명 제작과정 전반을 반영하기 보다는 디자인 과정을 실행해 보는 실습수업 정도로 그친다.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공연을 직접 만드는 경험도 중요하지만, 무대조명분야는 극장에서 디자인을 확인해야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현장의 공연제작과정과 같이 주어진 시간과 여건 내에서 안전하게 디자인을 실행하는 것 또한 교육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국가직무표준을 바탕으로 공연분야 현장과 직무교육과 자격을 연계하여 학생들이 졸업 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공연분야 현장에서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무대조명 공연제작 교육은 운영되어야 한다. 본고는 대학 공연제작에서 무대조명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현장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무대조명의 역량과 핵심능력 중심의 직무교육을 통해 개선 가능한 지점인지를 연구하였다. 학교의 교육이 현장과 차이가 있다는 가정하에 NCS를 근거로 하여 NCS에서 제시한 무대조명 제작과정과 디자인 실행과정의 체계를 대학 공연제작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중앙대학교 공연창작학부 연극전공의 공연제작실습 강의에서 공연된 연극 ≪오이디푸스: 이오카스테의 아들≫(이하 연극 ≪오이디푸스≫) 무대조명 제작과정을 분석하였다. 다수의 작품으로 사례를 분석할 수도 있지만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전공에서 공연제작감독으로 10여년 간 학생들의 무대조명 제작과정을 참여관찰한 바 장르적 특성이 강한 뮤지컬이나 공동창작, 다원예술공연이 아닌 연극의 무대조명 제작과정은 대부분 유사했기 때문에 여러 작품을 기준 삼지 않고 한 작품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연극 ≪오이디푸스≫는 참여관찰 방식으로 분석하였고, 구성은 무대조명 NCS 직무능력단위를 따랐다. 본 연구는 대학 무대조명 제작과정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사례가 거의 없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 내용을 여타의 선행 연구 자료와 비교·검증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예술교육은 학생이 창의적 사고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술력도 함께 겸비할 수 있도록 행해져야 하므로, 공연예술의 발달과 함께 공연예술교육 또한 보다 전문적인 영역에서 다양하고 구체적인 학습모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수정·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정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eachers education in the preschool education faculty of Chung-Ang University, one of the departments established by the foundation of Chung-Ang University in order to trai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need to preserve the history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and for a more systematic study on the subject,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preschool education in Chung-Ang University and analyze the structural and content changes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rends in educating teachers. Being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eachers education in Chung-Ang University, this paper is based on studies of literature, newspapers and past handbooks and curriculums, as well as an interview with graduaters in Chung-Ang, also professors of preschool child education who is involved design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e study, the curriculum in Chungang University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raining School prior to Liberation(1945) consisted mostly of courses on handicraft, gift and play, based on Froebel's Kindergarten system. In the perio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courses mostly focused on realizing the philosophy of providing kindergarten education as a form of national education. The curriculum during this period focused on the emotional state of young children, with courses divided into two main themes, one provid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other for practice and for learning to become a teacher of culture. With words such as play and song actually mentioned in the childcare program in kindergartens, it can be concluded that ar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al kindergarten. It can be observed at the same time that music recitals were held regardless of the curriculum for financial reasons. The fact that arts and music dominate the curriculum during this time indicates that there were only two or three professor specializing in child care while most others were from the musical field. Music here encompasses instruments, vocal, musical grammar and sight sing and juvenile literature also included writing, which seems to have been the result of the lack of songs and stories for children at the tim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such songs and stories are believed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serving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expressing Korean philosophy. The curriculum of the 1959 to mid-1960s is marked by a systematic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preschool education theory, while words such as play, gift and workmanship disappear. This shows that the curriculum has become more specialized, setting the stage for laying a theoretical foundation. Influenced by cognitive theorist such as Hunt(1961), Bruner(1962) and Bloom(1964) in the 1960s, courses on cognitive development were opened, while stressing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t the same time. Progressive ideas that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period lead to numerous courses dealing with specific ways to teach children centering on everyday life, the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activities and experience of children. Music courses had the highest credit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music in nurturing a child. However, too much emphasis was put on arts and physical activities, which represented 60%-70% of the total credits. In other words, the more detailed segmentation of culture, music, arts and dance compared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hildhood education theory is evidence of the high proportion of courses dealing with the specific ways of teaching a child. This trend is believe to have its roots in the emphasis on singing and dancing as manifested by the frequent performances held in kindergartens. It is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professors specializing in arts and sports than in childcare and education. Therefore, the actual application of childhood education theory would have been difficult in practice. Third, the period of 1972-1980 laid the groundwork for preschool education curriculum to take firm root, with an increase in psychology and development courses and a decrease in arts and sports courses in the mid-1970s. This is also a period when a clear line was drawn between compulsory and optional subject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s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more specialized courses such as -theory, -training and child-. This shows that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tarted to take root based on two different pillars one practical and the other theoretical, with increased emphasis on education as distinct from childcare, which provides protection and nursing. An educational approach to child development which analyz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a child's behavior and the corresponding treatment deal much interest during this period.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arts courses led to a natural increase in courses on other theoretical areas. The courses mostly taught by professors of other majors began to be replaced by specialists starting from the appointment of Kim Ok-ryun, specializing in childcare in 1973 and Lee Won-young in 1975. Fourth, the curriculum from the 1980s to mid-1990s consists of scientific research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human behavior, in pursuit of a positive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increased interest in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1980s facilitated the establishment of courses dealing with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way. The opening of courses such as infant program, child welf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aimed at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when Korean society experienced a rise in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The appointment of professor Lee Sun-in(1978) and Lee Yun-sup(1983), both specializing in psychology,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sychology and development courses. The appointment of professor Park Chan-ok in the 1990s spurred active studies on social and emotional education. The courses on arts and physical activities in the earlier period often overlapped with each other. However, similar courses were integrated during this period into piano, juvenile literature, juvenile arts, music and dance, providing a balanced credit with other courses. In short, the curriculum of this period is focused on systematic studies on early the childhood education of those who will become future leaders of society, as well as fostering experts with clear visions who can translate the study results into action. Fifth, the educational reform period of 1997-2000 is marked by a dramatic change in courses, in such a way as to meet the demands of modern society, which aspires to a scientific and creative life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e number of courses on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see a steep rise, while the existing compulsory and optional courses are newly classified into basic major subject and major subject. This is testimony to a shift from emphasis on the arts and physical activity to more theory and science-based courses. In 1998, professor Cho Hyung-suk introduce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ories of scientific education, emphasizing scientific thinking in everyday life. Courses in cognition, society, emotions and physical developments are established for in-depth studies, while pursuing in-unification studies at the same time. Sixth, the general education and teaching curriculums also changed in line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 curriculums.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structured to provide basic knowledge as well as various viewpoints. Teaching curriculums enable teachers to grow in both capability and personality, laying the ground for continued self-development. As seen here, the teacher curriculum of Chung -Ang University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cademic trends,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level of education relative to each period. The opening and closing of courses have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changes in early childhood courses and th availability of professors.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대학 마스터플랜에서의 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시설 프로그램 과정과 시설규모산정 기준을 중심으로

        박형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의 기능이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공간적인 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서, 1996년 대학설립 운영규정이 제정된 이후 대학자체의 발전을 위한 장기발전계획에 맞추어 실시된 대학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캠퍼스 종합계획의 특징과 시설소요를 판단하기 위한 시설 프로그램의 과정과 시설별 규모산정의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기준을 중앙대학교에 실제 적용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연구를 위한 선행적 고찰로서 대학의 마스터플랜의 의미와 과정에 관한 고찰과 대학의 시설의 의미와 그 유형에 대한 분류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현행의 법규적 기준에 대한 연혁적 고찰을 통하여 법규적 기준에 의한 규모산정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러한 선행적 고찰을 통하여 시설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3장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1996년 이후 작성되어진 마스터플랜 보고서를 기초 자료로 하여, 대학의 특성화 및 발전방향에 따른 종합계획의 특징을 우선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설 프로그램의 과정과 단계별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시설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설별 규모산정의 방법을 시설의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의 사례분석에서 나타난 특징 및 규모산정의 방법을 기준으로 중앙대학교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시설 프로그램의 과정 및 규모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국 마스터플랜을 진행함에 있어서 시설 프로그램은 최종의 결과를 위하여 중요한 과정이며, 시설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과정에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함으로서 보다 합리적인 마스터플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설별 규모산정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강의실 및 실험,실습실의 규모산정 방법에 있어서도 각 대학의 마스터플랜의 특징과 대학의 현황을 고려한 방법 및 기준을 정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