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기술 전문가의 진로 선택과 유지 경험 탐색 : 여성 과학 영재 진로 교육 측면에서

        이조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revealed in the career choice and maintenance of domestic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and to view them as the framework of career theory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areer-related factors and interactions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This research especially aims to compare the career choice and retention process of male and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to identify the female specific career characteristics, and to derive care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young female gifted students in science field. Given the fact that scientific technology sector being the core of country’s economic stability and development, the demand for talented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have continuously been rising.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girls interested in science and science to demonstrate their skills in related fields in terms of individual self-realization. However, the careers of girls with interest and potential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 not being linked to the profession in real-world society, so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studies on the career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and female gifts, career choices and decisions of scientists, and based on this, clarifying the subject of research and setting research goals and research queries.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the study and the paradigm that followed chose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hich intended to inductively explore the meaning of career choice and maintenance experience for Korean scientists. Career theory was introduced as a tool to succinctly describe factors related to career selection and retention, to explain interactions, and to predict the progress of career selection and retenti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and career models, which are evaluated as providing comprehensive and elaborative explanations of the careers of specific and diverse individuals, including female, are chosen as theoretical lenses for career choice and retention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be flexible to changes through expert advice and interaction with research participants. It was conducted with caution to remain as ethical research throughout the process.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re the main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prudently reviewed whether they were semi-structured,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rovide clear understanding to all participants, and apt for open answers. The participants are both male and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holding doctoral degree in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discipline, but excluding medical and pharmaceutical fields. Total of 21 participants have been chosen based on purposed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of 2018 to March of 2019, for 11 months, and each participant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for 1.5 to 2 hours. All interview conversations were recorded under the participants’ consents. The contents were then analyzed after post transcription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Van Manen (1990) ’s phenomenological study was adopted, compounded with Giorgi (1985) and Colaizzi (1978)’s methodology. The researchers repeatedly read the contents of their interviews with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and tried to gain an insight into the meaning semantics of the subject. Individual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and categories were organized into subtopics and main topics based on meaningful statements related to the career. Moreover, the structure type that revealed the nature of career selection and retention was discovered, described in detail with related examples, and the career characteristics of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were survey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This process ultimately directed in accordance with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s of career choice and retention experiences of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Career choice and retention experiences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were analyz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extual factors, as well as the career-related cogni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SCCT and the interactions among these factors are presented in career model accor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This will clarify the overall context, the contents of career factor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in career choice and retention, which can lead to practical contribution to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divided into exploratory career choice, professional course choice, employment option, job adaptation and retention accor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Exploratory career choice is the process by which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form an impression of the science fields in their early stages of life, select science/math concentrated classes in high school, and continue with science-related major in college. The most significant experience led them to choose the relevant field was excellence in academic performance as well as the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courses. In addition, positive perspectives related to first impress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ideration of one's own inclinations, career prospects in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universities and majors, and acceptance of others' recommendations were the foci for choosing career paths in this stages of their lives. The selection of advanced cours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is a decision to begin with the Master and Doctoral programs in the relevant field. Most of th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except for early career selectors from Science High Schools who already have set their career path, have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department or agonize over seeking new careers. However, as specific experiences allow individuals to study in-depth, they regain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to study their majors, and therefore choose to pursue Mater’s or Ph.D. degree. In addition, they chose to pursue Ph.D. degree and/or to study abroad, expecting that it is obligatory to do what they wish to do in the future or to secure jobs they wanted. When making such decision, the criteria for laboratory selection we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uch as the reputation of the school and the professor and scholarships, but the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found to also consider personal relationship and laboratory working environment. In cases of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who have chosen to study abroad with spouses, temporary career delays occurred due to prioritizing their male spouses’ and conceding their own schedules. Employmen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 time when scholars, who have willingly been trained in the related field for a long time, struggle to stand as independent researchers. Both male and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have tried to improve their competence as independent researchers by selecting prominent universities, renowned academic advisors, or blue ocean fields, and/or by acquiring new convergence research techniques to build competencies in addition to various journal publications. Around this time, job searching also began. Most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experienced the frustration of job hunting resulting from mismatches in supply and dem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ighly specialized professions. The need for manpower supply for related academia, socio-economic atmosphere and luck have contributed to successful employment, and the fact that being a woman acted as a serious obstacle for securing a position, especially for profess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employment is a life event that directly faces inequity of opportunity based on gender disparities, and the expectation of women's role and sociocultural perception of women and science and technology have emerged as career barriers. However, securing a job position was easier for some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due to policies related to promoting female scientists, changes in soci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majors. Since the employment,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have struggled to adapt and maintain their careers in a male-dominated cul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re men are mainstream. In particular,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in their mid-40s and older have experienced limitation in career adaptation and growth due to employment in lower tier universities with limited research environment and resources, cultural heterogeneity, exclusion from research funding, isolation, lack of role models, rejection of promotion, and increasing curbs. Also, the multi-role expectations and caring labor from marriage as well as the attitude of perfectionism in both work and family have resulted in a lack of time and energy depletion. However,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perceived work and family as a matter of imminent life rather than an either-or problem, and so maximized their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o resolve it. The constant effort, self-development, networking of related fields, high self-esteem, and family composition control have contributed to adapting and flourishing in their professions. The pleasure coming from work, the satisfaction and vocation of their position, and a good mentor played a key role in choice and retention of career paths in science and technology. Meanwhile,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in their 30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the difficulty adapting, despite the scarcity of women in the workplace, and giving great value to their work-life balances. While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had low turnover rate after employment, 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seemed to have several shifts to find their preferred employment. There was a variety of knowledge behind the experience of career choice and maintenance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career can be defined as life-long process with interaction of various elements. Also, as for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career selection is the consequence of freedom, will and reflective thinking, and the fundamental belief that they would do well in this field. The choice and retention of careers for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were process of realizing their inner desires and possibilities with a strong will. During this process, the family and mother played significant role in defending and supporting these inner desires from the prejudice of the world, and they derive their own aspirations and internal resources to spur prejudice against female figure in society and culture and have accomplished their goals. SCCT described this process in a theoretical framework; at each stage of career develop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background contexts, proximity contexts, self-efficacy, expected outcomes, and personal goals shaped interest and career performance. The proximity contexts interact with individuals and acted as career control factors, and the series of processes is presented through career choice model. Career choice by female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is a very subjective social behavior. They identified self-efficacy, expectation of positive results, and personal goals as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factors. Sociocultural gender prejudice and stereotypical perce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recognized as career barriers, facilitating the permissive atmosphere of a growing family,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mothers for their daughters, and the willingness to raise a son and daughter equ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implications for career path for female gifted students in science were suggested. In order to ensure that female gifted students in science to choose and mainta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wa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ositive image and first-hand experience in related fields encountered in daily life. Furthermore,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s were needed for females to protect from losing self-esteem and pride, objectively face gender stereotypes from society and culture, and to bolster the expectations for efficacy in mathematics and outcome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an educational attempt was made for students; when first learning about science, they were encouraged to realize that learning can be fun with slow and enjoyable progress rather than experience filled with painful and difficult formula.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pose parenting education that precisely organizes the curriculum for career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provides information on relevant careers, develop career educational and alternative policies which can connec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with their professional career selection, as well as parenthood that defends and supports the inner desire of femal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기술 전문가의 진로 선택과 유지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 이를 진로 이론의 틀로 조망하여 과학기술자의 진로 관련 요인과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남성 과학기술자와 여성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 과정을 비교해 여성 과학기술자의 진로 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여성 과학 영재에 대한 진로 관련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고자 했다. 과학기술 분야가 국가의 경제와 안정적 발전의 바탕이 되는 오늘날 과학기술 분야에 재능 있는 여성 과학기술자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개인의 자기 실현이라는 측면에서도 이공계에 흥미를 가진 여학생들이 관련 분야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개인 삶의 질 향상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과학과 공학 분야에 흥미와 잠재력을 가진 여학생들의 진로가 실제 사회에서 직업으로 연결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와 여성 영재들의 진로 발달과 특성, 과학자들의 진로 선택과 결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주제를 명확히 하고 연구 목표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철학적 가정과 그에 따른 패러다임으로 현상학적 방법론을 선택했으며 이를 통해 국내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 경험의 의미를 귀납적으로 탐구하였다. 진로 이론은 진로 선택과 유지에 관계하는 요인들을 간결하게 서술하고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진로 선택과 유지 현상을 예측하는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에 여성들을 포함하여 특수하고 다양한 개인의 진로에 대해 포괄적이며 정교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과 진로 모형을 과학기술자 진로 선택과 유지에 대한 이론적 렌즈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조언과 연구 참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경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었고 전 과정을 통해 윤리적인 연구가 되도록 주의를 기울이며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이 주요한 자료 수집 방법이었으며, 면담 질문은 반구조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연구 목적에 적합한지, 연구 참여자에게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는지, 개방적인 답변을 요구하는지 신중하게 검토했다. 연구 참여자는 의약학 분야를 제외한 현직 남녀 과학기술자 21명으로 모두 박사학위를 소지하였으며, 목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통해 선정했다. 면담은 2018년 5월~2019년 3월까지 11개월간 진행되었고, 개별 면담 소요시간은 1시간 30분~2시간이었다. 면담 내용은 모두 참여자의 동의 하에 녹음하였으며 전사 후 현상학적 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현상학적 방법론은 Van Manen(1990)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을 기조로 Giorgi(1985)와 Colaizzi(1978)의 방법을 절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했다. 연구자는 과학기술자들과의 면담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으며 주제에 맞는 의미를 통찰하기 위해 노력했다. 개별 분석과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 관련 의미 있는 진술들을 토대로 소주제와 중주제로 범주를 구성해 나갔다. 이어 진로 선택과 유지 현상의 본질을 드러내는 구조 유형을 확정하고 사례를 들어가며 상세한 기술을 하였으며, 남녀 과학기술자 간 차이를 통해 여성 과학기술자의 진로 특성을 탐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은 궁극적으로 여성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 경험에 대한 인식론적 해석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 경험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의 틀에 따라 다시 개인적 특성, 맥락적 요인, 진로 관련 인지적 요인들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요인간 상호작용은 진로 발달 단계에 따라 진로 모형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남녀 과학기술자들의 진로 선택과 유지에서 드러나는 전체 맥락과 진로 요인의 내용, 요인 간 상호작용을 명료화해 과학기술 관련 진로 상담과 교육적 중재에 대한 실제적 기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기술자들의 진로 발달 단계에 따라 탐색적 진로 선택, 전문 과정 선택, 취업 선택, 직업 적응과 유지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탐색적 진로 선택은 과학기술자들이 인생 초기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고교에서 이과반을 선택한 후 이공계 대학으로 진학하는 과정으로 이 단계에서 과학기술자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선택하게 된 가장 중요한 경험은 우수한 학업 성적과 수·과학 관련 흥미와 성취였다. 또한 과학기술 분야에 최초의 흥미를 갖게 한 과학기술 관련 긍정 이미지, 자신의 성향에 대한 고려, 과학기술 분야의 직업 전망, 대학이나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평가, 타인의 권유를 수용함 등이 이 시기 진로 선택 관련 주제로 나타났다. 과학기술 분야 전문 과정 선택은 과학기술 분야 석·박사 과정 진입을 결정하는 단계로, 과학고 출신 조기 진로 선택자를 제외하고 과학기술자 대다수는 학부에서 학과 적응에 어려움을 겪거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며 진로의 사춘기를 겪었다. 그러나 이들은 각자 특정한 경험을 계기로 자신의 전공 과목을 다시 깊이 있게 공부하면서 전공에 대한 재미와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석·박사 과정을 선택했다. 또한 박사까지는 해야 하고 싶은 일, 목표로 하는 직업을 갖게 될 거라는 기대를 형성하면서 박사 과정과 유학을 결정했다. 이때 연구실 선택 기준은 학교나 지도교수의 명성, 장학금 등 남녀가 유사하나 여성 과학기술자의 경우 연구실의 분위기 등 관계적 요소에도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과 동반 유학을 가는 여성 과학기술자의 경우 남성 배우자의 일정을 우선하고 자신의 일정을 양보함으로써 일정 기간 진로 지체가 일어났다. 과학기술 분야 취업은 오랜 기간 학업과 연구 등 의도된 훈련을 받아온 과학기술자들이 독립 연구자가 되기 위해 분투하는 시기이다. 남녀 과학기술자들은 유력한 대학이나 명망 있는 지도교수 또는 블루오션 분야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융복합 연구 기술을 익혀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논문 실적을 쌓아 독립 연구자로서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했다. 이즈음에 구직활동도 시작되었는데, 대부분의 과학기술자들은 고도로 전문화된 직업의 특성상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에서 오는 취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좌절을 경험했다. 전공이나 관련 학계의 인력 수급과 사회 경제적 분위기, 행운이 취업에 작용했으며, 특히 과학기술 분야 전문직 취업에서는 여성이라는 사실이 중대한 장애가 되곤 했다. 여성 과학기술자들에게 취업은 성차에 따른 기회의 불균형을 직면하는 삶의 사건으로 여성에 대한 역할 기대 그리고 과학기술과 여성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인식이 진로 장벽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여성 과학기술자 중에는 여성 과학기술자 관련 정책이나 사회문화의 변화, 전공의 특성 등으로 인해 취업이 보다 수월한 경우도 있었다. 취업 이후 여성 과학기술자들은 남성이 주류인 과학기술 분야의 남성 중심 문화에서 직업 적응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40대 중반 이상의 여성 과학기술자들은 연구 환경이나 자원이 열악한 주변부 대학으로의 취업, 문화적 이질감, 연구비 배제, 고립감, 역할 모델의 부재, 승진에서의 누락, 올라갈수록 심해지는 견제 등으로 직업 적응과 성장의 한계를 경험했다. 결혼으로 인한 다중 역할 기대와 돌봄 노동, 일과 가정 모두를 완벽하게 해내려는 태도 등은 시간의 부족과 에너지의 고갈을 가져왔다. 그러나 여성 과학기술자들은 일과 가정을 양자택일의 문제로 보기 보다는 당면한 삶의 문제로 인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내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했다. 끊임없는 노력, 자기 계발, 관련 분야 네트웍 형성, 높은 자존심과 자긍심, 가족 구성 조절 등은 직업에 적응하고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일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재미, 직업에 대한 만족과 소명의식, 멘토는 과학기술 분야 진로 선택과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한편 30대 여성 과학기술자들은 직장에 여성의 수가 여전히 적음에도 불구하고 적응의 어려움 보다는 일에 대한 만족을 더 크게 느꼈고, 일과 삶의 균형에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다. 여성 과학기술자들은 취업 이후 직장 이동이 별로 없는 데 반해 남성 과학기술자들은 보다 선호하는 직장으로의 이동이 여러 건 발견되었다.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에 대한 체험의 이면에는 다양한 앎이 존재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진로라는 것은 생의 과정으로 매우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이었다. 또한 이들 과학기술자들에게 진로 선택이란 자유와 의지, 반성적 사고의 결과였으며 이들이 자신의 분야를 선택하고 유지하는 본질에는 자신이 이 분야를 잘해낼 것이라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여성 과학기술자의 과학기술 분야 선택과 유지는 자신의 내면의 욕구와 가능성을 현실 속에 강한 의지로 실현해내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에서 가정과 어머니는 세상의 편견으로부터 이들 내면의 욕구를 지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들은 내면에 간직한 열망과 내적 자원을 끌어내 사회와 문화가 갖는 여성에 대한 편견을 박차고 자신의 욕구를 실현해냈다. 사회인지진로이론은 이러한 과정을 이론적 틀을 통해 개념화했으며 진로 발달의 매 단계마다 개인적 특성과 배경 맥락, 근접 맥락,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 개인적 목표가 진로에 대한 흥미를 형성하고 수행을 이끌어냈다. 근접 맥락은 진로 선택 시기에 개인과 상호작용하며 진로 조절 요인으로 작용했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진로 선택 모형을 통해 제시되었다. 여성 과학기술자들의 진로 선택은 매우 주체적인 사회적 행위로 자기 효능감, 결과 기대, 개인의 목표가 가장 중요한 인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사회문화적 성 편견과 과학기술에 대한 고정된 인식은 진로 장벽으로, 성장 가정의 허용적 분위기와 어머니의 딸에 대한 교육열, 아들과 딸을 동등하게 키우겠다는 의지는 촉진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과학 영재들의 과학기술 분야 진로에 대해 제언하였다. 여성 과학 영재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선택하고 이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상에서 제공하는 과학기술 분야 관련 긍정 이미지와 직접 경험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회와 문화에서 제공하는 성별 고정 관념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심리적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들이 자신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잃지 않도록 하며, 수과학에 대한 효능감과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결과 기대를 키울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 분야를 처음 배울 때 그 배움의 내면을 고통과 어려운 공식이 아니라 재미있게 천천히 즐거운 경험으로 채우고자 하는 교육적 시도가 요구되었다. 여성 과학 영재의 특성에 맞게 교육 과정을 정교하게 구성하고 다양한 직업과 현실적 삶의 양식의 하나로 과학기술 분야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영재교육과 과학기술 분야 전문 직업을 연결할 수 있는 진로 교육과 정책적 대안들의 발굴, 여성 과학 영재의 내면의 욕구를 지키고 지지하는 부모 교육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