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문화 교육 정착을 위한 자격제도 연구

        이정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Professionals who respond to social needs should be trained by a systematic training. Tea qualification test aims at cultivating tea specialist of the future based on more methodical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has potential function to induce idealistic education system improvement for tea leaders and development of related study fields. This study examines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analyzes education status of tea education,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for tea qualification system.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is that signing up for registration management agency to identify an administrator of the group who is charge in a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Listed series of administrative acts including code symbol and gra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naging organization, date of registration or decision become effective by acquiring requirements for managing ope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and state-authorized application. From 1997's Qualifications Basic Law, Korea started the 1st private national qualification accreditation in 2000 and has been continued it to the 13th of the day with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outh Korea as its mission agency. 2,987 items of 935 institutions under 12 ministr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s at present. General entities are accounted for the most largest proportion as registered managing operation; legal entities and individuals are following in order. As legal entities, 3 foundation corporations and 22 incorporated associations have been operated tea education curriculum. 13 of those legal entit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9 kinds of qualifications are remarkably registered and operated. Traditional tea etiquette occupies most part of registry. Especially in the field of private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Inter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 manages 7 curriculum of traditional tea etiquette, Japanese tea ceremony, Black tea, Chinese tea ceremony, Tea psychological counseling, Tea evaluation, and Tea manufacture, progresses most diverse training courses as private qualification 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3 colleges and 2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so far. 7 masters degrees are set up and run while doctoral program for tea culture majors is just on its starts with 3 universities. Keimyung University, Mokpo National University, Wonkwang University manage Master in parallel with PhD courses, but all of 11 universities and colleges where run tea related departments, undergraduates, and colleges course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graduate schools'. Most of all, possibility of entering masters or PhD from undergraduate is lack in connectiv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future directions to settle tea culture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as below. First, it is required to register tea qualification to country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is will induce growth of private sector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ctivation in private qualification system by giving credibility,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tate, civil, and private qualification. Currently registered operating management agencies are 52 with 87 national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ere is no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but 9 related qualifications are registered to private accreditation which should be prepared for a priority so that they can be promoted to national level as soon as possible. Second, it is need to take advantage of the credit bank system. Taking credit from acquir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btains equivalent effect with college units by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the specific identification to national qualifications, or the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16th credit eligibility standard', total of 581 qualifications including 356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141 of other national qualification by the specific identification, 84 of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are given credit for official units. For developing and popularizing Korea's tea culture to academical level, it will be suggested to have accreditation for credits by acquiring tea related qualification through vocational schools or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under current system. Future tea culture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to answer the purpose of both academic theory and practice to have a competitiveness. Academic formulation through the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s accompanied by national authorized private system for fulfilling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popularization, tea culture education will speed to put down the roots in Korea.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라 함은 그 분야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하여 양성하고 배출되어야 한다. 차(茶) 자격시험은 보다 체계적인 배출시스템을 기반으로 미래가 요구하는 전문적 차지도자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지도자 양성에 대한 이상적인 교육과정의 개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을 유도하는 잠재적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자격 등록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茶)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차(茶)자격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자격 등록제도는 민간자격관리자가 민간자격을 관리?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등록관리 기관에 등록하는 것으로서, 등록대장에 자격의 종목명 및 등급, 자격의 관리운영기관에 관한 사항, 등록의 신청일 및 등록결정일 등을 기재하는 일련의 행정행위의 총칭으로 등록에 따른 효력은 민간자격 관리운영과 국가공인 신청에 대한 요건을 획득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1997년 자격기본법 제정을 시작으로 업무 수행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통해 지난 2000년 제1차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를 시행하여 현재 13차에 이르고 있다. 민간자격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현재 12개 부처 935개 기관의 2,876개 종목이 민간자격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등록된 민간자격관리 운영기관으로는 일반 단체가 7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법인, 개인 순으로 나타났다. 법인단체의 차교육 현황으로는 3개의 재단법인과 22개의 사단법인에서 차문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민간자격에 13개 법인 단체가 등록되어 자격을 관리하고 있으며, 크게 9종류의 자격증이 등록?운영되고 있다. 등록 자격들 중 전통차예절 자격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차관련 민간자격 분야에서 국차재는 전통차예절, 일본다도, 홍차, 중국다예, 차심리상담, 차품평, 제다사 7가지 자격과정이 등록되어 민간자격과정 운영 법인 단체들 중 가장 다양한 차관련 교육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에서는 2012년 현재 전문대학은 3개 대학이고, 4년제 대학교 2곳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에는 먼저 석사과정으로는 7곳에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고, 박사과정으로는 3개 대학에서 차문화 관련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그 중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모두 운영 중인 대학은 계명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원광대학교가 있다. 그러나 현재 11개 대학에서 차관련 전공 학과가 개설돼 있으나 대학원 중심이며, 학부나 전문대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그리고 학부에서 석사, 박사로 이어지는 연계성이 부족하다. 차문화 교육을 정착하기 위해서 차(茶)자격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차(茶)자격을 민간자격 국가공인에 등록하는 것이다.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등록함으로써 시대변화에 빠르고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민간분야의 성장을 인정하고, 민간 자격에 대한 공신력을 부여함으로써 민간자격제도의 활성화를 가져오며, 국가와 민간 그리고 민간자격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받은 자격관리 운영기관은 52개이고, 국가공인 민간 자격수는 87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차관련 자격증이 국가공인을 받은 것은 없지만, 현재 9종류의 차관련 자격증이 민간자격에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국가공인에 등록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둘째, 학점은행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통한 학점인정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국가기술자격과 개별법에 의한 국가자격, 국가공인 민간자격 중 대학의 학점과 동등하게 인정될 수 있는 수준을 지닌 자격에 대하여 학점으로 인정하고 있다. 2012년 3월 29일자로 고시된 ‘제16차 자격 학점인정기준’에 따르면 총 581개(국가기술자격 356개, 개별법에 의한 기타 국가자격 141개, 국가공인 민간자격 84개) 자격이 학점으로 인정된다. 한국의 차문화를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현 제도를 활용하여 직업전문학교 설립 후 차관련 자격증을 통해 학점을 인정받거나, 국가공인 민간자격을 취득하여 학점인정을 받는 방법이 있다. 앞으로 차문화 교육은 학문적으로 이론과 실습을 겸해야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학문적 정립은 고등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부족한 실기 응용 분야 및 차교육 대중화는 국가공인된 민간자격 제도를 통해 학점을 인정받는다면, 한국의 차문화 교육은 빠르게 정착하게 될 것이다.

      • 氣의 磁氣論的 解析과 陰陽五行論의 科學的 適用에 관한 硏究 : 翰書生體磁氣經絡療法을 中心으로

        최상용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硏究는 東洋醫學의 核心理論이라 할 수 있는 陰陽五行論과 五運六氣學의 科學的 適用과 동양학의 화두와도 같은 氣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그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陰陽五行論과 五運六氣學을 동양 最古의 醫學書인 『黃帝內經』을 바탕으로 東洋醫學的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응용되고 있는 運氣體質論을 통해 陰陽論的 左右體質구분의 타당성과 先後天體質의 근거, 각 개인이 갖는 고유한 運氣體質의 분류법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상기의 이론들을 활용하고 있는 翰書生體磁氣經絡療法<이하 磁氣療法>의 개요를 미리 살피기 위한 것이었다. <磁氣療法>은 각 개인의 고유한 運氣體質을 바탕으로 磁氣力을 활용, 인체 臟腑의 생명력이 흐르는 통로인 陰陽臟腑의 經絡을 조절하여 不調和된 五臟六府의 기능을 조화롭게 해 줌으로써 인체의 自然治癒力을 높여주는 요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磁氣療法>을 활용한 국내외 4개 대학병원의 臨床結果를 통해 科學的 有效性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동양의학의 핵심이론인 陰陽五行論 및 五運六氣學 등도 접근방법에 따라 科學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양학에서 生命力의 根源으로 여기고 있는 氣를 여러 면에서 검토할 때 현대의 과학물체인 磁石과 磁氣力으로 대입하여 보면 그 원리적인 해석이 훨씬 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氣醫學 측면에서 인체의 경락을 통해 生體磁氣를 각 개체의 고유한 체질에 적용한 결과, 아주 有效한 醫學的 結果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곧 신비롭게만 여겨져 왔던 氣에 대해 磁氣場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의 解析 可能性을 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疾病中心의 의료체계에서 각 개인의 고유한 체질에 따라 人間中心의 의료시스템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cientific application of Yin-Yang Wu-hsing theory(陰陽五行) and 5-Yun-6-Ch'i theory(五運六氣學), which are major concepts of Oriental medicine, and a new interpretation of Ch'i(氣), which is a controversial issue of Oriental studies. Based on Hwang-ti-nei-ching(黃帝內經), the oldest medical book in the Orient, this study looks into Yin-Yang Wu-hsing theory and 5-Yun-6- Ch'i theory in perspective of Oriental studies. Applying Yun-Ch'i-constitution theory(運氣體質論) based on those theories, we have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left-right constitution(左右體質) on Yin-Yang theory(陰陽論), the ground of inborn-acquired constitution(先後天體質),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Yun-Ch'i constitution through case study. This process contributes to comprehending the outline of Hanseo-Meridian-Bio-Magnetic Therapy(翰書生體磁氣經絡療法) that applies the above theories in advance. Hanseo-Meridian-Bio-Magnetic Therapy aims at improving a natural healing power in human body by using magnetic force(磁氣力) based on Yun-Ch'i constitution (運氣體質) of every individual's own to control Meridian of Yin-Yang-Zang-Fu(陰陽臟腑), where life force of Zang-Fu(in human body) flows and enhance the function of 5-Zang-6-Fu(五臟六腑). This study has derived a scientific significance from clinical testings on Hanseo-Meridian-Bio-Magnetic Therapy that were underwent in 4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hospitals. Consequently, we can confirm that Yin-Yang Wu-hsing theory and 5-Yun-6-Ch'i theory are scientifically significant. Substituting Ch'i(氣),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of life force in Orient studies, to a magnet or magnetic force, we can explain the fundamentals of it easily. Therefore, this study has obtained the results of medical importance, from applying the Bio-Magnetic(生體磁氣) to every person's own constitution through the Meridian in human body. It presents a possibility of solving all the mysteries of Ch'i(氣) from a new perspective of magnetism. In addition, it proposes an innovative medical system that convert the traditional system focused on diseases into the human-oriented system focused on each patient's own physical constitution.

      • 新羅時代 茶人 硏究

        서태선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will b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correct history of tea culture through carrying out research on tea master during Shilla dynasty. The conclusion will be as follows. The people of Shilla dynasty regarded tea as their favorite and spiritual purification drinks. They also recognized the teas not only cultivation, picking up tea leaves, whole process in making tea, finding the quality water, tea ceremony of the teas but also the effect of both a medicine and spirit after drinking the teas. tea master in the early history of Shilla dynasty, there were Wonkwang and Wonhyo, in the middle history, there were Solchong, Kim Kyo Kak, Choongdam, Jingam, and finally, in the last generation of the history, there was Choi Ji Won. I researched their tea life and the view-point of their tea culture. The tea culture regarding the tea people during Shilla dynasty will be as follows. Wonkwang as tea master in the early history of dynasty strived for studying confucianism but became a believer in Buddhism when he studied in China. Wonkwang led the people of Shilla to conduct their life in Buddhism with showing his spiritual and practical abilities to the people. Wonhyo was a religionist who made a tremendous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Buddhism in Korea and also greatly influenced on the spirit of tea ceremony. Even though he was noble-blooded, he wrote many books based on the thought of equality as a scholar. Ha was a man of thought in Buddhism who made efforts to solve the mental anguish of the people through putting emphasis on practical execution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mass of people. Seolchong as a tea master in the middle history of Shilla dynasty was noble-blooded and his excellent learning and statecraft made him a great scholar. He enjoyed the tea life and made King Shinmoon "Hwawangkye"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King conducting the virtue principles for the people. Judging from that, he, a man of great insight recognized that tea is able to make our spirit clear. Kim Kyo Kak was born as a prince of Shilla dynasty but he abandoned his royal family life while studying in China. Eventually he became a respectable monk copying with a lot of difficulties after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Moreover, he also cultivated and made the Kumji tea he took from Korea while studying in China. The tea was greatly helped him continue to practice asceticism of his religious life. Choongdam hold tea offering in honor of Miruk Buddha of Samhwaryong, Namsan, Kyongju on every Mar 3 and Sep 9. He made tea in honor of King Kyungduk at the 24th year of his tenure and composed "Anminga" at the request of the king. Jingam as one of the ascetic devotees was praised as a Buddhist saint of the orient because he made a lot of efforts to enlighten people in spite of confusion of a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history of Shilla dynasty. According to the monumental inscription, he also planted some tea bushes and enjoyed drinking tea at Mt. Jiri as a part of training. Choi, Chi Won was a profound thinker as well as a scholar during the transition time period of turbulent age in Shilla dynasty. While studying in China, he used to send his parents in Korea letters with teas. It surely means that his family enjoyed tea as a family tradition and it was handed down continuously. Hwarang, representative tea master during Shilla dynasty developed the tea culture as well as devoting to strengthen their body and mind through memorial ceremony while travelling all over the country. Moreover, they could attain their moral sense in harmony of nature during their training. The well of Hansongjung and Sokjijo are still remained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lics of tea by Hwarang. Another tea place is Banwolsung which Choongdam made tea in honor of King Kyungduk. There is Jingamsonsa monumental inscription as the cultural relics of tea by monk and historic monument of Choi, Chi Won is still remained as the cultural relics of tea by confucian scholars. Hereby the cultural relics of tea were developed not only tea affairs and boiling and drinking tea but also unique culture of Shilla dynasty. Considering all the information as I mentioned above, I believe that the tea culture of Shilla dynasty was maintained by nobles, Hwarang, monks, and confucian scholars and moreover, it was developed by the ascetics with Seon spirit and the profound thinkers of Taoism. It is known that the tea master during Shilla dynasty spiritually sublimated themselves through tea while they devoted themselves to learning based on equality. Most of confucian scholars were noble-blooded and focused on a government service and successful career but they became the great men as scholars of the dynasty who were devoted to confucianism and Buddhism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y wrote many books, I believe it was motivated to develop the tea culture and tea was also a means of ascetic practices to them for sure. 본 논문은 신라시대 차인을 조명하여 올바른 차문화역사 정립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 의거하여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라인들은 차를 기호음료와 정신정화 음료로 여겼으며 차의 재배, 채다, 제다, 擇水, 다례 그리고 음다 후의 약효와 정신적인 효과까지 인식하였다. 신라시대 上代의 茶人으로 원광과 원효, 中代의 茶人인 설총, 김교각, 충담, 진감, 후대의 茶人으로 최지원이 있으며 이들의 차생활과 차문화관을 조명하였다. 신라시대 茶人의 차문화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上代 茶人인 원광은 유교 공부에 매진하였으나 중국으로 유학을 가서 불교로 귀의하게 되었다. 원광은 정신적? 실천적 능력으로 신라인들이 불교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원효는 한국불교 사상사에 업적을 남긴 종교가이며 다도 정신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육두품 출신이지만 평등사상으로 학문정진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다. 실천수행을 강조하며 대중을 위한 구원으로 민중의 고통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불교사상가였다. 中代의 茶人으로 설총은 육두품 출신의 귀족으로서 그의 학문과 경륜은 석학의 경지에 이르렀다. 차생활을 하였고 신문왕에게 덕치주의를 위한 <화왕계>를 지었는데 차가 정신을 맑게 하는 음료임을 인식하였으며 차에 대한 고도의 식견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김교각은 신라왕자로 태어났지만 당에 유학함으로 왕족생활을 포기하고 구도자의 길로 출가하여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공경 받는 승려가 되었다. 또한 중국에 갈 때 가지고 간 금지차를 재배하고 제다하면서 차가 종교생활의 수도정진에 많은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충담은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경주 남산 삼화령의 미륵세존에게 茶공양을 올렸으며 경덕왕 24년에는 왕에게 茶를 달여 올리고 王의 요청으로 <안민가>를 지었다. 진감은 신라 하대의 혼란한 정국 속에서도 수행자로서 만민을 위해 교화를 펼침으로서 동방의 보살로서 칭송을 받았다. 또한 수행의 방편으로 지리산에 차를 가꾸고 즐겨 마셨던 차인이었음을 비문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下代의 茶人인 최치원은 전환기적 亂世를 살다간 학자이며 사상가였다. 당나라 유학 중 부모님에게 차와 함께 보낸 편지를 통해 그의 一家는 차생활의 가풍을 이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시대 대표적 차인이었던 화랑들은 전국 각 지역을 다니며 제사의식을 통해 몸과 마음을 경건히 하고 차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자연과 어울려 道의 경지에 오를 수 있었다. 유학자의 경우는 주로 육두품으로 관직과 출세에 한계가 있었으나 자신의 사회적 신분에 얽매이지 않고 내면에 충실하여 유학이나 불교에 심취하여 학자로 신라시대를 빛낸 위인이었다. 또한 학문적으로 많은 저서를 남김으로 차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차가 수행의 방편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화랑의 대표적 차문화유적으로 한송정의 우물, 석지조가 있으며 충담이 경덕왕에게 차를 올렸던 반월성이 있다. 승려의 차문화유적으로는 진감선사비문이 있고 유학자의 차문화유적으로 최치원의 유적비가 남아있다. 이로써 차문화유적은 다사와 차생활의 양상을 볼 수 있는 신라의 독창적문화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신라시대 차문화는 귀족, 화랑, 승려, 유학자들에 의해 차생활이 유지되었으며 선사상을 가진 선인들, 도교의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시대 차인은 평등사상을 중심으로 학문에 정진하면서 차로 인해 정신적으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 合沖刑害破가 四柱分析에 미치는 影響에관한 硏究

        윤훈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Effect of Hab?Choong?Hyung?Hae?Pa on the Analysis of Saju Yun, Hun Geun Major in Oriental Philosophy 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There are several methodologies including Gyukgook, Yongsin, Sinsal, Johu and 12unsung that analyze Saju Palja. No methodology deviates from Yinyang and the Five-elements. Both the 10 Celestial-stems and the 12 Earthly-branches were crea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Yinyang and the Five-elements. The 10 Celestial-stems and the 12 Earthly- branches result in Sangsaeng(compatibility)?Sangkeuk(in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Five-elements. The nature of Yinyang is added to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producing Hab?Choong. The mixture of Hab?Choong result in Hoi?Hyung?Hae?Pa. Accordingly, the functional nature between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and Hoi?Hab?Choong?Hyung?Hae?Pa cannot be ignored in analyzing Saju.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are the absolute function of the Five-elements, whereas Hoi?Hab?Choong?Hyung?Hae?Pa are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Coincidently, Hoi?Hab?Choong?Hyung?Hae?Pa serve the absolute function to analyze Saju Palja and at the same time serve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It means that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can be established or cannot be in the aspect of function. It also mean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judge how much functional Hoi?Hab?Choong?Hyung?Hae?Pa are. Therefore, the function of Hoi?Hab?Choong?Hyung?Hae?Pa is occasionally ignored in analizing Saju. This thesis studies on the effect of Hoi?Hab?Choong?Hyung?Hae?Pa on the analysis of Saju. For this purpose, it studies on the natures of the Five-elements and the Stems-branches and understand the functional features of Hoi?Hab?Choong?Hyung?Hae?Pa by figuring out the function of Saeng?Keuk for the Five-elements and the Stems- branches. It examines each principle of Hoi?Hab?Choong?Hyung?Hae?Pa on the basis of the classical texts of Myungri. It investigates the conditions in which Hoi?Hab?Choong?Hyung?Hae?Pa can generate the functions. The function is related to Hoi?Hab?Choong?Hyung?Hae?Pa, though, it is not unconditionally generated. The condition for activation has to be set up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even though Hoi?Hab?Choong?Hyung?Hae?P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The condition for activation is called ‘motivation’. The ‘motivation’ has to begin in order to generate the function when Hoi?Hab?Choong?Hyung?Hae?P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t is not working without the ‘motiv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interrelation of Hoi?Hab?Choong?Hyung? Hae?Pa.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Hae is produced by the relation between Hoi?Hab?Choong?Hyung?Hae?Pa is given by the mixture of one Hap and another Hap, this thesis proves on the fundamental viewpoint that there is negative thing when Hoi?Hab?Choong?Hyung?Hae?Pa are mixed. This thesis recounts the existing Hyung?Hab theory and remote Hab?remote Choong ones from ‘motivation’ of Hoi?Hab?Choong?Hyung?Hae?Pa, a view of activation. This thesis finally verifies its main opinions with examples of Saju written in the classical texts of Myungri by proving it. keyword: Hoi, Hab, Choong, Hyung, Hae, Pa, Yinyang, the Five-elements. the Celestial-stems, the Earthly-branches. 合沖刑害破가 四柱分析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圓光大學校 東洋學大學院 東洋學科 東洋哲學專攻 尹 焄 根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방법론에는 格局이론 用神이론 神殺이론 調喉이론 十二運星이론 등이 있다. 어떠한 사주분석방법론을 취하더라도 벗어날 수 없는 것이 陰陽五行의 이치이다. 음양오행의 상관관계에서 十天干과 十二地支가 만들어졌다. 10天干?12地支는 오행의 성정에 따라 相生?相剋이라는 작용현상이 일어난다. 이 生剋작용에 음양의 속성이 가미되어 合?沖이라는 작용현상이 발생하고, 合?沖의 혼재로 인하여 會?刑?害?破라는 작용현상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사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生?剋과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적 속성을 무시할 수 없다. 生剋작용이 오행의 절대적 작용개념이라면 合?會?沖?刑?害?破는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다. 공교롭게도 合?會?沖?刑?害?破가 사주팔자를 분석하는데 절대적 분석요소임에도 불구하고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기도 하다.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란 작용적 측면에서 성립될 수도 있고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고, 그만큼 合?會?沖?刑?害?破의 작용력을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까닭으로 合?會?沖?刑?害?破의 작용력이 사주분석에서 무시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이 사주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五行의 성정과 干支의 속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五行干支의 生剋작용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적 속성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合?會?沖?刑?害?破 각각의 작용원리에 대하여 명리고서를 통하여 고찰한다. 그런 연후에 合?會?沖?刑?害?破가 그 작용력을 발동하는 조건에 대하여 알아본다. 비록 合?會?沖?刑?害?破가 그 작용관계에 놓여 있다하더라도 무조건 그 작용력이 發動하는 것이 아니다. 작용관계가 성립된 合?會?沖?刑?害?破라도 그 작용이 발동하기 위해서는 發動條件이 성립되어야 한다. 合?會?沖?刑?害?破가 발동하는 성립조건을 ‘動機附輿’라고 칭한다. 즉 작용관계가 성립된 合?會?沖?刑?害?破는 ‘동기부여’가 되었을 때 비로소 그 작용이 발동하고 ‘동기부여’가 없으면 발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새로이 밝혀보았다. 그리고 合?會?沖?刑?害?破 상호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령 合과 沖의 작용관계에서 害의 작용이 발생하고, 合과 合이 혼재하여 刑과 破의 작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合?會?沖?刑?害?破가 서로 혼재할 경우에 좋지 않다는 것을 원리적 시각에서 증명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刑合이론과 遙合?遙沖이론을 合?會?沖?刑?害?破의 ‘동기부여’라는 발동조건적 측면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논증하는 방법으로 명리고서에 나오는 사주사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를 검증하였다.

      • 新羅時代 茶文化 硏究

        배근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goal of this thesis is not only to illuminate man of tea during Silla dynasty based on it's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to study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based on bibliograph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characteristic of Silla dynasty is that Confucianism was the most popular learning. Tea culture during the dynasty base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played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Buddhism culture and tea itself. As a result of prevalent tea culture, we can infer that many people of different classes such as nobles, monks, or commoners encourage tea tradition. My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ree books: Kewonpilgyoung, Samkuksaki, Samkukyousa. Furthermore, I also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during Silla dynasty. The contents of Kewonpilgyoung included one very famous monk called "Gingamkuksa" and some of Choi Chi-won related to tea culture are as follows. Gingamkuksa as a trainee was respected 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in East Buddhism because he made a lot of efforts to enlight people. Moreover, he planted some tea bushes and enjoyed drinking tea near Mt. Jiri. Choi Chi-Won was scholar and thinker at during transition period. He as a very famous scholar contributed many areas such as literature, philosophy, religion, and politics. Moreover, while studying in China, he sent his parents some tea, which means his family enjoyed drinking tea. Some tea cultures of Seolchong and Kim Kyo-Kak included in Samkuksaki are as follows. Seolchong was a Confucianist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Confucianism in an original way. His learning and philosophy would impress nobles and it would make me infer that he also enjoyed drinking tea at that time. Considering he wrote <Hwawanggae>, he would have many knowledge on tea. Kim Kyo-Kak as a monk who gave up noble life and chose ascetic exercise overcame many difficulties and finally became a respectful monk. He as a tea lover planted a tea called "Keumgi tea" and I can infer that drinking tea was an important part of his spiritual exercise. In this thesis, I also illuminated three influential persons' tea culture included in Samkukyousa. Wonkwang, a monk, played a pivotal role in making Silla people live their life based on Buddhism. Wonhyo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Korean Buddhism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religion and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 ceremony. Despite his limited class, he wrote many books related to equality. Chugdam who boiled down tea for a king made a Korean verse called <Anminga>. This song which reflected on the stability of country and commoners' desires play a pivotal role in governing country. Considering my research, my point is that man of tea during Silla dynasty based on equality kept on their studying and at the same time tea itself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ir spirits. The main stream of tea community during this dynasty were usually Hwarang, monk, or Scholars and they did not concern about their classes. Considering they wrote many book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ea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in Silla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Hwarang in tea culture is the spirit of tea ceremony. Second, the kinds of tea and tea method were that Wonkwang tea, Geumgi Tea. We can infer that they are Korean traditional tea when the two scholars went to Chnia to study. Cheondabub, one of tea methods in Gingamseonsabimun, is Gadabub which means to boil and drink and Geomdabub. Third, tea stuffs were developed based on an original Silla style. Tea stuffs of Hwarang are Sammul of Hansongeog, Seokgijo, Anabgi, and other things. Considering all things in my thesis, tea culture was maintained by noble, Hwarang, monks and it was developed by some philosophers. To be specific, while enjoying tea life, they develop tea spirit based on religion and philosophy. Ascetics introduced tea based on "Seon" spirit and scholars based on ethics established their own tea tradition style. Lastly, other scholars based on Doga completed their spirit based on the harmony with nature. Tea cultrue in Silla dynasty are multi-culture. The real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consists of tradition, modern, and foreign culture. We should develop our own tea culture based on academic theory and it eventually leads to multi-culture. 본 논문은 신라시대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문헌을 통하여 차인을 조명하고 신라시대 차문화를 고찰함으로써 차문화의 역사적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올바른 차문화 정립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라시대는 유학이 발달하여 학술적인 발전을 도모하던 시대였다. 신라시대 차 문화는 유교의 왕도정치, 불교의 호국정신에 입각하여 불교문화를 꽃피우고 승려, 화랑에 의해 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차가 성행하게 되었으며 귀족, 승려, 일반 백성에게도 음다풍습이 생겨나 차문화가 확산되었으리라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신라시대 차인의 생애와 행적에 관하여, 문헌인 『계원필경』(857), 『삼국사기』(1145), 『삼국유사』(1281)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신라시대 차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계원필경』에 수록된 진감국사와 최치원의 차문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진감은 신라 하대의 혼란한 정국 속에서도 수행자로서 만민을 위해 교화를 펼침으로서 동방의 보살로서 칭송을 받았다. 또한 수행의 방편으로 지리산에 차나무를 가꾸고 즐겨 마셨던 차인이었음을 비문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최치원은 전환기적 亂世를 살다간 학자이며 사상가였다. 학구적 노력으로 대성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문학사․사상사․종교사․정치사 등 여러 분야에서 명성과 업적을 남겼다. 뿐만 아니라 당 유학 때 부모님에게 차와 함께 보낸 편지글을 통해 그의 가족이 차 생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삼국사기』에 수록된 설총과 김교각의 차문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설총은 신라시대에 한당유학을 한국적으로 수용하는 데 크게 기여한 유학자였다. 그는 육두품 출신의 귀족으로서 그의 학문과 경륜은 석학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유학자로서 당시 귀족층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차생활을 하였을 것이다. 그는 신문왕에게 덕치주의를 위한 <화왕계>를 지었으며 차가 정신을 맑게 하는 음료임을 인식하였을 정도로 차에 대한 고도의 식견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김교각은 왕족생활을 포기하고 구도자의 길로 출가하여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공경받는 승려가 되었다. 또한 중국에 갈 때 가지고 간 금지차를 재배, 제다하면서 차가 종교생활의 수도정진에 많은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원광, 원효, 충담의 차문화 내용을 고찰하였다. 원광은 보살계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신라인들이 불교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신적․실천적 능력을 갖추게 하였다. 원효는 한국불교 사상사에 업적을 남긴 종교가이며 다도 정신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육두품 출신으로 사회적 제약에 연연하지 않고 평등사상으로 학문 정진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다. 충담은 왕에게 茶를 달여 올리고 왕의 요청으로 <안민가>를 지어 올렸다. <안민가>는 도덕적 정치질서의 확립으로 국가의 안정을 비는 마음과 백성이 고통 받는 삶의 현실을 왕에게 직언하고 이에 대한 치유 방안까지 제시하는 깊은 사려가 담긴 시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신라시대 차인은 평등사상을 중심으로 자신의 신분에 국한하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면서 차로 인해 정신적으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차인들의 신분은 화랑이나 승려, 유학자로 주로 육두품으로 관직과 출세에 한계가 있었을 것이나 자신의 사회적 신분에 얽매이지 않고 내면에 충실하여 유학이나 불교에 심취하여 종교가나 학자로 신라시대를 빛낸 위인이었다. 또한 학문적으로 많은 저서를 남김으로 차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차가 수행의 방편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라시대 차문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의 정신에서 화랑정신과 다도정신은 구도적인 면에서 일맥상통한다.헌다의례를 통하여 다선일여사상을 구축하였고 다사를 통해 정신문화의 맥을 계승하였다. 둘째, 차의 종류 및 음다법에서는 차의 종류로 원광의 원광차, 김교각의 금지차가 있었다. 이는 원광과 김교각이 당에 유학 갈 때 가지고 간 우리의 전통 자생차였으리라 유추할 수 있었다. 음다법에 있어 진감선사비문에 나타난 전다법은 끓여서 마시는 자다법, 유화를 만들어 마시는 점다법으로 즐겨 마셨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도구는 다사와 음다에서 뿐만 아니라 신라의 독창적문화로 발전하였다. 화랑들의 다도구로 한송정의 샘물, 석지조등이 있으며 안압지 사발, 여러 형태의 다도구가 있었다. 이를 보면 신라시대는 귀족, 화랑, 승려들에 의해 차생활이 유지되었으며 선사상을 가진 선인들, 도교의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차 생활을 즐기면서 종교 사상이나 철학으로 차 정신을 확립시켰으며 법도와 체계가 정립되었다. 출가 수행자들은 선사상에 차를 끌어들여 승화시켰으며 유가의 유학자들은 그들의 윤리의식에 차를 유입하여 다례의식을 제정하였다. 또한 도가의 사상가들은 자연과 합일하려는 신선사상에 의하여 풍류의 정신세계를 완성하였다. 신라시대 차문화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차문화는 종합문화였다. 전통문화란 우리 고유의 전통과 현대문화, 그리고 유입되어 토착화된 외래문화를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이다. 우리는 전통과 현대문화과 조화롭게 공존하는 우리 차문화를 학문적 이론으로 뒷받침하여 종합문화로 콘텐츠화 하여 계승․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 花潭의 氣一元論에 대한 硏究

        김정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花潭(1489-1546)은 朱熹와 같은 시대에 태어나 전통적인 존경을 받으며, 주희와는 다른 그 자신만의 새롭고 독특한 氣一元論을 발전시켰다. 한국 기철학사에 있어서 그의 기일원론은 栗谷·鹿門·惠崙에 의해서 이어지게 되었다. 그의 철학적인 관심은 자연현상의 변화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하여 『대학』.『周易』.『中庸』으로부터 그 기반을 두었으며, 그는 북송의 철학자인 張載와 周敦□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서 그의 독특한 이론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그에 따르면 모든 창조물틀의 삶과 죽음은 기의 聚散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그는 이 기를 先天氣와 後天氣로 나누어 보고 있다. 같은 방식으로, 그는 형이상적 형이하적 세계를 구성하는 유일 존재로서의 기를 고려하였다, 화담의 철학은 성리학의 영역내에 있는 理氣論의 개념과 논리이지만 이것의 실재 의미는 도교의 사상과 근접한 것이다. 그의 理의 개념은 理氣 二元論으로서의 선험적인 섭리를 의미하지 않으며, 기 속에 내재하고 있는 원리인 動靜聚散의 원리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理는 氣밖에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의 기일원론은 그 자신의 사상인 物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의 기는 선천기와 후천기로 나뉘는데, 그의 物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것과 영원한 존재로서의 원리로 나뉘어 진다. 다시말하면 스피노자의 所産的 自然과 能産的 自然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철학은 새로운 철학의 문제와 철학적인 전망의 확대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그와 동시대인 주희 철학의 영향아래에서 커다란 기여를하였다. 그리고 이는 한국 성리학을 관통하는 퇴계와 율곡의 이론상의 구조의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녹문·혜강·수운에 이르기 까지 각각 형이상학, 과학, 종교적인 특성을 가진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마침내 이러한 장에서 기일원론의 성대한 발전을 양산하였던 것이다. Hwa-Dam(1489-1546), born in the age when chu hsi(朱熹)'s philosophy was regarded as orthodox, disagreed with chu hsi and developed his own new and unique theory of the Qi-Monism(氣一原論). As the beginning of the korean Qi-philosophy, his theory of Qi-Monism was handed down to Yul-gok栗谷), Nok-mun(鹿門) and Hye-gang (惠崗). His philosophical concern started from the wonder of changes of natural phenomena, and on the basis upon the books such as "Great Learning"(『大學』), "Book of Changes "(『周易』) and "Doctrine of Mean"(『中庸』), he critically accepted the thoughts of Northern Sung(北宋)'s philosophers like Chang Tasi(張載) and Chou Tun-yi(周敦□) so that he introduced his unique theory. According to him, the life and death of all the creations depends upon Qi's gathering and scattering (聚散). He divides this Qi into Qi of Heaven apriori(先天氣) and Qi of Heaven aposteriori(後天氣). In this manner, he does considered Qi as the only being of which products both the metaphysical and the physical world. Hwa-dam's philosophy, in its concept and logic, seems to be in the sphere of Li-Qi theory(理氣論) of the Neo-Confucianism, but its real meaning is close to the thought of taoism. His concept of Li(論) does not mean the transcendental providence as in the dualistic Li- Qi theory, but the principle immannent in the Qi, which moves and stays, gathers and scatters(動靜聚散) with that principle. Therefore his Li cannot exist without Qi. His Qi-Monism philosophy is made on the basis of his own contempaltion of Thingness(物). As his Qi is divided into Qi of Heaven apriori and Qi of Heaven aposteriori, so his Thingness is divided into the concrete and physical thing and the eternally existing thing as principle, namely Natura naturata and Natura naturans in Spinoza. His philosophy, by introducing new philosophical issues and widening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contributed greatly to his contemporary academ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Chou Hsi's philosophy. And it did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Neo- Confucianism by being peneterated into the theoretical system of Toe-gye(退溪) and Yul-gok(栗谷), but also influenced on the philosophy of Nok-mun(鹿門), Hye-gang (惠崗) and Su-wun(水雲) respectively in the metaphysical, scientific and religeous characters. Finally it had brought to flourishing of the Qi-Monism on this land.

      • 비이원론적 베단따(Advaita Vedānta) 철학에서 지식의 주요 수단들 : 우빠데샤사하스리(Upadesasahasri)를 중심으로

        박형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major means of knowledge in Advaita Ved?nta philosophy - With reference to Upade?as?hasr? - Park Hyung Ja Major in Yoga Department of yoga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Like all major schools in Indian philosophies, Advaita Ved?nta(hereaft er AV) has the aim of providing practical means for the attainment of liberation which from suffering the bondage of sams?ra, the cycle of birth and rebirth. Liberation means the supreme values and the ultimate goal in life to the Indians. They have a quest for the achieving liberation during their lives. If liberation be the supreme ideal, what means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AV, the individual soul is actually none other than Brahman, the ultimate Reality, so we should know that we’re the accomplished. ?a?kara, a famous AV philosopher insists that knowledge alone yields liberation, so he denies Purvamim?nsakas’view, which they can obtain based on injunction to perform particular rituals. He emphasis the true knowledge of brahman and provides the three major knowledge means for accomplishing liberation through his work, Upade?as?hasr?. First of all, he required four pre-requisites or necessary qualifications for the right knowledge to his disciples before his learning of AV. It is stated that though he requested qualifications, but it can’t be the immediate knowledge for the liberation, it just produce preliminary for the right knowledge. And then he represents major means of knowledge that produce the identification between Brahman and individual soul. The first of three ones is the three fold process of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rava?a manana, nididhy?sana). It is traditionally acknowledged that the three means of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are central means which is set out for liberation in AV. In other words, if one listen to the teachings concerning about Brahman, liberation can occurred simultaneously without interruption. Even though in the later AV there aries a controversial which listening is not enough for liberation, so meditation-centered should be emphasized, but the three means can serve the superior accomplishing means for liberation in AV. And the second knowledge means is the method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anvayavyatireka). The method of it is employed to know the meaning of the word like tvam(you) in the mah?v?kya for understanding the whole sentence. Because the meaning of tat(that) is already revealed, Brahman. If the discontinuity exists between you and that, it have to eliminate and if the continuity exists between you and that, it should continue. Finally, the meaning of you and that is the same one, param?tman. The third of ones is the teaching method of guru. It is awkward that it can be the major means of knowledge, but it sufficiently can serve to produce the right knowledge. Because the role of the spiritual teacher gets rid of darkness of disciples inside and imparts knowledge for liberation through many kinds of teaching methods. Finally anubhava is a very significant fact for liberation in AV. Actually, Brahman, the Absolute Reality and non-duality is not within the purview of any Pram??as like perception, inference whatsoever. If it is used as the immediate perception about supersensible ?tman,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only means for the attainment of liberation. Because it can gain the knowledge about Brahman directly and instantly. Therefore it is only independent means of knowledge for liberation, even though every major means of knowledge are very important. So above mentioned knowledge means are necessary for liberation, and they are also a clue to the happiness from suffering the bondage of rebirth. 비이원론적 베단따 철학에서 지식의 주요 수단들 - 우빠데샤사하스리를 중심으로 - 박 형 자 요가학과 요가학 전공 원광대학교 동양학 대학원 대부분의 인도철학 학파들처럼 아드바이따 베단따(Advaita Ved?nta, 이하 ‘베단따’로 부름) 학파 역시 인간의 고통과 속박으로부터 해방하려는 해탈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해탈이란 인도인에게 주어진 인생 목표 중 가장 마지막이자 최고의 인생 가치로 여길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삶의 목표이다. 만약 해탈이 그렇게 중요하면서도 최고의 인생목표라면 해탈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어떤 성취수단들이 존재하는 것일까? 베단따 철학에서 주장하는 방법은 먼저 인간의 실존은 윤회로 인해 고통 받는 제한적이고 유한한 개별적 영혼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는 이미 해탈한 존재로서 우주의 궁극적 실재인 브라흐만과 동일한 아뜨만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이미 해탈한 존재로 인식하기만 하면 된다. 유명한 베단따 철학자인 상까라는 해탈은 오직 지식으로만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해탈을 행위의 결과로 보고 오직 의례의 실천으로 내세에서 행복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뿌루바 미망사 학파((P?rva M?m??s?)의 주장을 전면 부인한다. 상까라는 브라흐만을 아는 참된 지식만을 강조하며 자신의 저서인『우빠데샤사하스리』를 통하여 3가지 주요 지식수단들을 제시한다. 먼저 그는 베단따의 가르침을 설하기 전에 올바른 지식을 익히기 위해서는 제자의 자격요건이 필요함을 주장함으로써 예비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상까라가 주장하는 제자의 자격요건이 올바른 지식을 익히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지식의 직접수단이 될 수는 없다. 그 다음으로 상까라는 ‘듣고 숙고하고 명상하기’라는 3수단과 ‘연속과 불연속의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승의 가르침의 기법 등을 지식을 낳는 3가지 주요 성취수단들로 제시한다. 그 첫 번째는 베단따의 전통적인 성취수단인 ‘듣기 숙고하기 명상하기’이다. 듣기수행이란 브라흐만에 대해서 듣기만 해도 곧바로 직접적 지식이 발생한다. 그러나 후대 베단따에 이르러서는 듣기만으로는 부족하여 명상하기를 강조해야 한다는 논쟁점들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3수단은 베단따 철학의 고유한 수행체계로서 자신의 실존이(개아이지만) 아뜨만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식수단으로 공헌한다. 두 번째의 방법은 ‘연속과 불연속’의 방법으로 베단따의 대문구의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 ‘너(tvam)’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그것의 의미는 Brahman으로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것’과 ‘너’ 사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것은 연속시키고 공통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은 불연속시킴으로써 ‘그것’과 ‘너’의 의미는 동일하게 아뜨만이라는 것이 증명된다. 세 번째의 방법은 스승의 가르침의 기법들이다. 물론 이 방법을 지식의 성취수단으로 보는 것은 무리한 주장일 수 있다. 하지만 스승의 역할이 여러 가지 가르침의 기법들을 통하여 제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어둠을 제거하며 또한 해탈에 필요한 가르침들을 부여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스승이 가르치는 기법들이 올바른 지식을 낳는 지식수단으로 간주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해탈에 필요한 직접지식은 아누바와(anubhava)이다. 직접지각이나 추론같은 Pram??as(인식수단)로는 절대이며 비이원인 브라흐만을 지각할 수 없으므로 브라흐만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지식수단으로 상정될 수 있는 것은 직접지식뿐이다. 또한 직접지식은 초감각적인 대상인 아뜨만에 대한 직접적 지각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한, 브라흐만에 관한 직접지식을 얻기 때문에 해탈의 직접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지식수단이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직접지식(anubhava)만이 해탈의 직접수단이라는 것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제시한 주요 지식수단들이야말로 해탈에 꼭 필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인간이 윤회의 고통에서 해방되어 영원한 지복을 누릴 수 있는 해답임이 입증되는 것이다.

      • 交通事故 日辰의 命理學的 分析 : 自動車事故 實例調査를 中心으로

        박효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등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늘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옛날에는 천재지변이 사고의 주원인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사고는 줄어들고 문명의 이기인 교통수단으로 인한 사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도로교통인 '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 가 그러하다. 우리나라는 매년 연 평균 약 25만여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1만여명이 사망하고 35만여명이 교통사고로 인해 부상당하고 있다. 또한, 부상자중 10~12%에 해당하는 약 4~5만명이 장애자로 전락됨은 물론, 연간 GDP의 2.64%에 해당하는 11조1천억원(1997년도)의 막대한 국가사회 비용이 손실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현재 미국, 일본, 독일 등과 우리나라도 대학에 연구소를 설치하여 도로공학, 자동차공학, 법학 등의 다각적인 각도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통사고의 원인분석과 대책, 교통정책의 입안, 교육, 홍보 등의 노력을 하고있다. 그러나 교통사고는 인간을 그 대상으로 하고있기 때문에, 공학이나 법학뿐이 아니라 동양학에서도 실용과학적 측면이 강한 음양오행론을 근간으로 하는 명리학적 접근을 통하여서 교통사고의 원인분석과 그 대책을 연구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보면, 평생 무사고운전인 사람이 있고, 교통사고를 자주 일으키는 운전자도 있으며, 운전을 하지않아도 사고를 당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같은 사고상황 일지라도, 누구는 사망하고 누구는 무사한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처럼 불시에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이 나타나는 교통사고에 대해서, 그 원인을 당사자의 고의·과실·부주의나 자동차의 결함 또는 도로여건의 미비로만 규정해서는 그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 인간의 삶에는 자신의 의지대로 이루어지는 일이 있고, 자신의 의지와는 전혀 무관하게 전개되는 일이 있다 교통사고도 운전자나 보행자의 잘못이나 고의적사고를 제외하고는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일어나는 불의의 사건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것을 명쾌히 규명할 이론을 내세우기는 실로 어렵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불의의 교통사고에 대하여 사주 명리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서는 실제 '교통사고 사례' 를 조사하여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 실례와 일진을 사주명리 이론으로 분석하여' 교통사고와 명리의 관련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그 결과로서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교통사고 일진과 확률도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니, 명리학적인 원인분석과 함께 불의의 '교통사고'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한가지 대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 음양오행론의 사주명리학에 관한 선학들의 연구에서는 재난이나 사고, 특히 교통사고에 관한 연구발표는 볼 수 없었다. 사주명리학이 이른바 제도권의 학문으로 정착되기 어려줬던 점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통사고의 실례를 수집, 조사하여 교통사고와 사주명리의 상관관계를 밝혀 보고자하는 노력이다. 따라서 연구방법과 그 내용은, 조사된 실례를 바탕으로 하여 첫째로, 연구대상자의 사주와 사고일진의 상관성을 명리 이론으로 집중 분석하며, 둘째로, 대형사고 일진의 특성을 분석하고, 셋째로, 사고일진의 기후영향 관계를 분석하며, 넷째로, 신살론의 길신론에 의한 사고경감을 분석하기로 한다. 실례조사를 통한 연구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 명리이론에서 보는 각종사고, 건강, 교통사고 등을 오행의 상극관계로만 설명하는 것은 불완전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상극과 상충에 의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지나친 상생 및 과강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고, 또한 대부분 사망사고이거나 중상사고인 대형사고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사망자 및 중상자의 사주와 사고일진을 분석해 보았더니, 의외로 상극보다는 상생작용이 약6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Throughout time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been in danger of accidents all the time. Once upon a time, accidents came mostly from natural disasters. At present however this types of natural disasters are rare. Despite its convenience, modern transportation is a major cause of accidents. In particular, many accidents are caused by automobiles, the most common forms of transportation. On the average, twenty five million accidents occur resulting in one million people losing their lives, and thirty five million people getting injured every year. Additionally four to five million people, which is ten to twelve percent of the injured become handicapped by accidents, resulting in a great loss to the country, of 11 trillion and one hundred billion or 2.64 percent of the annual GDP. Although people try to control their lives so that things happen on purpose, sometimes things occur accidentally beyond their control. Most car accidents are beyond one's control unless they are caused by their own driving mistakes. Moreover there are no such reasonable theories accounting for these kinds of accidents. Therefore, this paper institutes an approach of Saju / Myung-ri perspective to account for unexpected accidents. And Saju / Myung-ri perspective analysis of instances on the accident day. The research gives us statistical figures about the accident day and possibilities that can happen in accidents so that we can not only have an analysis of Myung-ri perspectives but also take a counter measure against unexpected accidents in a preventative way. There is no such existing research on a disaster of accident. Especially car accident, until now. For this reason Saju / Myung-ri perspectives have been overlooked and have not been considered as a decent science. U.S., Japan, Germany, and Korea established 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to approach diversified knowledge like road engineering, autombile engineering and law. This enables not only the analysis of cause and a countermeasure of car accidents but also the drafting of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for traffic policy. The approach of Myung-ri theory, which is the basis of Yin and Yang five elements theory emphasizing the practical science as well as engineering and law, needs to research and analyz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car accidents. Such an analysis is necessary because the subjects of car accidents are human who are highly complex organic life forms. There are so many types of common car accidents and there are so many drivers who have never experienced accidents. Some people have experienced accidents as non-dirves. Also, some people are killed in accidents, when others in the same accident are not. Car accidents can happen because of various and complicated things, such as owner's intention, mistakes, carelessness, defective cars or imperfection of the road. It is for this reason that research can help us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 between car accidents and Saju / Myung-ri theory by studying the actual car accidents. Therefore, A method of study and that contents are on the basis of inspected actual examples. First, we analyze interrelations between the Saju of research subject with the Myung-ri theory and accidents. Secondly, we analyze the special features of terrible accidents. Thirdly, we analyze interrelations between accidents and weather. Fourthly, we analyze accident features with Gil-Sin theory of Sin- Sal theory. We can reach a conclusion from the real cases below. Its somewhat problematic to explain Myung-ri theory, which deals with various kinds of accidents, health and car accidents, only with the natural repugnance of the five elements. Generally, many accidents happen due to conflict and natural repugnance. Car accidents happen due to excessive mutual aid or overwork, and most of the accidents are large, leading to serious injury or death. Otherwis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eath or severely wounded peoples day fortune, about sixty percent of accidents occur due to mutual aid, rather than natural repugnance.

      • 葛洪의 神仙思想과 道觀念에 관한 硏究

        권기덕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은 갈홍의 󰡔抱朴子․內篇󰡕에 나타나는 道의 관념과 神仙思想에 어떤 연관성이 존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도의 관념은 초기 신선도교의 형이상학적 본체론을 말한다. 이를 통해 갈홍이 그의 도 관념을 토대로 자신의 신선사상을 정당화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갈홍은 魏晋시기 神仙道敎의 체계를 세운 저명한 도교철학자이다. 그의 대표 저작이라 할 수 있는 󰡔抱朴子󰡕가운데 「內篇」은 신선도교의 기본 관점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갈홍은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玄” “道” “一”의 개념을 끌어들이고 있었던 것이다. 갈홍은 이 세 가지 개념을 천지만물의 본원본체, 즉 우주만물의 시초이자 천지만물의 근원으로 설정함으로써, 자연관 체계의 가장 근본이 되는 범주를 여겼을 뿐 아니라 󰡔포박자․내편󰡕체계의 이론적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 가운데 ‘현’과 ‘도’는 어느 정도 현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갈홍의 ‘도’는 인류사회에 대한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즉 인생과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자연계의 근원일 뿐 아니라 사회와 인륜의 총 규율로 자리 잡는다. 이와 달리, ‘일’은 신선방술적인 의미를 더하여 신선도교 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 세 가지 개념사이에는 어느 정도 이론적 차별성이 존재한다. 우선 자연의 시조이자 만물의 근원으로서의 ‘현’의 의미는 ‘도’에 충분히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도’에는 인륜 사회의 근원과 모든 학파의 종주로서의 의미까지 담고 있다. 이러한 두 개념의 함의를 ‘일’은 어느 정도 공유하지만, 신선도교의 체계를 온전히 세우기 위하여 갈홍의 ‘일’은 다분히 신비화 방술화의 과정을 거쳐 결국 하나의 전지전능한 정신실체이자 대우주를 주재하는 신의 단계로까지 비약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갈홍의 󰡔포박자󰡕와 󰡔神仙傳󰡕에 담긴 신선사상을 통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적 세계는 바로 선계이며 이를 지상에서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道의 관념을 제시하면서 그 구체적인 방법을 鍊丹術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갈홍의 도관념은 이후 많은 양생가들에게 이론과 수행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현재까지도 신선도교를 정초한 인물로 평가받는 것을 보았을 때 갈홍이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