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의 경험학습 과정 탐색 : 근거이론 방법

        정서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원 고령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경험 활용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는 대학원 학습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두 번째는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한 경험학습 과정은 어떠한가? 세 번째는 준고령 학습자들은 대학원 학습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이러한 질문들 탐색하는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근거이론을 선택하였고 이를 위해 55세 이상의 나이에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수학한 경험이 있는 5명을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하였다.이 자료들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자료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167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 고령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경험 활용과정에 있어 중심 현상은 ‘자아와의 조우’이다. 참여자들은 대학원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반응하면서 의미 있으나 어려운 과업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과업을 과거의 경험을 활용하고 반추하면서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끊임 없이 스스로와의 대화를 시도하며,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경험은 학습 과정에서 짐임과 동시에 힘이다. 그들은 경험을 구체적으로 활용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험과 학업, 미래를 통합하면서 학습과정을 진행해 간다. 그 결과 심리적 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자아를 재구성하면서 새로운 환경을 구성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pre-older adult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how do pre-older adults feel about the learning proces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Second, how do pre-older adult learners use their former experi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Third, what is the effect from learning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the interview,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sele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s with fiv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courses of graduate school from age 50’s to 60’s. Pre-older adults use their experi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in a variety of ways. The experiences that they have accumulated for their whole lives serve as the driving force and hurdles simultaneously. Successful experiences contribute to self confidence but consecutives failures bring about negative self-prophesy and eventually academic abandonment. In this program, learners meet themselves in the process. Self encounter i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experiential learning of pre-older adult learners. In spite of the suffering in learning process, learners create a new defense mechanism and produce a new view of themselves through reflection on life. As learners mature, they envision a new future and a new environment, and they challenge themselves. Therefore, the driving force of the pre-older adults in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can be identified as ‘a future-oriented self-reflection’. Pre-older adult groups who are seek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In this situation, it is urgent to understand and illuminate their learning, so that we can find the methods to meet their needs. In conclusion, these step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experiences, growth and maturity of human beings.

      •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병행 대학원생이 학업과 직장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S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인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특수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6부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두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LSD사후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인구통계학적배경 변인에 따른 학습참여동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인구통계학적배경 변인에 따른 학습참여동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중 교육만족도의 변인인 교육과정에 대해서 활동지향형동기와 학습지향형동기가 목표지향형동기가 모두 교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그 중 활동지향형동기가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다양한 개인적 배경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학습참여동기는 결혼상태, 월 소득, 대학원 생활 만족여부, 대학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만족도는 개인의 연령, 결혼상태, 전공과정, 대학원 생활 만족여부, 대학원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다양한 개인적 배경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대학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발전과 지원이 필요하며, 원활한 학습참여를 지속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기 어렵다는 인식에 대해서 다양한 방면으로 인식개선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교육만족도는 개인의 연령, 결혼상태, 전공과정, 대학원 생활 만족여부, 대학원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원활한 학습참여와 교육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직장병행 대학원생에 대한 인식개선에 다양한 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es for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For the analysis, three agendas will be discussed about. First, how do the motives for studying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show differentl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factors? Secondly, how does education satisfaction of such students show differentl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factors? Lastly, how does the former – the motives – affect the latter – satisfaction? Surveys were carried out subjected to students at S University graduate school at Seoul, including the general, educational, and special schools, and the total of 206 survey sheets were studied in this paper. As for the analysis, SPSS 18.0 was used in order to proceed the following: technological statistic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LSD post-hoc compari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for studying turned out differentl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factors. Secondly, the motives for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the changing factors of the latter, three of them, namely the pro-activity motives, pro-learning motives, and the pro-objective motives, showe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it, of which the first showed to have the largest influence. Consequently, the motives for studying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found out to differ meaningfully upon: th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how satisfactory is the school thought of, and the types of the school. Moreover, education satisfaction was found out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age, marital status, major, how satisfactory is the school thought of, and the types of the school. To sum up, what is necessary are: supports to enhance the graduate schools, in such way as to account for the various background circumstances and demand of the in-work students; promotion of programs to continue their smooth enrollment in studying. Furthermore, changes are needed in the stereotypes as to how it is difficult to work and study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supports in various areas are needed so as to shift the stereotypes on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atalyze strengthening smooth enrollment to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m.

      •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 탐색

        이미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퇴직 후 중년남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위기는 무엇인가? 둘째,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이러한 질문을 탐색하기 위하여 근거 이론에 기초하여 50∼59세의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고 대학원 석·박사과정 중에 있거나 졸업한 7명의 중년남성 참여자를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과 메모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남성은 평소 퇴직에 대한 인식이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개인보다 조직의 성과가 우선되는 문화의 특성상 현실적으로 퇴직 후에 대한 준비를 할 여건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 예기치 못한 채 퇴직에 직면하면서 감당할 수 없는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였다. 바라봄과 깨달음의 시간을 통해 중심현상 ‘자기재생에 대한 갈망과 도전’으로 새로운 삶을 찾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끝에 대학원 학위과정을 선택하였다. 대학원 학습과정에서 고령자를 받아 줄 것인가에 대한 회의감, 경제적 어려움과 타인의 부정적 인식과 같은 학습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부딪히기도 하지만 대학원 학습만이 살 길이라 자각하며 ‘사회와의 연결고리를 만들기 위한 자기재생의 노력’을 전개하였다. 가장으로서의 경제적 책임감이 학습을 뒤로 미룰 수 없는 절실함으로 작용하였으며, 함께하는 동료들의 지지가 학습을 지속하는 힘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중년남성은 학습을 통하여 고립되지 않고 사회와 소통하며 정신적으로 치유되어 정상화에 도달하였으며, 대학원 학습경험이 미래의 가치 있는 자원으로서 물리적 보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자기확신을 다짐하였다. 또한 외적 동기로 시작한 학습이 내적 성장의 경험을 통하여 학습의 본질을 깨닫게 하며 배움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게 하였다. 셋째,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남성은 자기재생을 향한 갈망으로 선택한 대학원 학습을 통하여 셀프리더십을 개발하였다. 셀프리더십은 ‘자기통제와 자기관리를 토대로 자신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리더십’으로 정의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셀프리더십이 어떻게 발현되어 개발되었는지에 관한 이론 모형을 도출하였다. 셀프리더십 개발 모형은 심리적 위기에 맞닥뜨리게 되는 ‘위기’에서 바라봄과 깨달음의 ‘성찰’을 통한 자기재생을 향한 갈망으로 대학원 학위과정에 ‘도전’하면서 ‘자기확신’을 다짐하며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는 ‘자기확산’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대학원 학습을 통해 드러나는 셀프리더십의 특징은 제2의 인생을 위한 비전을 설정하고 스스로에게 담금질하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기통제와 자기관리를 하며 목표를 향해 정진하는 것이다. 학습과정에서 장애요인에 집착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설정한 목표를 향하여 기회요인을 찾는 긍정적 자기암시를 통해 신념을 다짐하며, 배움과 확장으로 인한 자기확신을 가진 자신의 성장모습이 미래의 리더상으로 비치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셀프리더십의 개발은 외적인 과정이 아니라 내적인 과정으로서 자기확신을 통해 자기확산을 가능하게 하여 개인의 역량을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사회를 향한 실천적 의미로서 중년기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내적 성장과 물질적 보상에 대한 가능성을 가져와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midlife men’s self-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 at graduate school while encountering psychological crisis after retirement. In connection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irst, what is midlife men’s psychological condition after retirement?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 at graduate school? Third, how is self-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 through graduate school demonstrated?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dopted a grounded theory and chose seven middle aged men from fifty to fifty-nine, all of whom are doing or already completed graduate school while encountering psychological anxiety after retirement with theoretical sampling.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memos, and was analyzed us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research finding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midlife men experienced psychological anxiety after retirement was that they had only superficial and abstract perception about retirement and difficult circumstances to which prepare for retirement due to social conditions. Through reflection and realizing their inner values, they determined to take a graduate course in hopes of ‘self-renewal’ that would aid transition into their new life. They could confront several impediments, including financial burdens, negative perspectives from surroundings and skepticism toward acceptance to society due to their age. However, they eventually came to realize that graduate studies were the last string to perform self-renewal that created reciprocal bonds between society and themselves. Their inevitable desperation to continuously support their families financially motivated them to persist in graduate school, and companions who collaborated with them provided a synergy effect to perform their further studying. Second,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chool, midlife men were not isolated from society and they rather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interactions. This led them to recover from mental chaos, and ultimately assured them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d was an invaluable resource that contributes to material rewards. Furthermore, midlife men’s studying that started from external motives let them realize the quintessence of learning through internal growth and created strong appetite for learning. Third, midlife men experiencing psychological crisis after retirement developed self-leadership through graduate studies that were motivated by desired for self-renewal. Self-leadership is defined as leadership that influences themselves based on self-control and self-management. Through answering sub-questions, theory relating how self-leadership emerged and the model for developing self-leadership were constructed. Model about self-leadership development was substantiated to be a process of ‘self-defocusing’ from ‘self-assurance’ when midlife men ‘challenge’ themselves by starting graduate school they are yearning for self-renewal through ‘reflection’. A major characteristic of self-leadership accomplished through graduate school was that midlife men could devote themselves to ultimate goals for their second life. Midlife men set their final goal, pledge their beliefs through self-suggestion to achieve performance enhancement. They discover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hat support their internalizing process, and hope to be seen as epitomes of future leaders. This study showed that self-leadership development was internal process not external process, and enables individuals to extend their competence through self-defocusing from self-assurance. In addi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rning society, this study affirmed that midlife men’s learning experience generated inner growth, and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material rewards, which, in turn, was conducive to elevating general quality of their lives.

      •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explore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arning process in acculturation process in Korea’s graduate schools and understand deeply the meaning of nature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 Therefore,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purpose was set up: what is the meaning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acculturation process at Korea’s graduate schools? To solve this research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how are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shown and interpreted in their acculturation proces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nature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s shown and interpreted in acculturation process? To obtain in-depth understandings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their acculturation proces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osen using purposive target sampling and then were inter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carried out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bracketing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research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pplying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bracketing, reflective thinking and free imaginative variation of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more detail, 723 meaning units and then 101 core themes of meaning units interpreted and measured by appropriating his clarification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were extracted from collected research data. Then research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changed into academic terms my free imaginative variation. They were integrated into a whole and arranged as a whole through a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and the general meaning structure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and then were described with a delineation of the step-wise procedures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coming into existence. In more detail,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was extracted, and described to understand individual experience from research subjects’ points of views. Then the general meaning structure that had been generalized from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into collective experience by working through a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 was extracted and described by appropriating the eidetic method of descriptively studying research participants’ phenomenon that was shown and interpreted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6 key constituents and 26 subordinate constitu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meaning structure were drawn and analyzed. The 6 core constitu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meaning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otivation: the desire for growth; second, extrinsic motivation: the footstep for growth; third,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master’s course: the continuity of hardships and the continuous knowing; fourth, acculturational experiences in the general life at graduate schools: the improvement of knowing; fifth, the growth of self: the achievement of learning; sixth, the maturity of self seeking ‘the meaning’: the continuity for learning. Research participants issued the new challenge of mobility to Korea’s graduate school after the university graduation and then had unique, specific experiences in acculturation process at Korea’s graduate schools through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Koreans like professors, other graduate students etc. I could find out that, with their strong-willed minds, they are expanding and integrating their knowing and learning from learning experience by applying them to their daily lives in acculturation process. While this research analysis was being performed for finding out and describing the meaning of nature in step-wise acculturation process, I could capture the meaningful learning process in each core constituent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process and then understand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it. Also the step-wise changing and growing, unique self could be understood through it. ‘The meaningful step-wise process for learning’ and ‘the self-changing and self-growing self’ inside each constituent was found out, interpreted and described. This could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as the process that the self is moving forward to ‘the mature self’ that wants to continue learning, while being changed and grown from to the desire for growth, to the footstep for growth, to the continuity of hardships and the continuous knowing, to the improvement of knowing, to the achievement of learning, and to the continuity for learning in each core constituents of the acculturational process. Also, the meaning of nature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given to research participants’ present and future lives was drawn, interpreted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learning’ from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acculturational process was repeated, circulated, internalized and interioriz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master’s course. Consequently, Chinese research participants’ meaning of nature of learning experience in acculturation process that was found out and deduc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the continuous passion for learning and self-empowerment’, which implies the future-oriented attitudes and values of their lives, not giving up ‘the continuity of learning’ and moving forward to ‘the mature self’ during the mater’s course at Korea’s graduate schools and for the later lives. The implications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can inform the basic data by helping understand deeply on the unique phenomenon that was found out though learning experience in Chinese graduate students’ acculturation process. Second,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xpanding a academic prospect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of both higher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offering the basic data o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learning experience and widening the deep understanding on their master’s course. Thir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to put is to offer help in order to expand wider understanding that how Chinese graduate students will lead their future lives as adult learners and how their lifelong education will open up their life’s prospect, based on learning experience at Korea’s graduate schools. Fourth, this research can offer th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much more potential foreign students have the positive perspectives on acculturation and challenge the opportunities of academic growth at Korea’s graduate schools. The implications in a prac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can help to contribute to rearranging programs and systems performed by national universities for Chinese graduate students’ acculturation and academic adjustment. Second, the research results can inform the basic data for exercising public relations and government policies target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Third, the findings have the meaning of helping to make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turning points of their future life so as to create foundation of cooperation and formation of human capital with Korean specialists concerning their majors through their life and learning experience in Korea.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그 학습경험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와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의 학습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으로 7명을 선정하였고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Giorgi의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Giorgi의 판단중지와 환원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에 대한 진술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그 연구 자료로부터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 관점에서 파악된, 총 723개의 개별적 경험의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그 의미단위들을 연구자의 상상과 자유변경의 방법으로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였다. 그 학문적 용어로 전환된 의미단위들을 중심주제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합하는 구조화 단계를 거쳐 101개의 주요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로부터 구조화 단계를 거쳐 개별적 경험을 공통된 경험으로 일반화시킨 일반적 의미구조인 26개의 경험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핵심구성요소를 구조화 단계를 거쳐 도출하였다. 이를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구조로 제시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일반적 구조의 6개의 핵심구성요소는 1) 한국 유학의 내재적 동기 : ‘성장의 욕구’ 2) 한국 유학의 외재적 동기 : ‘성장의 발판’ 3) 한국 대학원의 삶 : ‘어려움 연속과 배움의 계속’ 4) 사회문화적응의 삶 : ‘적응 및 배움의 증진’ 5) 자아의 성장 : ‘배움의 성취’ 6) ‘의미’를 찾기 위한 자아의 성숙 : ‘배움의 지속’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후 한국 유학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석사과정에서 한국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통해 사회문화적응의 과정에서 가지는 고유하고 독특한 학습경험을 하였다. 그 학습경험을 통하여 습득한 ‘배움’을 사회문화적응의 삶 속으로 확장시키고, 자신의 삶의 의지와 통합시켜 나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사회문화적응의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6개의 핵심구성요소의 각 단계에서 의미 있는 ‘배움의 과정’을 포착하여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그 배움의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되어 가고 성장하여가는 자아’를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그 자아는 각각의 핵심구성요소 안에서 ‘성장의 욕구’, ‘성장의 발판’, ‘어려움 연속과 배움의 계속’, ‘배움의 증진’, ‘배움의 성취’, ‘배움의 지속’으로 변화되어 가고, 성장하여 가면서 배움을 지속하고자 하는 ‘성숙된 자아’로 향하여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자아는 학습경험의 의미를 찾아가는 자아의 형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학 기간 동안 그 배움의 과정이 반복되고, 순환되어 내면화되고, 내재화되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의 석사 과정 전체의 기간 동안에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경험의 본질은 ‘지속적인 학습열정과 셀프임파워먼트’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속적인 ‘성숙된 자아’를 위하여 ‘배움의 지속’을 포기하지 않는, 미래 지향적인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가지게 하는 본질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학습경험과 그 현상에 대하여 심도 깊은 이해를 돕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석사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더하고, 학습경험에 대한 실존적 현상학적인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인 대학원생을 포함한 국내의 외국인 대학원생에 대한 고등교육과 성인교육 분야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이 한국 유학을 통해 성인학습자로서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평생학습의 삶의 지평을 열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지의 과정에 대해 이해를 확장시켜 준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넷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을 포함한 국내 유학생의 사회문화적응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확장하게 하고, 더 많은 유학생이 한국 대학원으로의 도전과 학문적 성장의 기회를 가지도록 기초 자료의 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는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및 학업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제도의 점검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와 교육부의 국내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대학원생 유치 및 관리의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대학원의 삶을 통해서 국제 인적 자본 생성 및 국제 협력의 토대를 만들 수 있는 삶의 전환점을 가지게 되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이 경력전환에 미치는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8명을 선정하였으며, 대면·비대면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목적, 연구주제를 참여자들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와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녹음을 진행하였다. 녹취록 작성 후 개방 코딩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첫째, 업무와 자신의 변화 필요성을 느낌, 둘째,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함, 셋째, 현재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넷째,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싶음 이렇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은 엄마이자 아내이고 딸이며 며느리 역할을 하는 가정과 현재의 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위치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업의 병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체적 노화에 따른 체력의 한계와 시간의 제약도 힘든 점이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 등으로 참여자들은 대학원 적응이 힘들었지만 동기들, 교수와의 새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학습 외적으로도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 속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와 학교의 교수자, 동기들과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들에게 대학원 과제와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었고 업무와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그 힘듦이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졸업 후 석사학위라는 타이틀과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외부로부터의 인정, 본인의 높은 자신감 등을 기대한다. 강의 속 이론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과정에서의 역량 강화는 현실 지향적인 중년여성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졸업 후 경력전환을 고려하거나 현 업무를 유지함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초기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가 바뀌어지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더 키우고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현재 업무를 유지하면서 분야와 대상의 확장을 계획하기도 하며, 취득한 자격증으로 새로운 곳으로 취업도 준비중이다.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areer trans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Second, how 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process on career trans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and the 8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contact & non-conta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wi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subjects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and record of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fter the recorded tape is made,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ding. First of all,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related to the current career, necessity of current work's expansion, and seeking for a stable career. Middle-age women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amily role as a mother, wife, daughter, and daughter-in-law and their role in the social position related to their current careers. They have had to take these roles while pursuing their studies. physical limits and restricted time became another difficul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felt difficulty to adapting to the non-contact lectures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called 'pandemic'. However, they answered that they felt a change from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class of the same semester and professors as well as their help. The support from family also helped th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answer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professors help middle-aged women to carry on the course. For them, the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their abilities and they applied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o their work and real life. The difficulties they felt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xpect high self-esteem and acknowledgment from outside with their master's degree and licenses related to their majors. Not only the thoughtful theoretical contents of the lectures but also the ability improvement from the prepar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lity-oriented middle-aged female learners. The participants have considered both career transformation and retainment of their careers from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Sometimes their early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graduate course have been changed. The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preparing to enter a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and learn more thoughtful content. Moreover, they planned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arget of their current work or prepared for the new employment with the licenses they acquired.

      •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 및 진료수행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세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구명을 위해 인천, 경기, 전북, 충북에 소재한 4개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28일부터 9월 22일까지였다. 답변이 누락되거나 성실하지 못한 답변을 한 질문지 12부를 제외한 378부의 질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은 계열, 학년, 성별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학습결과관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은 계열, 학년에 따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학습환경조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학습결과관리와 학습환경조성이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각각 중요한 하위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학습결과관리와 학습환경조성 요인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dical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roblem solving skills and self-efficacy in clinical performance.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 medical school students influence problem solving skills? Second, how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 medical school student influence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To inquire into the research problem, 390 offline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to and then collected from students attending 4 different medical graduate schools in Incheon, Gyeonggi, Jeonbuk, and Choongbuk for the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The period for distribution was between August 28th and September 22nd of 2017, and excluding incomplete 12 copies, a total of 37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the follow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dical school students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ffiliation, year, and gender.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study result managemen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skills. Fourth,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affiliation and year, but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ifth,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Sixth, 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study result managemen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In conclus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Especially the study result management and the study environment cre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proven to be important sub factors in enhancing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tudy result management and the study environment cre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be vitalized, and attention and efforts must be put into achieving this.

      • 목회자의 상담전공 수련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호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목회자들이 학업 및 임상수련 과정 중에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고 기술하는 데 있다. 한국교회 안에 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담을 배우고자 대학원에 입학하는 목회자들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는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목회자들이 상담수련과정 중 실질적으로 어떤 경험들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목회 현장에서 하는 상담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대학원 상담전공 수련 시작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상담전공수련 경험 중 목회자 자신과 가정의 삶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목회자의 상담전공수련 과정에서의 경험이 목회자의 목회현장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자료 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는 교육부가 인정한 상담대학원의 상담학 석사과정에 있는 목회자 6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 개인 인터뷰와 이메일, 전화통화 방법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즉 참여자들로부터 기술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진술을 만들어 의미를 구성하고 주제별로 묶어 범주화한 다음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32개의 의미단위, 12개의 하위주제, 그리고 4개의 상위주제가 목회자의 상담전공 과정 중에 경험한 바에 대한 주요 주제로서 범주화 되었다. 4개의 상위주제는 첫째, ‘다양한 목적에 의해 상담학 석사과정을 시작함’, 둘째, ‘상담수련과정 중 인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 셋째, ‘목회의 패러다임이 상담적 목회로 변화됨’, 넷째, ‘신학대학원에서의 M.Div. 과정중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함’이다. 상위주제 별로 연구결과를 차례대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목회자들이 대학원 상담전공에 입학을 하게 된 동기는 크게 목회 현장에서 접하는 한계와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고자 하는 동기, 목회자 본인의 문제 해결 및 자기이해에의 동기, 그리고 자기계발의 필요성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상담수련과정 중에 성도들의 상처와 아픔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의 지평이 넓어지며,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의 한계를 깨닫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아내에 대해 이해와 공감을 하게 되면서 부부관계의 개선이 일어나고 자녀 양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험의 기저에는 상담 수련과정에서 인간의 문제가 과거 어린 시절의 상처로 인해 반복되고 있다는 ‘인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상담전공 수련 중에 교회 내 소그룹인도 등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고, 성경을 해석하는 관점이 변화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또한 목회자 개인의 변화 경험은 상담의 효용성의 확신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목회 패러다임이 상담목회로 변화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상담전공수련 과정 중 몇 가지 어려움들, 즉 상담이 추구하는 인간의 목표와 기독교 신앙이 추구하는 인간의 목표사이의 혼란, 대학원 학비에 대한 경제적 어려움, 학업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의 어려움 등이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에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혼란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통해 목회자로서, 또 상담자로서 정체성을 통합해 가는 것의 필요성 및 실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의로는 첫째, 대학원의 상담수련과정을 통해 인간심리의 이해, 자기의 이해, 배우자와 자녀의 이해, 성도들의 이해가 목회자 자신의 변화에 기여한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목회자들에게 가족 상담이나 개인 상담을 다룰 수 있는 능력 함양이 목회현장에서 심방 또는 성도 상담시 중요한 영역임을 보여 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상담수련과정은 목회자의 상담자적 정체성 통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상담전공수련이 목회의 가장 중요한 본질 중 하나인 ‘사람사랑’(마태복음22:39)의 목회비전으로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목회자들이 상담자 전문성 발달의 과정에서 자기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depict what kind of experiences the pastors who are taking major in counseling obtain during the process of academy and clinic training. As interest in counseling is increasing in Korean church,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pastors who are enrolling in graduate schools to learn counseling.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necessity, the researcher focused research on what kind of experiences the pastors who are taking major i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practically get during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nd investigate how those kinds of experiences are connected to counseling they do in their ministry sit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ly, what significance does start of training of pastor i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have? Secondly, how does change of life appear for the pastor who takes major in counseling during counseling major training experience? Thirdly, what is the meaning that the experiences in process of pastor's counseling major training give to the pastor's ministry site? For gathering of data, the researcher gathered data from six pastors who are taking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which Department of Education acknowledged for six months by means of individual interviews, E-mails and calls.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olaizzi(1978). In other words, after extracting depicted meaningful sentences and phrases from participants, meaning was composed after making general and abstract statement basing on those, and categorized them by grouping by topics, then tried to describ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32 measures of meaning, 12 sub themes, and 4 main themes were categorized as significant topics in experiences during pastor's professional counselor process. The 4 main themes are firstly 'Starting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for various purposes', secondly 'Perception toward human changed in the middle of counselor training process', thirdly 'Paradigm of ministry changed to counseling type of ministry', and fourthly 'Realization of the necessity of counseling during M.Div. process in graduate school of theology.'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main themes, it is like the below. Firstly, the motivations of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nrolling for major i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is largely the to get help in solving difficulties and limits they face in ministry site, to solve the pastor's own problem and self-understanding, and the realization of necessity of self-development. Secondly, during counseling trai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got to understand the pains and wounds of believers more and prospect of self-understanding enlarges, and had experience of realizing the things they can do and their limits, and they began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their wives hence leading to improvements of marital relationship and experienced change in point of view about child rearing. In the base of these kinds of experiences, there was the 'change of perception about human' that the problem of human was being repeated by childhood pains. Thirdly, during professional counseling training, the participants had optimistic experiences in small group meeting in church, and also experienced the perception of interpreting Bible changed, and experience of pastor's individual change is to be connected to certainty of utility of counseling and connected to change of ministry paradigm to counseling ministry. Fourthly, during the professional counselor trai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had few difficulties like confusion between human goal that counseling pursues and human goal that Christian faith pursues, financial difficulty regarding tuition fee of graduate school, and distance travelling for study and etc.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usion and difficulty in midst of endeavoring to solve these kinds of problems. But, perception about necessity and practice in unifying the identity as a pastor and as a counselor increased through many-sided efforts to solve these kinds of contusion and difficulty. The significance that the result of research gets is firstly understanding of human mentality, self, partner and children, and Christians can be the important experience that contributes to changing of pastor himself. Secondly, it has meaning to show that the fostering of ability to handle family consultation or individual consultation for pastors is a important area in times of visiting or counseling a Christian at ministry site. Thirdly,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cts a role of expedition for unifying of pastor's identity as counselor. This has meaning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raining has possibility to cause diastrophism through ministry vision of 'Love for person'(Matthew 22:39) which is the most important nature of ministry. Fourthly, there is also significance that the pastors discover they experience self-development through process of counselo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민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detail, we examined how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 First, wi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will the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thei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wi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Fourth, will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lleg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a department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s of 2023, and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600 copies to 6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Daejeon. Participa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ssessment method, and 579 copies, excluding questionnaires from unfaithful respondents such as non-response or incorrect information,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ed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n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the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x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venth,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s and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se programs will help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areers and build their confidence in making career decision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 complex approach that considers these factors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ollow-up research. First, there is a need to study ways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for career preparation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with different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the size and diversity of the research subjects.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민주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과 전공만족 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체육전공 대학 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넷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전공만족 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전공 관련 학과에 2023년 현재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서울, 경기, 충청, 대전에 있는 6개 대학의 600부를 배포하여 자료 를 수집하였다. 참여 대상자들은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 였으며 무응답, 오기입 등 불성실 응답자의 설문지를 제외한 579부를 분 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신뢰도 분석과 구조방적식 모형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 다.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 각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 진로장 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미쳤다. 여섯째, 체육전공 대 학생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 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미쳤다. 일곱번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진 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이중매개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 에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복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체육전공 학생들의 진로준비를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을 달리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연구 대상의 규 모와 다양성을 확대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