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수업의 연계성 연구

        최슬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미용교육전공이 개설된 전체 교원양성기관 교육대학원 6곳 중 4곳의 2014-2016년도까지 총 5학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업시수와 2014-2016년도의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항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고시된「미용」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과 교육대학원의 수업의 연계성을 연구하였으며 교육대학원의 학생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2014-2016년도까지 최근 3년간 실시된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B 문항을 기본 이수 과목을 기준으로 평균 분석한 결과 미용교육론 22.06% 가장 비중이 높게 출제되었고 그 다음 헤어미용 19.57%, 피부미용 18.88%, 화장품과 메이크업 10.87%, 공중보건학 9.03%, 미용학개론 7.51%, 해부학 6.03% 순으로 출제되었다. 전체 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평균한 결과와 임용시험 출제율 간의 연계성은 미용교육론, 네일미용, 화장품과 메이크업, 공중보건학, 해부학 영역은 연계성이 있었지만 미용학개론, 헤어미용, 피부미용 영역은 연계성이 낮았다.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대상을 설문 조사한 결과 교육대학원생 대부분은 임용시험을 보기 위해 진학하였지만 임용시험을 준비하는데 교육대학원의 수업이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의 미용교육전공 교육과정은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함께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대비한 교육 병행에 중점을 둔 개선이 필요하다.

      • 중국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선호도 및 진로계획에 관한 연구

        다이이팡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preference and career plan of the Chinese Graduate School of Beau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hinese beauty industry workers and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nd a total of 504 valid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graduate school curriculum due to the late start of beauty education in China, the training of professionals in the beauty industry is relatively systematically established, so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China's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s in Korea, identified the curriculum of each graduate school, and analyzed the demand for the formation of curriculum for Chinese graduate schools. The preference for the Chinese Graduate School of Beauty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common basic theory, makeup, skin beauty, hair beauty, nail beauty, and cosmetics, and career plans were classified into career experience and job prepar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for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batch varianc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keup majors were the most common, and graduate school enrollment was 7.9% in career planning. Among the demand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in the 20s and 30s, technical in-depth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were require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urriculum preferences according to beauty majors, nail majors were analyzed to be high and hair majors to be low on the preference of the common basic theory, makeup, and cosmetics curriculum (p<0.05).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for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of beauty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experience and job preparation in career planning, and the final edu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urriculum preference and career plan. In the order of makeup, common basic theory, and nail beauty,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career experience. To meet the curriculum needs of beauty graduate stud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China's beauty graduate curriculum needs to focus on diversifying the curriculum and organizing practical curriculum that helps career paths.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beauty curricula in various countries based on the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and propose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olog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international research is needed on how the beauty major curriculum can be applied to various countries and cultures. 본 연구는 한국 미용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중국 미용대학원의 교육과정 선호도와 진로계획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미용 산업 종사자와 미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504개의 유효한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중국의 미용 교육이 늦게 시작되어 미용대학원 커리큘럼 설정에 어려움이 있으나 미용 산업 전문 인력 양성은 상대적으로 체계적인 구축이 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교육과정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미용대학원 개설현황을 조사하였고 각 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파악하였으며 중국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편성요구를 분석하였다. 중국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선호도는 공통기초이론, 메이크업, 피부미용, 헤어미용, 네일미용, 화장품학으로 분류하였고 진로계획은 진로체험과 취업준비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메이크업 전공자가 가장 많았고 진로계획에서 대학원 진학은 7.9%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수업방식에서 이론/실습 병행이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강의방식에서 온ㆍ오프라인 병행수업이 가장 많았다. 공통기초이론 교육과정 선호도에서 뷰티산업 법제도와 소비자 안전 과목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 30대 연령대에서 교육과정 편성요구 중 기술심화교육과 전문성 있는 교· 강사의 중요성을 요구하였다. 미용전공에 따른 교육과정 선호도 차이 분석에서 공통기초이론, 메이크업, 화장품학 교육과정의 선호도에 대해 네일 전공자는 높게, 헤어 전공자는 낮게 분석되었다(p<0.05).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선호도가 진로계획의 진로체험과 취업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교육과정 선호도와 진로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메이크업, 공통기초이론, 네일미용 순으로 교육과정 선호도가 높을수록 진로체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미용, 피부미용, 화장품학, 메이크업, 공통기초이론 순으로 교육과정 선호도가 높을수록 취업준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대학원 학생의 교육과정 요구를 충족하고 미용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중국의 미용대학원 교육과정은 한국 미용교육의 성공적인 모델을 참조해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교육과정 편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미용 관련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설계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가에서의 미용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더욱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미용전공 교육과정이 다양한 국가와 문화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국제적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한다.

      •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박희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sev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have cosmetology education, and classified the curriculums of cosmetology into subject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for a research of specialized curriculum of the cosmetology in inchoat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n, the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portion and organization about subject education, which is the core of the curriculum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schools. Also, in the research, 88 cosmetology-majored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for knowing their opinions on the topic of this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sis of curriculums and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cosmetology education is seven, attended by around 180 students, and most of the schools had a remarkably low proportion of subject education. In the survey, the students ranked lack of full-time professors top of the proble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y viewed fostering would-be teachers as a positiv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schools. In addition, they were found to be dissatisfied with major subjects for the reason that those are little help for a practical cosmetology teacher and to hope for opening subjects about a study of teaching method which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a school. The students were considering the entire subjects weighted to skin and hair field, hardly making a big help for the qualification test for appointment of school teacher.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is thesis proposes several improvements of the curriculum of cosmetology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bove all, subject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have to be operated in balance for developing systematic teaching method that can connect teachers to the practical site of a school, and full-time professors cosmetology education are required for operating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s that fits the characteristic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lso, more lectures should reflect the demands of current staff or hand-on workers, and additional major subjects need to be opened for helping students to have access to broader range of subjects and gain the opportunity of educational experienc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open subjects about the appointment test in the curriculum for the connection with the test. As the cosmetology education is at the starting point and lacks precedent thesis, more researches in wider and multilateral dimension are expected for long-term development of the cosmetology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본 연구는 이제 막 시작단계인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만의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연구를 위해 미용교육전공이 있는 7개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교육목표에 대해 알아보고 미용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과교육학에 대해 각 학교별로 비율과 교과목 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내용에 대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4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재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교과과정 조사와 설문조사결과로 현재 미용교육전공이 개설된 교육대학원은 총 7개 약 180여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고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과교육학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았다. 설문결과 재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가장 큰 문제점을 전임교수의 부족으로 꼽았고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방향은 교원양성기관으로서 예비교사 양성으로 보았다. 전공영역 교과목은 실제 미용교사로서 필요한 과목이 아니라는 이유로 불만족스러워했고 교과교육영역에서는 학교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교수방법론 과목을 개설하기를 희망했다. 재학생들은 전체적인 교과목이 헤어와 피부에 편중되고 임용시험에는 많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과과정 개선을 위해 몇 가지 제안하려고 한다. 우선 교사들이 학교현장과 연계되며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을 하기 위해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이 균형 있게 운영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성격에 맞는 전문적이고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미용교육전공의 교수(강사)진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현직교원이나 현장실무자와 같은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하며 학생들이 보다 폭넓은 교과목을 접하고 그로 인해 교육 경험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전공교과목을 추가로 개설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있어서 임용고사와의 연계성을 위해 임용관련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다. 미용교육전공이 아직 시작단계이고 선행논문이 없어 앞으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 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대학캠퍼스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장링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사회는 고속 발전하고 있는 데 사람들은 생활 속에서 각양각색의 야간조명방식을 사용한다. 조명은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이미지를 직접 보여줄 수 있는 동시에 주변 야간환경도 미화시킬 수 있다. 옛날의 조명이 단지 안전을 위해서 만들었다면 지금은 아니다. 아름다운 조명이 사람의 생활에서 무척 중요한 일부분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대학 캠퍼스조명도 마찬가지다. 비록 조명디자인의 기술이 예전보다 많이 변화하고 진보했지만 이런 변화들을 눈여겨봄으로써 어떤 부족한 점도 있는 것이다. 본문의 주제는 대학캠퍼스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할 뿐만 아니라 건국대학교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도시의 빛의 설계는 왕성히 발전하고 있다. 다른 편으로 많은 조명디자이너들이 도시의 야간조명의 진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몇 십 년에 제 3의 기술 혁명을 의지하여 우리 주면의 환경이 예전보다 천지가 뒤집힐 정도로 대변하였다. 사림들이 단일한 생활 방식에서 뛰쳐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주변의 거주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도시야간조명도 어떤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다시 자신의 주변의 조명 환경을 살펴봤을 때 도시조명의 구멍과 부족점도 조금씩 사람에게 발견되었다. 때문에 사람들이 주변 환경 조명에 대한 요구에 많아지고 있었다. 여기부터 각양각색의 조명 설계가 계속해서 도시의 방방곡곡에 부여하고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완성하고 있다. 비록 대학캠퍼스의 조명디자인과 도시 조명다자인을 비교하면 자신의 다른 점이 있지만 도시 조명디자인에 속하기 때문에 대학캠퍼스의 조명디자인도 도시의 발전함에 따라 진보해야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학 캠퍼스 조명디자인의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상당히 부족하다. 많은 대학교는 단지 안전을 목적으로 설계하는 사고방식에 머물렀다. 야간 캠퍼스 문화와 경관의 표현 및 전교의 사람의 감각을 소홀히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캠퍼스의 야간조명의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출하는 것은 조금도 지체 없이 디자인해야 한다. 본문은 더 아름다운 대학캠퍼스의 조명 방식을 만들기 위해서 대학캠퍼스 조명예술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원래의 방식을 바탕으로 대학 문화, 친환경디자인, 새로운 조명방식 등 환경디자인 수단을 결합하고 다시 분석하여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한 더 풍부한 대학 캠퍼스 조명의 개발을 위해 제안한다. With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the current society, people are choosing various night lighting styles. Lighting can not only give good image directly to other people but also glamor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night. Different from that in the old time, the current lighting is produced not limited by the safety. The gorgeous lighting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ion in people's life as well as university campus. There are still some insufficient aspects in spite of the great changes happened to the techniques of lighting design. The paper studied on the lighting design guidelines of university campus and focused on it in Konkuk university. The lighting design in cities is in full blast, so many lighting designers are making an effort to the development of urban night lighting. During the recent decades of yea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changed like overturning the earth and the sky comparing since the third technical revolution. People are running out from the singular lifestyle. As a result, the status of the urban night lighting changed according to people's considera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eople found some defects and inadequate aspects of the light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when they looked into it. Therefore, people showed more requirements to the lighting environment around them. So, various lighting styles should be granted and got done all over the countries continuously. As the The lighting design in university campus is affiliated to the urban lighting design, it should also be advanc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at in cities despite of their different points. However, the overall lighting design guidelines of university campus are still quite insufficient. People still pay no attention to the night campus culture and the expressions of landscape and senses of the entire students. Therefore, the new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without any delay for the improvement of the nighting lighting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more glorious lighting styles for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lighting art of university campus was selected as the object. Based on the original styles, w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more abundant university campus lighting and focused on the Seoul campus of Konkuk University by combining the environment design means, such as the university culture, eco-friendly design, and new lighting styles.

      • 정규 대학원 과정과 단기 직무연수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 지식수준과 업무 준비도 비교

        이충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 대학원 과정과 단기 직무연수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과 업무준비도를 조사함으로써 장차 영재담당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어떠한 교육 체계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얻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영재교육 담당교사 양성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정규 대학원 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어떠한가? 1-2. 단기 직무연수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어떠한가? 1-3.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정규 대학원 과정과 단기 직무연수과정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2. 영재교사로서 업무준비도는 영재교육 담당교사 양성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정규 대학원 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업무준비도는 어떠한가? 2-2. 단기 직무연수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업무준비도는 어떠한가? 2-3. 영재교육관련 업무준비도는 정규 대학원 과정과 단기 직무연수과정 이수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담당교사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설문지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원과정 영재교사 35명과 직무연수과정 영재교사 51명으로 총 86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관련 지식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영재교육관련 지식척도(GEKS)의 개정판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영재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관련지식들에 대해 5개영역으로 범주화되어 있고, 모두 3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for Window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기관 영재담당교사들의 지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통해 전체적인 특성 및 취약한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과정에 의해 양성된 영재교육 전문교사의 영재관련 지식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평균이 3.10으로 비교적 우수한 지식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역별 지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5개 영역 중 '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관한 지식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재를 위한 교수방법 및 서비스',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영재와 관련된 연구', '특별한 영재집단과 특수재능' 순으로 나타났다. '영재의 개념 및 특성', '영재를 위한 교수방법 및 서비스' 지식영역의 수준은 매우 높은 편이나 '영재와 관련된 연구', '특별한 영재집단과 특수재능영역'의 지식수준은 다른 영역과 비교해 볼 때, 낮았다. 문항별 평균점수를 살펴본 결과, '영재성의 정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영재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외에도 '영재학생들의 심리적 특성', '영재학생들의 특별한 요구'가 높은 범수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예술영재학생 판별', '장애영재의 특성 및 지도방법', '영재관련 국외학술지 이용' 문항들은 문항별 지식수준을 알아본 결과 매우 낮은 평균점수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직무연수과정 영재교사들의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점수가 2.63으로 역시 보통이상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영역별 지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5개영역 중 '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관한 지식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재를 위한 교수방법 및 서비스',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영재와 관련된 연구', '특별한 영재집단과 특수재능' 순으로 대학원과정의 영재교사들과 같은 서열을 나타났다. 문항별 평균점수를 분석한 결과,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영재성의 정의', '영재학생들의 특별한 요구', 영재학생들의 교육적 욕구와 필요'를 나타내며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와는 반대로 낮은 점수를 받은 문항을 살펴보면, '영재관련 국외 학술지 이용', '예술영재학생판별', '장애영재의 특성 및 지도방법', 영재관련 국내 학술지 이용'으로 매우 낮은 지식수준을 보였다. 셋째, 대학원과정 영재교사와 직무연수과정 영재교사들 사이에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대학원과정 영재교사들이 직무연수과정 영재교사들보다 다소 높은 지식수준을 나타냈다.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영재교사들끼리의 집단간 비교와 영재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간 비교에서도 대학원과정의 영재교사들이 직무연수과정의 영재교사보다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지식수준의 차이 역시 5개영역 모두 대학원과정 영재교사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직무연수과정 영재교사 교사들보다 높은 지식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재교사들의 영재교육 업무 관련 업무준비도 비교는 일반적으로 대학원과정의 영재교사들이 직무연수과정의 영재교사보다 영재관련 업무 업무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영재교사들 대부분은 영재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을 좋아하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영재교사로서 활동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재교육의 다양한 영역 이해, 영재학생 판별·선발, 교수학습 활동, 프로그램 개발 영역에서는 대학원과정 영재학생이 직무연수과정 영재교사보다 업무 준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을 위한 상담활동, 생활지도 활동, 진로지도 활동을 위한 준비는 두 집단의 교사들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성찰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탐색효능감의 매개효과

        황진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상담 전공 대학원생들이 진로를 탐색하고 진로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상담자에게 필요한 개인적 요인인 자기성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이들의 진로성공 및 적응을 얼마나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로적응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이 진로를 탐색하는 데 있어 가지는 자신감인 진로탐색효능감이 자기성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상담 관련 대학원에 재학 중이거나 수료한 사람들 190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찰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US-12), 진로탐색효능감 척도(CSES), 진로적응성 척도(CAAS)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 전공 대학원생들이 자기성찰을 많이 할수록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수준도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 전공 대학원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수준이 모두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 전공 대학원생들의 진로탐색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적응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성찰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Bootstrap 방식을 통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성찰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진로탐색효능감이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Bootstrap 방식을 이용하여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진로탐색효능감이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 학생 대상의 기존 진로 연구가 아닌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연구를 진행하여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상담 관련 진로성공을 위하여 상담 전공자가 자기성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과 같은 태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진로 관련 교육과 수퍼비전에서 자기성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were related to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counseling. Research questions included: a) how self-reflect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would predict career adaptability? and b) would career search efficac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s well a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answer those research questions, 190 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ed in counseling or related fields were recruited. They completed a survey package that included Self-Reflection Scale,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12), Career Search Efficacy Scale (CSES)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CAAS).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s the participants engaged in self-reflection, thei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increased. Second, as participants had a lower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y reported higher levels of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the greater career search efficacy, the more likely the participants reported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revealed that career search efficacy was a significant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Further, career search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was one of the first attempts to examine career development and research of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tolerance of uncertainty for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to find a successful career in the field of counseling. As such, it would be imperative to emphasize the intolerance of self-reflection and uncertainty in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in relation to the careers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 중등체육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탐색

        이상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대한민국에서 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는 교육대학, 사범대학, 그리고 교육대학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최상위 고등교육기관인 교육대학원의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을 탐색하였고, 체육교과 중등교원자격증 취득과정의 재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체육교육전공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와 수요를 알아봄으로써, 각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고 실제 체육교육전공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는 교육대학원 중 연구자가 판단하였을 때 지원률이 가장 높고, 체육교육전공 재학생이 많은 학교 9곳의 대학원 중 협조를 받은 7곳의 대학원 재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각 교육대학원의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실태와 만족도, 수요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7개의 학교에서 총 11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응답률이 저조한 설문지 14부를 뺀 총 98부의 설문지로 자료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처리는 Windows SPSS/24 Version 한글판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교육대학원의 기능 중 교원자격증 취득과 관련하여 체육교육전공 원생들이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순 임용시험과 관련된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자신의 교수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즉, 체육교육전공 원생들은 임용시험과 관련한 교육과정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교수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육교육전공 원생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육과정은 다양한 방면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예비체육교사로 임용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임용역량을 함양 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가 많았다. 나아가 체육교육전공 원생들이 임용시험에 대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 스스로의 현장역량 및 교수역량 그리고 연구역량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교육대학원에서 원생들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체육교육전공 원생들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교육과정과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육과정은 현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이 원생들의 교육수요를 충족할 교육과정으로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은 교원자격증 발급으로 인한 교원양성 기능을 갖는다는 점에서 일반대학원과 차별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 점 역시 체육교육전공 원생들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예비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써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정책적인 지원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원생들의 교육수요를 충족하고 교원양성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편성 및 운영이 되도록 해야 한다.

      •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의 임용고시 준비과정 분석

        정지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resent study targeted the preparatory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hereinafter PE), to further explore their motivation to pursue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difficulties they had to face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The first question to this research study is, what was the major motivator for them to enroll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rein after GSE)? Second, what was the major factor that made them come to that decision? And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faced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 (hereinafter TCE)? Fourth, what is the systematic problems seen from the eyes of preparatory teachers in P.E? The study subjects were a total of nine individuals, all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paring for the TCE, who’d attended GSE for over six months, who has work experience. The subjects already had built rapport with the researcher, which in turn, enabled us to apply,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i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would facilitate the exploration of meaning units.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tivation to enroll or attend a GSE derived from three major factors. First. failed admission to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enrollment gave them a second chance, many had suggested this option, in other words, a second level middle-high school teacher was the best available choice. Second, the reason for choosing this institution was, the school’s reputation, image, distance from home, the professor’s influence, and the dissertation paper. Third, about the difficulties faced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branched out into 5 subcategories. Managing work and education at the same time, financial burden, unrealistic amount of studying, Anxious and lonely times, and others, having many repetitive answers. Fourth, about the perception of these preparatory PE teachers, in regards to the GSE ‘s systematic problems, the sense of alienation of the education majors, lack of practical courses, the biased graduation dissertation, three factors were collected. Through the above results from the study, we have concluded that, first, the GSE is moving further away from its original purpose of existence, by mainly providing training for educators, disregarding or unaware of the students’ needs, therefore finding a way to keep up with these needs is much needed.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process in overall is crucial. Second, in order to provide the adequate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preparing for the examination, the school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and materials to further support their students. 본 연구는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와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주요 요인,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교육대학원 진학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넷째, 예비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육대학원의 제도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로서, 교육대학원 재학 당시 6개월 이상 직장을 다녀본 경험이 있는 9명의 연구 참여자를 설정하였다. 이들은 이미 연구자와 라포(rapport)가 형성되어 있기에,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의미단위를 탐색할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세 가지로 나타났다. 사범대학의 진학 실패, 제 2의 시작, 주변의 조언이 있었으며,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2급 중등교사 교원자격증 취득목적으로 진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선택의 주요 요인은 학교의 이미지와 명성, 집과의 거리, 교수진의 역량, 졸업논문의 선택으로, 총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일과의 병행, 경제적 부담감, 방대한 공부량, 불안하고 외로운 시간, 엘리트 선수출신의 명과 암이었으며, 이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의 요인이 중복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육대학원의 제도적 문제점은 소외되는 교육대학원생, 실기수업의 부재, 교육대학원 졸업논문의 양면성으로, 총 세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은 초기의 설립목적과는 다르게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주로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그에 맞춘 교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교육과정의 개선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이 차질 없이 임용고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과 임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건국대학교 역세권 주변의 블록 내측공간 활성화를 위한 건축계획안 : 화양동 6번지를 중심으로

        김형두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의 도시는 기능에 따라 평면적으로 분할하고, 길로써 블록을 구성하게 되는데 블록의 크기와 구성방법은 지역의 성격에 따라 다르므로, 전형적인 블록 구성 방법이 지역의 성격이 변할 경우 적응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시와 블록, 블록과 건축이 유기적인 연계를 갖고 성장하기 힘들게 만든다 특히, 선적으로 발달될 경우 경제성에 치우친 가로변 개발의 확산으로 인하여 블록의 불균형적 발전을 초래하였고, 블록 내측 공간이 활용되지 못하여 이용률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활성화된 가로에서 블록 내측공간으로의 접근과 시각적 노출이 불량하여 보행자들의 이용빈도가 떨어졌으며, 공간의 유기적 관계형성이 결여되어 점점 침체되어가며 도시환경악화의 부작용을 낳고 있는 실정이다. 건대(능동로)지구의 대학과 역세권이라는 요소는 이 지역 일대에 많은 유동인구를 유발하였고, 이들의 소비 요구를 채워줄 상업시설의 수요증가로 상권은 주변지역의 주거지까지 확산되어 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가로변 위주의 개발로 인해 상업시설 전면에 위치한 가로에서의 흐름만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을 뿐 블록 내측으로의 접근성이 불량하여 공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이 떨어져 내측공간은 저밀도, 저활용, 슬럼화되어 주변공간과 단절되어가고 있으며, 단일 성격의 시설로 채워져 학생들과 젊은 직장인들의 다양한 문화욕구와 행태를 담을 수 있는 공간과 중심으로 인지할 만한 쾌적한 외부공간(장소)이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고가전철역은 지역의 지점과 지점을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의 역할을 충족시키고는 있지만 구의로 일대는 고가전철역으로 인해 남북으로의 흐름이 단절되어있고 역에 면한 가로의 환경이 낙후되어 있어 가로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고, 고가전철 진출 입 환경이 낙후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가 역세권 주변의 블록 내측공간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공간의 토지활용을 높여 상업시설의 수평적 팽창과 인근 지역의 장식을 늦추고, 블록 내측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공간의 유기적 관계형성과 보행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행태를 담을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으로서 도시공간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며 개발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건축적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 먼저 사례들의 고찰 과정에서 현대 도시에서 블록의 내측공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건국대학교 역세권 주변의 블록 내측공간에 건축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도시블록의 내측공간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내측 공간에 빈 공간(Void Space)을 준비하여 다양한 문화 수용과 보행자들의 요구와 행태를 담을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함으로 블록 내측의 사면(四面)은 보행인구의 유입을 통해 활성화를 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가 전철역의 진출·입 장소를 블록 내측공간과 연계시키고, 블록 내측에서 기존의 활성화 되어있는 가로와 주변 블록과 연결될 수 있는 시각적 연계와 통로를 마련하여 보행자들의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낙후된 도시블록의 내측공간에 도시환경 개선 및 지역의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는 건축적 방안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