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의 해체를 위한 인식 전환으로서의 동도동기론

        우실하 ( Woo Sil-ha ) 동양사회사상학회 1998 사회사상과 문화 Vol.1 No.-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problem of <Orientalism,(Edward W. Said) and the meaning of 'Dongdo - dongki-ron'(東道東器論)as a epistemological conversion for the deconstruction of Orientalism. As a cultural hegemony, Orientalism reproduces itself by means of various kinds of cultural-goods and mass-media. And the cultural peculialities of the Third World increasingly approximate to those of the West. Orientalist has stigmatized oriental culture as a ‘irrational’ ‘unscientific’ ‘mysterious’ one. For deconstruction of Orientalism, ‘Dongdo-dongki-ron’ (東道東器論: to understand the unique features of the Far East culture through the unique world-view and philosopy of Far East) is an epistemological presupposition. ‘Dongdo - dongki - r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ate 19th century ‘dongdo―seuki―ron’(東道西器論). But, ‘Dongdo―dongki― ron’ which I present in this paper, eliminate the ethnocentric value judgment involved in ‘dongdo - seuki-ron’. So I term Far East cultural text ‘dongki’(東器)and term the unique world-view and philosopy of Far East ‘Dongdo’(東道). Finally ‘Dongdo - dongki - ron’ means to decoding the unique features of the Far East cultural text(=dongki=東器)through the unique world-view and philosopy of Far East (=dongdo=東道). So ‘Dongdo - dongki -ron’ is a ‘lagitimate prejudices’ (Hhans Georg Gadamer) in decoding Far East cultural text. I present ‘Dongdo - dongki-ron’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deconstructing Orientalism, by overcoming cultural dependency theory and cultural imperialism which merely exposes the socio-cultural reproduction mechanism an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Orientalism.

      • KCI등재
      • KCI등재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과 삼파문三巴紋의 유형 분류

        우실하(Woo,Sil-Ha)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In general, 'Taeguk(太極)‘ means 'Yin-Yang Taeguk(陰陽太極)’ that spreads out 1(Taeguk: 太極) - 2(Yin-yang: 陰陽) - 4(Sa-sang: 四象) - 8(Pal-goe: 八卦). As you seen above, 'Yin-yang Taeguk' branches into two(Yin-yang: 陰陽) that mean the cosmic dual forces. But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branches into three(Tien 天, Di 地 and Ren 人). These 'three' are called 'Sam-jae'(三才) that means the cosmic triple forces.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first concept of 'Taeguk(太極)‘ is 'Sam Taeguk / Sam-won Taeguk'. And this kind of situation continues until Dang(唐: 618-907) dynasty. The concept of 'Sam Taeguk' is based on '3.1 philosophy'. Moreover I suggests that 3.1 philosophy has its origin in north-eastern shamanism. In north-eastern Shamanism '3, 9, 81' is regarded as a sacred number. And north-eastern Shamanism has an unique mathematical logic that spreads out 1-3-9-81.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orth-eastern Shamanism as a philosophical background of '3.1 philosophy' and the concept of 'Sam Taeguk' / 'Sam-won Taeguk'.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shape of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has its origin in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Therefore, original design of 'Sam Taeguk' or 'Sam-won Taeguk' represents the shape of sun in which sun-flame is whirling strongly. And in this paper, I classify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into 9 types. The 9 type patterns are on the one hand very similar on the other hand very different. I wish that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will be used in Korean modern design. 이글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삼태극이라고 불리는 문양의 기원인 삼파문의 다양한 형태를 최초로 유형화하여 9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삼파문의 9가지 유형은,(1)제1유형:원 안에 ‘C’자 형 단선單線3개가 있는 것,(2)제2유형:파문巴紋3개의 삼파문,(3)제3유형:파문巴紋3개의 머리 부분을 동심원으로 한 것,(4)제4유형:원 안에 화려한 화염문 3개가 있는 것, (5)제5유형:제4유형의 머리를 새머리 모양으로 변형한 것, (6)제6유형:제4유형의 또 다른 변형문으로 ‘화염문의 꼬리가 생략되고 씨(C)자형 고리 3개로 표현한 것’,(7)제7유형:우리나라의 삼태극처럼 원을 3등분한 것,(8)제8유형:제7 유형에서 파문의 머리 부분에 3점을 찍은 것,(9)제9유형:제8유형에서 3점을 키우고 꼬리를 단 것 등 9가지이다. 이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삼태극 문양 이전에 보이는 유사한 문양을 ‘삼파문三巴紋’이라고 구별하였다.9가지 유형의 삼파문은 우리나라의 삼태극 문양의 원형이므로, 다양한 현대적 디자인에 활용될 수도 또 활용되기를 필자는 바란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논의가 지닌 오리엔탈리즘적 성격

        우실하(Woo Sil-Ha) 동양사회사상학회 2005 사회사상과 문화 Vol.12 No.-

        우리 사회에서 들불처럼 번졌다가 이제는 ‘한물간 듯이’(?) 숨죽인 포스트모더니즘의 광풍은, (1) 서구 지향적인 우리 문화사의 특수성과, (2) 가우스 함수‘y=x-[x]’에 비견되는 우리 학문세계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 학문의 종속성ㆍ식민성ㆍ유행성을 보여 준다. 이런 까닭에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는 서구 지향적인 오리엔탈리즘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 사회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는 중심국인 서구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기인한 논의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학문적 오리엔탈리즘’이 작동한 결과라고 보인다. ‘중심을 해체’한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의 스스로가, 학문적 ‘중심에 굴복’하는 자가당착이 우리 사회에서 유행하던 각종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는 아래의 점들에서 오리엔탈리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지금, 이곳’을 벗어난 서구 추수적인 학문태도라는 점. 둘째, ‘중심’을 해체하자면서 ‘학문적 중심’에 복종하는 자가당착이라는 점. 셋째, 철학적 논의로 들어가지 못하는 학문의 천박성과 유행성을 드러낸다는 점. 넷째, 우리의 ‘뒤틀린 근대’를 보지 못하는 ‘탈근대 논의’라는 점. 다섯째,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거대 담론’ 혹은 ‘거대 이론’을 해체하고자 하면서도 결국 또 다른 ‘거대 담론’이 되어 버렸다는 점. 이러한 학문적 자가당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비서구사회의 문화 연구자들은, 탈근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서구사회와는 다른 역사적ㆍ문화적 상황 속에서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The debate on Postmodernism in Korean academic world which had bursted into raging flames on the grass reveals, (1) Eurocentrism in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n, (2) Dependency or Colonialism in Korean academic world. In this paper I metaphorically compare Korean academic world to Gauss’s functional formula ‘y=x-[x].’ And critically review the Eurocentric Orientalism in the Debate on Postmodernism in Korean academic world. It might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Debate on Postmodernism in Korean academic world uncritically accepts western Postmodernism that had caused by historically special circumstances of Western society. In the end, Debate on Postmodernism in Korea that want to deconstruct ‘center’ or ‘the core’ but yield to the ‘Eurocentric’ Orientalism. That is a self-contradiction and intellectual suicide of the Debate on Postmodernism in Korean academic world. Finally, I think that Debate on Postmodernism in Korean academic world has the property of Orientalism(Edward Said) in 5 points as below. The first, it reveals a Eurocentric attitude that escape from ‘Now and Here’. The second, it is a self-contradiction and intellectual suicide of Korean academic world that want to deconstruct ‘the center’ or ‘the core’ but yield to the ‘Eurocentric’ Orientalism. The third, it reveals a academic superficiality that can not enter to the philosophical debate. The fourth, it can not deeply consider ‘the distorted modernity of Korea.’ The last, Postmodernism is a ‘grand discussion’ which want to deconstruct all kind of ‘grand discussion’ or ‘grand theory.’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kind of academic self-contradiction, cultural reachers of non-western society deeply consider the problems that come from post-modern capitalist society in their ow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 KCI등재
      •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 구조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우실하 ( Sil Ha Woo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필자는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되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이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사유체계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하고 있는 북방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한국, 중국, 몽골 등에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흔적들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 음악, 무용, 신화, 전설, 민담 등 대부분의 기층문화 연구에 있어서 숫자 3이 지닌 상징성은 늘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숫자 3’에만 주목하였지, 그 연속선상에 있는 3, 9(3×3), 81(9×9) 등에 대해서는 주목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 이 글은 한국문화의 심층구조에 면면히 살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에 대하여 살펴보고,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확산’에 대한 필자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가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1) 몽골 등 북방 소수민족의 샤머니즘 안에 보존되어 있으며 몽골리안 루트를 따라 남-북 아메리카쪽으로도 전파되었고, (2) 한반도 쪽으로는 내려오면서 선도와 풍류도 그리고 각종 민족종교에 전승되고, (3) 중국 쪽으로 남하하면서 도교, 신선사상 등에 전승되고, (4) 유목족들의 이동과 교류를 통해서 중앙아시아의 샤머니즘에 전승되고 있고, (5) 북유럽으로이 기층문화를 이루는 북유럽신화나 고대 켈트족의 드루이드교에 전승되고 있으며, (6) 기원전 2000∼1500년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고대 아리안족의 남방이동으로 페르시아 지역과 인더스 문명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선도,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불교와 습합되면서 독특한 신불교(神佛敎: 유동식 교수의 개념)의 모습으로 지속되어왔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교가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하면서 과거의 모습들이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중국에 비하면 많은 것들이 그대로 기층문화에 남아 있는 것이다.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숫자 3을 비롯한 9, 81 등의 상징성은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지론이다. 그리고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는 홍산문화 후기(B.C. 3500∼B.C. 3000)에 체계화되었다고 본다. 이런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전통문화 각 부분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보면 필자가 미처 보지 못한 많은 흔적들이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각 분야별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르기를 바란다.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Europe through Druidism of the Celts who were among the ancient Aryans sharing the spirit of Northeast Shamanism mostly. I am trying to explain the symbolic meaning of ``Holy Numbers (3, 9, 81)`` in detail, which is just based on ``World View oF Trichotomy``. Therefore, these symbolic meanings of 3, 9(3×3) and 81(9×9`` in Korean culture have their deepest origin in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And that is exactly why I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cannot be explain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with no consideration of ``World View of Trichotomy``and its ‘Holy Numbers (3, 9, 81)``.

      • KCI등재

        최근 중국의 역사관련 국가 공정들과 한국의 과제

        우실하(Woo Sil-Ha) 고조선단군학회 2005 고조선단군학 Vol.12 No.-

        A series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 such as Dandae Project(斷代工程: 1996~2000), Tamwon Project(探源工程: 2000~ ), Dongbuk Project(東北工程: 2002~ ), has a hidden goal to establish Neo-Imperialism of China. This paper suggests 5 kinds of socio-cultural background of a series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br/>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author suggests that many kinds of Chinese nationalprojects against Korea had been carried out from 1992. Through these national projects against Korea, China intended to justifyNeo- Imperialism of China.<br/> The underlying intention of Chinese nationalprojects against Korea is, (1) to intensify the control of the surrounding nations, (2) to weaken the influence of Korea on the Manchuria(滿洲), (3) and connected with the problems of Gando(間島)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沿海州). <br/> In order to cope with a series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 we need to , (1) reconsider the methodology and area of ancient history of Korea, (2) establish Northeast Asian Civilization(東北亞文明) of our own that connects Manchuria(滿洲) and the Korean Peninsula, (3) prepare a new historical view based on mutual interchange and flow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4) and need to prepare a think tank for a long-range policy.

      • KCI등재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과 광고 -한,독,일의 사회의식 비교조사를 바탕으로-

        우실하 ( Sil Ha Wo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1 No.2

        한·독·일 3국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를 종합해보면, 독일·일본과는 다른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드러난다. 이것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인들은 타인의 과시를 경멸하면서도 부러워하는 `이중적 태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둘째, 한국인들은 주로 `물질적 부` 혹은 `재산`을 통해서 과시를 하고, 타인의 인정을 받으려고 하며, 과시를 하면서도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셋째, 한국인의 소비 행위는, (1) 광고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고, (2) 광고를 통해 알게 되는 유명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며, (3) 상품과 그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의 `인격/품격`을 연결시키려는 경향이 강하다. 넷째, 이러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위와 과시의 특성은 `광고`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곧, 한국의 광고에서는 특정 상품이 곧바로 그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의 인격/품격을 대변한다는 식의 광고 문구가 빈번하게 보인다. 이렇게 만들어진 광고는 한국적 과시의 특수성을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주요한 메커니즘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을 `물질적 부`로 환원하려는 물질 만능주의 성향이 우리사회에 생각보다 강하게 뿌리내리고 있다. 이제는 `국민소득 몇 만 달러 시대`만을 외칠 것이 아니라, 물질적 크기가 바로 인격적 크기와 연결되는 이런 사회를 극복하기 위한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Considering the surveys launched in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Germany and Japan altogether, some special features of the case of Korea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two countries have been found out. These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s: First, Koreans have a comparatively strong `dual attitude` of both despising social conspicuousness of other people and envying them at the same time. Second, Koreans have a strong tendency of being recognized through social conspicuousness of `material wealth` or `properties` by other people, and being conscious of their eyes. Third, consumption behaviors of Koreans show propensities toward (1) depending on advertisement, (2) purchasing chiefly the famous brands known by advertisement, and (3) linking the very brand name of commodities directly to the `personality or nobility` of those who consume the commodities. Fourth, these features found in consumption behaviors of Koreans and social conspicuousness are reflected accurately in advertisement. In other words, there are quite a few copy sentences found in Korean advertisement reading that the very specific commodity represents the `personality or nobility` of those who consume it. Advertisements based on this principle play a major role of mechanism maintaining and reproducing special features of social conspicuousness found in Korea. This kind of materialistic aptitude converting everything into `material wealth` has been deeply rooted in our society far more than we expected. It is not high time to shout the slogan of `the era of tens of thousand dollars of GNP`, but to gather our wisdom for overcoming the barriers of our current society just linking directly the volume of wealth to the level of personality or nobility.

      • KCI등재

        사회적 과시의 재생산 메커니즘과 광고

        우실하 ( Sil Ha Wo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1

        이 글은, (1) 과시에 대한 학자들의 입장들, (2) 광고와 자본주의와의 관계를 보는 입장들, (3) 그리고 윌리암슨의 논의와 보들리야르의 논의를 연결하여, 광고를 통한 ``사회적 과시의 재생산 메커니즘``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적 과시의 주요 수단이 ``과시소비``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특히 과시소비와 광고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시소비는 ``준거집단``과 ``광고``의 영향이 가장 큰 것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준거집단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보는 대부분 광고를 통해 습득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결국 과시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두 요인(준거집단, 광고매체) 가운데 광고매체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현대 자본주의는 파멸을 막기 위해서라도 지속적으로 광고에 의존 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소비 경제, 소비 성향, 소비 수준을 진작시키기 위해서 광고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한다. 특히 ``허위 욕구 ``는 소비자의 욕구라기보다는 소비시장을 창출하고 대량 생산된 상품을 팔려는 자본가나 제조업자들의 욕구에 의해서 조장된 욕구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런 ``허위 욕구``는 주로 대중매체 특히 광고를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 글에서는 쥬디스 윌리암슨의 논의와 장 보들리야르의 논의를 연결하여, 광고를 통해서 사회적 과시가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밝혀보았다(<도표 1> 참조). 결국, 광고는 사회적 과시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productive mechanism of ``social conspicuousness`` through advertisement. The main means of social conspicuousness is ``conspicuous consumption``. So,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dvertisement. Many papers report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is influenced by two dominant causes, the reference group and the advertising media. But, most of all the sour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eference group members comes from advertising media. After all, we can recognize that the main cause of conspicuous consumption is an advertising media. Modern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continuously depends on advertising. In order to stir up new consumer economy, the propensity to consume and the level of consumption, advertising carries out many roles. In modern capitalistic society, ``false desire`` means that it is not the consumer`s inner desire but the capitalist`s desire. This kind of ``false desire`` is created by advertising in mass media. In this paper, the author critically reviews the theories of Judith Williamson and Jean Baudrillard. And then the author presents the reproductive mechanism of social conspicuousness through advertisement(<figure 1>). In conclusion, we can recognize that the main cause of the reproductive mechanism of Social conspicuousness is an advertising media.

      • KCI등재

        도교와 민족종교에 보이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우실하(Woo Sil-Ha) 한국도교문화학회 2006 道敎文化硏究 Vol.24 No.-

        수렵ㆍ유목 문화에 기반한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의 특징은 ‘3수 분화의 세계관’에 있다는 점을 필자는 여러 논문과 책을 통해 논의했었다. 이것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한 여러 나라들의 기층문화와 사상에서 그 흔적들이 발견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동복아시아의 모태문화’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북방 샤머니즘의 ‘3수 분화의 세계관’은 도교 계통으로 이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도교 경전 특히, (1) 장군방 『운급칠첨』 「삼일결」ㆍ「현문대론삼일결』, (2) 『단경(丹經)』 전수 의례 절차, (3) 노자 『도덕경』의 체계, (4) 양웅(揚雄) 『태현경(太玄經)』 등에서 보이는 수리체계가 모두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한편 한국에서 북방 샤머니즘의 ‘3수 분화의 세계관’은 선도 계통과 민족종교 계통으로 이어져 왔다. 이글에서는, (1) 『한단고기』에 보이는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수리체계, (2) 고 성세영 선생의 『일청사고(一晴私稿)』와 『부인경(符印經)』에 등장하는 여러 도상들은 모두 이런 사유체계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이 도교와 선도 계통 그리고 민족종교 계통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고, 『한서』「율력지」에 보이는 ‘태극원기 함삼위일(太極元氣 函三爲一)’이라는 최초의 태극 관념인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관념이 나온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3수 분화의 세계관’은 이렇게 철학적으로 승화된 것은 물론, 북방의 여러 소수민족들의 신화, 전설 등에도 많이 남아 있다. 이런 까닭에 필자는, (1)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될 뿐만이 아니라, (2) 셋이 각각 셋으로 분화되어 완성수 9를 이루고, (3) 완성수 9의 제곱수인 81로 우주적 완성수를 삼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이라고 부른다. In many papers and books, the author suggeste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that is spreaded out 1-3-9-81.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is unique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The Holy numbers 3, 9 and 81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are already seen in the Neolithic Age ‘Hong-san(紅山) culture’ in North-east Asia. So,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that is spreaded out 1-3-9-81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In this paper, the author explain concretely that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ㆍ9ㆍ81) are also seen in Chinese/Korean Taoism and Ethnic religions of Korea. On the one han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handed down in the philosophy of Taoism in China. So, the author explain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9·81) in, (1) Jang gun-bang(張君房)'s Woon-gub-chil-chem(雲?七籤), (2) the inheriting process of Dhan-jing(丹經), (3) Lao-tze(老子)'s Dao-de-jing(道德經), (4) Yang-woong(揚雄)'s Tai-xuan-jing(太玄經). On the other han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handed down in the philosophy of Korean Taoism and Ethnic religions of Korea. So, the author explain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ㆍ9ㆍ81) in, (1) Cheon-bu-jing(天符經), Sam-il-shin-go(三一神誥) in Han-dan-go-gi(桓檀古記), (2) Sung-sae-young(成世永)'s Il-cheongsa-go(一晴私稿) and Bu-in-jing(符印經).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concept of Sam-Tai-ji(三太極) / Sam-won-Tai-ji(三元太極) that has it's origin in the north-eastern Sham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