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 시스템 현황 연구 : 관련 전공 대학·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노하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에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음악산업이 그 양질의 발전에 비하여 여전히 악순환 되며 해결 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을 음악산업을 이끌어 가는 전문 인적 인프라 구축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삼고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 시스템 개선이라는 대책을 내세우며,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시스템 현황을 연구하였다. 본론에서는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정책, 연구, 산업적 측면의 현황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국외 유사학과의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교육 시스템을 실용음악 과정의 대학, 예술경영 과정의 대학,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과정의 대학, 음악산업 계열의 대학원 과정의 학생 선발과정부터 교수진의 구성, 커리큘럼까지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외 유사학과의 사례를 모델로 국내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현실에 맞게 변형하여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에서는 위 연구를 통해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의 현황 분석과 앞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주요 인력을 양성하는 실용음악 과정 외 기획, 마케팅, 경영, 연구, 정책 분야에서의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문인력은 현재의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학제 시스템으로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국내 음악산업의 경우 정부에서도 주목하는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산업의 양질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책, 교육, 산업적인 성장이 고루 갖춰져야지만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그 성장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음악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음악산업과 대중음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세부 분야에서 전문인력이 양성되어야하며, 그러한 전문인력은 대학과 대학원의 시스템으로도 충분히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적 인프라로 구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학제 시스템은 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실무적인 소양을 갖추며, 음악산업의 발전이라는 소신을 갖는 인력을 배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현재와 같은 훌륭한 실연 및 저작 관련 인재와 더불어 음악산업 전문 기획·마케팅 인력, 대중음악 연구 인력, 음악사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행정, 법규 인력 등을 양성하여, 음악산업의 대내적 발전을 꾀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thesis attempted to sugges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systems related to music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issues that the music industry that has grown as a high-value added industry failed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personnel infrastructure that led music industry, considering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music industry repeated a vicious circle regardless of the growth of the quality and examined the system situations of the course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the body, this thesis analyzed the policies, researches, and industrial aspects related to domestic music business, examined actual issues, explored overseas cases of similar studie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domestic music business from the application process for students at colleges offering applied music course, colleges for art management courses, colleges providing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courses, and graduate schools for music industry studies to the members of professionals and the situations of curriculums, and suggested the issue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a new model to train professionals for the growth of music industry by modifying the overseas cases of similar studies to fit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courses at domestic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and in conclusion, this thesis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s related to music business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 industry through the research and the plans to train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 domestic music industry, professionals for the fields of planning,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and policies are required besides the applied music courses that trained most personnel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music busines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music business have a limitation to train such professionals. Especially, in the case of domestic music industry, while policy, education, and industry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the quality growth of the industry as a high-value added industry to which a government pay attention,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growth value, solving the actual issues.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 industry, the particularity of music industry and popular music should be understood, professionals in detailed fields should be trained based on field experiences, and such professionals are considered to establish the personnel infrastructure required at fields with the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future educational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domestic music business should understand the particularity of the industry, have fundamental knowledge, train the personnel for planning music industry and marketing, the personnel for studying popular music, the personnel or policy, administrative affairs, and law to develop music business along with personnel related to excellent performance and authorship, and the systems should be helpful to develop the music industry extensively.

      • 기업교육 CS강사의 대학원과정 경험의미 탐색

        민현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기업교육 CS강사를 대상으로 대학원과정의 등록배경과 교육과정의 참여의미 형성과정과 유지 및 대학원 교육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대학원 학습경험과 미래계획 수립 등의 구체적인 제 경험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면담으로 탐색하였고, 연구의 참여자는 기업교육 CS강사 중 학습경험에 대해 인터뷰가 가능한 10년 이상의 대학원 박사과정에 참여한 학습경험이 있는 기혼 여성 성인학습자 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과 연구결과의 해석은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후속질문을 던지며 연구 참여자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드러나는 본질을 글쓰기로 옮겨오는 초상화기법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절차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교육 CS강사의 대학원과정 등록배경은 ‘강사, 운명적 만남’, ‘직업적 생존수단’, ‘탈 선입견 후 새로운 선택기회’, ‘나에 대한 반추, 업에 대한 성찰’, ‘남편의 든든한 지원과 지지’의 결과로 도출되었다. 기업은 제조 중심에서 고객 서비스 중심으로 기업운영방식이 변화되면서 내부 조직원에 대한 CS교육 등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초기 외부 CS강사에 의존했던 기업들이 점차 기업의 내부 특성을 잘 아는 사내강사를 양성하는 성향을 보여주었다. 이에 사외 CS강사들은 존립 자체에 대한 위기를 맞게 되었고, 여기에 기업강사라는 직업적 진입장벽이 낮아짐으로 인해 결국 사외 CS강사들끼리의 치열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면서 이들의 부담은 가중되었다. 또한 기업 내 구성원들의 고학력화와 교육담당자들의 외부강사들에 대한 요구하는 역량의 수준은 날이 갈수록 높아졌다. 이런 상황 속에 CS강사들은 현실적 대안을 찾게 되었고 그 중 하나가 경력전환을 위한 박사학위취득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참여하면서 초기의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한 대학원 등록 선택동기보다는 자신 스스로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자기계발에 치중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는 참여자들이 교육과정을 경험하면서 자아성장에 더 큰 목적과 의미를 두기 시작하였고, 기존 스펙 쌓기의 진학동기가 미래를 계획하는 준비된 진학으로 전환되면서 의미 있는 삶을 위한 긍정적 자세로의 의식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기업교육 CS강사의 대학원과정 학습경험은‘통을 느끼고 통함을 학습하다’, ‘타인으로부터 배움의 삶을 깨닫다’, ‘예지일탈적 존재를 향함’으로 결과가 탐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원 진학초기 방임적 수업방식과 과다한 수업과제와 발표, 논문 작성에 대한 압박을 느끼며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거치며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되고 기존에 자신들이 학습자들에게 아는 것을 단순히 전달, 주입시키는 전달자에서 나눔의 개념과 배움의 상호관계라는 인식을 갖는 공유자로 전환되었다. 또한 이들은 기업의 임직원들의 학력이 상승하고 전문성이 강화되는 실태 즉, 트렌드를 받아들이면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스스로 전문성을 갖추고 연마하는 역량 강화의 기회로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교육 CS강사의 대학원과정 이후 미래계획은‘깨달음, 배움과 채움으로 빚어져야 할 나’, ‘초심 그리고 재시동’, ‘가치의 발견과 동료에게 권함’로 탐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기업교육 CS강사들은 대학원 교육과정 참여로 평소 자신이 갖고 있던 기업교육 강사의 직업관과 스스로에 대한 평가기준이 달라진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강사로서 초심을 돌아보며 새롭게 신념과 가치관을 정비하고 앞으로의 행동 변화를 계획하고 사회적으로는 직업관과 자신의 평가 잣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업교육 CS강사는 그 직업을 유지하고 그 입지를 다지기 위해 대학원 박사과정 진학하였으나 대학원에서 경험한 모든 교육과정은 이들에게 인지적, 자아적,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배움의 기쁨과 삶 그리고 직업에 대한 애착성을 갖게 되면서 불안했던 자아를 건강한 자아로 변화시켰고, 사회관계 속에서 붉어진 갈등요인을 비판적 안목에서 자기계발이라는 대안을 가지고 자기성장을 꾀하는 적극적 대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성찰을 통한 반성적 사고의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초기 부정적이었던 삶을 갈등의 지속이 아닌 해소를 위한 긍정의 삶으로 전환시켜 주었다. 한국사회는 여전히 가정 내 여성과 남성의 역할과 의무가 다르기에 남성 CS교육 강사들의 일과 학습의 병행, 그들의 시각으로 본 기업교육시장의 변화와 대학원 진학 실태 연구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기업 내에서 자사에 맞춰진 CS강의를 담당하는 사내강사의 시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기업 CS교육의 의미와 개인적으로 강의 외에 일반 업무병행과 그로인한 사내 갈등 그리고 기업이 요구하는 강사의 교육적 자질과 역량을 갖추기 위한 행동체계 등을 연구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verall experiential meanings of the graduate course for corporate CS instructors involving the rationale for their enrollment in the course, the process of forming and retaining the meanings of their engagement in the curriculum, th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ir graduate school,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graduate course and future planning. To that end, a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The participants are four female CS instructors who have attended doctoral courses for at least ten years as adult learners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on their learning experience. To analyze the data and interpret the results, the essentialist portraiture method is used in the in-depth interview, where follow-up questions a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o divulge and transcribe the essentials of their experience over time. The in-depth interview highlights the following. First, the background of Enterprise Education CS instructor's graduate course registration was ‘lecturer, destiny meeting ',' means of career survival ',' new choice opportunity after prejudice ',' reflection on me, reflection on business ','Husband's support and support’. As businesses moved from manufacturing oriented to customer service oriented mode, interest was raised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CS training for internal organization members, while external CS instructors were rather in crisis. Corporate employment rates of in-house instructors rose, and external CS instructors flowed in, eventually causing imbalances between supply and demand. In addition, the trend toward higher education for members of businesses and the level of training personnel demand for external instructors has increa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CS instructors found a viable option, and one of them obtained a doctorate for career transformation. Research participants have shown a shift in their focus to self-improvement rather than motivation to choose graduate school enrollment due to early environmental factors. This has led participants to start placing greater significance on self growth as they experience the curriculum, and as the motivation to build existing specs has shifted to a more prepossessed way to go about their lives. Second, the results of the corporate education CS instructors ' experience in the graduate course were found to be ' learning how to feel pain and connection ', ' Recognising learning life from others ', and ' understanding the learning from others '. Research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with the pressure of liberal classes, excessive classroom assignments, announcements, and thesis writing. However, the process gave them a positive perception and they were previously perceived as a shared concept of sharing with teachers who simply provided and injected what they know into their learners, and as an exchange of learning. In addition, as the employees' academic performance of the company has risen and they are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they have got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to understand their trends and meet their needs. Finally, after the graduate course of corporate education CS instructor, the future plan was found to be ''Enlightenment, learning to be filled with me', 'beginner and restoration', 'discovery of value and recommendation to colleagues’ CS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nd that their vocational views and self-evaluation standards of business education instructors had changed as they participated in the graduate course. As a beginner, he rearranged his beliefs and values, planned changes in future behavior, and showed changes in his work ethic and standards of evaluation. The conclusions drawn wit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Corporate education CS instructors went on to pursue and position themselves in graduate school but all of the courses they experienced in graduate school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ir cognitive, egocentric, and social perceptions. Corporate education CS instructor said learning experiences in graduate school has turned into a healthy self reflection on the sense of self, and the sense of self, which has become disturbing as one learns in the course of learning, and feelings of attachment to life and work. As Korean society still has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en in the home, it is meaningful to research on changes in the business education market and graduat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male CS instructors.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compare the general working level and the resulting internal conflicts and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s of the instructors required by the company.

      •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안가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이 설립된 대학원 중 심리치료 전공이 개설된 대학원을 조사하여 경기도 소재 D대학원과 충청남도 소재 G대학원의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10일에 거쳐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95부(100%)를 회수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기술통계로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에 진학한 동기는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함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의 이미지와 명성으로 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요인이 많았다. 심리치료 관련 전공인식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조사와 관련하여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과목 이수와 자격증의 연계성과 교과목의 다양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강의계획서에 따른 수업진행, 수업시간의 적절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행정서비스의 친절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등록금 제도, 장학금의 적절성, 학사일정 안내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진로의 영향력, 경쟁력 향상, 취업 전망의 긍정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구에 대한 조사로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치료영역별 자격 취득을 위한 다양한 입문 과정의 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수업내용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전공자의 전공운영 전담의 요구가 높았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심리치료사 관련 자격증 안내 등 졸업생을 위한 적극적인 진로안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적인 관리와 평가를 위한 체계가 시급히 구축되어야 하며, 수요자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 敎育大學院의 運營體制 硏究

        문종수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사회는 과학기술혁명과 고도산업사회의 출현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隋伴하는 사회의 질적 변화는 각 측면에서 고급인력의 수요에 부응코자 고학력사회의 출현으로 치닫고 있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이들 시대적 특수성의 필연적인 발로의 하나라 하겠다. 특수대학원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온지도 어언 30여년이 됐으며 전국 48교개에 이르러 양적으로 큰 성장을 가져왔다. 원생의 법정 정원수도 이미 14,000여명을 넘었다. 이 시점에 이르러서는 양적인 발전보다는 교육의 질적인 발전에 촛점을 두고 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의 질, 학생의 선발, 시설과 교육투자, 교육내용과 교수방법 등 많은 요인들이 검토되고 연구되어야 하겠으나 소고에서는 교육대학원의 교육이념, 특징, 조직과 편제, 교육과정운영, 학위논문 및 운영성과 등을 논의함으로서 교육대학원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목적은 모든 학사운영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특유의 목적 즉, 그 정체성을 밝혀보려고 하였으며, 대학원 설치기준령을 제정함으로서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에 필요한 교수 및 시설 등 필요한 교육여건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여 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추구해야 한다. 교육대학원의 운영 현황을 분석 한 결과 교원들의 재교육기관이며 교직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의 질적 향상을 기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원수와 학생정원과의 비율에서 나타난 교원수의 4%인 14,002명은 재교육 기회를 제한하는 것으로 전임교수 확보 등을 감안하여 증원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만든 교육내용이기 때문에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교육과정이 교육목적과 꼭 일치되지 않는 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직 과정과 전공과정이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재조정 되어야 한다. 교과교육은 교과지도에 필요한 교수이론과 기법을 고수하는 것이며 따라서 교사의 교육활동 중심은 교과지도에 있으므로 교과교육에 대한 교육학적인 연구는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교육여건 즉, 교수, 시설, 재정의 확보상황은 교육의 질적 충실화를 기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교수는 대학원 소속 전임교수를 꼭 두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을 수 있지만 대학 전체로 볼 때 대학원 교육에 필요한 교수 정원확보는 교육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독립된 교육기관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교육의 성과는 일차적으로 학위논문의 질로 반영된다. 학위논문은 그간의 교수, 연구의 결과이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준거가 되며 그것은 교육과정운영, 교육방법, 유인체제와 관련이 있다. 교육대학원의 내실화와 일정수준이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선진국에서 운영하는 평가 인정체계를 채택하여 학위의 공신력을 높이고 각 대학원의 필수적인 교육여건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 박사과정을 중심으로

        김화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고 고등 교육기관인 대학원의 무용학과는 전문 예술인과 무용지도자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에 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무용인구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무용관련분야의 전문가와 지도자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대학원 무용학과 박사과정은 현재 6개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으며 2000년도 이후 4개 대학원에 박사과정이 신설되는 등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앞으로 개설될 무용학과 박사과정의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무용이론의 체계적인 정립과 무용교육의 질적인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단국대, 세종대, 용인대, 이화여대, 한양대의 5개 대학원 박사과정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영역별로 구분하고, 비교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학과 박사과정 교과과정의 개선 방안은 다음의 내용과 같다. 무용학과 박사과정의 교과과정 중 동일한 내용의 교과목에 대해 과목명칭과 용어를 하나로 정립하여야 하며, 무용 지도자의 육성에만 치우치기보다는 현실적인 무용관련분야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목을 개설하고 전공을 세분화하여 무용 경영, 기획, 의상, 비평 등 각 분야의 전문가 육성에 힘써야한다. 또한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각국의 무용교류, 정책연구 등 급변하는 사회흐름에 대처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세워야 한다. 또한 무용 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최고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원 박사과정은 사회가 요구하는 학위의 취득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과목의 편성으로, 무용지도자는 물론 관련분야의 전문가 육성을 선도하며 무용이론의 정립과 더불어 질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Graduate schools of dancing, the highest educational institution of dancing, take aim at training expert artists and leaders of dance. As the public's interest in art and culture grows and people's interest in dancing increases, the role of the experts and leaders increases gradually. There are 6 graduate schools that have doctor's course of dancing and 4 new graduate schools of dancing were established since the year of 2000, and the number of schools establishing graduate courses of dancing increases. This research is necessary for newly established doctor's courses and the courses that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to systematize the principles of dancing and to develop the education of dance qualitatively. In this thesis, curriculums of doctor's courses of dancing in Dankook University, Sejong University, Ewha Wome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ere sor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o find the problems and the ways to solve them. At the present day, technical terms and the names of subjects with the same contents should be united, and doctor's courses should be focused not only in training the leaders of dancing but also in nurturing the experts of dancing with the knowledge of management, planning, clothing, and criticism by establishing practical, various, and systematic subjects and subdividing majors. Moreover, theoritical basis should be formed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dancing and dance policy keeping pace with the age of globalization. Continuous interests and efforts in the field of dancing science are necessary. Doctor's courses, the highest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nurture the experts of dancing as well as the leaders by sysemized and various curriculums and should develop dancing qualitatively and form a theoritical basis.

      •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 경험의미 탐색

        이명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leaning motivation, learning contentment, learning experience and etc. for kindergarten principals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ing method was applied. For research participants, 5 kindergarten principals who have worked as the head of kindergartens for more than 10 years and worked a Ph.D. program at a graduate school majoring in education were selected. The materials for study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total of 2~3 in-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field materials, recordings, emails and telephone records, transcribed database, an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below. First, pursuing graduate school courses for kindergarten principals came from the reflection of job at kindergarten and life caused by reality awareness. Since social rapid flow and change required job skills and professionalism, spontaneity that meets social needs became the motivation to pursue graduate programs. In addition, gradate programs were chosen to increase educational levels, combining studies and professionalism such as appropriate responses and solutions, complementation and etc. for professional preschool education. Therefore, kindergarten principals pursed educational courses based on competitive management and development for organizations, and a strong trust for self-realization. Second, as graduate courses for kindergarten principals offered systematic job performances and life, the rewarding and values of academic satisfaction increased. Especially, true education was practiced by the changes and development in the knowledge formation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he increasement of study and practical abilities. In addition, the connection and instruc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chool members allowed kindergarten principals to establish the existing meaning of filling, which led redefinition through the self-reflection of job and studies and allowed them to become real professional educators. Third, earing a doctorial degree in graduate courses for kindergarten principals achieved self-realization and became the growth of a fulfilled life to practice sharing. After earing a doctorial degree,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s and educational view were changed by challenging new studies and continuedly expending active educational practice. In addition, with regard to insid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they were in charge of progressive education to communicate based on deep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nd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As a result, kindergarten principals' learning was cycled to the restoration to feel a happiness with sharing and cooper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the meaning after examining the learning experiences in graduate courses for kindergarten principals. The reasons to participate in graduate courses for kindergarten principals were specific understanding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fact that educational formation fitting to the purpose of graduate studies were applied to educational courses. Namely, cultural climate that motivated learning desires in graduate programs voluntarily to kindergarten principals, physical facilities, free access to human resources,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education and the systems should be reorganized. In addition, policy alternative plans should be prepared to allow kindergarten principals to participate in continuos life-time learning as life-time learners after completing graduate courses. 이 연구는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 학습참여한 성인학습자로 학습동기, 학습만족, 학습경험 등에서 경험한 의미를 탐색함이 그 목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Colaizzi의 현상학적연구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에서 10년 이상 원장직에 재직하며 유아교육 및 교육학 전공계열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직무와 학업을 동시에 병행한 원장 5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수집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2~3회 심층면담과 추가면담, 현장기록, 녹취, 이메일과 통화기록, 전사자료 등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 진학은 현실 자각에 의한 유치원 직무와 삶의 반영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의 급격한 흐름과 변화는 선도적인 미래교육을 위한 직무능력과 전문성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른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는 자발성이 대학원 진학의 학습동기가 되었다. 또한 전문적인 유아교육의 적절한 대응과 대처 그리고 보완 등 학문과 전문성을 겸비한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서 대학원과정을 선택하였다. 이에 유치원장은 경쟁력 있는 기관 운영과 발전 그리고 자아실현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바탕으로 학업을 지속하였다. 둘째,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은 체계적인 직무와 삶의 안내 역할로 학습만족의 보람과 가치는 증대하였다. 특히 유치원장의 지식체계 변화와 발전 그리고 학문 및 실용적인 능력 증진으로 참교육 실천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행동의 연계와 교수 및 대학 구성원 간 교류장 형성 등은 유치원장에게 채움의 존재적 의미를 형성하였다. 이는 직무와 학업의 자기성찰을 통한 재정의로 이어지며, 덕망과 소양을 갖춘 진정한 교육전문가로 나아가게 하였다. 셋째,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 박사학위 취득은 자아실현과 동시에 나눔을 실천하는 충만한 삶의 성장이 되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새로운 배움의 도전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능동적인 교육 실천 등으로 유치원 운영과 교육관은 변화하였다. 또한 원내 조직과 환경에서는 깊은 이해심과 지식이 기반된 조언으로 소통하는 진보적인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전문성 강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에 유치원장의 배움은 나눔과 협조로 행복함을 느끼는 환원으로 순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 학습경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의미를 제시하였다. 유치원장의 대학원과정 참여는 학습동기, 학습만족, 학습경험의 구체적인 이해로 대학원 학업 목적에 적합한 교육 편성이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함을 탐색하였다. 즉 유치원장의 자발적인 대학원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문화풍토, 물리적 시설과 인적자원의 자유로운 활용,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 수립과 체제 등을 개편해야 한다. 그리고 유치원장이 대학원 학업 후에도 평생학습인으로 지속적인 평생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접시ㆍ머그를 이용한 도자제 기념물 개발연구 : 단국대학교 상징물의 전사표현을 중심으로

        손정미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념물은 기념적인 성격과 특성에 맞게 제품이 만들어져 왔다. 조선조의 청화백자도 장식적인 성격에 기물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문양으로는 십장생, 산수등이 많고, 실생활 용기로서 뿐만아니고 장식성 내지는 기원을 강하게 표현한 유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외국의 경우는 가문의 문장이나 풍경, 신화등을 장식적으로 표현한 접시가 많다. 서양에서는 접시나 머그에 문양을 정교하고 섬세하게 손으로 그렸으며 17-18세기에 들어와 전사기법이 개발되면서 장식은 전사기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념물은 가문 대대로 소장용이나 가보로써 내려오고 있고 근대에 들어 새로운 제작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접시는 형태도 섬세해지고 문양도 다양하게 표현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념품은 실생활에 사용하기 보다는 주로 장식용으로 이용 되었기에 다른 유물보다는 그 시대의 자료가 많이 보존 되어졌으며 그 시대의 시대상과 유행되었던 문양과 특정단체나 개인에 대한 기록과 과거의 문화, 예술 양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의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의 기념물들도 이시대를 후세에 알릴 수 있으며 특정 단체나 개인의 기록을 남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식성을 띄고 있는 기념품의 제작을 위해서 단국대학교를 선정하여 학교의 상징성과 학교만이 지니고 있는 고유성을 살려 기념물을 제작하고자 한다. 기념물 제작은 단국대학교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며 대상은 단국대학의 이미지를 강하게 담고 있는 심볼인 곰상, 풍경, 박물관등의 자료들을 주체로 하고져 한다. 전사 문양을 부착할 기물은 접시와 머그로서 식기를 이용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으로 식기가 아닌 장식적이며 그림의 내용이 돋보일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였고 문양은 반복생산이 용이한 전사기법중에서 씰크 스크린 기법을 이용하여 상회 전사로 하였다. 전사의 표현은 문양이 부드럽고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사진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수채화, 펜화, 스크린톤을 응용하여 회화적 느낌이 들도록 그려서 재판하여 사용하였다. 그림을 설명해주는 글씨체는 전사 내용에 맞는 설명을 도안 그림에 맞게 재구성하여 식자 처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를 주제로 한 도자 제품의 기념물을 더욱 연구하여서 많은 사람의 취향에 맞는 좋은 제품을 개발하고져 한다. Souvenir in Korea has been produced fitting t o its commemorative feature and character. CHONG-WHA white-pocerin of Choson Dynesty has made by ornamental character, and there were many patterns of sipjangseng and landscape. Many relics are alive whitch were not isnly pratical vessels but also represented stringly ornament or origin, It is contrast with the case of foreign country where there are many dishes whitch were expressed ornamentally the pattern of family, landscape or myth. In western, they drew with hand the pattern on dishes or mugs precisely and elaborately, and, in seventeenth and eight century, they used the firing skill which was developed then. These souvenirs arw treasured as heirlooms or collections in their famillies from feneration to generation. Due to development of new producing know-how, dishes nowadays become precise their shape and various their pattern. The souvenirs remain as the time's materials more than other relics because they were used mainly for ornaments rather than utility goods, and so that, they play a role of important materials which show the phase of the times, populous patterns, documents on certain groups or persons, and cultural and aesthetic types. Likewise, the souvenir today will play a role of document to demomstrate our lives to desendents. In this thesis, for producing a souvenir which represents ,the ornament 1 try to study the making of a souvenir, For this model, I choose Dankook University, so that I represent its symbol and pecuriality. The souvenir will show the symbolic image of the University, and its objects will be the bear Statue, school landscape and museum which contain the school's image. The vessels that firing patterns will be attached are dishes (and mugs and this is different with using tablewares, which will be made as a new and ornamental form setting it off the application of silkscreen skill which makes repeating production and the upper firing. I editted and used, as the expression of firing, not photograph but picture drawn by the application of water-color, pen, and screen tone which could give soft and felling. As for the shape of letter explaining the picture, I rearranged the suitable caption to fit with the designed picture and composed types. This thesis will help to develop excellent goods fit with the people's taste through more study on the ceramic souenirs witch adapt the school as a theme.

      • 캠퍼스타운 계획을 위한 요소와 계획과정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주변 대학촌을 중심으로

        송규철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고등교육 인구의 증가와 대학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질적 · 양적으로 성장한 대학 캠퍼스는 좁은 의미의 단지계획 차원에서 도시적인 감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Campus Town) 역시 도시전체의 계획 수립과 그 맥락을 같이 해야한다. 그러나 현 대학촌은 대학 캠퍼스내부와 외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연계성이 부족하고 캠퍼스를 중심으로하는 대학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촌의 기능도 자연발생적인 존립에 의존하고 있어 정책적·계획적 배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이, 첫째, 매개·완충공간으로서가 아닌 맹목적인 상업화에 편중되게 하고, 둘째, 대학의 성격과 무관한 단순히 도시의 일부분으로서 무계획적인 건물군으로 메워져가게 하며, 셋째, 건축적 배치개념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계획없이 사람-건물-도시의 유기성을 깨뜨리고 있다. 본 연구는 위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학촌 주변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대학촌의 본질적인 역할의 수행을 위한 Desige Criteria와 적절한 공간계획계획 과정을 제시하기 위한 작업으로 첫째, 대학촌의 일반적인 개념고찰과 국내 대학촌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대학의 성격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고, 둘째, 단국대학촌 캠퍼스타운계획을 위한 주변현황조사로 체계적인 계획작업을 위한 사전자료를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촌의 자립성과 자생력 유지를 위하여 대학촌의 주체인 대학인의 주(住)요구를 캠퍼스타운계획 중 시설물 계획에 반영하였으며, 넷째,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매개공간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촉매로서 작용할 도시부족시설 유치로 도시와 대학 캠퍼스의 원할한 유대와 교류확대 효과를 기대하였다. 이러한 캠퍼스타운 공간계획이 계획대상지에 적용된 계획요소와 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황분석을 통한 주요반영요소(Design Criteria)와 기대효과로는 ① 지역지정과 건축전 지정 : 기존의 경직된 법체계의 융통성 ② 경사지와 호변공간 활용 : 자연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 ③ 대학촌의 코아(Core)역할 : 밀집된 대학문화의 구심점 역할 ④ 대학촌의 특수성 표현 : 대학촌 독자적인 기능과 공간의 표방 ⑤ 도심권과의 접근성 : 도시-대학촌-대학 캠퍼스 간의 유기성 확보 또한, 건축물 계획시 반영요소(Design Criteria)로 ① 건축물의 배치, ② 용도, ③ 규모, ④ 형태, ⑤ 색상 및 재료계획 - 지역주민과 대학인이 공존할 수 있는 쾌적한 정주공간 조성과 캠퍼스타운계획의 방향제시 The University Campu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ite planning to a Urban planning point of view. The present Campus Town is isolated from campus inside and short of organic connection, active university life.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campus town is, 1. To be the tendency of commercial zone, not buffer zone. 2. The building extension without Campus Town plan and Urban plan. 3. Non organic relationship with Human ↔ Building ↔ C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asic and general considerations and concept of campus town character and function. 2. Basic data by the present site survey for the Dankook University Campus Town plan. 3. Residential needs of campus life for the independence and self survival. 4. Profer distribution of urban facilities in the Campus Town for the active campus life. The design concepts an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istrict and construction line assignment : flexible legal code. 2. Practical use of lakeside and slope : activ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3. Characteristic of Campus Town : unigue function and space. 4. Access to the down town : organic connection Campus Town ↔ Campus. Design criteria to be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① Architectural site plan ② Usage ③ Scale ④ Shape and Form ⑤ Color and Material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업의식과 조직유효성 및 경력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among job stress, job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tention for career change from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and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n job consciousness, job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tention for career change.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purposive sampling from 310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After excluding 9 data because partial part of the survey was missing or insincere responses were included, this study analyzed 301 data with SPSSWIN 21.0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he regarding job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it showed higher in the female than in male of sex; the parent stress higher in those in the single than in married; the work colleague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50s than those in 20s; regarding work bos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30s ~ 50s than those in 20s; the student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high school graduation than those in university graduation and graduate school graduation; the parent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than those in high school graduation and in university graduation; the work colleague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high school graduation than thos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the work bos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university graduation than thos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the work bos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sports leader certificate than those in teacher certificate; the parent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six years than those in less than 6 years and less than 3 years; the work boss stress was higher in those in six years than those in less than 3 years. Secon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job consciousnes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he regarding job commitment was higher in those in 40s ~ 50s than those in 20s; the pride was higher in those in 30s ~ 50s than those in 20s; the professionalism was higher in thos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than those in university graduation; the professionalism was higher in those in 6 years and less than 6 years than those in less than 3 years. Thir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he regarding innovative behavior was higher in those in male than those in female. Fourth,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intention for career chang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he regarding intention for career change was higher in thos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university graduation than those in high school graduation. Fifth, the job stress partially influenced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job consciousness. the parent stress and work colleagues stres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ofessionalism; the work boss stress and student stres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job commitment; the work colleagues stres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ide; the student stres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pride. Sixth, the job stress partially influenced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work colleagues stres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work colleagues stress and job boss stres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Seventh, the job stress partially influenced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intention for career change. the parent stres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for career change; the work boss stress and colleagues stres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for career change. Eighth, the job consciousness partially influenced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commitment and prid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professionalism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 job commitment and prid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Ninth, the pride negative influenced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intention for career change. Tenth, the job satisfaction negative influenced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intention for career change. Summarizing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had a great effect on job stress, job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tention for career change and each variable had direct effect on intention for career change. If job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is lowered, job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increase and intention for career change will be lowered. 이 연구는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의식, 조직유효성 및 경력변경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가 직업의식과 조직유효성 및 경력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31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나 반응고정화 현상과 무기입된 자료 9부를 제외한 301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상사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미혼집단이 기혼집단보다 학부모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서는 50대 이상이 20대 이상보다 동료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30대와 40대, 50대 이상이 20대 보다 상사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학생스트레스는 고졸이하가 대학교졸업이하와 대학원졸업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부모스트레스는 대학원졸업이하가 대학교졸업이하와 고졸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료스트레스는 고졸이하가 대학교졸업이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사스트레스는 대학원졸업이하가 대학교졸업이하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라서는 상사스트레스는 체육지도사자격증 집단이 교원자격증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근속년수는 6년 이상 집단이 6년 미만과 3년 미만 집단보다 학부모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상사스트레스는 6년 이상 집단이 3년 미만 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업의식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라서 직무헌신도는 40대와 50대 이상 집단이 20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긍심은 30대와 40대, 50대 이상 집단이 20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 전문성은 대학원졸업이하 집단이 대학교졸업이하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고 근속에 따라서 전문성은 6년 미만과 6년 이상 집단이 3년 미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조직유효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혁신적 행동은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경력변경의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학력에 따라서는 대학교졸업이하와 대학원졸업이하 집단이 고졸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업의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학부모스트레스와 동료스트레스는 전문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사스트레스와 학생스트레스는 직무헌신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스트레스는 자긍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스트레스는 자긍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동료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스트레스와 상사스트레스는 혁신적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경력변경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스트레스는 경력변경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사스트레스와 동료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직업의식은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직무헌신도와 자긍심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성은 혁신적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헌신도와 자긍심은 혁신적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직업의식의 자긍심은 경력변경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열 번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조직유효성의 직무만족은 경력변경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개인적 특성은 직무스트레스, 직업의식, 조직유효성 및 경력변경의도에 크게 관여되고 있으며, 이들 각 변인들은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춰준다면 직업의식과 조직유효성은 높아지고 경력변경의도는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단국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신환 분포 및 내원 동기에 관한 연구

        이명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서론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은 1984년 개원하여 진료를 시작하였고, 2013년 1월 신축 이전하여 치과의료를 시술하고 있다. 2014년부터 치과 전문의 표방이 가능해지면서 이전까지 전문과 진료를 위해 내원하였던 치과병원의 신환의 내원 동기 및 내원 경로의 차이가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치과 보철 영역에서 보험 진료가 확대되면서 고령 환자의 내원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에 내원한 신환의 연령, 성별 거주지, 주소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정보를 바탕으로 내원하는 환자들의 내원 요인 및 향후 치과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필요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론 신환 환자에관한 조사 및 분석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종합의료정보시스템(OCS)와 PACS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Excel 2007(Microsoft, WA, USA)에 입력하여 조사 ① 연령별 신환의 분포 및 평균 연령 ② 신환의 거주지 분포 ③ 신환의 내원 과목 및 주소 ④ 신환의 전신 질환 ⑤ 신환의 초진시 잔존 치아 및 구강내 보철물 결론 신환으로 내원하는 환자들은 20-29세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이는 병원이 위치한 지리적 요건이 큰 영향을 주었으며, 같은 이유로 가장 많은 진료를 받은 과목도 구강외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보험확대로 내원이 기대되는 65세 이상에서는 보철진료의 수요와 전신 질환에 대한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