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흔(Kim Ji H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만족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한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지역의 K수영장, N수영장, Y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유형성, 공감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여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4 purposes largely classified specifically. First,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satisfaction. Second,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leisure attitude. Third, it clarifies how satisfaction affects leisure attitude. Fourth, it clarifies if satisfac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ports culture environment. Research targets were ordinary people who use K, N, Y swimming pool located in Gwangju and answered the survey, and total 200 copi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managemen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after implementing frequency analysis, relia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sympathy that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in order. Also, reliance confidence, responsiveness, sympath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Finally,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sympathy,materialit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Thir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Fourth,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intermediary role in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본 연구는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만족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한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지역의 K수영장, N수영장, Y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유형성, 공감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여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4 purposes largely classified specifically. First,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satisfaction. Second,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leisure attitude. Third, it clarifies how satisfaction affects leisure attitude. Fourth, it clarifies if satisfac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ports culture environment. Research targets were ordinary people who use K, N, Y swimming pool located in Gwangju and answered the survey, and total 200 copi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managemen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after implementing frequency analysis, relia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sympathy that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in order. Also, reliance confidence, responsiveness, sympath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Finally,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sympathy,materialit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Thir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Fourth,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intermediary role in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 KCI등재

        노인의 스포츠사회환경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스포츠참가정도의 차이

        동영주(Dong Young-Ju),이원미(Lee Won-Mi) 한국사회체육학회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ports social environment, subjective health,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mong the elderly. Method: This study was computer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using the SPSS 24.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sports environment, subjective health, and degree of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econd, one-way variance and scheffe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ports soc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elderly and all ag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social environment, subjective health,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elderly spor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social environment in age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excluding participation period. Second, the subjective health according to the sports environment of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nsportation means, information collection routes, and major faciliti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cording to the sports social environment. There was a difference in a residential area, means of transportation, the time required, and major facilities of the elderly as for sports participation dur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Information collection routes had a difference in intensity. Conclusion: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social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according to sports,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elderly. Thir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ports soc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 KCI등재

        녹색성장과 스포츠 환경

        이징연,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3

        The green development policy advocated b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 2008 has been intended to take considerations on both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president can be said to exert a balanced, forward-looking leadership by pushing ahead with th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ensure the growth of sports and the settlem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at the same time in line with the green development policy. Relevant theories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logical oughtness of green development and strategies for that policy, and then problems with sport environments and relevant disputes were discussed. After discussions on sports and environmental issues were checked, what environmental problems took place in association with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large sport facilities such as golf course and ski resort were pointed out, and both of sports and environmental problems were discussed from administrative, legal and ethical perspectives. As environmental problems related to sport activities have a huge impact on hosting international sport events, the urgent necessity of countermeasures for that phenomenon was stressed, and several alternatives were suggest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growth of sports and the settlem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today's green development era, which involved a spread of environmental awareness equal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a procurement of environment-friendly sport spaces, reinforced evaluation of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 mediation of people's basic rights, and a more down-to-earth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2008년 이명박 정부에 의해 제창된 녹색성장 정책은 경제성장과 환경문제를 동시에 고려하자는 주장으로서 이는 균형감각이 갖춰진 미래지향적 리더십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녹색성장 정책기조의 맥락에서 스포츠의 성장과 환경문제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녹색성장의 추진방향과 과정에 대한 논리적 당위성과 실천전략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이론적 체계의 구축을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 환경의 문제와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연구내용의 구성은 스포츠와 환경문제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골프장과 스키장 등과 같은 대규모 스포츠 시설의 건립과 운영상에서 대두되는 환경문제를 지적하는 한편으로, 스포츠와 환경문제에서 실질적 논쟁의 대상인 요소들을 행정적, 법적, 윤리적 쟁점으로 부각시키고 이를 고찰하였다. 또한 최근 스포츠 활동과 관련한 환경문제가 국제적 스포츠이벤트 유치에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하고, 녹색성장 시대에 발맞추어 스포츠의 성장과 환경문제에 대한 균형감각을 이루기 위한 대안으로서 국제적 수준의 환경의식 제고, 친환경 스포츠공간의 확보, 환경영향평가의 강화, 국민 기본권 간의 중재와 타협, 실천적 환경정의의 정초 등을 설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스포츠에 있어서 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김상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 스포츠와 법 Vol.11 No.3

        With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environmental issues became the issue of life itsel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acid rain, ozone depletion, yellow sand phenomenon and marine pollution, are now posing a serious threat to human life over vast area and time. The domain of sports is not an ex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Since sports activities and facilities are closely related with environment, sports and environment are unthinkable separately. Sports activities are restrained be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sports facilities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sports facilities that mostly cause problems. Sports facilities are getting larger in size and more various regarding their function. At the same tim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se sports facilities are increasing and getting more seriou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ports activities and facilities, but most of them are soil damage, noise pollution and marine pollution. Many people use their vehicle to reach sports facilities mostly located far away from the city, which causes air pollution. Garbage and waste from sports activities harm the environment and the noise which comes from sports activities disturb the residents in adjacent areas. Environmental problems are often discussed regarding energy issues nowadays, and sports cannot be excluded from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In Korea, construction of a sports complex or golf field must go through environment evaluation beforehand. However, environmental problems surface in most cases unexpectedly. Therefore, it is hard to prevent the problem completely, although enough pre-evaluation and prevention effort were preceded. In this aspect, general principles of environmental law must be applied to sports law as well. With the application of related environmental law, environmental problems could be overcome more effectively. Environment-friendly sports is a vital way to guarantee the basic right of the future generation and to enhance development in sports. 21세기는 환경의 시대이다. 지구상의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면서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온난화현상은 지구의 생태계에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오존층의 파괴, 산성비의 증가, 황사현상, 해양의 오염으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파괴 등 환경오염은 다양하게 발생하면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있다. 이런 환경오염의 문제는 스포츠영역이라 하여 예외는 아니다. 무엇보다도 스포츠활동이나 스포츠시설은 환경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스포츠와 환경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스포츠활동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스포츠활동은 환경오염 때문에 지장을 받게 되는 경우이나, 스포츠시설은 오히려 그 시설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경우이다. 스포츠시설은 대형화되면서 다양화되고 있다. 스포츠시설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는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오염의 정도도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스포츠시설이나 스포츠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문제는 그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자연환경의 훼손이나 소음으로 인한 문제 및 해양오염 등이 주로 나타나게 된다. 스포츠시설을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 떨어져 있는 스포츠시설에 가기 위하여 차량을 이용함으로써 대기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경기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폐기물 등의 처리문제 등이 있다. 또한 경기로 인한 관중의 소음발생의 문제는 인근 주민들의 평온한 생활을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에너지와 관련하여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스포츠 역시 환경문제를 피해갈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종합운동장이나 골프장 건설의 경우 환경평가를 받고 건설한다. 그렇지만 환경문제는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분히 사전평가와 방지를 위한 장치가 마련되었다 하여도 차후 발생하는 것을 완전 차단할 방법은 없다. 그런 점에서 스포츠법에 있어서도 환경법상의 제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고, 이와 함께 관련 환경법의 적용을 통하여 환경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야 할 것이다. 친환경적 스포츠가 미래세대의 기본권이 환경권을 보장하고 스포츠의 발전을 꾀하는 길이 된다.

      • KCI등재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

        고문수(Moonsoo K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미래는 불확실성과 다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교육이 어떠한 방향을 지녀야 하는지를 탐색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미래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스포츠교육의 길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스포츠교육의 연구 실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 교육환경의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스포츠 교육환경의 변화에서는 물리적 환경에서 온라인 학습 환경으로 확장, 절차적 지식과 통합교과로의 학습 내용 전환 그리고 과학 기술과 인문적 접근의 통합적 방법의 활용 등을 탐색하였다. 둘째,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핵심역량과 이 핵심역량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스포츠교육의 두 가지 방향을 실천해야 한다. 하나는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교수 · 학습의 방향을 실천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스포츠교육에서 과학적 관점과 인문적 관점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의 두 축을 구축해야 한다. 여기서 제1축은 외적 힘과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의 관계를 조성하는 일이다. 제2축은 내적 힘과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을 강화해야 한다. 논의에서는 스포츠교육 방향의 설정은 스포츠교육학자의 역량과 스포츠교육 관련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future is premised on uncertainty and diversification.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to explore what direction sports education should take. The reason is that sports education can be diversified amid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contents of research and practice of sports education in the futur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First, due to the change of the sports education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conversion of learning content to procedural knowledge and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use of an integrated method of science technology and humanities approach were explored. Second, in order to adapt well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wo directions of sports education that help to realize core sports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ne is to practic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other is to use a scientific perspective and a humanistic perspective in sports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wo axes of sport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The first axis here is to create a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trength and sport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The second axis should strengthen research and practice in sports education and inner strength. In the discus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sports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competence of sports educators and active will and efforts of sports education related researchers.

      • KCI등재

        The Effects of Sports Facility Operation on the Use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Sports Facilities

        함주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 체육시설 환경의 변화는 개인적 특성이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체육 시설 환경 요소 또한 체육시설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체육 환경 변화에 따른 성장요인과 개선방안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제고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체육 시설 운영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강구 하였다. 또한 체육시설 공급확대에 따른 체육시설 운영이 이용자들의 현실 인식과 실제 통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간의 관계를 실체적 분석을 통해 파악해 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 체육시설의 공급의 변화가 체육시설 운영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수요자극으 로 어떻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경험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구성요인에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의식을 조사하여 개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둘째,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규명하고, 셋째,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체육 시설 운영이 어떻게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체육시설 운영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의 연구로써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체육시설 운영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 문항으로 참여 직군과 비참여 직군으로 구분 하였으며 설문지의 응답결과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코딩(Coding)의 지침에 따라 부호화하여,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Windows용 SPSS/PC+21.0 Version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전산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이용된 통계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시설 환경 변화에 따른 체육시설 운영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변량분석법(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t only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sports facilities but also the effects of sports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peration of sports facilities, so as to look into more efficient ways for growth factors and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ports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ed for a more effective way for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sports facilities on the use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sport facilities. In addition, it conducted a concret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perception of sports facility operation and the phenomenon of actual statistics according to the expanded supply of sports facilities. More specifically, an empirical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how the changes in the supply of sports facilities positively affect the activation of sports facility users by stimulating the actual demand.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experts and non-experts as a constituent factor to look into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it aims to clarify the problem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sports facilities, and third to identify how the operation of sports facilities influence the use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sports facilit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sports facilities on the use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sports facilities. The questionnaire about the effect of the operation of sports facilities on the users was divided into participant occupational group and non-participant occupational group. After collecting the data of response results, the data judged to be inaccurate or unreliable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only valid samples were coded according to Coding guidelines and inputted into a computer, and Windows SPSS/PC+21.0 Ver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as follows. Specificall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e-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sports facility operation on the users due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sports facilities.

      • KCI등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스포츠법제의 연구

        김종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3 스포츠와 법 Vol.26 No.1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round the worl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Paris Agreement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Net zero). After this agreem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enacted domestic laws that mandated carbon neutrality and set goal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climate crisis is getting worse day by day. This means that in order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it is no longer the efforts of national policies and public institutions, but all members of society must participate. Sports is also one of these fields. Sports entered the modern era and gradually began to cause serious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s is because large-scale facility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were required as sports events on a global scale, including the Olympics and World Cup, were held, which led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addition, as sports become popular, many people begin to want professional sports, and facilities for this are continuously developed, so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climate problems caused by sports facilities are becoming serious. In Korea, sports have also become one of the important fields of society. In particular, after the Seoul Olympics, sports became popular because there was a good awareness of sports in the public. Recently, the function of sports for a healthy daily life has been discovered, and as the people experience the good points of sports, sports are becoming more popular. In accordance with these matters, related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and various sports-related laws, including the 「Framework Act on Sports」 have been enacted some time ago. The 「Framework Act on Sports」 also included regulations o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sports. However, Korea's legislation does not include specific details on how to 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problems caused by it in the field of sport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in the sports field, the following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to include eco-friendly content when establishing a basic plan stipulated in sports-related laws, to amend the law to include eco-friendly sports content when establishing a basic plan stipulated in sports laws, and to Utilize green building laws. In addition, as matters related to climate are gradually being legislated, and climate issues related to sports are still being discussed, it will be necessary to overhaul them.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탄소중립(Net zero)을 달성하기 위한 파리협약(Paris Agreement)이 대표적이다. 이 협약 이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의무화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들을 설정하는 국내법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기후위기는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데, 이것은 더 이상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 시행, 혹은 공공기관 차원의 노력에 의하여 탄소중립이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각 분야 모두가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해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 또한 이러한 분야 중 하나이다. 스포츠는 현대에 들어서며 점차 심각한 환경파괴를 유발하기 시작했다. 올림픽과 월드컵을 비롯한 전 세계 규모의 스포츠 경기가 열리며 대규모의 시설 개발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했고, 이것은 환경파괴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스포츠가 대중화되며 많은 사람이 전문 스포츠를 원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시설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에 스포츠시설로 인한 환경파괴와 기후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스포츠가 사회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서울올림픽 이후,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스포츠에 대한 좋은 인식이 자리 잡으며 스포츠가 대중화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한 일상생활을 위한 스포츠의 기능이 연구되고, 또한 많은 사람이 스포츠의 건강증진기능을 체감하며 더욱 스포츠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관련 정책들도 시행되고 있으며 얼마 전에는 「스포츠기본법」을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 관련 법률들이 제정되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스포츠의 환경보호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기도 하였다. 다만, 우리나라의 법제에는 스포츠 분야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과 그로 인한 기후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포츠 분야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스포츠 관련 법률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본계획에 포함하는 방법, 또는 기본계획에 친환경 스포츠내용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개정하는 방법, 친환경 건축물과 관련된 법률을 활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후와 관련된 사항이 점차 법제화되고 있고, 스포츠와 관련된 기후문제도 계속 논의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미래지향적인 스포츠 환경조성을 위한 체육시설법 정비 방안

        손석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9 스포츠와 법 Vol.22 No.1

        This research aimed to propose several improved plans of the law related sports facility through the review of the act as possibly helpful on development of sports environment of Korea. In details, the 2030 Sports Vision and the balanced disposition of public sports facility as the policies related on sports facility and the Physical Education Facility Act and Urban Parks and Green Areas Act as the laws related sports facility were reviewed. While the policies and laws were reviewed, extension of sports facility and improvement of sports environment are defined a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oriented sports environment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o extension of sports facility, a measure of tightening of Sports for All Facilities installation standards, a measure of widely opening of school sports facilities to public and a measure of revision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Act as the sports facilities could be installed in small cities to extend the sports facilities in Korea were proposed. Second, to improve the sports facility environments of Korea, a measure of bathing facility installation mandatory, a measure of preparation of installation standards for free sports facility and a measure of transformation of the complex sports facility on permission to sports facility on registration with revis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Facility Act were propos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미래 지향적인 스포츠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체육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련된 법제도 검토를 통하여 체육시설 관련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시설 관련 정책으로 2030스포츠비전과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계획을, 체육시설 관련법으로는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인 스포츠 환경조성의 조건을 체육시설 설치 확대와 체육시설의 환경 제고로 정하고 이를 위한 체육시설법의 정비방안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시설의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는 체육시설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의 생활체육시설의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읍면동에도 실내체육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기준을 개정하는 방안과 학교체육시설을 포함한 공공체육시설의 개방을 확대하기 위한 개정 방안 그리고 도시공원에 체육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체육시설 환경 제고를 위하여 체육시설 내에 목욕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개정 방안, 자유 체육시설업 규정과 설치기준 마련을 위한 개정 방안, 단일종목간의 복합시설을 장려할 수 있도록 복합 체육시설업의 근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원스포츠산업의 법적 환경 개선을 통한 안정성 확보 방안

        윤신혜,정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function of academy sports and to find institutional alternativ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were conducted as research methods. Laws and prior studies such as the Academy Sports-related Sports Facilities Act, the Establishment Operation Act, and the Academy Act were review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1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academy sports field.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in the academy sports field were "absence of qualified professional sports leaders," "lack of clarity on the selection of sports teaching events," "limitations on the application of VAT exemption for sports teaching," and "restrictions on the full implementation of sports teaching and safety measures." Second, no response strategy has been proposed to solve problems in the academy sports field, and inconvenience has been increasing due to information confusion among workers Third, the alternative to improving the academy sports field is to verify the qualification standards of instructors (leaders) in the physical education industry and to review and reorganize actual sports teaching events for teenag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acticality of applying VAT exemption in the sports teaching industry was reviewed and related laws were revi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simplify the procedure for reporting the sports teaching business and organize clear standards.(Times New Roman 10, 200 words or more, write one paragraph without references)

      • KCI등재

        4대강 사업과 수변공간을 이용한 체육시설 설치에 관한 법제도적 고찰

        김대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0 스포츠와 법 Vol.13 No.4

        이제 녹색성장은 정부의 정책기조로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녹색 뉴딜사업의 추진방안은 잠재적 성장동력 뿐만 아니라 일자리창출 등 구체적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정책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에 스포츠분야에서도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녹색성장과 관련된 이벤트와 녹색관광과 연계한 스포츠관광 등 친환경적 여가활동 및 녹색성장을 실현하고자 다양한 문화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녹색성장의 일환인 4대강 정비사업을 통한 수변공간의 활용은 저렴한 비용에 국민들에게 생활스포츠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은 체육부분에 있어서 이번 사업이 큰 장점으로 부각될 것이다. 이에 아래에서는 4대강 사업과 수변공간을 이용한 체육시설의 설치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법제도적인 고찰과 함께 개선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A part of such strategies is to build capacity in sports sector by creating environment-friendly watersid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is specific initiative needs further and wider support because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leisure and sports activities is clearly consistent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nurture and expand the role of sports as a vehicle for low-carbon and environment-friendly growth initiatives (in the cultural sector).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basic concepts surrounding green growth strategy, sports event, and sports tourism, and then proposes a sports events promotion scheme focusing on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watersid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is paper also deals with issues regarding legislative support for green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