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비평논문 :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과 원삼국시대론에 대한 소론

        노혁진 ( Hyukjin Ro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은 미완의 과제이며, 원삼국시대론은 한국식 삼시기법의 중요한 논쟁점의 하나이다. 그동안 원삼국시대, 철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삼한시대 등의 제 명칭의 사용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는 한편, 원삼국시대의 인지도와 용례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학계의 경향과 사회적 분위기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한국고고학의 독자적 시대구분체계 수립에도 결과적으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한국식 삼시기법 전체의 틀을 대체하지 않는 한, 원삼국시대는 철기시대의 대안이 될 수 없음을 기존의 비판적 시각과 또 다른 관점에서 지적하고자 하였다. 즉, 문헌사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를 채택하거나 도입할 수 없는 분명한 논거를 추가로 제시하고자 하였고, 고고학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 설정의 근본 취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지속적인 사용을 지지하는 모순과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이란 특정 시대에 대한 명명작업이 아니라 모든 시대를 통관하는 일관성을 갖춘 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한국식 삼시기법의 틀 자체를 새로운 독자적인 시대구분체계로 완전 대체 하기까지는 원삼국시대를 비롯한 어떠한 명칭도 철기시대의 대안으로서 상대적 실효성이나 대체효과가 없음을 재강조하였다. 한편, 고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보는 시대명칭인 고조선과 삼한은 문헌사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고려-통일신라-삼국시대’의 연장선에서 채택할 명분과 역사적 가치가 있는 명칭임을 지적하였다. The archaeological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remains a work in progress, and using the term “Proto-Three-Kingdoms Period” within the traditional and persistent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Three-Age system is a highly debatable issue. Recently, the term “Proto- Three-Kingdoms Period” has been commonly used, but this trend within and outside the archaeological academia as well as its negative impact on the production of a desirable and logical periodization system for Korean archaeology needs to be critically assessed. Contrary to the opinions of those who support the term “Proto-Three-Kingdoms Period,” the author argues that this term can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term “Iron Age” until the Three-Age system currently being used in Korean archaeology is completely replaced by a new and improved periodization system.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e key imperative in the archaeological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does not lie in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each historical period, but rather in generating a coherent and consistent system that applies to every archaeological period. Therefore, as long as the Three-Age system continues to be used as the standard periodization system for Korean archaeology, the use of the term “Proto-Three Kingdoms Period” or any other equivalent terminologies in the place of the term “Iron Age” should be minimized.

      • KCI등재

        백두대간의 관점에서 본 강원도 선사시대 취락의 형성과정

        노혁진(Ro, Hyukjin)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2

        이 글은 백두대간이 강원도의 산세와 수맥과 해안, 그리고 그 사이의 평지를 형성하는 기본원리가 된다는 관점에서 백두대간에 초점을 맞추어 강원도 선사시대 취락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강원도의 경우, 백두대간이동으로 도래한 집단은 평저토기문화집단, 공렬토기문화집단, 그리고 철자형주거지집단이고, 백두대간이서로부터 확산한 집단은 첨저토기집단과 점토대토기집단이다. 그리고, 요녕청동문화와 타날문토기를 비롯한 중국식 요소들은 집단의 이주나 도래가 아닌 문화요소의 전래수준에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가장 먼저 출현한 평저토기문화집단은 동해안의 사구지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곧 사라져 버린 것으로 보이고, 서해안 지역의 첨저토기문화가 동해안으로까지 확산하여 공렬토기문화주민의 도래시기까지 존속하였다. 강원도의 광역에 공렬토기주민이 확산 정착한 상황에서 점토대토기인들이 강원영동과 영서로 진출을 시도하였으나, 선주민인 공렬토기인들보다 우세한 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곧 이어서 남하한 철자형주거지집단에게 밀려나고, 강원도의 영동과 영서뿐만 아니라 임진강유역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까지 철자형주거지집단의 삶의 터전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집단사이의 상호접변과 사회의 교체와 계승, 문화변동 등의 문제는 향후 강원도 고고학이 구체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이다. The Natural features of the ‘Baekdudaegan’(Baekdu Mountains) acted as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prehistoric settlements in Kangwon Province. In terms of the‘Baekdudaegan’(Baekdu Mountains), prehistoric cultures in Kangwon province as well as in Korean peninsula in general can be grouped in two types - Eastern Baedu Culture and Western Baekdu Culture. Among major cultural traditions of Korean prehistory, those of the ‘Flat- Bottomed’ and the ‘Hole-Arrayed Rim’ Potteries, and the ‘凸 - Planned Residence’ belong to the Eastern Baedu Culture.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Pointed-Bottomed’ and the ‘Ring-Rimed’ Potteries, as well as the Chinese pottery and the Liaoning Bronze elements, all of which belong to the Western Baekdu Culture, diffused into the territory of Kangwon province crossing the portions of the ‘Baekdudaegan’ (Baekdu Mountains).

      • KCI등재

        경질무문토기의 개념과 계통에 대한 一考

        노혁진(Ro Hyukjin)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2

        철기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무문토기를 통칭하는 경질무문토기는 새로운 고고학적 사실에 비추어볼때그정의와함의를재검토해야한다. 최근들어중도식토기문화의토기조합을포함한 고고학적문화상과 지리적분포영역, 전파경로, 凸자형주거지 구조등 총체적인양상이 드러남에 따라서, 중도식토기문화는 한반도의기존 무문토기문화나 김해식토기문화 또는전국계 토기 문화와는 계통과 기원지 및 한반도 안으로의 확산경로가 다른 독자적인 문화임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경질무문토기라는 명칭이나 개념으로 일괄한 삼각구연 점토대토기와 중도식토기, 그리고 이 두 토기류를 제외한 철기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무문토기들은 각각 계통별로 분별하여 그 발생과 변천 및 확산 과정을 접근해야한다. 삼각구연 점토대토기는 원형구연 점토대토기의 변형으로 그 기원과 변천과정은 한반도 안에서의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과 변화양상의 차원에서 별도로 다루어 져야하고, 중도식토기 도중도식토기문화또는凸자형주거문화의기원과한반도안에서의확산및변천과정의관점에서 그정의와 함의를정립해 나가야한다. 그리고, 한반도 안에서 중도식문화권의 밖에서중도식 토기문화의 토기조합과 철자형주거지 등의 고고학적 유물유적상과는 다른 토기조합과 고고학적문화유형 안에서 나타나는 철기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무문토기들도 그 기원과 변천과정을 그러한 무문토기를 포함한 전국계 토기문화의 한반도 안으로의 확산과 지역별 토기와의 접변과 융합의 차원에서 그 양상을 추적해야한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소위 철기시대나 원삼국시대에 사용된 모든 무문토기들을 경질무문토기라는 일원화된 범주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인 근거가 없다. 따라서 인식론적이고 논리적인 혼선과 오류를 피하기 위하여 경질무문토기라는 명칭의 사용을 지양해야한다. The Hard Plain Pottery has been recognized and used as a generalized terminology for various plain potteries that had been used in Korean Iron Age or Proto Three Kingdom’s Period. However, recent archaeological evidence raises questions on the definition itself as well as it’s implicature in archaeological description and explanation. All archaeological data including typical pottery assemblage, regional distribution boundary, diffusional route, typical house structure, etc.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 ‘Jungdo style pottery culture’ is an independent tradition different from any precedent plain pottery tradition in Korea or the pottery tradition belonging to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Therefore, from now on, all archaeological understandings and descriptions grounded on the monotonous concept of ‘Hard Plain Pottry’ must be sublated, and various plain potteries, especially the Jungdo Style pottery and the Triangular Rim Pottery, belonging to Korean Iron Age ne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orresponding indigenous origination as well as formational process. Finally, considering false interpretation and logical confusion that could be caused by such a conceptual terminology based on mis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facts, the ‘Hard Plain Pottery’ needs to be stopped of its usage in Korean archaeology from now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