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호강~형산강 유역 원삼국~삼국시대 철기의 屍臺 부장양상과 수장묘의 매장의례

        장기명(Ki myeong Jang)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5 No.-

        이 글은 금호강~형산강 유역에서 원삼국~삼국시대에 존재한 수장묘 중에서 철기를 屍臺로 부장한 분묘에 주목해 그 매장의례를 복원하고 사회적, 문화적 축조배경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분묘에서 철기가 깔린 범위에 따라 시신 범위에만 배치된 것과 시신 범위에 더해 목관 범위까지 배치된 것으로 구분하고 전자는 시대 부장, 후자는 목관-시대 부장으로 설정한다. 철기의 시대 부장정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적 현상이 추출됨을 알 수 있다. 첫째, 모든 철기의 시대 부장은 대체로 단위 지구 내 중심 고분군의 상위 위계 분묘에 한정돼 확인된다. 둘째, 두 유형의 철기 시대는 기존에 인식되듯 목관 아래 혹은 저판 바닥에 단순히 깐 것이 아니라 그 공간 구성에서 피장자 및 부장공간을 세부적으로 분할한 기획성이 간취된다. 셋째, 시대 부장과 목관-시대 부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철기 구성과 부장 규모 면에서 후자가 전자에 비해 탁월한 양상을 띤다. 분석 자료의 지리적 범위에 따라 경산지역, 경주지역, 중산리-남성리 지구로 공시적으로 분류하는 한편, 통시적으로 세 단계로 나누어 분포정형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사라리 130호묘를 모델로 철기 시대 매장의례를 복원해 보았고 시기별 존재양태에 따른 축조배경을 추론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철기 시대 분묘는 낙랑군 설치 전후에 즈음해 정형화된 모습으로 출현하는데 이는 영남지방에서 초기 철기의 유입 및 재지화를 기반으로 철기 시대라는 매장의례가 형성될 만큼 철기 문화가 발전했음이 전제된다. 서기전 1세기 대까지 그 분포가 경산지역과 경주지역에 한정돼 금호강~형산강 유역에 입지한 진한 내 수장묘 간의 배타적이고 특수한 관계망으로 판단된다. 서기후 1세기 후엽에 조영된 사라리 130호묘를 기점으로 철기의 목관-시대 부장이 나타나며 이후 3세기 대부터 철기 시대 매장의례의 위계적 분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변화의 중심지로 경주-중산리-남성리권역이 대두되며 그 기저에는 사로국의 지배 세력이 문화적, 이념적 이데올로기 차원에서 철기 목관-시대를 최상위 위계, 철기 시대를 상위 위계로 차별적으로 적용한 배경이 있다. 삼국시대에 접어들어 철기 시대 분묘는 부장 규모가 규격화되거나 변모된 형태가 나타나면서 더 이상 수장묘의 지위를 유지하지 못함에 따라 분묘 매장의례의 위계 재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his article, paying attention to the chief tombs where ironware was buried along with the body from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area between Keumho River and Hyoungsan River, is to revive their burial rituals and to examine social and cultural ground of their construction. The examination of Ironware Burial with Body has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conditions. First, it has been found to be generally limited to the tombs of upper-class people within a unit area. Second, as conventionally recognized, there seems to be a design that the ironware was not simply buried under the wooden coffin or on its bottom but the spaces for the dead body and the burial goods were thoroughly partitioned. Third, the latter was found to show a superior aspect in terms of ironware composition and burial scale. It is thought that those chief tombs in the area of Jinhan which was between Keumho River and Hyoungsan River had closed and special network since its distribution had been limited to Gyoungsan and Gyoungju areas until the first century BC. The latter began to be seen from the time of constructing 130 Sarari Tomb, and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of the burial rituals was made regularly from the 3rd century. Gyoungju- Jungsanri-Namsungri Area come to the fore as a center of these changes, on the base of which underlies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idea that the ruling power of Saro Kingdom consistently displayed their identity through ironware burial rituals. By the time of Three Kingdoms Period, the burial scale of the former was standardized and consequently the status of sea-burial couldn’t be maintained, which must have lead to the reconstituted hierarchy of burial rituals.

      • KCI등재

        신라 왕경의 조성 원리와 운영체계

        장기명(Jang, Ki Myeong)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8

        본고는 신라 왕경의 핵심 요소가 종교 공간과 정치·행정 공간으로 구성된다는 전제 하에 경주 중앙분지 고지형과시기별로 변화된 주요 유적을 분석하였다. 왕경 구조는 주어진 지형 조건을 극복해 도시 개발되고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치, 이념적 요소가 도입됨으로써 신라 핵심 세력이 왕경 계획에 시기별로 추구한 조성 원리와 운영체계를 추적해 볼 수 있었다. 중앙분지 고지형은 용천천과 습지가 토지 활용의 저해 요소로 작용하였지만, 대규모 인구 집주가 가능한 넓은 대지를 지니고 경주 전역의 교통 결절지로서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종교 거점은 시기별로 고총군 → 거대 사찰, 왕묘 → 국가 제의 건물지로 변화되었으며, 정치·행정 중심지는 월성을 위시한 왕궁 구조가 점차 확장되어 왕궁(월성 정궁, 동궁, 남궁) + 이궁(북궁)의 궁성체계가 확립되었다. 왕경의 중앙 거점과 경계지대에 위치했던 정치·행정공간과 종교 공간은 도로와 담장에 의해 연결되고 구분되면서 왕경 개발이 진행되었다. 삼국 통일 이후, 왕경 계획에는원지를 포함한 금입택도 일정 비중을 차지해 나갔고, 왕경 범위 또한 지형 경계를 넘어 확장 일변도로 가속화됨에 따라무분별한 개발과 재편이 반복된다. 왕경 경관에는 신라 핵심 세력의 도시 개발 방식과 지배 이데올로기가 복합적으로 구현되었다. 마립간기에는 용천천과 습지를 피해 기초 거점인 월성과 월성북고분군을 축조함으로써 마립간과 6부 세력이 국정 운영을 하기 위한 도시기반 시설을 구축하였고 재지적 이데올로기를 통해 갈등 요인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였다. 중고기에 들어 본격적으로 진행된 도시 개발은 거대 사찰과 왕묘를 외곽 거점의 기준 표지물로 구획하였고, 월성 왕궁은 유기적인 도로망과 연결되어 왕경 남편에 치우친 위치적 한계를 보완하도록 확장되었다. 이런 왕경 계획의 설계는 중앙분지의 고지형 조건을 극복하여 왕경을 전면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책이었으며, 그러한 기획적 추진의 배경에는 신성 왕권과 결합된 불교 이데올로기가 뒷받침되고 있었다. The landscape of Wanggyeong reflects the city development methods and the ruling ideology of the Silla elites. During the Maripgan period, the Silla elites have constructed Wolseong and Wolseongbuk tomb complex. This was an effort to form an urban infrastructure for the Maripgan and the six-Bu to govern, while it also assisted to seal internal conflicts via traditional ideology. By the mid-ancient period, the urban development of Silla intensified, setting large Buddhist temples and royal tombs as standardized landmarks for the key areas of the Wanggyeong border, and connecting the Wolseong palace with systematically constructed road networks to compensate its drawback of being located close to the southern border of Wanggyeong. This planning of Wanggyeong development was mainly focused on conducting a full-scale development on the area by overcoming the paleogeographic condition, and this plan was supported by Buddhist ideology combined with the idea of the divinity of the crown. After the mid-ancient period, Silla elites have renewed their governing system by adopting Chinese governing systems and Confucian ideology. Concurrently, they officialized the structure of the royal palace, which had been previously formed, constructed a separate administrative central point (Bukgung), and set major temples, royal tombs, and national ritual structures as preemptive symbols of peripheral developments. The Silla elites have attempted to carry out practical land use through such projects. However, Geumiptaeks with artificial ponds has caused the declination of the Bangri system by causing uncontrolled development,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stimulated the expansion of the Wanggyeong.

      • KCI등재

        활성화된 설치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선일,김형진,기명,배현옥,윤용갑,정헌택,김윤철,Jang Seon-Il,Kim Hyeong-Jin,Hwang Ki-Myeong,Pae Hyeon-Ok,Yun Yong-Gap,Chung Heon-Taek,Kim Yun-Cheol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2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0 No.2

        Th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Radex Angelica uchiyamana, on LPS- or IFN- plus LPS-induced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and expression of iNOS and COX-2 were investigated in the activated RAW 264.7 cells. This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and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how that ethanol extract of Radex Angelica uchiyamana may explain some known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s of considerable benefit in the treatment for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overproduction related immunological diseas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