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강병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강 병 숙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는 전국 10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 교육대학원이 당면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 10개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271명이 응답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교육대학원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만족도,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관련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ANOVA)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원 입학 동기 관련 설문에서는 ‘전문성 신장’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대학원 선택 시, 우선 순위를 지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경기권은 ‘학교와 교수의 명성’을, 경상권은 ‘거주지와의 거리’를, 강원․전라․충청권은 ‘졸업 대학교의 대학원’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둘째, 대학원 교육과정 교과목에 대한 설문에서는 ‘강의 내용의 이해도’ 문항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현장 교사와의 팀티칭이나 특강’, ‘강의 내용에서 새로운 이론과 동향 소개’ 문항의 만족도가 낮았다. 이는 대학원에 바라는 점과 관련한 설문에서도 ‘현장과 연계한 교육과정 개설’ 및 ‘새로운 이론 소개’에 대한 응답이 높은 것으로 보아 현직 교사인 대학원생들이 학교 현장에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적인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원 학위논문 작성 및 심사 관련 설문에서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 문항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논문과 관련하여 학교와 학과 차원에서의 안내 및 세미나, 특강’ 문항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대학원 입학 전과 입학 후, 대학원생의 음악적 역량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전통적 교수방법’, ‘새로운 교수방법’, ‘전통 음악이론’, ‘국악 실기’ 교과목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직 교사가 대학원과정을 통하여 음악 관련 내용의 이해도가 더욱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도움이 되었던 교과목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합창지도법’, ‘국악실기’, ‘국악교수법’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다섯째, 대학원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 작성 관련 설문에서는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은 어려웠지만 새로운 도전과 성취감의 획득’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졸업 후 대학원과 연계를 유지하고 싶은 방법으로는 ‘워크숍, 학회, 특강 참여’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학원에서는 졸업생에게도 워크숍, 학회, 특강 참여의 적극적인 안내가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핵심어> 대학원 교육과정, 실태, 초등음악교육, 설문조사

      •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사이트 설계 및 활용방안

        이건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한 분야의 영재를 발굴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영재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은 개인과 사회, 국가에게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이다. 현행 학교교육은 개인차가 많은 다인수 학급의 이질집단 속에서 평균수준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획일적인 교육으로 영재아는 상대적으로 그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 행·재정적 지원 미흡, 이로 인해 파급되는 교사의 전문성 부재, 영재 판별이나 교과과정 개발의 문제점 및 사회의 영재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으로 지난 30여년 간의 영재교육에 관한 관심들이 큰 결실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1999년의 영재교육법 시행령의 통과로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새로운 출발과 도약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최근 들어 15개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원)와 일부 사설기관에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사이버 영재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드물고, 규모나 프로그램측면에서도 아직은 시작단계라 할 수 있다. 미래의 영재교육은 지금의 과학, 수학 영재에 비해 정보과학영재의 비중이 커져야 하며 정보과학영재들의 특성과 요구를 수용하여 이들이 서로 유익한 정보를 주고받으며, 협동학습을 실시할 수 있는 사이버상의 커뮤니티 공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초등 영재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주도의 일방적인 사이버 교육이 아닌 학생 스스로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커뮤니티 중심 교육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이버 영재교육은 교실공간이나 교육일정 등의 제약조건에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영재에게 좋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지리적,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거나 기타의 이유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영재들에게도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서 국가차원에서 사회적 형평성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사이트를 설계하고, 활용방안으로 교수학습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일반 커뮤니티 우수 사이트 5개에 대한 커뮤니티 요소를 분석하여 1, 2위 사이트의 커뮤니티 요소를 선정하여 설계에 반영하였다. 둘째, 대학별로 운영중인 정보과학영재교육센터(원) 및 일반 영재교육 사이트의 사이버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1, 2위 사이트의 분석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였다. 셋째, 분석결과를 토대로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을 바탕으로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사이트를 설계하였다. 다섯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사이트를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과 사이버교육 사이트 설계 및 교수학습전략은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학습방법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출발단계에 있는 온라인 초등 정보과학영재교육을 활성화?자극화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앞으로 초등 정보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더 많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It was significant and important for person, society, nation that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at one field is conducted. currently, school education is uniform education which has no regard for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 and level. so the gifted children have no chance to show their ability relatively. Till now, education for them has not been executed efficiently due to lack of exper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sufficiency of executive-financial support, and the point of judgement of them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But on account of passing the low of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in 1999, there have been drift to conduct it at the 15 university and institution through the on-line site. And yet, the subject of them is not the elementary student. and they are incomplete in size and program. The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of future give consequence to not the gifted children of science, mathematics but information science. It requires that the cyber community receives the need and trait of the gifted children of imformation science, to give and take the beneficial information each other. Specially to regard of trait of them, the cyber community education which is not one-sided by teacher but is conducted through solving the problem by student themselves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no condition in class size or the agenda of education, cyber gifted education is possible to give the chance to the children who can't have the gifted education due to condition of distance or another reason. So it could be a mean of balance of society. Therefor This study was made to design the cyber community and to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use. The procedure is as follows : 1. The analysis of the five community site was done and the selected factors were reflected to design. 2. The realities of cyber education in university and general site of gifted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the each site held the first, second rank were reflected to design. 3.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vitalization Scheme of cyber community for gifted of information science was suggested. 4. Based on the vitalization Scheme of cyber community, the cyber education site was designed 5. And the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The vitalization Scheme of cyber community for gifted of information science, design of cyber education site,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be suggested this study are the one method for the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But these will pave the way to activate and stimulate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in the beginning. From now on, the many more theses will be expected to recognize importance of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교대생들의 영어교과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정경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pre-service teachers' personal preparation and the preparation at the universitys of education to become English teachers, and discover ideal direction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at school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the senior students in the universitys of education who went through teaching practice at 23 elementary substitute schools in 2009, and a questionnaire survey, daily log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the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of teaching practice had confidences as well as intentions to teach English at schools, however according to the statistic results, their confidence level was lower than the intention to teach due to uncertainty on their English abilities. There was a criticism that English lectures at universitys of education are focused more on the theories, and show a big gap with the requirements in actual school settings, so practical English lectures concentrated more on class English practice are necessary. Second, as the results of invest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erception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in the students of universitys of education, only 494 (56.9%) among 868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monstrate an English class, and the other 374 (43.1%) were not able to demonstrate it. The pre-service teachers sat in an English class of about 1 hour of average duration and the pre-service teachers in charge of elementary students above 3rd grade demonstrated English classes of about 1 hour. However, the pre-service teachers appointed to 1st and 2nd grade classes were rarely able to demonstrate English classes and received the supervision of English education specialists and teachers in relation to English classes. In the cas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of in-depth teaching practice in other subjects, the ratio of speaking English upon the demonstration of English class were 20~40% on average; the pre-service teachers of in-depth English teaching practice spoke English in the rate of more than 50%, planned activity classes, fun classes, consulted with education specialists, and it was appeared that 88.2% of the respondents satisfied in the consultations. Third, the restrictions in preceding English teaching practice were appeared as a lack of fluent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handling skills of class English, difficulties of teaching due to the differences of students' English levels, the fact that the opportunitie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are lacking or absent because of the English education specialist system or the assignments to the lower grade classes, th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 students, etc. Forth,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opportuniti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ing classes remaining as one or two and sitting-in opportunities remaining as three or four are expanded and the proper guidances on the procedure need to be prepared. Also, programs in regard to English teaching, i. e. class English used in class settings, English teaching-learning methods, understanding on students' English levels, lectures on English learning models and teaching activity skills, material preparation and application methods, and training in team-teaching with native speakers are expected to be set up and operated. Besides, in the university courses for English teaching practice, training in utilizing class English and establishing speaking English improvement programs, providing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and practice pre-service English classes, and opening lecture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skills, models of English classes, understanding o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al courses, materials to be utilized at English classes (activities, games) are anticipated. Several suggestion based on these findings li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ut personal efforts to enhance the ratio of speaking English upon demonstration of English class from 20-40% to 60-80%. Second, the universitys of education and practical substitute schools need to prepare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ies and confidenc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ird, practical substitute schools for the elementary level ne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sitting-in and pre-service demonstration of English classes.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초등영어교사 양성 과정으로서의 교육실습을 통해 수업실습생들의 예비 영어교사로서의 개인적인 준비도 및 교육대학교에서의 준비도를 알아보고, 영어수업실습에 대한 실태 및 실습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바람직한 초등영어 수업실습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도에 23개 초등실습대용학교에서 수업실습 과정을 거친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 및 일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실습생들은 학교 현장에 나가 영어를 가르칠 의사가 있고 자신감도 있으나 자신의 영어구사 능력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여 가르치고자 하는 의사보다도 자신감이 높지 않았다. 교육대학교에서의 영어강좌가 이론위주로 초둥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교실영어 연습 위주의 영어 강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둘째, 교대생들의 영어교과 교육실습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868명의 실습생 중 494명(56.9%)만이 영어수업을 시연하였고 나머지 374명(43.1%)은 영어수업을 시연하지 못했다. 실습생들은 평균 1시간 정도의 영어 수업 참관과 3학년 이상의 학년을 담당한 실습생들은 1시간 정도의 영어 수업을 시연하였으나 1, 2학년에 배정된 실습생들은 영어수업 시연을 거의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수업과 관련하여 전담교사 및 지도교사의 지도를 받았으며, 타교과심화 실습생의 경우, 영어수업 시연 시 영어사용 비율은 평균 20~40%였고 영어교과심화 실습생은 50%이상의 영어를 사용하였으며 응답자의 88.2%가 영어수업 협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생들 자신의 유창한 영어구사력 및 교실영어 활용 능력의 부족, 학생들의 영어수준의 차이로 인한 지도의 어려움, 영어전담 교사제 또는 저학년에 배정되어 영어 수업 실습의 기회가 적거나 없다는 것, 학생 통제의 어려움 등이 영어과 수업실습을 진행하는데 있어 제약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습생들은 영어교과 교육실습의 개선점으로, 실습대용학교에서는 영어수업 참관과 시연 기회의 확대 및 적절한 지도, 영어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할 것을 바라고 있었다. 교육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실제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실영어 활용 훈련 및 회화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개설, 영어수업을 시연하고 연습할 기회 제공, 다양한 교수법 및 교수기술, 영어수업모형, 초등영어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영어수업 시 활용 가능한 자료(활동, 게임)에 관한 강좌 등을 개설 또는 신설하여 운영할 것을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은 영어수업 시연 시 영어 사용 비율을 20-40%에서 60-80%로 높일 수 있도록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둘째, 교육대학교와 실습대용학교에서는 실습생들의 영어구사력 및 자신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하겠다. 셋째, 초등실습대용학교에서는 모범영어 수업 참관과 영어수업 시연의 기회를 늘려야 하겠다.

      • 교사 양성제도의 국가 간 비교 연구 : - 미국, 핀란드, 일본 중심으로 -

        이승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Edu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one person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a whole society. One of key poi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he quality of teachers. Teachers have been considered as members of important occupations and occupation through many periods and societies. Today, our society have demanded teachers to have various abilities. As efficient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train teachers whom our society required,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each coun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eachers' quality. For this reason,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driven the plan to improve the qualities of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he advantages of teacher training systems of other countries will be an effective method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our system can be progressed. The countries and reasons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Japan; it has a lot of similarities to our education system. 2. United States of America; it has considerable impacts on our education theory. 3. Finland; it has also achieved outstanding results on the PISA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problems of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hen to obtain ways by which improvements can be made by us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quality of teacher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ree countries, the school system, teaching certification requirements, institutions for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each country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ee countries(United States of America, Finland and Japan) have had diverse teaching qualification types which are suitable for stages of student development and types of schools. Second, three countries have operated the institutions for teacher training with the level of graduated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Third,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se three countries has distinct differences in credits, course works and periods of teaching practice. However, a few similarities were found in teaching practic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Finland have been implemented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of a semester, which is longer than that of Korea. The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in Japan is also emphasizing teach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thre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First, Korean teaching qualification types have to be subdivided for effective interacting between schools ,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s and expanding the flexibility of teacher availability. Second,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studies are needed for improving quality of teacher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increase of knowledge. Third, the period of teaching practice must be expanded to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of affluent experience for balancing between educational theory and teaching practice. Key words : Teacher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 ,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eaching qualification type 교육은 한 개인을 변화 성장시키는 것 뿐 아니라 한 사회 전체를 변화 발전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고, 교육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교사이다. 교사는 어느 시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중요시 여겨왔으며 오늘날 우리 사회 역시 유능한 교사를 요구하고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유능한 교사는 직전교육인 교원 양성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때문에 각 국의 교사양성제도는 그 나라 교사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여러 선진국에서는 국가 발전을 위한 교육의 질 향상을 주장하며 이를 위해 교사양성제도의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다른 나라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교사양성교육의 특징을 파악하는 일은 우리나라 교사양성제도의 발전 방향을 찾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 국가 중 우리나라와 교육 제도적 유사성이 높은 일본과 교육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은 미국 그리고, 최근 국제 학생 성취도 평가 연구(PISA)에서 꾸준히 높은 순위를 유지하며 우리나라와 함께 주목 받고 있는 핀란드 세 나라의 교사양성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사양성제도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핀란드, 일본 세 나라의 교사의 자질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후 각 나라의 학제와 교사 자격 유형, 교사양성 기관,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 핀란드, 일본 세 나라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학교 유형에 맞는 다양한 교사 자격 유형을 갖추고 있으며, 세 나라 모두 교사의 질 향상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기관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세 나라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나라마다 이수 과목과 이수학점의 차이가 있고 교육실습 기간도 다르지만, 미국과 핀란드의 경우 한 학기 정도의 긴 기간을 통해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 역시 교직대학원제도를 통해 교육실습을 강조하고 있었다. 미국, 핀란드, 일본의 교사양성제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사양성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면 첫째, 학교 급간의 연계와 교사의 전문성 제고, 교사 활용의 유연성 확대를 위해 교자 자격 유형이 세분화 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의 변화와 지식의 증가에 따라 기존의 학부과정의 교사양성으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사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도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풍부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실습 기간을 늘려야 한다.

      • 미술관의 청소년 문화홍보봉사 프로그램 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지누지움을 중심으로

        윤은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초록 미술관의 청소년 문화봉사 프로그램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지누지움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 및 미술관교육전공 윤 은 선 오늘날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들에게 자원봉사활동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적용하는 학습의 과정이며, 도덕적인 행동을 실천해보는 실제 학습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많은 미술관들도 이와 같은 흐름에 발맞추어 다양한 청소년 문화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미술관 문화 봉사활동은 문화 봉사자들에게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함께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현할 수 있는 자아실현의 장으로 여길 수 있다. 미술관의 입장에서도 평소 재정적인 문제로 진행하기 어려웠던 많은 내용을 문화 봉사자들의 도움으로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미술관의 문화 봉사 프로그램은 단순 노동 또는 미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을 위한 내용으로만 한정되어 있어 많은 청소년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과 미술관. 두 주체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미술관 문화홍보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이 평소 자주 접할 수 있는 ‘미디어’와 미술관의 ‘홍보’의 관점을 접목하여 청소년들이 미술관을 홍보UCC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는 총 12차시의 활동으로 구성된 미술관 문화홍보 봉사 프로그램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지누지움에서 실행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상하였다. 청소년들이 미술관에서 감상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관 관람 매너, 어린이 관람객, 일반 관람객을 대상을 한 홍보 UCC을 제작하고 이를 편집, 보급하는 과정에서 지누지움과 청소년 문화 봉사단들에게 모두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 문화홍보봉사활동은 청소년들이 미술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었고 지누지움도 UCC 제작활동을 통해 미술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평소 미술관에 흥미가 적은 청소년들은 이번 문화홍보 봉사활동을 통해 새로운 공간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지누지움도 이번 홍보 봉사활동을 통해 소통하는 미술관, 함께하는 미술관으로 그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었고, 지누지움 홍보 UCC를 다방면으로 활용하여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미술관 문화홍보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자원봉사 참여도가 증가하였고 실천적 체험학습의 경험으로 자신의 소질을 개발,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UCC제작활동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의 비판적 이해 영역, 사회적 의사소통영역, 자료 정보 활용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얻을 수 있었다. UCC 제작의 기획과 구성, 촬영, 편집 등 여러 제작 과정에서 표현의 경험을 쌓을 수 있었고, 미디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여러 미술관 운영 현장에서 청소년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많은 청소년들이 미술관에 참여하는데 좋은 영향을 미치는 방안이 되길 기대한다. 아울러 앞으로의 미술관 문화 봉사 프로그램에 바탕이 되어 궁극적으로 많은 청소년들이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핵심어: 미술관, 청소년 봉사, 문화 봉사, 홍보 UCC, 미술관 마케팅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교육과정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아름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신하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름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학습이론인 구성주의 이론과 동기이론 및 합리적 선택이론을 토대로 학습자의 관점에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경험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름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재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아름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학생들은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셋째, 아름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아름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전 학년의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마련한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 학습 내용과 결과는 개인적 구성주의 관점에 따라 4가지(능동적 지식 구성 경험, 같은 내용 다르게 학습하기, 배경지식과 지식의 구성, 오개념과 지식의 구성),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따라 3가지(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스캐폴딩 유무에 따른 학습 경험 차이, 소속감․분위기․환경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로 범주화하였다. 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구성 정도, 배경지식(선개념), 학습자의 상호작용 정도, 스캐폴딩 경험, 심화과정 반 분위기에 따른 소속감․분위기․환경에 따라 학습의 내용과 과정, 결과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아름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학생들의 노력에 대한 경험을 3가지의 동기 이론(기대-가치, 자기효능감, 외재적·내재적 동기)과 합리적 선택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에 투입하는 시간을 양적인 투입시간(대부분의 시간 학업에 투입, 최소한의 시간 학업에 투입, 학업과 학업 외 활동 조화롭게 시간 투입)과 학업 외 활동(교육․학업과 직접적으로 관련, 교육․학업과 간접적으로 관련, 개인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개별 학습자마다 학습에 투입한 시간과 노력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인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로 구분하였다. 긍정적 평가는 1) 예비교사로서의 성장 기회 2) 학습자 요구와 흥미 반영 3) 현장 적합성 반영 4) 교과목 간 연계 5) 예체능 교과 편성 시기 6) 임용시험 반영된 융통성 있는 운영의 6가지로 범주화하였다. 부정적 평가는 1) 교육 목적 달성에 대한 아쉬움 2) 교육과정 내용과 깊이 3) 현장 적합성에 대한 요구 4) 교과목 선택권 제한적 5) 시험 기간 및 조별 과제 6) 지도안 작성의 6가지로 범주화하였다. 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함께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마다 학습의 내용과 과정·결과, 학생 개별 동기를 바탕으로 한 노력의 정도,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다양하고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수립 및 개선 시 다음의 내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구성이 가능하도록 수업의 내용을 구성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 학생 참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둘째, 학생-학생, 학생-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과제, 조별 발표, 실시간 출결 확인 철저, 시험 등의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의 외재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교직 관련성을 반영하여 현장 활용 방법에 대한 고민 기회를 마련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사 임용 선발 요강에 교육대학교 학점의 배점 비율을 높이는 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업에서 다루는 내용이 지나치게 이론 중심이거나, 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학자 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는 학생이 있다는 것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교육과정 내용이 지나치게 깊어서 심화과정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또한 시간표가 심화과정별로 확정되어 제시되는 것, 선택 강좌가 다양하게 제시되지 않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있다는 점도 반영되어야 한다. 교과목별로 시험 기간 운영이 상이한 점, 지도안 작성 방법에 대한 강의 내용이 부재한 것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어 교육과정이 편제·운영될 필요가 있다. 핵심어: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구성주의, 동기이론, 합리적 선택이론, 교육과정 평가, 사례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신체 관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 —'눈', '코', '입', '손', '발'을 대상으로

        이진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about the terms 'eye', 'nose', 'mouth', 'hand', and 'foot' for beginne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 method for educating using idiomatic body expression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Korean language textbooks, selected a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for beginners, and suggested related body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plans. In Chapter I, the necessity of idiomatic body expression education for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the contents, methods, significance, and value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on idiomatic expressions so far. Among them, various studies 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period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conducted, as well as the educational effect and value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for learners at the beginner level were foun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considered that when learners at the beginner level learn idiomatic expressions, it is more efficient to learn preferentially with idiomatic body expressions related to 'eye', 'nose', 'mouth', 'hand', and 'foot'.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select a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for Korean beginner learners and seek educational measures for them. In Chapter II, the concepts, ranges, type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idiomatic body expressions that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and body expression education was also examined. Based on the effec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 education using visual images, it was argued that idiomatic body expression education is necessary and useful for education for beginner Korean learners. In Chapter III, before selecting the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the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was checked against usage in Korean textbooks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selected in textbooks of domestic university institutions,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eye', 'nose', 'mouth', 'hand', and 'foot' were found and graded, and the appearance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presented in foreign Korean textbook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list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not unified for each researcher or textbook. By confirming the absence of certain standards or systems, the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for beginners was selected based on the list of beginner vocabulary of the 'International Common Standard Korean Curriculum'. In Chapter Ⅳ, a selected list of idiomatic body expressions for beginners was developed and attempted to present some teaching-learning measures among them. The timetable of the class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of 'introduction – guess – presentation – confirmation – application'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stage, a stage that induces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and identifies the basic meaning of the main vocabulary in the section and shows the expression of body idiomatic expressions, which is the learning goal in this class. In the guessing stage, learners think of actions related to the body vocabulary 'eyes, nose, mouth, hands, feet' and suggest activities to guess the figurative meaning of the idiomatic expression through the basic meaning of the vocabulary that constitutes the idiomatic expression. In the presenta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ers with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the exact meaning of the expression. At this stage, using a visual image of the photos, pictures, videos and more. In the confirmation stage, the learner's error is corrected and feedback is provided. For example, the teacher can let them solve learning problems. In the application stage, learners go through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such as applying their learning contents in relation to their actual lives and writing their own stories using expressions learned on SNS such as Instagram. In Chapter Ⅴ, a summary and organization the contents of this thesis is presented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idiomatic body expression education for beginner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눈’, ‘코’, ‘입’, ‘손’, ‘발’을 대상으로 하는 신체 관용 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체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초급용 신체 관용 표현 목록을 선정하였으며, 그와 관련된 신체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Ⅰ장에서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체 관용 표현 교육의 필요성과 이 연구의 목적에 대해 알아보고, 관용 표현 교육과 신체 관용 표현 교육의 내용, 방법, 의의, 가치 등을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지금까지 관용 표현에 관하여 다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관용 표현의 학습 대상과 학습 시기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용 표현 교육에서의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초급 수준의 학습자가 관용 표현을 학습할 때는 ‘눈’, ‘코’, ‘입’, ‘손’, ‘발’과 관련된 신체 관용 표현으로 우선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체 관용 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관용 표현과 신체 관용 표현의 개념, 범위,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관용 표현 교육과 신체 관용 표현 교육에 대해서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신체 관용 표현 교육의 효과를 바탕으로 신체 관용 표현 교육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 필요하고 유용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Ⅲ장에서는 신체 관용 표현 목록을 선정하기에 앞서 국내외 한국어 교재에서 신체 관용 표현의 목록을 확인해 보았다. 국내 대학 기관의 교재에 선정된 신체 관용 표현 목록 분석을 바탕으로 ‘눈’, ‘코’, ‘입’, ‘손’, ‘발’과 관련된 관용 표현을 찾아 등급화하였고, 국외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관용 표현 전용 교재에 제시된 신체 관용 표현의 출현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나 교재마다 관용 표현의 목록 선정 기준이 통일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정한 기준이나 체계의 부재를 확인하여 ‘국제 통용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1급과 2급의 초급 어휘 목록을 바탕으로 초급 대상 신체 관용 표현 목록을 선정해보았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초급용 신체 관용 표현 목록’과 관련하여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수업의 단계를 ‘도입-추측-제시-확인-적용’의 다섯 단계로 나누었다.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단계로, 단원의 주요 어휘의 기본적 의미를 확인하며, 본 수업에서의 학습 목표가 되는 신체 관용 표현을 보여준다. 추측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신체 어휘인 ‘눈, 코, 입, 손, 발’과 관련된 행동을 떠올리며 관용 표현을 구성하는 어휘의 기본적 의미를 통해 관용 표현의 비유적 의미를 추측하는 활동을 제시한다. 이때는 학습자가 충분히 생각할 시간을 주며, 교수자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제시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구체적인 상황 맥락을 제공하여 해당 표현의 정확한 의미를 제시해야 한다. 이때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다. 확인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오류를 수정하고 피드백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학습 문제를 풀어보게 할 수 있다. 적용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실제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학습 내용을 적용해 보고,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에 배운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글을 작성하는 등의 내면화의 과정을 거친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체 관용 표현 교육의 의의와 가치를 강조하였다.

      • 예비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과 AI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 SW에듀톤 참가자를 중심으로

        홍윤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예비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과 AI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20년도 SW에듀톤에 참가한 교육대학교 학생(이하 교대생)과 사범대학교 학생(이하 사대생)으로, 이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예선캠프와 부트캠프에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캠프에 참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추후 양질의 SW에듀톤 운영에 도움이 되도록 제언을 하고자 한다. SW에듀톤은 예비 교사가 참여하는 SW교육 수업설계대회로 예비 교사의 SW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창의적 역량을 제고하고, 창의적인 SW교육 학습 지도안을 발굴하고 확산하며, 추후 학교 현장에서 멘토 교사들과 지속적으로 네트워킹하며 SW교육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끔 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SW교육 교수효능감은 SW교육 학습자의 학습에 교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교사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나 믿음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이소율, 이영준이 개발한 SE-TEBI 문항을 예비 교사의 상황에 맞게 개정하여 적용하였다. SW에듀톤 예선캠프에 참가한 예비 교사들은 모두 높은 수준의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보였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개인 효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대생의 경우 교대생보다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전공별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분석하였을 때 컴퓨터교육 전공생이 그 외 과목의 전공생들보다 SW교육 교수효능감이 높았는데, 이는 전원 컴퓨터교육을 전공한 사대생들의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부트캠프 참가자의 경우 예선캠프 참가자에 비하여 SW교육 교수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예선캠프와 마찬가지로 남성이 여성보다, 사대생이 교대생보다, 컴퓨터교육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더 높은 교수효능감을 보였다. AI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 목표상 초등은 놀이·체험, 중등은 실습, 고등학교는 알고리즘 적용 중심의 AI교육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AI의 이해, AI의 원리와 활용, AI의 사회적 영향을 주축으로 삼아 교육 내용 요소가 정립되어 있다. AI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자 류미영, 한선관이 개발한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SE-TEBI와 마찬가지로 SW에듀톤의 실정에 맞게 문항을 일부 수정하였다. SW에듀톤 예선캠프에 참가한 예비 교사들은 AI와 데이터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AI교육이 필요하다는 데에도 높은 수준의 동의를 보였다. 한편, AI가 초등 교사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명제에는 부정적으로 응답한 예비 교사가 더 많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AI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AI의 긍정적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높게 사고, 더 나아가 초등 교사의 역할도 AI에 대체될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전공별 분석에서도 두드러지는데, 컴퓨터교육을 전공한 예비 교사들이 AI와 데이터 기술에 더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AI가 사회에 이로운 점을 불러올 것이라는 데 더욱 동의하고, 학교에서 AI를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AI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SW에듀톤 대회 참가 경험과 대학 입학 전 SW교육 경험이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부트캠프 참가자들은 예선캠프 참가자들보다 AI와 데이터 기술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를 배우고 싶다는 의견을 강하게 내비쳤다. 예선캠프에서는 대학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는 않았지만 부트캠프에서는 사대생이 교대생보다 AI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매해 개최되는 SW에듀톤 중 딱 한 해에 시행된 설문이고, 온라인으로 응답을 받았기에 설문에 응하지 않았다는 참가자들도 있어서 상관관계 또는 인과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별된 학생들인 부트캠프 참가자들이 예선캠프 참가자들에 비해 SW교육 교수효능감이 높고, AI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며 AI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추후 개최될 SW에듀톤이 이러한 참가자들의 특성을 고려하고 수요를 반영하여 개최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bout preliminary teachers’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 of AI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SW Edu-thon. I analyzed the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for high-quality SW Edu-thon in the future. SW Edu-thon is the SW education design contest of preliminary teachers.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is the teacher's expectations or beliefs about the teacher's own abilit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f SW education learners. All of the SW Edu-thon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showed high level of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Men's individual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y students. When analyzing the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y major, computer education major students showed higher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an students majoring in other subjects. In the case of boot camp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As in the preliminary camp, males showed higher teaching efficacy than females, college students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computer education majors than non-computer education majors. In the case of AI education, prelimin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W Edu-thon preliminary camp showed high interest in AI and data technology, and showed high level of agreement on the need for AI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ore preliminar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to the proposition that AI could replace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found that men are more interested in AI than women, think AI will bring postive impacts than negative effects relatively higher, and believe that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replaced by AI. These differences are also noticeable in the analysis by major, where those who majored in computer education showed higher interest in AI and data technology, agreed more that AI will bring benefits to society, and the need to teach AI in schools. Boot camp participants showed more interest in AI and data technology than the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and strongly expressed their desire to learn AI mor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university in the preliminary camp, the result that the college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AI than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boot camp is also noteworthy. It can be seen that the boot camp participants, who are selecte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efficacy in SW education than the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and they are more interested in AI and want to learn more. It is hoped that the SW Edu-thon in the future will be held considering status and satisfying the need of these participants.

      • 외국인 어학 연수생의 대학 생활에 대한 사례 연구 : - 수도권 지역 한국어교육원을 중심으로

        전순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 초록 외국인 어학 연수생의 대학 생활에 대한 사례 연구 - 수도권 지역 한국어교육원을 중심으로 - 전 순 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 유학생은 최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펜데믹 종료 이후 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들어오고 있고, 이로 인해 한국의 많은 대학이 다인종 캠퍼스로 변모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원은 어학 연수생으로서 한국어를 배우러 오므로 한국어 능력을 요구하지 않고, 비자 발급이 용이해서 더욱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할 수 있다. 어학 연수생들은 대다수가 같은 대학교로 진학하므로 대학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수도권 외곽이나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은 한국어교육원의 어학 연수생 모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렇게 어학 연수생으로 들어온 학생들은 한국어를 몰라서 의사소통이 안 되는 상황에서 대학 생활을 시작한 만큼 대학 생활과 한국 생활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통이 불편한 수도권 외곽의 대학교 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어학 연수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학 생활과 한국 생활에 관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여, 대학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서 한국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인재로 양성하고자 하는 방안을 찾는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을 목표로 한다. 이에 관한 질적 연구를 하기 위해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심층 면접을 시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생활을 살펴보면, 첫째, 한국에 유학 온 동기와 배경은 한국드라마나 K-POP, 한국 여행 등으로 한국문화콘텐츠를 접했거나 한국에 가족이나 친척이 있어서 유학 오게 되었다고 했는데, 학위 취득이나 한국 생활과 한국문화 경험, 한국어 습득이 한국에 오게 된 목적으로 분석되었다. 유학생의 양적인 증가로, 체계적인 교육의 부재로 인한 불만족이 생겨날 수 있는데, 대학들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환경 구현과 대학시설 환경 개선으로 유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어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어교육원에 처음 왔을 때는 언어로 인한 어려움과 타 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힘들었는데 현재는 의사소통도 잘되고 한국문화에도 익숙해져서 편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학 초기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양질의 교육과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담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생활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친구들과 함께한 문화체험으로 나타났고, 학업 능률이 떨어지는 비대면 수업보다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수자들과 직원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호의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 학교에서는 타 문화권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고,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수준 높은 학업 지원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초기에는 타 문화에 대한 낯섦으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현재는 경험과 이해에서 오는 편안함이 내재되어 학생들 대부분이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계속 한국에서 살고 싶어 했다. 또한, 대다수 학생이 경제적인 부담을 느껴서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있으므로 피로감과 건강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학금 제도를 확충하고, 졸업 후 취업 연계 등으로 사후 관리 체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한 공간에서 지내면서 나타나는 문화 차이와 부적응 문제를 잦은 접촉 경험으로 해소하여 학생들의 다문화 시민성을 발달시키고 다문화적 태도를 변화시켜 문화적 관용이 생겨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원 연수생들이 대학 생활 초기에 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우수한 교육환경 제공과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개발, 정보제공, 수준 높은 학업 지원, 장학금제도 확충, 취업 연계 등 사후 관리, 다문화 시민성 발달을 위한 타 문화 접촉과 소통 지원 등에 대해 실천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한국어교육원, 어학 연수생, 한국어 교육, 대학 생활, 한국 사회와 문화, 다문화적 시민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