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상철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1987 지역개발연구 Vol.19 No.1
Behavioral theories of trade have their intellectual roots in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science and its adoption to the theory of the firm. They emerged in the point of view that the existing trade theory has some limitations and the alternative way of explanation for trade is necessary. This paper reviews the articles on the export behavior of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on classifying them into larg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basic approaches as follows: 1. theories on, the determinant variables of export behavior. 2. strategic approaches to export behavior, 3. international marketing mix reproaches to export behavior, 4. theories on internationalization of the firm. Also the articles on the effects of the size of the firm has been dichotomized into irrelevant and relevant theori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se studies the following facts can be noted. First, the decision makers play a critical role in explicit and implicit export behavior of the firm. They can appear in various features as like top managers, determinant variables, or strategy and tactics formulators. But this merely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the researchers or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Second, the process of or stage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firm is only a consequence of export behaviors, not determinant or causal factors. So the theory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firm should have relations with behavioral theory of trade just like the economic development theory has with economics. Third. in view of the decision maker's overwhelming role in determinig the patterns of trade, the information capability of the firm-environmental scanning,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ing,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capability-is vital to explain the export behavior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firm. Fourth, the size of the firm within the specific range cannot affect the patterns of trade feed-forwardly. Fifth, the export behavior can be got hold of its nature in the context of general organizational behavior. Further studies in this field will be encompassed by the Stimulus- Organization- Behavior- Consequence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the implications for both management and policy are presented.
멀티채널 사용자 쇼핑성향과 크로스오버 쇼핑패턴간의 관계 규명 연구
박상철,류성열,이웅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7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7 No.6
In nowadays, there are lots of attentions to explain individuals’ cross-over shopping behavior in multichannel retailing contex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ree different shopping orientations as major determinants of their cross-over behaviors, which are consisting of show-rooming and reverse show-rooming. We further tend to understand how three shopping orientations influence individuals’ cross-over behavior in multichannel retailing environments.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400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who had prior experiences on using multi-channels for purchasing a product. Our results demonstrated three different shopping orientations influenced both show-rooming and reverse show-rooming behavior. We also found that internet usage experience negatively affected reverse show-rooming behavior while it positively influenced the show-rooming behavior. Based on our findings, this study could provide relevant researchers with new theoretical insights and give practitioners importances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shopping behavior patterns.
만주어 문어의 문법 변화: 종결어미 -ra의 분포와 의미를 중심으로
박상철 한국알타이학회 2019 알타이학보 Vol.0 No.29
This paper points out the inconsistency in the descriptions of Manchu grammar, and proposes that Manchu grammar has been subject to diachronic changes. By surveying the earliest Manchu literatures in the 17th to 18th century including ≪Tongki fuka sindaha hergen i dangse 滿文老檔≫, it was revealed that the indicative ending -ra could only agree with 1st person singular/plural subjects and conveyed the meaning of 'the speaker's promise with the listener.'Comparing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ra in two Manchu novels from different times, ≪Gin ping mei bithe 滿文金甁梅≫ from the early 18th century and ≪Sonjofi ubaliyambuha liyoo jai jy i bithe 擇繙聊齋志異≫ from the mid 19th century, revealed that while the 1st-person subject constraint and the meaning remained the same, the occurrence of -ra had dramatically declined in ≪擇繙聊齋志異≫. Likewise, the descriptions of -ra in ≪Manju bithei gisun de aisilara mudan i hergen 淸文助語虛字≫ from 1730 and ≪Cing wen jiye ze bithe 新語清文接字≫ from 1899 differ; the former distinguishes -ra from ending -mbi, while no appearances of -ra as an indicative ending can be found in the latter. Among the three grammar references surveyed in this paper, Kawachi & Kiyose (2002) is the only reference that notes the 1st-person subject constraint, although insufficiently. I suggest that this inconsistency results from the discordance of the Manchu literature they refer to; Kawachi & Kiyose (2002) mainly refers to literature from the 17th to 18th century, while other references additionally refer to literature from the 19th century and later, and even include Sibe literature. It is assumed that grammar change, i.e. the decline of the usage of -ra, obscured accurate observ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the ending, hence the discrepancy in grammar references. 본고에서는 만주어 문법서에 나타나는 문법 기술의 불일치를 지적하고, 만주어 문법의 통시적인 변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가장 초기의 자료인 ≪만문노당≫을 비롯하여 17-18세기 만주어 문어를 검토한 결과, 평서법 긍정문 종결어미 -ra는 1인칭 주어만을 가지며 ‘청자에 대한 화자의 약속’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19세기의 만주어 소설 ≪택번요재지이≫를 검토한 결과 -ra의 주어 제약과 의미가 이전과 동일하지만 그 출현 빈도에서 1708년의 ≪만문금병매≫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른 시기의 만주어 문법서인 ≪청문조어허자≫와 후기의 ≪신어청문접자≫를 비교하면 -ra의 기술에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전자에서는 또다른 종결어미 -mbi와 뚜렷이 구분되는 -ra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 데 반해, 후자에서는 종결어미로 사용된 -ra의 용례 자체가 제시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검토한 3종의 만주어 문법서 가운데 河內良弘·淸瀨義三郞則府(2002)만이 불완전하게나마 -ra의 주어 제약을 언급하였고, 나머지 2종의 문법서들에서는 -ra의 주어 제약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렇게 문법 기술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각 문법서가 다루는 자료의 시간적 범위가 차이나기 때문이다. 즉, 河內良弘·淸瀨義三郞則府(2002)은 주로 17-18세기의 만주어 문어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데 비해 다른 문법서들은 여기에 더해서 19세기 이후의 만주어 문어 자료와 시버어 자료까지 포함하고 있는데, 통시적으로 점차 축소된 -ra의 사용으로 인해 그 분포와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것이 만주어 문법 기술의 불일치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주류정책의 변화, 1914-1932: 금주령에서 보드카 독점으로
박상철 대구사학회 2011 대구사학 Vol.103 No.-
The Russian government, at beginning of the First World War, issued prohibition law to avoid anarchy and disorganization of military mobilization and responding to the public opinions of educated society that had criticized excessive financial dependance of vodka monopoly. And the Bolsheviks, after the seize of power in October, 1917, continued anti-alcohol policies. The Soviet communists, regarding popular drinking practices as ‘vestiges of capitalism’ or ‘social diseases,’ tried to correct it with various legal and administrative measures, cultural and propaganda activities. But this meant a direct attack on popular way of life and cultural values contained in it. Therefore, people’s major response to it wa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moonshine. In 1920s, in context of fierce power struggle, Stalin and others asserted to resume and expand the production of the state vodka in order to suppress growing moonshine industry and to accumulate capital for speedy industrialization. When it became clear that anti-alcohol movements could threaten the consumption of state vodka as a source of state liquor revenues, he incapacitated anti-alcohol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declared that alcohol problems in Soviet Union had been resolved. This early experience in Soviet Union showed that drinking practices is rather determined and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many factors, such as power struggles, cultural conflicts between social elements and so on. It also showed how the utopian enthusiasm of Russian communists changed in harsh reality, and why many peoples began to develop conformist way of behaviou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achpak@jnu.ac.kr)
박상철 미국헌법학회 2009 美國憲法硏究 Vol.20 No.1
미국의 정당공천시스템은 1896년 공화당 주지사 후보지명전의 비민주성을 비판한 라폴렛(La Follette)이 주도하여 1904년 주민투표를 통해 도입된 직접예비선거제도를 기점으로 정당공천의 민주성 확보라는 획기적 변혁이 일어났고, 2000년 California Democratic Party v. Jones 사건을 계기로 정당내부사항의 자율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시도되는 변화와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1960대 이후 최고조에 달했던 정당퇴조현상이 21C에 접어들면서 정당책임정치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 미국적 상황이다. 이에 미국 정당공천시스템도 당내민주화 달성의 기반 위에서 자율성확보 경향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요컨대 미국정당공천시스템의 자율화 경항 분석은 정당의 자율성확보가 곧 정당의 민주화(당내민주주의)에 근거하여야 된다는 정당의 민주화와 자율성의 상호관계를 확정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한국민주주의의 위기가 본질적 의미에서 참여의 위기라기보다는 정당정치 및 대의정치의 위기라면 그 핵심은 정당공천시스템에서 출발하고 있으므로 정당공천에서의 민주화와 자율성 확보는 시급한 헌법적 과제이다. 구체적으로 미국정당공천시스템의 당내민주화 확보 이후 자율성 강화로의 경향은 한국 주요 대중정당의 공천시스템 변환철칙으로 삼을 만하다. The Constitutional issues in the political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USA are the complementary faces of Democracy and Autonomy. The uptrend nomination system of the political party should be provided concretely in the legislation of USA, but in Korean Political Party Act it provided abstractly as "democratic process". By making comparison study of two States, the legislation of USA should be prescribed too positively, but the Korean passively. According to the political party clause (the article 8 clause 2) of the Korean Constitution, Political Party Act Art 29 and public office Election Act Art 47, the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should be performed democratically. There is dual character in the political party candidate nomination system; a private one as internal matters of the political party and a public one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rocess of the public office election. American primary election system contributes to improve an essential element of a whole election system of a State. The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of the prime minister in England and Japan is similar to American primary election system. As a result of undemocratic process of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the independent democracy will be damaged.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political parties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USA including the complementary problem of Democracy and Autonomy.
청학서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특히 만주어와 한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박상철 국어사학회 2022 국어사연구 Vol.- No.34
In Section 2 of this paper, I briefly introduce six Manchu-Korean books published by Sayeogwon (司譯院) of the Joseon Dynasty, relying on previous studies including Ko (2015) and Choi (2020), and present a comprehensive list of previous studies. In Section 3 and below, I point out the importance and existing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the tense and aspect system of Manchu and Korean,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by stressing that the studies must be preceded by accurate description of the Manchu language. 본고의 2절에서는 고동호(2015) 및 최계영(2020) 등의 선행연구에 의지하여 조선조 사역원에서 간행한 6종의 판본 청학서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선행연구의 종합적인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3절 이하에서는 이 가운데서 특히 만주어와 한국어의 시상체계와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그 의의와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앞으로 청학서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즉, 청학서를 이용한 국어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만주어의 정확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O2O 서비스 이용자의 채널선택행동에 관한 질적조사 연구
박상철,류성열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최근에 주목할만한 상거래 방식 중에 소비자가 온/오프라인 경계를 넘나드는 채널 상거래가 있다. 옴니채널(omni-channel) 이라고도 불리는 O2O 상거래는 기업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채널을 넘나들며 소비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거래를 의미한다[8]. 국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쇼핑스타일을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국내 소비자의 약 67%가 자신이 크로스오버 쇼퍼(cross-over shopper)인 것을 밝힌 바 있다[9]. 여기서 크로스오버 쇼핑이란 오프라인에서 제품을 선택한 후 온라인에서 최저가를 찾아 구매하는 쇼루머(showroomer)와 온라인에서 상품정보탐색 후 오프라인에서 최종적으로 구매를 결정하는 역쇼루머(reverse showroomer)로 구분된다. 최근 소비자의 독특한 쇼핑행동의 변화는 앞서 언급한 옴니채널(Omni-channel)의 등장과도 관련이 있다. 한편, 소비자들이 구매상품에 따라 정보탐색채널과 구매채널을 각각 다르게 활용하는 현상은 IT 사용자의 행동연구에 있어 주목할만한 주제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옴니채널 환경에서 온/오프라인 영역을 넘나들며 정보탐색과 구매과정을 분리하고 있는 사용자의 크로스오버 쇼핑행동에 대한 질적연구조사를 활용하여 이들이 언제, 왜, 어떻게 크로스오버 쇼핑행동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못하는 크로스오버 쇼핑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심리학, 마케팅 영역에서 질적조사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민족지학으로도 불리는 이 기법은 조사대상(사람)이 특정한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는지를 심도있게 관찰하여 기존의 양적연구에 밝혀내지 못한 사각지대를 발견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특히, 조사대상인 사람들이 자신이 직면한 상항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적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경험 속에 녹아있는 행동과 그 행동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에스노그라피 기법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원인과 그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본 연구는 본 연구는 O2O 서비스 이용자 쇼핑행동이라는 새로운 연구영역을 에스노그라피 기법이라는 질적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연구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불어 관찰과 면접을 통해 획득된 자료내용을 분석하여 핵심범주 요소들을 추출하고 행동경제학의 기본가정에 대입하여, 기존 이론이나 방법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크로스오버 쇼핑행동을 귀납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에스노그라피 기법이라는 질적접근법을 활용하여 사용자행동을 규명하고자 하는 이유는 기존 정량적 조사의 한계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동안 많은 사용자 행동 연구는 Ajzen and Fishbein[3]의 태도-행동(attitude-behavior)의 관계를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이하 TRA) 이후, 소비자(사용자) 행동관련 연구는 태도의 결정요인, 태도와 의도간의 관계, 실제 행동의 원인 등 상호관계가 어느 정도인지를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검증된 한 바 있다. 행동에 대한 태도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 이하 TPB) [4] 역시 MIS, 마케팅 등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검증되기도 하였다. 실제 행동과 행동을 하고자 하는 의도 사이에 간극을 지적한 연구도 일부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행동의도에 대한 규명이 행동에 대해서 일정수준의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1]. 전반적으로 태도-의도-실제행동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다루고 있는 이론적 모형이 개인수준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데 대표적인 모형임에는 부인할 수 없지만. 이들에게서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먼저, 앞서 제시한 모형들의 기본가정에는 인간의 행동이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판단에 근거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4]. 그러나 의사결정학이나 행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이 논리적 판단만으로 의사결정을 하거나 행위를 하는 것은 아님을 주장한 바 있다[5]. 이는 어떤 경우에 사람들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신이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도자체가 다르게 표현됨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품 구매행동 맥락에서 보면, 상품구매가 상품에 대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판단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개인적 행동 뿐만 아니라 개인이 위치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도 이루어지기 때문이다[6,7]. 둘째는 의도-행동간의 관계 규명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자기보고식(self-reported) 조사 방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경우, 주로 자기보고식 조사방법을 채택한 연구들에서 Common Method Bias Testing을 통해서 해당방법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기도 한다. 종합해보면, 사용자행동을 규명하기 위한 정량적 접근에서 응답자들은 실제 상황에 직면하여 자신의 의도와 실제 행동간의 간극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정형화된 조사방법을 통해서 쉽게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이론들을 바탕으로 정형화된 조사방법을 수행하는 기존 연구접근법에서 탈피하여 맥락에 부합한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내용은 O2O 사용자의 채널 선택 행동을 설명하는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옴니채널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점차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채널 선택행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소비패턴과 관련하여 정성적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사용자의 채널선택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에스노그라피 기법을 활용한 정성적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독특한 소비패턴현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스노그라피를 활용하여 본 연구의 적용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관찰과 면담과 같은 방식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귀납적 방법을 통해서 현상을 설명하고, 이를 행태적 의사결정이론과 행동경제학 이론적 기반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5]. 특히, 본 연구는 크로스오버 쇼핑채널 선택과 관련하여 인간의 본질적인 두 가지 사고체계(시스템 1과 시스템 2 사고)의 기본가정을 바탕으로 구조화된 요인들을 변수화하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준거이론의 체계 속에서 정성 기법을 통한 구조적 범주 요인들을 변수화하여 O2O 사용자 행동 메커니즘을 정교하게 살펴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수 있다.
User Switching to Cloud Service: A Status Quo Bias Perspective
박상철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7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d test a model for switching behavior to cloud computing services from the status quo bias perspective. The research model posits that both the status quo in incumbent systems such as sunk costs, transition costs, and resistance to cloud services which negatively affect an individual's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s cloud services adoption. Data collected from stud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using cloud computing was used to test the model using partial least squares. Results indicate that incumbent systems associated with status quo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resistance to cloud computing.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lative advantage positively influenced cloud adop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