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주변 소형주택 수요 및 공급 방안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홍종훈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2년 기준 서울특별시에만 48만 명의 대학생이 재학 중이며, 이 중 13만 명이 수도권 외에 거주지를 둔 지방학생으로 파악되고, 대학 기숙사는 이 중 30%정도인 3~4만 명 정도를 수용하고 있다. 즉, 10만 여명의 대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다른 거주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저렴한 원룸 또는 하숙이나, 고시원 등이 학교 주변에 산재해 있어서 학생들의 주거에 큰 부담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서민들의 주택 부족으로 인해서 정부가 주택 건축 규제를 완화함과 동시에 준주택의 개념 도입과 주택법 개정을 통해 도시형생활주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주택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학가에 있는 기존의 주거 시설들은 도시형생활주택으로 재건축 되었다. 새로운 주택의 건설은 주거비용의 상승을 불러 왔으며, 이에 대학생들은 과거와는 달리 매우 비싼 거주 비용을 필요로 하는 주거시설에 입주해야 하거나 아니면, 통학이 매우 불편한 외곽으로 나가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정부는 대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주택보급 정책을 발표하였다. 공공 기숙사와 행복하우스, 대학 협력형 기숙사 등은 정부와 지자체, 대학교 등이 협력하여 대학생들에게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고자 만든 주택공급정책이다. 이러한 소형주택의 공급은 대학교 주변에서 대학생들에게 주택을 공급 중인 기존의 임대사업자들의 불만을 야기 시켰다. 또한 정책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학교 앞의 대학생들의 주택공급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교주변 대학생들의 주택거주 현황과 상태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둘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한 대학생과 임대사업자간의 인지도 차이가 있는지, 셋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한 임대사업자의 대처 방법, 넷째, 추후 정부의 대학생 지원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소는 서울 경희대학교 주변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학생과 임대사업을 하고 있는 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현재 자신의 거주 공간에 대해서 건물의 노후도를 가장 민감하게 보았고, 그 결과 보통 정도라고 판단하였다. 둘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잘 모르고 있었지만 도움이 된다라고 판단하였다. 셋째, 기숙사는 학생들의 선호 대상은 되지만 거주 비용에 있어서 학교 밖의 소형주택에 비해 가격 경쟁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대사업자는 정부의 주택공급정책보다는 해당 학교 주변 즉 학교 안의 공급인 기숙사정책에 매우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로 분석해 본 바, 첫째, 실질적으로 학교 주변의 임대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소형주택의 공실률은 높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 주변 임대사업을 하는 임대사업자는 학생들의 주거 만족도가 건물 노후도와 가장 큰 관계가 있는 만큼, 임대료 인하보다는 우선적으로 리모델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둘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해서는 임대사업자와 학생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그 공급 방법과 홍보 방법에 있어 문제가 있으므로 향후 공급 시 보완해야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급의 규모 자체가 소규모인 만큼, 많은 학생들에게 효과가 돌아가기 위해서는 바우처 등의 지급이 효율적 일 것이다. 셋째, 정부의 규제 완화로 인한 대학교 안 기숙사 건축에 있어서는 대학교 주변의 임대사업자들과의 공청회를 통해서 공생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정부는 무리하게 주택공급을 하지 말고, 삶의 질을 고려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해야할 것이다. 한 동안 민간에 맡겨져 있던 대학생들의 주거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된 소형주택의 멸실이 최근 십여년 간 급속도로 진행된 결과다.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는 주택 공급에 있어서 그 간의 주변 임대사업자들이 수행해 온 대학생들에 대한 주택공급에 대해서 인정하고, 앞으로의 주택공급에 있어서 이들과 함께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임대사업자들은 지금까지 보여준 양적인 공급을 지양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주택을 대학생들에게 공급해야 할 것이다. As of 2012, there are 480,00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130,000 of which are residents outside of the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dormitories in Seoul are accommodating 30,000~40,000 students, which represent only 30% of the students living outside Seoul. This means approximately 100,000 students live in facilities other than university dormitories. In the past, there were a number of alternative residents such as home stay and commercial dormitory nearby universities, in which the students did not go through much trouble settling. Recently, however, Korean government softened the regulation of house construction to overcome housing shortage problem and amended the Housing Law,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housing, called the Urban-lifestyle House. Pursuant to the amended law, all existing resident facilitie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were re-constructed as the Urban-lifestyle House. The reconstruction caused a rise of housing cost, and the students are left with only two options, either to pay more for very expensive housing or to move out to the city perimeter where commuting to the school is highly inconvenient. In response, the government announced a number of housing supply policies to stabilize university students’ housing needs. To provide low cost housing, the policies include employment of public dormitory, “Happy House”, and the university COOP dormitory as a result of close coordin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However, the new policy of supplying small houses provoked a strong objection from landlords, the previous main suppliers of student resident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Also, despite the policy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available student residents nearby universities is still insufficie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ollowing: first, the status and condition of student resident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second, the discrepant understanding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landlords in regards to the current house supply policy, implemented by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ird,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landlords in response to the current house supply policy; fourth, possible ways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the students in need of housing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neighborhood of Kyung Hee University in Seoul focusing on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landlords. The following paragraph l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research reveals students are most sensitive to the building condition of their current residents and generally consider the condition to be normal. Second, most students are yet familiar with the new house supply polic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but deemed the policy helpful. Third, although most students prefer university dormitories, the study shows there is no cost advantage for dormitories over small housing in the neighborhood. Fourth, the landlords are more sensitive to dormitory policy within or nearby universities than to the government’s house supply policy. My analysis first reveals the vacancy rate of small housing, owned by the landlord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is not high. Because a student’s satisfaction with housing is mostly determined by the building condition, it appears the primary concern for the landlord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is renovation rather than discount of rent fees. Second, although both the landlords and students have a positive view on the house supply policy implemented by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policy still needs improvement on the marking and the actual house supplying process. To optimize the effect of the policy for students, supplying a house through voucher system is deemed efficient provided that the scope of supply is limited. Third, in regards to constructing a dormitory within a university campus as a result of softening of the government’s regulation, the research suggests engaging the landlord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to a public discussion to search for a mutual understanding.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avoid blindfold oversupplying of residents, but instead develop a systematic way to support a good quality of life. It has not been long that the housing problem for university students caught public attention as the issue had been left to private sector until recently. This is attributed to the rapid disappearance of old small residents in the past 10 years.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all acknowledge the landlord’s efforts to supply housing to university students to date. They should engage the landlords into a discussion for developing future house supply plans. In return, the landlords should start supplying better quality housing to students as opposed to merely focusing on increasing the quantity of residents as they did in the past.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위명사 교육 방안 연구

        이정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고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단위명사의 빈도수와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단위명사의 제시는 대개 초급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짐작할 수 있지만, 어떠한 단위명사가 제시되는지, 또는 어떤 환경에서 제시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여섯 대학의 한국어 교재 총 45권을 분석하였다. 먼저 단위명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와 단위명사 교육에 대한 연구로 나뉘는데,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는 다시 개념에 관한 논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결합형태를 연구한 논문들, 두 언어 이상의 단위명사를 비교⋅대조한 분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는 학자들마다 주관이 달랐기에 그 명칭이 셈단위, 셈가름말, 단위어, 분류사, 단위성 의존명사 등 통일성 있게 정립되지 않았고 분류체계 또한 형태와 의미차이, 독립성의 유무, 고유어와 한자어 구분 등 다양했다. 대체로 단위명사를 대상 명사의 수량을 셀 수 있게 해주는 것, 단위의 대상이 되는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밝혀주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단위명사의 기능을 수량을 표시해주고, 수사나 수관형사의 수식을 받고, 의존적 성향을 지니며, 대상 명사의 의미자질을 세분화해주는 것으로 정의했다. 한국어 교재의 단위명사 분석을 위해 대상이 된 교재는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상 여섯 대학의 한국어 교재들인데, 이들 교재 뒷부분의 색인에 나와 있는 어휘와 새로 나온 단어를 학습하는 부분에 나와 있는 어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건국대학교에서는 52개의 단위명사를 제시했고, 경희대학교에서는 45개, 서울대학교에서는 66개, 성균관대학교에서는 13개, 연세대학교에서는 40개,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40개의 단위명사를 제시했다. 제시된 단위명사가 교재별로 다양했고, 하나의 단위명사가 대학마다 다른 학습단계에서 제시되는 경우도 있었다. 여섯 대학의 교재에서 총 114개의 단위명사가 제시되었는데, 이 중 53개의 단위명사가 한 번만 제시되었고, 여섯 대학의 교재에서 모두 제시된 단위명사는 3개였다.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중 단위명사 목록은 초급에서 40개, 중급에서 37개, 고급에서 48개로 총 125개인데, 이는 단계 간에 중복되지 않은 개수이다. 여섯 대학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단위명사 목록을 단계별로 분류하면 초급 69개, 중급 47개, 고급 17개인데, 각 교재의 학습단계에서 나타난 어휘를 제시한 것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어휘도 포함되어 있다. 국립국어원의 어휘 목록과 한국어 교재의 목록을 비교하면 일치하는 목록보다 일치하지 않은 목록이 더 많았는데, 두 목록에 모두 제시된 단위명사는 초급단계에서 가장 많았으며, 고급단계로 갈수록 불일치 목록이 많았다. 교재에서 제시된 단위명사 교육은 연습활동이 단순하거나 비슷한 예시문을 보였다. 단위명사 교육도 한 어휘만을 단독으로 교육하기 보다는 수사나 동사 등 다른 품사와의 연결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학습법이 필요하므로, 암기나 쓰기활동 등 단순한 활동을 넘어서 보다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교수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결합형태, 의미기능, 과제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학습법을 제안했다. 결합형태에 따른 교육 방법으로는 덩어리 형태의 교육, 어원을 활용한 교육, 관용적 표현의 교육, 띄어쓰기 교육을 제시했다. 그리고 의미기능에 다른 교육 방법으로 의미자질에 따른 교육, 의미장에 따른 교육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과제활동에 따른 교육 방법으로 결합형태 바꾸기, 읽기 텍스트 활용, 역할극 놀이, 카드 사용을 제안했다. This Study aims at surveying the frequency and the pattern of measurement nouns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tatus in korea. Everybody knows that th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elong to the elementary course. But they makes a rough guess how do we learn Korean. So, I did look into 45 books of Korean textbooks which six domestic university use for teaching foreigner. And I examined instructions on appropriate measurement nouns in accordance with situation. The Study of measurement nouns was different to each scholars, So name was not established in unity, classification system was also diverse. Generally scholars defined measurement nouns to be able to count the number of nouns, and to reveal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noun. Scholars have defined the function of the noun to shows the quantity, have qualify numeral, subdivide the meaning of the target. Analysis textbooks are 6 books, Konkuk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en's University. Targeting vocabulary is index and new vocabulary that is the part of learning vocabul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nkuk University presented the 52 measurement nouns, Kyung Hee University presented the 45 measurement noun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ented the 66 measurement noun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ented the 13 measurement nouns, Yonsei University presented the 40 measurement nouns, Ewha Women's University presented the 40 measurement nouns. Presentation about measurement nouns was different materials for each textbooks. Also One measurement noun was presented different course of each textbooks. Six university textbooks were presented 114 measurement nouns. 53 measurement nouns were presented only once, measurement nouns of presented in Materials six university textbooks were 3. List of measurement nouns that presented in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s total 125, 40 for elementary course, 37 in the middle course, 48 in the high grade course. And list of measurement nouns that presented six university textbooks is 69 for elementary course, 47 in the middle course, 17 in the high grade course. Comparing the list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ix textbooks, not match from the list many more than match from the list. The measurement nouns presented in both lists are the most words in the elementary course, become advanced stage is increased not match from the list. measurement nouns education that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showed simplify activities. measurement nouns education are necessary that learning method utiliz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s of speech. And Beyond the simple activities such as writing activities and memorization, it is necessary that active and systematic learning method. Finally, in this study proposed a learning method with combined form, semantic function, task activity. The teaching methods by combining form, presented education form of a lump, application of the etymology,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education of Segmentation. And the teaching methods by semantic function, presented education according to meaning features, education of semantic field. Finally the teaching methods by task activity, presented change of bound form, the use of reading text, role play games, card games.

      • 박물관의 사회적 소통과 콘텐츠 개발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박유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현대사회는 변화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지식의 지속적인 융합이 이루어지는 시대가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박물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현대 박물관의 기능은 수집에서 경영과 마케팅까지 폭넓게 확대되었다. 또한, 현대 박물관에서는 소통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곧 박물관이 어떠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달하느냐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 박물관의 콘텐츠는 박물관이 관람객들과의 소통을 이루기 위해서 행하는 모든 전시물과 행위 등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박물관의 변화양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변화의 지향점을 학술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 접목을 통해 박물관의 소통 문제와 박물관이 미래지향적으로 나갈 수 있도록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적 연구에 의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방법론을 따랐으며, 분석체계는 선행연구의 분석방법과 분석모형, 분석틀을 참고하여 만들었다. 이를 통해 박물관의 태동배경과 사회적 담론, 이를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박물관의 형태와 특성을 밝혔다. 연구 대상은 운영 주체에 따라 일본군위안부역사관(사립), 독도박물관(공립),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대학)을 선정하여 제도적 관점, 운영의 관점, 소통의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박물관 운영과 소통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본 박물관들의 분석결과, 제도적 관점에서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기존 제도의 저항에 부딪혀 발전적인 모습이 다소 미진하였으며, 독도박물관 또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적 담론이 표출되었으나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은 경영적인 부분의 제도적 뒷받침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박물관 대중문화사업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었다. 운영의 관점에서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관리․운영 전담 조직 및 시설이 미흡하며, 실질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해 있고 독도박물관은 시설과 관리 인력은 다소 좋은 환경이나 학술적 요소가 매우 부진하다.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은 소장품 전문 학예 인력이 불충분하며 전반적으로 박물관 시설의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소통의 관점에서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비슷한 성격의 타 기관에 비해 홍보가 부족한 상태로 역사관만의 상징성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독도박물관은 새로운 홍보통로의 구축으로 박물관 홍보의 좋은 사례가 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이용계층이 한정되어 독도박물관만의 특색 있는 콘텐츠 개발이 매우 미흡하다.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은 내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홍보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편으로 소장자료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을 중점적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각의 박물관들은 사회적 담론을 거쳐 박물관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고 박물관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 등을 갖추어가고 있으나 제도의 고착화라는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근거로서 과거의 콘텐츠와 현재의 콘텐츠가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는 점에서 일단 형성된 제도는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려 한다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제도적 속성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소통과 콘텐츠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지원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앞으로는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이라는 이론적 분석체계를 확대하여 적용하지 못한 특수 박물관을 분석하고, 더욱 많은 분야의 콘텐츠 개발의 지향점을 찾아 새로운 박물관으로서의 실천적인 요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domain and function of modern museum is being expanded management and marketing by communication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ee museums,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Dokdo Museum, Hye Jung Museum (Kyung-Hee University), and analyzed by three aspects,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n terms of operations, the point of view of communication. The aspect of historical institutional,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depending on the resistance of the developmental state was somewhat secluded, Dokdo museum is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resulted in unsatisfactory results. Hye Jung Museum is a museum of popular culture project management issues was conducted inefficient. The aspect of operations,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operation dedicated to the organization and the lack of facilities, Hye Jung Museum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museum facilities. The aspect of communications,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is the necessity of symbolic history, but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content that needs to be created. Dokdo Museum, unique content development is very insufficient. Hye Jung Museum is to promote the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poor service. Each museums are limitations of the institutional framework. Therefore the future museum were given the task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by the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 초급 한국어 교재의 어휘 빈도와 어휘 반복 및 반복 간격에 관한 연구

        조아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문초록 한국어 초급 교재의 어휘 빈도와 어휘 반복 및 반복 간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조아임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초급 교재에 제시된 어휘들이 교재 안에서 얼마나 반복되고 있는지, 그 빈도수는 충분한지 초급 한국어 교재 6종을 분석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어 교육의 외연이 넓어지고 교육의 수요도 증가하면서 다양한 교재의 개발이 활발해졌고, 이에 따라 어휘 교육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교재에서 어휘를 다루는 방식은 한국어 교육 초창기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다. 특히, 한 번 출현한 어휘가 후행 단원에서 몇 번이나 다시 출현하고 적절한 반복 간격을 보이는지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거의 없다. 교재는 가장 중심이 되는 학습 도구이고 체계적인 어휘 학습이 되도록 하는 기본 자료가 된다. 어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자료가 되는 교재 안의 어휘가 잘 학습되도록 구성되어 교재 안에서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Nation(2011), Nagy(1988), Baddeley(1986) 등 여러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휘를 학습하고 그 어휘가 완전히 학습자에게 내재화되기까지는 여러 번의 반복 학습이 필요하다. 특히 반복 학습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 방법으로 초급 교재의 어휘 반복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은 교재에서 효과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어휘를 제시하였는지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떤 어휘가 교재 전체에서 어느 정도의 빈도로 출현하고 최초 출현 후 다른 과에서 얼마나 자주 반복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반복의 간격이 효율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교재에서 어휘의 반복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휘의 빈도수는 충분한지 초급 교재들을 중심으로 이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어휘 빈도와 어휘 반복을 정확히 인지하기 위해서 교재의 본문 뿐 아니라 교재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6종의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오는 실질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 빈도, 반복 횟수, 반복 간격을 정량화하였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이상적 기준으로 설정한 빈도수 6 이상, 반복 횟수 3 이상, 적절한 반복 간격을 고려하여 어휘 반복을 분석하였다. 앞으로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어휘 반복과 반복 간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캠퍼스 경계부 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교류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를 중심으로

        이대준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Nowadays, universities have come out to our general education facility, overcoming past`s education for a few elite clas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after Korean War, with an expansion of capacity of the facilities, universities faces new aspect that the capacity exceeds the student`s supply. University plays a role of educator of the studies for human society, and has to expand the function of cooperative research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enter with its original duty. Kyung-Hee Univ. International Campus, as a second campus, was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the Suwon City. And the situation what the campus stood alone in the initiative construction era has been changing that it faces the city itself In this study, I would focus to diversify university`s original function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ampus and local society through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border configuration plan. And with this, I would find the way guaranteeing the enough spaces can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and the efficient method of the campus`s spaces as the facilities that is going to share with local citizens. So I studied a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tudi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The meaning and function what the university has, is different from each period, and it has changed the function following itself, so I studied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and urban context, and next I studied its architectural form transition. The universities that started as the ‘guild form’ before Renaissance era were on the basis of cities, but had not enough architectural form and its receivers were so poor, too. After Renaissance era, it had been in the city after the recognition that university had an important connection with the city's benefits, also educational studies was executed with deep connection with daily life. The improvement of natural science connected to the university's gigantism and the university had played a role of campus and it's district. Second, after recognizing recent university`s feature and studying its examples I would put them to the base of this plan. Among nowadays university, they have been diversified the function with connection with companies, local society contribution program, and the door opening of university`s resources of life and propert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growth process of each university and the efforts for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I studied the possibility with Kyung-Hee Univ. In domestic examples, choos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and in international examples, chose Enric Miralles`s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 OMA`s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 Fourth, In the basis of the examples before, I recommended the plan on the site around the main gate. And before the zoning plan recommended, I thought that the border development must proceed them, so I plan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hat R&D Cluster needs. The more it clear the border when different thingsmeet each other, they isolated from each other. Universities have been changed by social needs. When we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when we share what I have, the border will collapse and by putting together what we had each it will make a synergy. In this study, by Campus border plan the universities open their resources, located in the middle of local society I tried to promote the chemical synergy between the university and its local society. 오늘날의 대학은 과거 소수의 엘리트 계층의 교육기관이었던 것을 벗어나 일반적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했다. 전후로부터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대학입학정원, 시설의 확충 등 양적으로 팽창해온 대학은 20세기 말에 들어 대학정원이 입학하는 학생의 수를 초과하여 대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학은 국가와 인류사회에 필요한 학문 및 그 응용방법을 교육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산업과의 협력적인 연구활동, 평생교육, 지역사회 중심시설 등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제2캠퍼스로 수원시의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시가지의 확장과 영통신도시의 개발로 인해 개발초기 도시의 외곽에 독립적으로 위치했던 상황이 현재는 도시와 접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경계부 계획을 통해 대학기능의 다변화를 꾀하고 지역사회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와 지역주민들과의 공유하는 시설로서 캠퍼스 공간의 효율적 활용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 대학의 형성과 그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대학이 갖는 의미와 기능은 시대마다 다르며, 그에 따라 기능 또한 변해왔다. 대학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과 사회적, 도시적 관계를 살펴본 후, 그 건축적 형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현대 종합대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례를 연구하여 계획의 토대로 삼는다. 오늘날의 대학은 단순히 교육 · 연구의 기능에서 벗어나 산업체와의 연계, 지역사회 공헌프로그램, 대학의 인적, 물적자원 및 시설의 개방 등으로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국내외 대학의 성장과정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연계를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국내사례로는 서울시내 소재의 대학을 선정하여 지역개방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배치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계지 개발유형으로 지하개발과 담장개방 사례를 조사하였다. 해외사례로는 Enric Miralles의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와 OMA의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를 조사하였다. 넷째, 위에서 고찰된 건축적 내용들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정문 주변부지를 대상지로 삼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마스터플랜에서 제시된 권역별 개발계획에 앞서 정문주변의 경계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지역주민 공유 프로그램과 학생편의시설, 그리고 R&D Cluster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서로 복합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경계가 분명 할수록 대학은 고립되며 캠퍼스 개발은 대학 내의 활동이 외부로 파급되고, 지역사회의 요구와 관심이 내부로 도입되는 형태로 행해져야 한다. 이와 함께 대학시설의 적극적인 개방과 아울러 주변지역이 갖고 있는 시설과의 네크워크가 필요하다. 필요성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국내의 많은 대학이 캠퍼스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개발을 하고 있으며, 대학 내의 지역사회 공유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경계부분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기능이 변함에 따른 요구 공간의 면적과 개별공간의 크기도 달라지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 대학기숙사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우효진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대학인구의 도시 집중화 및 외국 유학생의 증가 등으로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대학에서 생활해야 하는 학생들과 원룸 전·월세값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여건의 어려움 등으로 기숙사 이용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비싼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커진 대학생들은 학교 주변 원룸이나 하숙집, 자취방 등을 막론하고 거주비용까지 상승한 탓에 삼중고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더구나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꺾일 줄 모르고 확산되고 있는 ‘전세대란’의 여파가 대학가까지 미처 학교 주변에는 전세물량이 줄어들고, 월세마져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높은 전·월세금에 부담을 느끼는 대학생들이 학교 기숙사로 몰리면서 ‘입실전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기숙사 수용시설은 부족해 대기자가 넘쳐난다. 대학기숙사는 학생들에게 잠자리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공간의 연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기숙사 거주는 사용자의 요구와 행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대학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국내 대학기숙사는 단순숙식 기능 외에는 큰 의미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나 최근 들어 국내 대학에서도 외국대학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시설과 편의시설을 도입하고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시설들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대학기숙사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대학 기숙사를 대학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학기숙사는 각기 다른 문화, 계층,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로써 숙박, 문화교류, 정보전달 및 스포츠, 레저 등 다양하고 복잡한 시설을 갖춘 커뮤니티의 장으로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다기능적인 대학기숙사 건축계획이 요구됨에 따라 대학기숙사에 관한 건축 계획적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 에서는 앞으로 대학기숙사 시설을 개선하고 확충하며 만족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분석, 비교하여 연구해 보았다. 특히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에는 노후 된 구 기숙사와 최근 신축된 신 기숙사가 있어 연구하기에 적합하였다. 구 기숙사의 경우에 침실은 거주인원이 많아서, 독서실과 식당은 불편한 가구, 세탁실은 세탁기수 부족, 휴게실은 삭막한 환경을 불편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 비용은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편이었다. 신 기숙사의 경우에는 침실은 가구 불편, 화장실은 좁아서, 독서실은 소음, 세탁실은 세탁기수 부족, 식당과 휴게실은 위치를 불편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 비용은 과다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기숙사 비용에 대한 생각은 성별과 전공을 제외하고 소속 기숙사, 거주기간, 학년 별로 차이를 보였다. 침실의 경우 방음부분을 제일 개선해야 하며, 화장실과 실내운동시설은 면적, 세탁실은 위치, 독서실은 난방, 휴게실과 식당은 방음부분에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듯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은 방음 부분인데 이는 개인공간확보가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의 생각과 느낌이 반영된 결과였다. 구 기숙사와 신 기숙사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침실 만족도에서 평균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식당이나 독서실에서 만족도 차이가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개인실 사용 목적이 주로 취침이기 때문에 침실의 면적이나 난방 및 방음이 구 기숙사 일수록 노후화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응답자들의 불만이 나타난 결과이다. 반면 식당은 시설보다는 음식의 맛과 질이 만족도에서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독서실은 기숙사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전체 학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므로 만족도에서 별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이 분석한 내용들은 구기숙사와 신기숙사의 문제점 해결 방안 마련과 기숙사 시설이 노후 되었다고 하여 무조건 신축을 할 수 없는 현실에 대처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11년 건설경기 연착륙을 위한 ‘5·1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국립대 기숙사 BTL을 재추진하기로 하면서 구체적인 물량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립대 기숙사 BTL은 지난 2008년 이후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경희대학교 등 일부 사립대학이 BTL을 추진했지만 국립대 기숙사에 대한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부는 현재 국립대 기숙사 BTL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총 14개교 가량을 정부 단위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이렇게 적절한 시기에 좀 더 기숙사의 단점을 보완한 실용적인 대학기숙사들이 신축되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With the urban concentration of university population, the increase of foreign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have to live far away from their home, and the financial difficulty following the rise of rental costs, the demand for the university dormitory is increasing. The students who have to go through the financial burden due to the soaring tuition and price are suffering from the triple distress because the rental cost is increased regardless of a studio apartment or a lodging house around the school. Moreover, the aftermath of the untiring 'rental crisi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is having influences around the university town and the number of rental nearby the school has been decreased while the monthly rental fee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the students who felt pressure for the high rental costs have rushed into the school dormitory the school is now facing the ‘admission battle’ and a number of students have to be on the waiting list as the accommodation is insufficient to house them all. The university dormitory has to function as an extended educational space to provide the positive value system as well as offering the bed for the students. Therefore, while the dormitory must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types of the users, it ultimately has to be planned in the direct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t is true that the local university dormitory only had a simple meaning of providing the function of accommodation but recently it started to introduce a wide range of services, convenient facilities, and facilities well-matching with the information era like the foreign universities. It is showing different types of programs which enhanc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is actively trying to utilize the dormitory as an important element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hool. The university dormitory is a facility used by many and unspecified individuals who have different culture, position, and life patterns. It is gaining its reputation over time as a community space with diverse and complicated facilities for accommodation, cultural exchange, information, sports, and leisure. Compared to the demand for a systematic and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plan in order to implement the role efficiently, the constructional planned data of the university dormitory is noticeably scarc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Kyunghee University Seoul Campus in an effort to improve and expand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increas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Campus was an ideal location because study because it had an over 20-year old dormitory and a less than 6-year new dormitory. The old dormitory had many residents and was unclean. The students answered inconvenient furniture in the library, inconvenient furniture in the cafeteria, shortag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laundry room, and desolate ambiance of the lounge as the most inconvenient items, whereas they answered the dormitory cost was appropriate. The students in the new dormitory answered inconvenient furniture in the bedroom, narrow toilet, noise in the library, location of the cafeteria, shortag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laundry room, and location of the lounge as the most inconvenient items. A majority of the students answered the dormitory cost was too expensive. The answers on the dormitory cost showed a difference in each dormitory, residential term, and school year except for the gender and major. The common response in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close to the average. Samuiwon was close to dissatisfaction whereas the high number of the subjects answered satisfaction in Sehwawon. Improvements required in the bedroom was the noise, while the toilet was the area, laundry room was the location, library was heating, lounge and cafeteria was the noise, and indoor sports facilities were the area. The results showed the item which had the lowest satisfaction was the noise. It fully reflected the thoughts and opinions of the subjects who considered the lack of the private space was the biggest problem. The comparison between the old dormitory and the new dormitory showed that the bedroom satisfaction had the biggest average difference while there was almost no satisfaction difference in the cafeteria and library. It implies that there was more complaints against the worse area, heating, or noise in the bedroom in the old dormitory because the main objective of the private room was for sleeping. On the contrary,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take the quality, taste, and quantity of the food as a priority rather than the facility in the cafeteria. The library had no remarkable satisfaction difference since it was not only used by the dormitory but also by the school. The analysis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provide the solutions for the old and the new dormitories and have a plan for the reality in which it is difficult to build a new dormitory just because the building is too old. After the government announced to repromote the dormitory BTL at the national university as a part of '5.1 measures' for a soft landing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people are paying attention on the specific quantity. The dormitory BTL at the national university has actually been vanished since 2008. Some of private school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promoted BTL but there was no investment in the national university dormitory. The government divided the present dormitory BTL at the national university into 5 regions in 2011 present, and is taking about 14 schools into consideration to promote as government business units. It is necessary to build new practical university dormitories that supplemented the shortcomings of the building in this due course.

      •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

        김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use of the actual problems experienced by humanities learners in the social field is the absence of legal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a method of spreading creations through various media. As a result, Schools that have incorporated practical studies into their major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ve increased. The humanities must combine protective measures for self-sustaining growth. In this study, to protect the humanities themselves and thereby be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field, we will speak with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legal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Chapter II reviewed law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is is to check whether certain laws and regulations can affect humanities learning and utilization. The Constitu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r law, reviewed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confirmed laws that stipulate them in detail. The scope of research was narrowed by defi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opyright law and presenting sub-laws and grounds. Subsequently, whether there are cases requiring legal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sted by case. By examining cases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unfair practices in society in general, and whether AI'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future problem, the problem wa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cial expression consciousness and new issu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inally, to confirm the case on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cases are ‘The Cloud Bread Case’ and ‘IMWONGYEONGJEJIl Judgment’, which is a case in which fairy tale writer Baek Hee-na was not recognized for secondary copyright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publishers. Not only the rights of creators but also the rights of publishers were treated as an issue, raising awareness for both sides. The ‘IMWONGYEONGJEJI Judgment’ did not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that was recently commissioned and marked IMWONGYEONGJEJI, which confirmed the court's awareness of the classical data. In addition, the evidence was reinforced through actual lecture case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unseling also continued to increase, emphasizing its necessity. Chapter III examined whether leg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At this time, each departm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produce creations using specific media'.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of each law subject was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and Literature at Columbia University abroad.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 of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 Korea is similar, it is expected that the scope of learning will b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literature and law in Korea.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Media at Kyung Hee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Arts Management at Hongik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Cont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e opening of law-related subjects. Along with the above curriculum, we reviewed how the law school teaches copyright law and how other humanities departments educate legal systems. Based on this, Chapter IV proposed legal education as a single subject and a convergence subject. The single subject allowed them to understand copyright law in depth and access various cases, and the convergence subject allowed them to be familiar with copyright laws that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rough actual copyright registration and mock trial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horizon of humanities, includ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humanities took the lead in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several problem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In order for authors to be more active than before, they judged that they needed a means to accurately identify their rights to work and protect their creation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intended to prevent unfair demands in advanc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criteria for rights. This study aims to take the first step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uch legal education is absent and insisting on the necessity.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는 인문학 학습자들이 사회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의 원인을 법제 교육의 부재로 보고 인문학 계열, 특히, 국어국문학에서의 법제 교육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거 국어국문학과에서 순수 문학과 어학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물을 확산시키는 방식도 함께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내에 실용 학문을 전공 선택 과목으로 편입시키는 학교가 늘었다. 문화콘텐츠학과 디지털 인문학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학은 자생을 위해 보호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문학 스스로를 보호하고, 그로써 산업 현장의 선두에까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첫걸음을 국어국문학의 범위에서 말하고자 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법령 지식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인문학과 관련된 법령을 검토했다. 특정 법령이 인문학 학습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상위법에 해당하는 헌법에서 학문의 자유 및 언론·출판의 자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하고 있는 법률을 확인했다. 법률 중에서 인문학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저작권법을 살핌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저작권법임을 상세하게 서술했다. 그리고 저작권법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지식재산권을 정의하고 하위 법률 및 근거 조항을 제시하여 연구 범위를 좁혔다. 이어서 해당 연구 범위 내 법령 지식 필요 사례가 있는지 사회적 분위기에 비추어 판례별로 열거했다. 크게 나누어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사례와 사회 일반의 불공정 관행, 미래 문제로 AI의 저작권 인정 여부를 살핌으로써 사회적인 표현 의식,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과 함께 개인의 저작권 의식의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를 인식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인 국어국문학에 한정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가장 핵심적인 케이스로 ‘구름빵 사건’과 ‘임원경제지 판결’이 있다, ‘구름빵 사건’은 동화 작가 백희나가 출판사와의 부당한 계약으로 2차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한 사건이다. 창작자의 권리뿐 아니라 출판사 쪽의 권리에 대해서도 쟁점으로 다루어져, 양쪽 모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원경제지 판결’은 최근 『임원경제지』를 교감·표점한 고전 번역본의 저작권을 인정해 주지 않은 것으로, 법원의 고전 자료에 대한 저작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실제 강의 사례와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근거를 보강했다. 저작권 관련 상담 현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국문학과를 비롯하여 인문·사회 계열에서 법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사례와 국외 사례를 나누어 검토했다. 이때 각 학과는 ‘특정 매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했다. 국내의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국외 컬럼비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각 법 과목 개설이 확인되어 유의미했다. 미국에서의 영어영문학과와 국내의 국어국문학과의 입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 또한 문학과 법을 활용하여 학문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에서도 법과 유관한 과목 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교육이 불필요한 것이 아님을 현장 사례와 국내외 대학의 과목 개설을 통해 확인하고, 인문학의 수요 증가로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증가하며 그 보호 수단으로 법제를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본고에서 보이고자 한다. 기계적으로 법제를 교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의 형태로 장기 프로젝트에 학생 및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저작물이나 연구 성과물을 본인이 스스로 창작하고, 그에 대해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장에 나아가서도 정당하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과 동시에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줄 것이다. 위의 교육 과정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떻게 저작권법을 교육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인문 계열 학부에서 어떻게 법제를 교육하고 있는지를 위와 같이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단독 교과로서의 법제 교육과 융합 교과로써의 법제 교육 방법을 나누어 제안했다. 단독 교과는 보다 깊이 있게 저작권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융합 교과는 실제 저작권 등록과 모의재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국어국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계열의 학문들이 그 학문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문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인문학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생산할 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았다. 이전보다 활발하게 저작자들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작물을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반대로는, 권리의 기준을 알지 못하여 부당한 요구를 하게 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법제 교육이 부재하는 현재 상황의 문제를 지적하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 경영대학 학생의 성별 및 연령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및 책임경영교육(RME)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솔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경영대학 학생의 인구학적 특성이 학생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및 책임경영교육(RME: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생의 성별 및 연령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및 책임경영교육(RME)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미래 리더를 양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므로 경영대학이 그들의 책임경영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어떻게 해야 할지는 중요한 이슈가 되어 왔다. 특히 학생은 경영대학에서 매우 중요한 이해관계자이기 때문에 경영대학 책임경영교육에 관한 그들의 태도와 의견을 수렴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책임경영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경희대학교 책임경영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책임경영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정성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학생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태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태도를 포괄적으로 평가하였다. 경영학과 학생의 연령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연령을 세대별로 구분해서 분석할 경우 X세대의 학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자만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는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생의 연령을 연속형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할 경우 학위 및 직장경험을 통제할 때 경영학과 학생의 연령 많을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경영대학 학생의 태도에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의 연령에 따라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희대학 학생의 성별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와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독립표본검정(Independent samples-T test)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성별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학 경영학과 학생의 현황을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추가적으로 경희대학 학생의 여성성 성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 사이의 관계도 탐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여 경희대학 학생의 여성성 성향이 높을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경영대학 학생의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UN PRME(PRME: Principl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에 2009년부터 가입하여 이를 실천해온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설문조사를 함으로 연구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경희대학 책임경영교육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제한을 할 수 있다. 세대별 맞춤식의 책임경영 교육 방법론을 개발 필요가 있다. 또한 책임경영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교과과정에 ‘공동체지향성’, ‘환경 생태적 지향’, ‘사회적 참여성향’, ‘정신적 가치 지향 성향’ 등 학생의 여성성적 인성가치를 함께 개발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학생만 조사했는데 앞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한 다른 대학 학생의 태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생뿐만 아니라 다른 이해관계자 특히 기업리더의 의견도 중요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경영교육에 대해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점검하고 그들의 조언을 책임경영교육에 포함시켜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tudents' gender and age on their attitudes towa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R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responsibility management education in Kyung Hee Univers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responsibility management educatio, 294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who are studing in Kyung Hee University were collected. Using these data, this paper analyze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and verified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students were divided into generations, Generation X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s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s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When the age of students was set as continuous variab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ge of student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ility management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gender and their attitudes towa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this study used the method of t test of independent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of student an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ility management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business students in Kyung Hee University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ininity orientation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was investigated also.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show higher degree of femininity orientation are more positiv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of responsibility management of Kyung Hee University,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ge of students and the degree of students’ femininity orientation to divide the students and carry out differentiated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ents of Kyung Hee Universit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educ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ility management in general. This means that university should constantly improve the quality of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and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students.

      •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확충 계획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벤처콤플렉스 계획안

        김기홍 慶熙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에서 제시된 계획을 전제로 하여 벤처 콤플렉스에 관한 건축설계안을 제시해 봄으로써 향후 보다 발전적인 계획 및 설계안의 작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에는 이러한 기존 공간 구성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어나가지 않으면 안될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첫째는, 캠퍼스 정문을 마주하고서 개발된 인구 10만의 영통 신도시가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게 됨에 따라 캠퍼스 내의 시설을 지역주민과 공유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대학 내의 연구 및 실험공간을 창업지원 공간으로 활용하는등 지역 산업체와 대학의 연구기능간의 연계가 긴밀해 지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교육체제가 학부제로 개편됨에 따라 교육 및 연구공간이 보다 유연하게 사용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경희대학교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벤처 콤플렉스라는 복합 건물군에 관한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 이 건물에는 기존 캠퍼스의 연장이라 할 수 있는 교육 연구시설, 지역 주민과 공유하는 상업 및 서비스 시설, 산학협동을 위한 임대형 벤처 센터등 서로 다른 기능이 복합되어 있으며, 현재의 정문 근처에 자리잡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벤처 콤플렉스 건물을 계기로 하여 기존의 폐쇄적이고 경직된 대학캠퍼스의 전체 구조가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쪽으로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고려하였으며, 둘째는 사용주체들이 다르고, 프로그램의 성격이 달라 각각의 고유한 성격을 갖는 벤처 센터, 교육·연구시설, 그리고 상업·서비스 시설등을 계획 부지의 특성에 맞추어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주어진 벤처 콤플렉스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기능과 활동에 따른 요구공간분석을 하여, 기능간 연계분석을 하였다. 이에 경희대 수원캠퍼스에 대한 부지분석을 더해서 배치계획의 대안을 계획했으며, 이러한 과정에 의한 벤처센터 및 교육·연구동 기본 설계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성장으로 인한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와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있어 대전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에서 공대로부터 나오는 교육시설의 확장방향성을 고려하여 교육·연구시설 부분을 대학캠퍼스 내부의 시작부분으로 둔다. 이에 따라, 정문은 이 교육영역의 확장 방향에 일치하는 부분에 두면서 대학캠퍼스를 상징하도록 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와 제일 가깝게 면하고 있는 대로변의 대학캠퍼스 부분에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연계를 위해 벤처센터와 상업·서비스 시설을 주어 도시구조를 적극적으로 캠퍼스 내에 일부분 끌어들인다. 셋째, 이 두영역의 중간에 완충영역을 두어 두 성격이 다른 시설의 이질감을 극복하도록 하는 완충영역의 방향성을 준다. 이러한 대전제를 바탕으로 한 계획안의 개념에서 본 프로그램은 기존 대학캠퍼스의 영역을 확장하여 지역사회와의 연계 고려가 부족한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를 벤처센터, 부족한 연구·강의시설, 지역주민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시와 가장 긴밀히 면한 대학교 정문을 포함한 일부를 주어진 프로그램에서 각 사용주체가 다른 시설들의 분리·통합이 조화를 이룬 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산학협동을 고려한 벤처센터, 대학캠퍼스에 부족한 강의·연구실, 지역 주민 편의시설의 커다란 세가지 시설군을 학생과 벤처센터 이용자, 지역주민으로 수평적 관계로서 서로 다른 이용주체들이 각각의 시설을 이용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전체 계획이 통합적으로 연계되도록 Deck, 아케이드, 아트리움, 선큰, 중정, 도시정보센터 등 여러 공적 장소들에서 다양한 접촉과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대학캠퍼스가 지역사회와의 만남이라는 명제 하에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지하도에서 바로 연결된 지하공간은 도시 속 시설인 아케이드와 다목적 극장을 넣어줌으로서 전체가 하나로 통합된 지역의 활발한 코뮤니티 장소로서 구성되도록 하였다. 대지의 특성상 대학과 도시를 연결하는 진입부를 구성하여, 건물의 일부 매스 자체가 캠퍼스 정문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경사지를 이용한 Deck구성이 대지의 레벨차를 극복하여 다양한 공간을 이어주도록 하였다. 지역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는 캠퍼스 건축으로서의 이번 계획안은 정문일대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풍부한 건축형태와 공간을 통하여 캠퍼스 진입부의 성격을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것으로서 벤처센터의 디자인 진행은 기존 연구소 건물의 공간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캠퍼스 내 필요 시설들과 연계 사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주민들을 위하여 (전자)도서관을 두어 캠퍼스배후 도시의 급격한 성장을

      • 대학생협의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우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협의 생성, 발전과정을 통해 대학생협이 처해 있는 위기요소를 분석하여 적절한 위기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소비자생활협동조합(경희대학교 생협) 사례연구를 통해 위기관리 전략을 탐색하였다. 그동안 대학생협에 대한 위기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특히 위기관리 이론을 적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연구자료는 학생회와 생협 문서, 학교 신문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정보제공자로부터 얻은 구술자료를 통해 핵심적인 정보를 얻었으며 타 대학을 방문해 얻은 현장 중심 자료를 보조적으로 활용했다. 경희대학교 생협은 학생회 복지 담당부서(인복위)의 실무 과중, 전문적 복지 기구의 필요성 등의 이유로 2003년 설립되었다. 생협은 인복위가 담당했던 사업을 토대로 사업을 확장해 나갔으며 학생식당을 직영으로 운영하면서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그렇지만 현재 경희대학교 생협은 조직에 위험 요소를 안고 있었는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문헌을 검토해 4가지 분석틀(구성원 복지향상, 민주적 운영, 사업의 영역, 외부환경)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영역에서 모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운영, 구성원들의 인식, 사업의 참여도 등 내부적인 위험 요소가 드러났다. 또한 대학과의 소통이 부족하며 무엇보다 대학 내 상업시설의 유치에 따른 경쟁요소도 등장하였다. 대학생협은 적극적인 위기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미트로프의 위기관리 5단계 모델에 적용시켜 이론을 검증하였다. 현재 대학생협은 ‘대비와 예방’ 과정이 필요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협은 학생위원회 활동 적극화, 새로운 사업 영역 확장,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홍보활동 강화 등의 방안을 추진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대학생협은 이러한 적극적인 위기관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university coopera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isk factors they are facing and establish appropriate risk management strategies. This research explores risk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Cooperative of Kyunghee University((hereinafter KHU COOP). There has been only a little research on the crisis university cooperatives are confronting, and risk management theory has hardly been applied to such studies. KHU COOP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case study because it has taken charge of substantial portion of student welfare businesses, and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has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There is also abundant data related to the subject. Necessary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via white papers written by the KHU student association, documents released by KHU COOP, and university newspaper. Core information was acquired through verbal data from 10 information providers. In addition, supplementary information collected by visiting five universities including KHU was utilized. KHU COOP was established in 2003 against the backdrop that a student welfare body in the student association (Student Welfare Committee, SWC) was facing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lots of work, a specialized operational entity was needed to cope with changing student welfare environment, and the possibility of university cooperatives as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as widen. KHU COOP has expanded its businesses based on projects formally led by SWC such as managing university stores and vending machines, providing buses for the Chuseock holiday, and granting scholarships to student. It also took over a medical cooperative previously managed by the university and has directly managed school cafeterias once run by large enterprises, drawing positive responses from students. The increase of cooperative’s members and sales have backed its stable growth. Also, the fact that the university has not been active in attracting commercial facilities contributed to a student welfare model centering on KHU COOP to take root . Meanwhile,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has taken place in earnest among private universities seeking way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because government subsidies and donations were insufficient. As government policies also guarantees profit-making businesses in universities, universities have actively used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including student welfare stores for profit. The interview with information source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Some claimed that commercial facilities are inevitable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nd can provide quality services. Others pointed out that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will ultimately burden students and the quality of welfare will deteriorate. University cooperatives have directly affected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trend, facing shrank businesses and decreased profit to name a few. The cooperative of Sejong University was even disbanded in February, 2015 due to the trend. KHU COOP also worries real threats posed by newly established commercial facilities . University cooperatives are required to improve awareness of members of universities, develop new business areas, seek a democratic operation by cooperative members, and encourage student membe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