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의 중심화 정도가 팀원의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임규연 ( Kyu Yon Lim ),김예진 ( Ye Jin Kim ),김희준 ( Hee Joo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의 패턴인 중심화가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총 68명의 학습자들이 7개의 팀에 무선할당 되어 4주간 웹기반 협력학습을 진행하였으며,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중심화가 높은 그룹 3팀과 낮은 그룹 3팀이 선별되었다. 중심화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성취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간 공유정신모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만족도와 성취도의 경우 중심화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이는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자가 있을 때 만족도와 성취도가 높아진다는 의미이며, 협력학습의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ntralization on shared mental mode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ix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7 groups and they participated in a 4-week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hree highly centralized teams and three less centralized team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investigating whether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hared mental mode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ntral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ared mental model between the highly and less centralized teams. However, the highly centralized teams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an the less centralized teams.

      • KCI등재
      • KCI등재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및 팀 성과 탐색

        임규연(Lim Kyu Yon),박효선(Park Hyo sun),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본 연구는 웹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팀 성과를 향 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써 스캐폴딩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 지 유형의 스캐폴딩을 제공한 후 팀의 상호작용 패턴(밀도와 중심화) 및 팀 성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하였으며, A대학교 학부생 148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웹기 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교수설계안을 개발하는 문제를 부여 받았으며, 각 팀은 3-5명의 학습자들로 무선 할당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3주 동 안의 온라인 활동에 모두 참여한 총 13팀(지원적 스캐폴딩 6팀, 성찰적 스캐폴딩 7 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유형별 스캐폴딩은 온라인 게시판을 통하 여 2주에 걸쳐 2회 제공되었으며, 3주간의 학습이 모두 종료된 후 팀 별 상호작용 패턴 및 팀 성과를 측정하였다.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스캐폴딩 유형별로 상호작용 패턴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팀 성과의 경우에는 지원적 스캐폴 딩을 받은 집단이 성찰적 스캐폴딩을 받은 집단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 호작용 및 팀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scaffolding as a strategy to facilitate interaction and enhance team performance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3-week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as implemented with online activities in an undergraduate-level course, and,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on interaction patterns and team performance were analyzed. Participants were 148 student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outh Korea, and asked to solve the given problem of designing a lesson pla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s with 3-5 students, and then each group was assigned to two conditions: supportive scaffolding and reflective scaffolding. Data from 13 groups (6 groups with supportive scaffolding, 7 groups with reflective scaffolding) who participated in the entire 3-week online activit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Each scaffolding was provided two times with an online board throughout two weeks. After 3-week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nteraction patterns and team performance of each team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results analyz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patterns of interaction by scaffolding typ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conditions. Also, the team performance of the group with supportive scaffold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reflective scaffolding. Based upon the findings, strategies to foster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team performance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평생교육환경에서 인지적흥미와 학습자역할몰입의 조절효과

        임규연(Kyu Yon LIM),은주희(Ju Hui EUN),박민정(Min Jeong PARK)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요인과 학습지속의지 간 관계를 인지적흥미와 학습자역 할몰입이 조절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지속의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환경 맥락에서의 학습자 특성과 학습 상황 및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환경의 교수-학습상황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인지적흥미, 그리고 다양한 역할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요인으로서 학습자역할몰입에 주목하였다. 이를위해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 10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인지적흥미와 학습자역할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적흥미는 자기결정성 요인 중 유능감과 학습지 속의지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적흥미와 유능감은 대립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인지적흥미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능감이 학습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약하게 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역할몰입은 자기결정성 요인 중 유능감, 관계성과 학습지속의지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대립적인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인지적흥미 및 학습자역할몰입이 학습지속의지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자기결정성 요인이 학습지속의지를 예측하더라도 인지적흥미 및 학습자역할몰입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그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평생교육 학습자가 인지적흥미를 느낄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학습자로서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의 인지적흥미는 새로움, 도전, 탐구의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interest and learner rol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etermination factor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were 101 learners enroll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certificates for specific job skills, an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earner's cognitive interes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with antagonistic interaction effec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interest, the les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mpetence on learning persistence. Also, learner role commit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related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 had also antagonistic interaction effec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learner role commitment, the les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mpetence on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and instructor should consider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 strategies which can enhance cognitive interest(such as novelty, challenge, exploration intention). The results also imply that strategies to facilitate learners to perceive the identities as learners are required.

      • KCI등재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차이

        임규연 ( Kyu Yon Lim ),김주연 ( Joo Yeun Kim ),김혜준 ( Hae June Kim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 내용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 메시지를 Poole과 Holmes(1995)가 제시한 문제해결 기능에 따라 6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Content Analysis)하였다. 그 후 그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문제해결 단계로 재분류하여 내용을 패턴화하였다. 집단별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 모두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분석(PA) 패턴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안 도출(SD)이 빈번히 나타났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과정 조정(OO) 후 문제분석(PA)으로의 이동한 경로가 많았던 반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과정 조정에서 해결안 도출(SD)의 경로가 빈번하였다. 이는 학습초기에는 문제 표상 및 해결안 탐색을 촉진하는 지원적 스캐폴딩을, 학습 후기에는 지식을 공유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함으로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 학습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wo groups in terms of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two groups wer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 content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Pool and Holmes (1995) was used to analyze communication patterns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ly for two groups both in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Students provided with supportive scaffoldings went through Problem Analysis (PA) patterns most often in their communication, whereas students provided with reflective scaffoldings frequently showed Solution Development (SD) patterns. In terms of sequences,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Problem Analysis (PA)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s. On the contrary,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Solution Development (SD)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s. By explor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n designing efficient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임규연(Lim Kyu Yon),김시원(Kim Si Won),김영주(Kim Young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role of individual learner and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are critical elements to accomplish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Participants were 55 college students and data from 52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achievement, and co-regulation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wherea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did. Also, learner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howed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is results emphasize that instructional design and supports consideri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re needed for student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협력학 습 성과와의 관계를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지 분석하고 자 하였다. 성공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해서는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자 개인의 역 할 및 학습자들 간의 효과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 습 맥락에서 개인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다각적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탐 구를 통해 효과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한 요인을 규명하고, 협력학습의 성과를 촉 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52 명을 대상으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 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은 성취도를 예측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은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 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메타인 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메 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력학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 해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설계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대학생용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의 구성요인 탐색

        임규연 ( Kyu Yon Lim ),임지영 ( Ji Young Lim ),김혜준 ( Hae June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협력적 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타인조절,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 등 협력학습 맥락에서의 조절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를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협력적 조절의 하위요인인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협력적 자기조절의 요인구조를 탐색하였다. 문항 개발의 첫 단계로, 자기조절 이론에서 제안된 하위요인인 인지, 행동, 동기적 자기조절에 근거하여 45개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후, 2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설문을 실행하였다. 이후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협력적 자기조절을 측정하는 22개 문항을 도출하고, 이론적 검토를 통해 구성요인으로 제안한 인지, 행동, 동기적 영역이 실증적으로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협력적 자기조절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협력적 자기조절의 개념을 정교화하고, 향후 협력적 조절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various terminologies regarding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ing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other regulation, socially shared regulation and co-regulation. Researchers also explored the factor structure of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which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sub-constructs of co-regulation, in order to propose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s the first step of scale development, 45 items were crafted based on self-regulation theories and its relevant constructs: cognition, behavior, and motivation. After confirming its content validity through expert review, a draf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81 college students. The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llowed by modification of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nally, total 22 items are identified to be included in the suggested instrument. This research attempted to elaborate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to develop its scale, which may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co-regulation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6

        위키는 웹 2.0이 지향하는 패러다임을 구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온라인 도구로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 비판적 사고력, 협력적 문제 해결 등과 같은 협력학습의 특징을 온라인 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을 뿐아니라, 지속적인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정제된 지식을 생산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위키에 대한 불안이 위키 활동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 위키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실시 전후에 설문 및 참여도 분석, 성취도 점수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5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위키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제안되었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이들은 각각 위키 활동 참여도를 매개로 하여 성취도에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iki is an online-based collaborative tool, and has been frequently used more recently as it realizes the paradigm of web 2.0 in educational context. Especially, wiki promotes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which is the major interes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iki anxiety, participation in wiki activity, and learning achievement. Fifty ni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iki activity, and the data from fifty three were us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repor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wiki anxiety affected participation in wiki activity, and these two variables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achievement, mediated by participation.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동료피드백: 피드백 수용도의 매개효과 탐색

        임규연 ( Kyu Yon Lim ),김영주 ( Young Joo Kim ),진명화 ( Myunghwa Jin ),김주연 ( Joo Ye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 맥락에서 진행되는 동료피드백 활동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제공받은 동료피드백의 품질 및 동료 피드백 제공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도와 학업성과(성취도, 만족도)간의 관계를 동료피드백 수용도가 매개하는지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A전문대학에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 참여하는 유아교육 전공생 52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수업설계안을 개발하도록 하였으며, 그에 대해 동료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때 학습자들이 제출한 수업설계안 초안을 다른 학습자 한명에게 무선할당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피드백 수용도는 학습자가 제공받은 동료피드백의 품질과 학업성과(성취도,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드백 수용도는 동료피드백 제공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와 만족도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료에 대한 정서적 신뢰가 높을수록 해당 동료가 제공하는 피드백을 더 수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동료피드백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피드백 제공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도가 학업성과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며 이 과정에서 피드백 수용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문제해결학습에서 동료피드백 활동을 설계할 때는 학습자간의 정서적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feedback quality, emotional trust on peer feedback provider, feedback accept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52 colleg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were asked to design a lesson plan based on ASSURE model i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technology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edback accepta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peer feedback which students received and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Second, feedback accept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trust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trust on the feedback provider, the more the feedback provided by a peer is accepted. That is, the emotional trust on the feedback provider positively predicts satisfaction, and feedback accep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herefore, feedback acceptanc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o enhanc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