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주 송산리 6호분의 구조적 특징과 주인공 문제

        서정석(Seo, Jeongseog)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과 더불어 백제에서 만들어진 2기의 벽돌무덤 중 하나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무령왕릉과 달리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송산리 6호분의 주인공을 알기 위해서는 무령왕릉과의 선후 문제, 그리도 피장자의 성별 등이 밝혀져야 한다. 축조 시기의 문제에 있어서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보다 늦게 축조되었다고 생각한다. 무령왕릉보다 경사면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고, ‘양관와위의사의’, 또는 ‘양선이위사의’로 읽을 수 있는 명문 벽돌이 무령왕릉을 축조하기 위해 만든 벽돌이기 때문이다. 송산리 6호분의 피장자는 남성으로 이해된다. 棺台가 동쪽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무령왕릉과 비교해 보았을 때 무령왕의 위치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무령왕릉과 봉분이 맞닿을 정도로 인접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주인공은 가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보다 약간 늦게 축조되고, 그 주인공이 남성이며, 무령왕과 가족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그 주인공은 513년에 사망한 순타태자가 아닌가 한다.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t Songsan-ri are brick-chambered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Dynasty. Unlike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researchers are still unsure of who is buried in Tomb No. 6.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omb No. 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sex of the buried person should be identified to know the owner of Tomb No. 6. Tomb No. 6 was constructed at a later date compared with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is is because Tomb No. 6 is located below the slope of the ridge and a brick inscribed the characters “梁官瓦爲師矣” or “梁宣以爲師矣” of Tomb No. 6 ar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person buried in Tomb No. 6 is most likely a male. The catafalque placed in the east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addition,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owner of Tomb No. 6 is the family of King Muryeong because Tomb No. 6 is close to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us, Tomb No. 6 was constructed after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its owner is male. It could be claimed that the person buried in Tomb No. 6 is the Crown Prince Sunta because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 person in the tomb is a relative of King Muryeong.

      • KCI등재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이주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2 No.-

        Ancient Tombs in Songsan-ri show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Southern Dynasties which maintained the tradition of arranging a family cemeter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ungsu (or Feng Shui), as shown by the way in which tombs (about 20 in total) are arranged in dense groups along the two mountain ridges, one in the east and the other in the west, with Songsan Mountain to the north. It has generally been believed, at least since the discovery of King Muryeong's memorial plaque at his tomb, that this cluster of ancient tombs in Songsan-ri includes those of the four kings who ruled Baekje during the Ungjin period, from King Munju to King Muryeong, along with members of their families. Ancient tombs in Songsan-ri built in the Ungjin period were mana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 of the family cemetery maintained by the ruler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by which graves were arranged in groups of different generations on separate mountain ridges. Of these, the Songsalli type of stone-chamber tombs numbered 1 to 4, which feature similar forms and structures, are believed to have been connected with King Munju and King Samgeun. Experts also presume that King Dongseong, who was murdered in 501, was buried in Gyocholli Tomb No. 3, a brick chamber tomb, which was built before Tomb No. 6. The use of bricks to build the burial chamber is believed to have been connected with the brisk cultural exchange between Baekje under the reign of King Dongseong and the Chinese Southern Dynasties. The wooden coffin and iron osu (or wu zhu) coins discovered at King Muryeong's Tomb suggest that the remain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were moved from Songsalli Tomb No. 6 around 541 by his son, King Seong. The murals and inscribed ceramic tiles discovered at that tomb also suggest that it was used to enshrine the body of King Seong, who was killed during the Battle of Gwansanseong, by the powerful aristocrats who opposed the war. Considering that there are still several issues regarding early Korean history awaiting deeper study,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findings based on historical facts will provide a tool for breaking with fixed ideas and views in order to uncover more historically accurate perspectives. This is precisely what is needed for further study of the archaeological discoveries connected with Baekje. 공주 송산리고분군은 풍수지리를 고려하여 가족장제를 선택한 중국 남조의 영향으로 왕가의 능묘를 구릉별로 군집시켜 배치한 밀집형 능원으로 조성한 점이 특징이며, 송산을 북쪽에 두고 동쪽과 서쪽능선 상에 20여기의 능묘가 조성되어 있다. 그 동안 이 능묘의 피장자로는 웅진 천도 이후 재위하였던 문주왕 ~ 무령왕까지 4명의 왕과 그들 가계의 무덤이 모두 이곳에 마련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묘지석을 갖춘 무령왕릉의 발견으로 학계에서는 이를 통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이루어진 송산리와 교촌리고분군의 재발굴조사와 하루 밤 만에 거칠게 조사가 마무리된 무령왕릉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웅진시기 백제 왕가의 능묘에 대한 기존 인식의 한계를 지적해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웅진천도를 전후하여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고고학적 정합성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이는 선학의 연구에서 미흡하였던 부분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으로 문헌기록과 고고자료와의 괴리를 최대한 좁히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웅진기에 조영된 송산리고분군은 가계별로 능선을 분리하여 능원을 조영하는 남조의 가족장제 축조원리에 따라 운영되었으므로 형태와 구조가 유사한 ‘송산리형’ 석실인 1~4호분의 피장자상은 문주-삼근왕계로 파악된다. 또한, 501년에 피살된 동성왕은 6호분 보다 먼저 축조된 교촌리 3호 전실묘에 안장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동성왕대의 활발한 대중교섭 행위에 기초한 결과이기도 하다. 한편, 무령왕릉의 목관과 철오수전의 부장양상으로 보아, 무령왕과 왕비는 성왕에 의해 541년 무렵 송산리 6호분에서 천장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송산리 6호분은 벽화의 상태와 출토된 명문전을 근거로 볼 때, 관산성 전투(554년)에서 사망한 성왕의 유해가 당시 백제의 정계를 장악한 주화파 귀족들에 의해 이곳에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직도 해결해야 할 난제가 산적한 우리 고대사 연구에 있어서 역사의 팩트에 상응하는 고고자료의 분석과 이해는 고정관념을 깨트리는 도구이자 현실을 바르게 보는 눈이므로 앞으로 백제고고학에서 폭넓게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송산리 6호분 문양전의 성격과 무령왕릉의 역연대

        이주헌(Lee, Ju-heu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공주 송산리고분군은 백제의 상장의례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일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 고분문화의 단면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고자료이다. 특히, 송산리 6호분은 전용문양전을 사용하여 축조된 중국 남조식 무덤양식으로 무령왕릉과 함께 웅진시기의 문화적 성격과 지배층의 정치적 동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그 의미와 영향은 백제사 연구에 있어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그 동안 학계에서는 6호분 피장자의 정체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 공식적인 견해는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며, 향후에도 결정적인 자료가 제시되지 않는 한 이 문제의 해결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에 확인된 사실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시각에서 6호분의 축조에 사용된 문양전에 대한 분석과 묘실 전반에 표현된 장의사상의 이해에 중점을 두면서 무령왕릉 출토 매지권과의 상호 관련성을 고려하여 6호분 피장자의 실체와 성격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전축분의 형태로 이루어진 6호분은 무덤의 조성 계획단계부터 전용전을 마련하여 묘실의 내부를 엄숙하게 관념적으로 장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마련된 벽돌은 전문계열문양전으로 파악된다. 특히, 문양전 1장에 오수전 문양을 2개 또는 4개로 연속되게 표현하여 화폐가 지닌 나름의 의미를 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고, 더욱이 오수전문의 수량이 10,000 개에 달하도록 계획하였다는 점은 주목된다. 이는 무령왕릉 매지권의 ‘錢一萬文’이란 표현과 관념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연화문을 기본단위로 묘실을 화려하게 장식하여 불교적 극락세계를 표현한 무령왕릉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국, 6호분의 장의관념은 무령왕릉 매지권과 서로 연결되므로 당초 매지권은 6호분에 매납된 것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6호분의 성격은 무령왕과 왕비의 초장지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현재의 무령왕릉은 초장지인 6호분에서 무령왕과 왕비의 목관이 천장된 무덤이며, 이러한 논리를 뒷받침하는 고고학 증거로는 자연적 현상이라고 보기 어려운 무령왕릉 목관의 출토상태와 바닥판이 결실된 목관의 구조, 포개어진 상태로 확인된 관식의 출토양상에 대한 의문이다. 또한, 무령왕릉에서 한 꾸러미로 묶인 철오수전 90개는 무령왕과 왕비의 천장시기를 大同年間(535 년~545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역연대 자료이다. 따라서, 『南史』와 『三國史記』의 기록으로 볼 때 무령왕릉을 축조하고 송산리 6호분에서 천장한 시기는 541년 이후일 것으로 파악된다. The fact that Songsan-ri Tomb No. 6 features patterned bricks made specially for the tomb reflects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Dynasty style (420-589) of China. Thus, while this study is based on previously confirmed facts, it adopts a new viewpoint, with the focus on an analysis of the pattern brick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omb No. 6 and of the funerary philosophy expressed throughout the burial chamber. It also aims to approach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nt of Tomb No. 6, while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tomb and the memorial tablets (買地券) found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Basically a brick chamber tomb in form, Tomb No. 6 was ideologically designed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to express the interior of the burial chamber in a somber tone by making special bricks, and the bricks made for this purpose are found to be money-patterned bricks (錢文系列文樣塼). Each tile is decorated with a pattern consisting of a sequence of two or four osujeon (五銖錢), which appears to represent an attempt to convey the meaning of money.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design appears to have been made in such a way that the total count of osujeon amounts to 10,000 patterns. Ideologically speaking,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ression “Currency of Ten Thousand (錢一萬文)” inscribed on the memorial tablets recover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this regard, the tomb differs considerably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whose burial chamber is elaborately decorated with lotus patterns as the main motif, expressing the Buddhist paradise. Thus,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relocated from Tomb No. 6, the first burial ground in which the wooden coffin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were originally placed. Among the pieces of archeological evidence found to support this supposition are the condition of the wooden coffin found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at the time of its excavation, which cannot be regarded as a natural phenomenon;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offin, which was missing a bottom plank; and the condition of the crown decoration (冠飾) that was found folded when the tomb was excavated. In addition, the ninety iron osujeon found tied into one bundle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constitute a material that could help pinpoint the date of relocation of the tomb of the king and queen to the Daedong era (大同年間), i.e. sometime between 535 and 545. Therefore, in view of the records contained in Namsa (南史), and Samguk Sagi (三國史記),” it is estimated that Songsan-ri Tomb No. 6 was relocated to the Tomb of King Muryeong sometime around or just after 541.

      • KCI등재

        中國 南朝 塼築墳을 통해 본 武寧王陵의 ‘外簡內奢’

        장단위 백제학회 2022 백제학보 Vol.- No.40

        Jeongji-san ruin was the only location presumed to connect with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King Muryeong's Tomb. To some extent, two sites of Bangdanjeokseok (squared altar where stones were piled up) relics in Songsan-ri Ancient Tombs can be considered as cult facilities due to the buried major part of the tomb chamber. So far, there are 15 tombs which can be confirmed to locate in Songsan-ri Ancient Tombs.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2 sites of cult-facilities like Bangdanjeokseok relics and other groups of tombs remain to be identified. Nanjing Lion Southern Dynasty Cemetery and Xiao Wei Tomb had rigorous layouts that consisted of ritual facilities such as Mausoleum, Tomb Passage, stone carvings (stone beasts, stone pillars, stone tablets) and Que Gate at the Tomb. Compared with these facilities, King Muryeong's Tomb was relatively simple. During the 55 years of Xiao Liang Dynasty, Baekje sent envoys seven times to the Liang Dynasty. Therefore, it would be unreasonable to explain the lag in Baekje's acceptance of the culture of the Southern Dynasty, and more appropriate to look for the cause in the inherent culture of Baekje. There ar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cultural relics from the King Muryeong's Tomb and the Southern Dynasty princely tombs. Epitaphs and porcelain cultural relics are generally unearthed in the tombs of the King Muryeong's Tomb and the tombs of the Liang Dynasty princes with the same status in the same period. Pottery and figurines are basically buried in the Huangdi Mausoleum or the tombs of princes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On the contrary, no one was unearthed in the King Muryeong's Tomb. Although the earthenware in Baekje tombs is generally not very large, there are also a few unearthed. There might be certain unknown relationships between such phenomenon and both of the Land Purchase Record and the Jinmyosu found in King Muryeong's Tomb. Firstly, no earthenware was buried because of the concept of afterlife to be gods. Additionally, the function of Jinmyosu was not limited to safeguarding the tomb but also played some multi-functional roles. In conclusion, by comparing with the Brick Chamber Tombs of the Southern Dynasty, we can fully explain the phenomenon of “exterior simplicity and interior luxury” in the King Muryeong's Tomb. 1971년 송산리고분군 내에서 우연히 무령왕릉을 발견했다. 이는 정확한 墓主를 밝혀주는 백제에 속하는유일한 무덤이다. 무령왕릉은 중국 남조시기의 주류 묘제인 塼築墳文化를 받아들여 구축하였다. 이 점은 백제 웅진시기를 이채롭게 하는 대목일 것이다. 전축분을 포함한 출토유물에서도 남조의 영향이 다수 표출되었다. 따라서 무령왕릉의 구조나 출토유물의 성격을 철저히 파악하고 이해하려면 무령왕릉과 중국 남조 전축분 간의 比較硏究는 불가결할 것이다. 무령왕릉에 관한 상장의례 시설은 추정으로 본 艇止山 遺蹟뿐이다. 그리고 무령왕릉이 있는 송산리고분군에 제사에 관한 방단적석유구도 2기만 발견되었으며, 埋葬主體部가 없어서 祭禮施設로 보아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무령왕릉을 포함한 송산리고분군에 지금 확인 가능한 무덤은 총 15기에 달하는데, 그 중에 제례시설로 본 2기의 방단적석유구는 여러 무덤과 서로 어떤 대응관계를 맺고 있었는지에 대해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에 南京獅子沖南朝陵園과 蕭偉墓의 경우에는 능원담장, 신도, 석각(석수, 석주, 석비), 墓闕 등예제시설을 갖추고 있는 정연한 능원배치에 비해 무령왕릉 외부에는 소박한 모습을 띠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양나라에 존속 되었던 55년 동안 백제에서 梁으로 遣使한 횟수는 총 7회에 달하였으며, 백제가 남조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 중에 나타난 지체성으로 해석하면 무리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상황을 규명하려면 南朝文化에 착안하기보다 백제의 고유문화에서 그 단서를 찾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무령왕릉과 남조 왕후일급 무덤에 출토유물의 종류 간의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무령왕릉과 비슷한시기 및 동등 신분위계를 가진 양나라 諸王候墓에서 출토된 유물의 공통점은 묘지석과 磁器類遺物이 있다는점이다. 다만 남조시기의 皇帝陵이나 王候墓에는 거의 다 도기나 俑이 출토되었지만 반면 무령왕릉에는 한점이라도 출토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비록 백제시기 토기의 부장량 자체가 많지 않았으나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매지권, 진묘수 등을 함께 고려한다면 승선적인 내세관을 지닌 결과로 인해 토기부장이 전무하게 된 주장과 진묘수는 鎭墓를 하는 기능만이 아니라 피장자의 승선을 돕는 다목적성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흥미롭다. 이상과 같이, 남조 전축분은 무령왕릉과 서로 비교를 통해 외부의 附屬禮制施設과 출토유물의 종류 및 위계에 나타난 차이점을 충분히 해명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웅진·사비기 백제 왕실의 조상 제사 변천

        이병호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이 글은 웅진기와 사비기 백제 왕실의 조상 제사에 대한 변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Ⅱ장에서는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한 웅진기 백제 왕실의 상장례를 살펴보았다. 기존 학계에서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묘지석, 정지산유적 발굴 성과에 근거하여 무령왕과 왕비가 27개월 동안 殯葬을 했고, 정지산유적에 殯殿이 있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공주·부여 지역의 발굴 사례가 증가하면서 여러 의문이 제기되고, 특히 연화문와당의 경우 부여나 청양 지역에서 6세기 후반에 속하는 동범품이 확인되는 등 기존 견해로는 설명이 어려운 현상이 나타났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빈전이 설행된 장소는 왕이 승하한 장소 인근에 설치되는데 이는 아침·저녁으로 빈궁에 의례를 올리기 편리한 장소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것을 보면 정지산유적 빈전설은 재검토의 여지가 있다. 무령왕과 왕비의 27개월 빈장설 역시 의문이 따른다. 『예기』를 비롯한 조선시대 國喪들을 살펴보면 국왕 사후 5개월 이내에 매장이 완료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무령왕과 왕비의 장례는3년상이 적용된 유교적 상장례였기 때문에 27개월을 殯 기간으로 보기 보다는 ‘服喪’ 기간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Ⅲ장에서는 사비 천도 이후 부여 능산리 일대에 왕실의 분묘가 조영되고 왕실 발원 사원이 건립되는 과정을 검토했다. 백제는 사비 천도 이후 祀典 체계를 개편하면서 육후와 같은 중국의 의례전문가를 초청하여 상장례 등을 보완하였다. 하지만 백제 성왕은 관산성 전투에서 갑자기 戰死 했기 때문에 그 장례 절차가 순조롭지 않았다. 문헌사학자들에 따르면 554년 7월 관산성에서 전사한 성왕은 같은 해 12월 무렵에는 그 주검이 부여에 돌아왔다고 생각된다. 위덕왕은 부왕인 성왕이 행했던 무령왕의 장례 절차를 참고하여 27개월 3년상을 치렀을 것이다. 위덕왕은 555년 8 월 갑자기 出家를 선언한다. 성왕이 사망한지 13개월이 되는 시점으로 성왕의 장례 절차가 어느정도 마무리되었음을 시사한다. 『일본서기』에 위덕왕이 557년 3월에 왕위에 오른 것으로 기록된것은 27개월 복상 기간을 의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덕왕은 성왕의 장례에 불교를 추가한다. 위덕왕은 555년 8월 출가 발언 이후, 승려 1백명을배출하고 많은 幡蓋를 만들었다. 567년명 창왕명 석조사리감이 발견되면서 능산리사지가 바로위덕왕이 성왕을 追福하고 성왕릉을 관리·수호하기 위해 창건한 사원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위덕왕은 유교적 상장례에 더하여 ‘왕릉과 사원’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왕실 제사를 출현시켰다. 그러나 ‘建邦의 神’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 것은 위덕왕대 유교적 상장례에 새롭게 불교적 요소가추가되는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았음을 알려주고 있다. Chapter 2 of this article attempts to determine how the royal family held funeral rites during the Ungjin Baekje period based on the artifacts unearth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earlier studies, researchers made the following conjectures: The bodies of King Muryeong and his wife were placed in a special place before burial, a practice known as binjang(a hall where the body of a dead king or queen was kept during funeral rites) that lasted for 27 months; and a binjeon was discovered at what is now known to be the Archaeological Site in Jeongjisan Mountain, based on a tombstone unearthed from King Muryeong’s Tomb and the result of the excavation of Jeongjisan. However, questions were raised about this theory follow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xcavation surveys of ancient sites in Gongju and Buyeo. As regards roof-end tiles with lotus flower patterns, tiles made with similar molds dating from the late sixth century have been found in Buyeo and Cheongyang, which is difficult to reconcile with the existing view. Ancient records state that a binjeon was set up in a place close to where the king or queen died, that a rite was held there twice a day during the funeral, and that it was a convenient place for holding the said rite. Due to this, researchers have raised questions about the assumption about a binjeon in Jeongjisan. One also comes to ques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27 month-long binjang process. According to ancient records - including Yegi (The Book of Rites) - about state funerals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body of a dead king was buried after a 5-month period, and a 3-year-long period of mourning was observed according to Confucian custom in the case of King Muryeong and his wife. Thus, it is assumed that the 27-month period was a mourning period rather than a waiting period preceding the burial. Chapter 3 considered the process of building royal tombs and the temples where prayers for the royal family were held in present-day Neungsan-ri, Buyeo after the relocation of Baekje’s capital to Sabi (present-day Buyeo). At that time, the Baekje Dynasty was striving to improve its funeral protocols by inviting experts such as Lu Xu from China. As for King Seong of Baekje, who was killed in action during the Battle of Gwansanseong, it was not possible to hold his funeral rite according to the usual practice. According to historians, the king was killed in July 554, but his body was not brought home to Sai until December of that year. It is assumed that his son King Wideok followed the precedent of observing a 27-month period of mourning just as his father had done for his grandfather (King Muryeong). Thus, some 13 months later, in August 555, King Wideok announced that he would become a monk; and it is assumed that most of the funeral customs for his father would have been completed by that time. Nihon Shoki (tThe Chronicles of Japan) states that the prince rose to the throne and became King Wideok in March 557, after seeing out the 27-month mourning period. King Wideok held the funeral for his father in the Buddhist style. Following his announcement about becoming a monk, he had a hundred people become monks and made a large number of Buddhist flags. With the discovery of a stone sarira reliquary with inscriptions of the year 567 and the name Prince Chang (King Wideok), researchers have pointed to the possibility that the temple site in Neungsan-ri, Buyeo may once have been the site of a temple built by King Wideok to console the spirit of his dead father and to protect the tomb. King Wideok adopted a new style of ancestral memorial rite for the royal family, combining the existing Confucian rite with the style for a royal tomb and a Buddhist temple. However, records about the related controversy tell us that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uddhist style with the existing Confucian style of memorial rite did not proceed smoothly.

      • KCI등재

        이체자 검토를 통한 무령왕릉 묘지석의 새로운 해석 ―「安厝」와 「訟」을 중심으로―

        崔珉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2 百濟硏究 Vol.76 No.-

        백제 무령왕 묘지석에는 우리가 보던 글자와는 차이가 있는 글자들이 많이 나타나있다. 이들 고자(古字)·속자(俗字)·별자(別字),『삼국유사』‘문호왕법민’처럼 원래는 무(武)자를 써야 하지만 고려 혜종을 피휘하기 위해‘호(虎)’자로 대체된‘대자(代字)’ 그리고 ‘동훈이자(同訓異字)’까지를 합쳐서 ‘넓은 의미의 이체자’라는 개념이 이체자 사전류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들을 그대로 ‘이체자(異體字)’라 부르기로 한다. 이체자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무령왕 지석에서 지금까지 ‘안장하였다’는 의미로 풀어왔던 ‘안조(安厝)’를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대안사 적인선사비」·「황복사 금동사리함기」그리고 「광개토호태왕릉비」를 이용하여 ‘안묘(安廟)’로 ‘묘에 안치했다.’ 또는 ‘입묘(立廟)’로 ‘묘를 세웠다.’로 풀었다. ‘등관대묘(登冠大墓)’는 ‘대묘’가 지명이 아니라 ‘무령왕릉’을 지칭한다고 보고, ‘대묘에 올려 모신다.’로 풀이하여 ‘안조’와 중복되는 표현이 아니라고 보았다. ‘입지여좌(立志如左)’는 일단 ‘왼쪽(매지권)과 같이 적어서 밝혀 나타낸다.’ 라고 풀었다. 매지권에서 ‘우일건(右一件)’은 왕지석의 ‘입지여좌’에서 ‘좌’와 대응관계로 보아 지석 문건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 ‘사마주(斯麻主)’에서 ‘主’자는 ‘王’자의 오각(誤刻)으로 볼 수도 있지만 매지권이라는 특성으로 보면 ‘主’자가 합리적이라고 보았다. 가장 관심의 대상인 ‘송(訟)’자는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지만 송자로 그대로 읽고 ‘송(頌)’의 이체자이므로 ‘토지신들을 칭송한다.’로 해석하였다. 이렇게 하면 “토지신들을 칭송함으로써 결국 신들에게 고하는 절차를 마친 다음, 무덤을 쓰기 위해 신(申) 방위의 땅에 대해 돈을 지불하고 그 사실을 기록하였다. 이런 경과를 명확히 하고자 문건을 작성하였으므로, 율령에 구애받지 않는다.”로 풀이하였다. 이 글에서 무령왕 지석과 매지권을 대상으로, 이체자를 이용함으로써 무령왕 지석에서 ‘安厝’와 ‘登冠大墓’그리고 특히 매지권의 ‘頌’자를 자연스런 표현으로 풀이할 수 있었다. The epitaph plaque of King Muryeong’s Tomb shows many letters that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letters that we used to see elsewhere. These letters have been called old letters(古字), popular forms(俗字), or typos(別字), however, are called variant forms(異體字)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variant forms, ‘anjo(安厝)’ in the epitaph plaque (king),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to bury’ until now, was read as ‘anmyo(安廟)’ or ‘immyo(立廟)’ and interpreted as ‘enshrined in the tomb’ or ‘prepared the tomb’ by referring to 「Stele for Master Bojo at Borimsa Temple」, 「Stupa of Master Jeokin at Taeansa Temple」, 「Gilt-bronze Reliquary of Hwangboksa Temple」, and 「Tomb Stele of King Gwanggaeto」. For ‘deunggwan daemyo(登冠大墓),’ it was deemed that ‘daemyo’ is not a place name but refers to ‘King Muryeong’s Tomb’ to interpret it as ‘to place in the King Muryeong’s Tomb to enshrine,’ which does not conflict with ‘anjo.’ For ‘ipji yeojwa(立志如左),’ was interpreted as ‘to state as written in the left (land purchase record),’ and was inferred as ‘to write the land purchase record (instead of showing it) but to secure a place (for the contents of writing)’ according to ‘wisik yeojwa(位識如左).’ In the epitaph plaque (queen), ‘gaejang hwan daemyo(改葬還大墓)’ was interpreted as ‘to transfer the coffin placed in the mortuary to the King Muryeong’s Tomb to re-enshrine.’ ‘Geosang jae yuji(居喪在酉地)’ was also interpreted as ‘to prepare the mortuary in a place in the direction of yu(酉)’ to imply that the mortuary was not in the Jeongjisan Remains. In the land purchase record, ‘uilgeon(右一件)’ was deemed to indicate the document on the epitaph plaque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 of ‘jwa(left)’ in ‘ipji yeojwa(立志如左)’ regarding the epitaph plaques of king and queen. For ‘song(訟),’ which drew the most attention, many opinions were suggested, but it was read as it was and regarded as an variant forms of ‘頌’ and was interpreted as ‘to praise the gods of the land.’ Based on these interpretations, the whole text could be interpreted as “We completed the procedure of informing the gods by praising the gods of the land, paid for the land in the direction of ‘sin(申) to prepare a tomb, and recorded these facts. For we prepared a document to clearly state these facts, we are not restricted by law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variant forms, it was possible to properly interpret ‘anjo(安厝)’ and ‘ipji yeojwa(立志如左)’ in the epitaph plaques of king and queen and ‘song(頌)’ in the land purchase record in particular.

      • KCI등재

        백제 전실묘의 구조와 축조 배경 재검토

        윤한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is study looked into Baekje brick-chamber tombs, such as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omb No. 6 in Songsan-ri, Gongju and Tomb No. 3 in Gyochon-ri, and bricks for the construction of each brick-chamber tomb in close relat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brick-chamber tomb. Next, it looked into each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rick-chamber tombs and the aspect of the masonry of bricks and re-examined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in Songsan-ri. After this work, the author presented opinions about the order of Baekje’s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and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a foreign tomb burial system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First, it was assumed that Tomb No. 3 in Gyochon-ri might be the first brick-chamber tomb built for the first time in the Baekje region, and judging from its structure and the bricks for construction, there is no sign of a direct impact of the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of Southern Dynasties, so accordingly, Tomb No. 3 in Gyochon-ri was judged to be an unfinished brick-chamber tomb originating from Baekje’s unskillfulness of the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It was deemed that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2 in Gyochon-ri were built later with the direct introduction of the brick making technology of the Liang Dynasty, at the point of time around the year of Imjin (512) rather than Southern Dynasties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meantime, it was judged that Tomb No. 6 in Songsan-ri was later transformed partially into Baekje style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walls of the brick-chamber tomb and the placement of murals, lat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rough this, the order of construction was presented as follows: ‘Tomb No. 3 in Gyochon-ri → Tomb No. 2 in Gyochon-ri and Royal Tomb of King Muryeong → Tomb No. 6 in Songsan-ri.’Along with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of Tomb No. 3 in Gyochon-ri, if the exchange relationship with all regimes of Southern Dynasties continued since the Baekje Hanseong Period is considered, Baekje people already recognized the brick-chamber tomb, a tomb burial system of China, and it was assumed that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like Tomb No. 3 in Gyochon-ri were attempted by the local technology with a justification that necessitated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like those in Southern Dynasties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However, as the construction of Tomb No. 3 in Gyochon-ri failed due to unskillfulness of the technology, it seems that at the point of time around 512, Baekje introduced the brick making technology of the Liang Dynasty and built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in Songsan-ri. 본고는 백제 전실묘인 무령왕릉과 공주 송산리 6호분, 교촌리 3호분을 중심으로 전실묘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실묘 축조용 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실묘의 각 세부 구조에서 보이는 전 체축(砌築)양상을 확인하여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의 구조적 차이를 새롭게 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 이후, 필자는 백제 전실묘의 축조 선후관계와 백제 웅진기에 외래 묘제인 전실묘가 축조된 배경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먼저 백제에서 처음 축조된 전실묘는 교촌리 3호분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 구조와 축조용 전으로 보아 중국 남조 전실묘 축조 기술의 직접적인 영향이 간취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교촌리 3호분을 백제의 전실묘 축조 기술의 미숙에서 비롯된 미완성 전실묘로 판단하였다. 이후 중국 남조의 전실묘 축조 기술(造墓技術)보다는 남조 梁의 전 제작 기술(造塼技術)의 직접적인 도입에 의하여 壬辰年(512)을 전후한 시점에 무령왕릉과 교촌리 2호분이 축조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 축조 이후, 전실묘의 벽체 두께와 벽화 배치 등을 고려하여 일부 백제적 變容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교촌리 3호분 → 교촌리 2호분․무령왕릉 → 송산리 6호분’의 축조 선후관계를 제시하였다. 교촌리 3호분의 축조 상황과 더불어, 백제 한성기부터 지속된 중국 남조 제정권과의 교류 관계를 고려한다면 백제인들은 이미 중국의 묘제인 전실묘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백제 웅진기에 중국 남조와 같은 전실묘를 축조해야만 하는 어떠한 당위성에 의해 재지 기술로써 교촌리 3호분과 같은 전실묘를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실묘 축조 기술의 미숙으로 교촌리 3호분의 축조가 실패함에 따라 백제는 壬辰年을 전후한 시점에 梁의 造塼 기술을 도입하여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에서의 물리탐사와 무령왕릉(武寧王陵)의 구조분석

        오현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4

        Songsalli Ancient Tombs of Gongju consists of seven tombs. King Muryeong’s tomb, the seventh tomb, is a brick chamber tomb discovered during the drainage works for the fifth and the sixth tombs in 1971. The excavation at the time focused on topographic surveys of the tomb entrance and the inside of the burial chamber as well as collection of the remains. The burial mount survey confirmed the status of some stone slab remaining and lime-mixed soil layers, but the survey did not examine the exterior structure of the whole tomb as the mounds were removed even more deeply. The excavation revealed damages to the bricks and mural damages due to moisture and fungus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tombs. Between 1996 and 1997, Gongju National University conducted a comprehensive detailed survey of Songsalli Ancient Tombs including a geophysical survey, with an aim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such degradation. Based on the results, repair took place in 1999 and the fifth, sixth and seventh tombs were placed under permanent conservation to conserve the cultural assets. General public is currently denied a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ree-dimensional resistivity and GPR surveys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fifth, sixth and seventh tombs of Songsalli Ancient Tomb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ground status after repair. The study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thickness of all the tomb walls and exterior structure based on GPR inside King Muryeong’s tomb. The exploration on the ground surface found that the three tombs and soil adjacent to the tombs had resistivity as low as 5 to 90 , which confirmed that the soil water content was still as high as that prior to the repair work. Additionally, GPR found that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burial chamber of King Muryeong’s tomb was approximately 70cm in thickness, while the structure was of 2B with two bricks, about 35cm in length, put together longitudinally(2B brick masonry). The pathway to the burial chamber was of the 2B structure just like that of the burial chamber walls, while its thickness was 80cm with an eyebrow-type arch connected to it. Also, the ceiling exterior appears to have an arch structure, identical to the shape inside.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은 7기의 무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7호분인 무령왕릉(武寧 王陵)은 1971년에 5호분과 6호분의 배수로 공사 중 발견된 전축분이다. 당시 발굴조사는 무덤의 입구와 현실 내 부의 측량조사, 유물수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봉토부 조사에서 호석의 일부 잔존상황과 석회혼합토층을 확 인하였으나 봉토를 더 깊이 제거하여 전축분의 외형구조까지는 조사하지 않았다. 발굴조사 후 6호분과 7호분에서 벽돌 손상, 습기와 곰팡이로 인한 벽화 손상이 발견되었다. 그 원인을 규명하 기 위해 공주대학교가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물리탐사를 포함하여 송산리 고분군에 대한 종합 정밀조사를 실 시한 바 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1999년에 보수공사가 이루어지고 문화재보존을 목적으로 5, 6, 7호분은 영구 보존 조치되어 현재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송산리 고분군 5, 6, 7호분의 지표 위에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GPR 탐사를 실시하여 보수공사 이후의 지하의 상태를 파악하고 무령왕릉의 내부에서 GPR 탐사를 실시하여 전축분의 벽체의 두께와 외형적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지표에서의 탐사결과, 3기의 고분 주변의 토양은 5∼90 의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나타내고 있어 토양이 갖는 함수율이 보수공사 이전처럼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PR 탐사결과, 무령왕릉 현실의 벽체 축 조방식은 약 35cm 길이의 벽전을 길이방향으로 두 장 잇댄(2B 벽돌쌓기) 약 70cm 두께임을 알 수 있었다. 반 면 연도부는 약 80cm 두께로 측정되어 현실의 벽체와 같은 두 겹 구조에 눈썹아치가 복합된 구조로 추정된다. 그리고 천장의 외형은 내부의 모양과 같은 아치 구조임을 탐사결과를 통하여 추정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무령왕릉 출토 동경의 계보와 연대

        福永伸哉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1 百濟硏究 Vol.74 No.-

        공주에 위치한 무령왕릉에서는 한국에서 보기 드물게 3점의 동경이 부장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변형방격규구경에 주목하여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경의 계보와 제작 연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동경은 후한의 방격규구경을 눌러떼기기법으로 제작하고 여기에 인수상 1개, 짐승상 4개를 더한특이한 도상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동경의 제작기법과 인수상 표현에 주목을 하였다. 동경의 표현상태를 관찰한 결과 제작기법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공정으로 복원하였다. 먼저 후한경을 본떠 제작한 1차 거푸집에 납을 넣어 밀랍으로 만든 경체를 만든다. 그 다음 표면에 밀랍으로 만든입체적인 인수상을 입혀 전체가 밀랍으로 만들어진 원형을 만든다. 그리고 이 납원형을 주형토로 감싸고가열을 하여 2차 주형을 제작하고 청동을 흘려 넣어 완성품인 동경이 완성된다. 이러한 제작기법은 ‘실랍주조법’이라 불리는 것으로 최근의 연구에서 수경이나 당경의 제작에 사용되었다고 밝혀지고 있다. 인수상은 긴 자루의 무기를 든 인물과 네 마리 짐승이 질주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냥문이라 할 수 있다. 사냥문의 모티브나 인수의 방향 등은 당경(唐鏡)과 가장 유사하다. 이상과 관련하여 필자는 이 동경이 수경이나 당경으로 이어지는 계보상의 중국거울이며, 그 제작연대는 무령왕이 재위한 6세기 1분기라고 추정하였다. 무령왕이 남조(南朝) 양(梁)에 파견한 512년과 521 년이 그 입수시기로 보았다. 이것이 인정된다면 역시 후한경을 눌러떼기기법으로 제작된 다른 두 점도양(梁) 대의 동형경일 가능성이 있다. 후한경의 복제경은 일본의 5~6세기 고분에서 약 130점이 출토된다. 일본고고학에서는 이들이 5세기중엽에 왜 왕권이 교섭관계에 있던 남조 송나라로부터 입수한 것으로 보고, 그 일부가 왜 왕권으로부터백제에도 제공되었다고 보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무령왕릉 동경이 양나라의 것이라면, 왜와 남조의관계가 끊어진 6세기에 백제를 경유하여 왜 왕권에 가져다준 반환경일 가능성이 생긴다. 이처럼 무령왕릉 출토 동경은 일본에서 출토되는 복제원의 역사적 평가를 재검토하는데 중요한 열쇠를 지니고 있다. 필자는 향후 무령왕릉 출토 동경의 제작기법이나 도문에 대한 연구가 한층 더 진전될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located in Gongju, three pieces of bronze mirror were buried, which is rare in Korea. In this paper, the genealogy of the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production date were examined,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odified Bronze Mirror with Design of Square and Ruller Marks. This bronze mirror is made from Bronze Mirror with Design of Square and Ruller Marks of the Late Han with pressure technique, and has a unique icon that adds 1 statue of an human head and 4 statues of beast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is bronze mirror and the expression of the statue of an human hea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xpression state of bronze mirror,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restor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hard body made of beeswax is made by putting lead into the primary mold that is modeled after the mirror of Late Han. Then, a three-dimensional human head figure made of wax is applied to the expression to create a prototype made entirely of wax. And the lead prototype is wrapped with the soil of mold and heated to make a secondary mold, and bronze is poured to complete the finished product, the bronze mirror. This manufacturing technique is called ‘cire perdue’, and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it was used for the production of Sui mirror or Tang mirror. The human head statue is a hunting scene that depicts a man with a long sack of weapons and four animals running. The motif of the hunting gate and the direction of the human head are most similar to that of Tang mirror. In connection with this, writer assumed that this was the Chinese mirror of a genealogy leading to Sui mirror or Tang mirror, and that the production date was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when King Muryeong was re-elected. The years 512 and 521 that King Muryeong dispatched to Yang of South Dynasty were considered to be the period of entry. If this is recognized, it is possible that the other two produced by the pressure technique on Late Han mirror will also be the Same Model Mirror from the Yang Dynasty. About 130 pieces of the Late Han-Dynasty Mirror are excavated from tombs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in Japan. Japanese archaeology is widely believed to have obtained them from the Song of South Dynasty, where the japanese royal power was negotiated in the mid-5th century, and some of them were provided to Baekje from the Japanese royal power. However, if bronze mirror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belongs to the Yang Dynasty, it is possible that it was an returning mirror that was brought to the throne through Baekje in the 6th century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South Dynasty was severed. As such, the excava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has an important key to reviewing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the cloning institutes excavated in Japan. In the future, writer expects further research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design of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 KCI등재

        무령왕릉 팔찌에 대한 새로운 이해

        이한상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0 百濟硏究 Vol.72 No.-

        This paper reviewed the bracelets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Baekje.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bracelet was owned only by women and how it was worn in Baekje. Six pairs of bracelets were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1971. The royal tomb was buried with the king and queen, and the bracelets were only found on the queen's wooden coffin. A pair of silver bracelets were found on the queen's left wrist and a pair of gold bracelets on her right wrist. And there were four pairs of bracelets around the queen's feet. Most of the bracelets excavated from ancient Chinese tombs belonged to women. This is the same as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Baekje. On the other hand, Silla differs from those of China and Baekje. In other words, not only women but also men were buried in tombs in Silla wearing bracelets. In the Six Dynasties, which were capitalized in Nanjing, China, the materials and shapes of bracelets worn on the left wrist and right wrist were different, as was the case with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rthern Wei and Silla, the bracelets on the left wrist and right wrist are the same. In particular, Silla made several bracelets of the same shape and divided them into the left and right wrists. Among the three types of bracelets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ne pair of silver bracelets engraved with the name of the producer one pair of silver bracelets bearing the manufacturer's name and two pairs of gold and silver bracelets woven with four joints are unique to Baekje. By comparison, the bracelet with the serrated decoration on the surface of the bracelet is a style popular in many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However, due to the large difference in shape from the Chinese bracelet, it was changed to the style of Baekje. 이 글은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팔찌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팔찌 소유자의 성별과 착장방식, 형태와 문양을 검토한 다음 그것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른 자료와 비교하였다. 무령왕릉에는 왕과 왕비가 함께 묻혔는데, 팔찌는 왕비의 유해부에서만 출토되었다. 6쌍의 팔찌 가운데 다리작(多利作) 은팔찌 1쌍은 왼팔, 각목문(刻目文) 금팔찌 1쌍은 오른팔에 착장된 양상이며 팔찌를 세트별로 모아 착장시킨 점이 주목된다. 4쌍의 팔찌는 왕비의 발치 쪽에 놓여 있었다. 신라 왕족묘에서는 이와 같은 착장방식이 확인되지 않는다. 5세기 후반 이후의 신라 고분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팔찌가 출토된다. 또한 무령왕릉의 사례와 달리 착장 시 좌우의 구분이 없다. 즉, 동일한 형태의 팔찌를 여러 개 만들어 좌우 팔에 나누어 착장시키는 방식이 유행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팔찌가 여성의 유해부에서 주로 출토된다. 양호한 인골이 남아 있는 북위묘에서는 팔찌가 여성 피장자의 팔목 부위에 끼워진 채 출토되기도 한다. 착장방식은 남쪽과 북쪽에 차이가 있다. 즉, 동오~남조묘에서는 무령왕릉처럼 팔찌를 세트별로 모아 착장하는 방식이 유행하였고, 북위묘에서는 신라처럼 1점씩 나누어 좌우 팔에 착장하는 경우가 많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류의 팔찌 가운데 다리작 은팔찌와 마디 팔찌는 백제에서만 보이는 유형이다. 자료의 부족 때문에 계보 추적이 어려우며 웅진기에 한정적으로 유행한 팔찌라 할 수 있다. 근년 공간된 다리작 은팔찌 신보고문을 분석한 결과 용문 도상에 대한 기왕의 이해에 일부 오류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기에 수정 의견을 기술하였다. 각목문 팔찌는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유행한 국제적 유형이다. 이 팔찌의 계보는 중국 동진ㆍ남조에서 찾을 수 있고 5세기 중엽에 대가야로, 5세기 후반에는 신라로 파급된 것 같다. 무령왕릉의 사례가 잘 보여주듯 삼국시대의 금은팔찌는 왕족묘나 귀족묘에서 주로 출토된다. 특히 금팔찌는 사회 최상부를 구성했던 인물들이 제한적으로 소유하였다. 동팔찌의 경우 금은팔찌의 소유자에 비하여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물이 소유한 것 같다. 6세기 이후 팔찌의 소유가 확산되지만 금팔찌나 은팔찌가 출토되는 사례는 여전히 적고 동팔찌가 다수를 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